KR20090087413A -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413A
KR20090087413A KR1020090009020A KR20090009020A KR20090087413A KR 20090087413 A KR20090087413 A KR 20090087413A KR 1020090009020 A KR1020090009020 A KR 1020090009020A KR 20090009020 A KR20090009020 A KR 20090009020A KR 20090087413 A KR20090087413 A KR 20090087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bject identifier
link
identifi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요시이
유미 가와치
Original Assignee
사이지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지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이지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종래에는 리커맨데이션의 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생성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및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링크정보, 대상물 식별자, 정보처리장치, 유저, 링크강도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예를 들면 2 이상의 유저가 구입한 상품 등의 구입 이력의 정보 등을 이용해서, 정보를 리커맨드 등을 행하는 정보처리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용자의 흥미가 높은 항목명, 항목값에 기초해서 정도가 높은 컨텐츠 리커맨드와, 컨텐츠 이용의 순서를 고려한 컨텐츠 리커맨드의 쌍방을 동시에 실현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시스템은 이용자의 컨텐츠 이용 이력정보를 저장해서 관리하는 컨텐츠 이용 이력정보 저장관리부, 컨텐츠 이용 이력정보로부터 컨텐츠 이용 천이정보를 산출하는 컨텐츠 이용 천이정보 산출부, 컨텐츠 이용 천이정보를 저장해서 관리하는 컨텐츠 이용 천이정보 저장관리부, 컨텐츠 메타데이터 정보를 저장해서 관리하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정보 저장관리부, 컨텐츠 이용 이력정보, 컨텐츠 이용 천이정보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초해서 컨텐츠 리커맨드 정보를 생성하는 컨텐츠 리커맨드 정보 생성부를 갖는다.
또한, 개인의 항목명 마다의 특징을 추출하고, 개인의 항목명 마다의 특징에 기초해서 컨텐츠의 리커맨드를 행하는 시스템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항목명에 관한 것으로, 대상으로 삼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자 항목별 지향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용자 항목별 지향정보를 참조해서, 그 항목명에 관해 미리 설정해 둔 역치 이상의 출현 회수의 항목값을 추출하고, 이 항목값을 대상 항목명의 값으로서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컨텐츠 정보를 이용자에게 리커맨드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품구입에 결부되는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또 종합적인 리커맨데이션·서비스를 실현하는 시스템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시스템은, 음악 소프트 배신 샵 A의 서버에 대해서, 유저가 휴대전화기로 네트접속 서비스를 통해 액세스해서 음악 소프트를 구입하면, 샵 A의 서버는 그 구입정보를 센터에 송신하고, 센터는 그 가수에 의한 콘서트 정보를 리커맨드 룰로부터 검색하고, 그 리커맨데이션을 네트접속 서비스를 통해서 휴대전화에 송신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티켓 판매 샵 B의 서버에 대해서, 유저가 휴대전화로 콘서트 티켓을 구입하면, 샵 B의 서버는 그 구입정보를 센터에 송신하고, 센터는 이 구입정보의 콘서트의 개최일에 있어서의 비행기 등의 예약 상황을 리커맨드 룰로부터 검색하고, 그 리커맨데이션을 휴대전화에 송신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자동적으로 네트뉴스의 랭킹(ranking)을 행하는 그룹렌즈(GroupLens)라고 불리우는 리커맨데이션 엔진 기술이 존재한다(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협조 필터링이라 불리우는 수법을 중심으로 리커맨데이션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져 왔다(비특허문헌 2 내지 5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5-293384호(제1페이지, 도 1등)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4-362011호(제1페이지, 도 1등)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2-117292호(제1페이지, 도 1등)
[비특허문헌 1] Resnick, P., Iacovou, N., Suchak, M., Bergstrom, P., Riedl, J.: GroupLens: An Open Architecture for Collaborative Filtering of Netnews. Proceedings of the 1994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Work Conference, pp.175-186(1994).
[비특허문헌 2] Balabanovic, M. and Shoham, Y.: Fab: Content-Based,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0, Issue 3, pp.66-72(1997).
[비특허문헌 3] Herlocker, J. L., Konstan, J. A., Borchers, A. and Riedl, J.: An Algorithmic Framework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Filtering, Proceedings of the 22nd annual international ACM SIGIR, pp.230-237(1999).
[비특허문헌 4] Sarwar, B., Karypis, G., Konstan, J. and Riedl, J.: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s,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285-295(2001).
[비특허문헌 5] Linden, G.., Smith, B., and York, J.: Amazon.com Recommendations: Item-to-Item Collaborative Filtering, Internet Computing, IEEE, Volume 7, pp.76-80(2003).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1 이상의 대상물(예를 들면,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행한 유저의 조작(예를 들면, 구입, 정보의 열람 등) 이력으로 대상물을 그룹화하는 것이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유저가 대상물에 대하여 입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이용해서 대상물을 그룹화하는 것이 수행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유저가 주목하는 대상물이 동적으로 변경될 경우, 상기 대상물이 속한 그룹을 동적으로 취득하고, 상기 그룹 내의 다른 대상물을 리커맨드하는 처리 등이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이 때문에,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의 정도(精度)가 낮았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조작정보를 2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조작정보 저장부;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로부터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 부;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및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精度)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제1관점에 대하여, 상기 조작정보는 대상물 식별자와 유저가 입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는,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의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제2관점에 대하여, 상기 입력정보는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대한 유저의 인상을 나타내는 컬러의 정보인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제2관점에 대하여, 상기 입력정보는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대한 유저의 인상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제1관점 내지 제4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대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는 단말장치로부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는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제1관점 내지 제5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대하여, 상기 조작정보를 접수하는 조작정보 접수부; 및 상기 조작정보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정보를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에 축적하는 조작정보 축적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의 정도(精度)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요소는 같은 동작을 수행하므로, 재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제1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2 이상의 유저가 2 이상의 대상물(상품, 컨텐츠, 서비스 등)에 대하여 행하는 조작(구입, 열람, 즐겨찾기, 태깅(tagging), 속성값의 입력 등)을 접수하고, 상기 조작으로부터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링크 관계의 정보로부터 하나의 대상물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1 이상의 대상물을 취득하고, 출력하는 정보처리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정보처리시스템(1)은 정보처리장치(11)와 1 이상의 단말장치(12)를 구비한다. 정보처리장치(11)와 단말장치(12)는,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 서로 통신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장치(11)는 네트워크상의 서버장치이고, 단말장치(12)는 유저 단말기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시스템(1)의 블럭도이다. 정보처리장치(11)는, 조작정보 저장부(111), 조작정보 접수부(112), 조작정보 축적부(113), 링크정보 생성부(114),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2)는, 입력접수부(121), 정보송신부(122), 정보수신부(123), 정보 출력부(124)를 포함한다.
조작정보 저장부(111)는 2 이상의 조작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조작정보는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다. 여기에서, 유저 식별자는, 예를 들면 ID, 성명 등이다. 또한, 조작은, 단말장치(12)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을 위한 조작(구입 버튼의 누름 등), 단말장치(12)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 열람의 조작, 단말장치(12)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즐겨찾기 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한 조작, 제2실시예에서 후술할 입력정보의 입력 조작, 임의의 표시(태그 등)를 붙이는(마킹하는) 조작, 속성값을 입력하는 조작 등이다. 대상물은 상품, 서비스, 사람 등이다. 대상물 식별자는 상품 ID나 서비스 ID 등의 ID, 성명 등이다. 조작정보 저장부(111)는 비휘발성의 기록매체가 적절하지만, 휘발성의 기록매체에서도 실현가능하다.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조작정보가 기억되는 과정은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를 통해 조작정보가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기억되어도 좋고,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송신된 조작정보가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기억되어도 좋고, 혹은 입력장치를 통해서 입력된 조작정보가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기억되어도 좋다.
조작정보 접수부(112)는 조작정보를 접수한다. 여기에서의 접수는, 통상적으로 수신이다. 그러나, 접수는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접수이어도 무방하다. 조작정보 접수부(112)는, 통상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무방하다.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조작정보 접수부(112)가 접수한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통상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조작정보 축적부(113)의 처리 순서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하여도 좋다.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2 이상의 조작정보를 이용해서 링크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한다.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는」이라는 것은, 동일한 유저 식별자(유저 식별자에 의해 취득할 수 있는 속성값(예를 들면, 연령, 연령폭, 성별, 취미, 주거지역, 소속조직 등)도 포함해서 고려해도 좋음)와 쌍으로 이루어진 2개의 대상물 식별자가 서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해 양자를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처리를 연속해서 하는 것이다. 또한,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는」이라는 것은, 동일한 유저 식별자(유저 식별자에 의해 취득할 수 있는 속성값(예를 들면, 연령, 연령폭, 성별, 취미, 주거지역, 소속조직 등)도 포함해서 고려해도 좋음)와 쌍으로 이루어진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 중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전부 취 득하는 것이다. 링크정보는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모든 세트, 링크와 링크강도의 정보 등을 갖고, 그 데이터구조는 고려하지 않는다.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모든 세트는, 예를 들면 「(상품A, 상품B) (상품A, 상품C) (상품A, 상품B) (상품C, 상품D) …」이고, 링크 관계에 있는 대상물 식별자의 쌍을 이루는 정보의 집합이다. 「(상품A, 상품B) (상품A, 상품C) (상품A, 상품B) (상품C, 상품D) …」에는 (상품A, 상품B)가 적어도 2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상품A」와 「상품B」의 링크강도는 2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링크정보가 링크강도의 정보를 갖는 경우, 링크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A, 상품B, 2) (상품A, 상품C, 1) (상품C, 상품D, 5) …」이다. (상품A, 상품B, 2)는 「상품A」와 「상품B」의 링크가 존재하고, 그 강도는 「2」인 것을 나타낸다.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통상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링크정보 생성부(114)의 처리 순서는,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하여도 좋다.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한다. 여기에서의 접수는, 통상적으로 수신이다. 그러나, 접수는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접수이어도 무방하다.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통상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무방하다.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단말장치(12)로부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에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는 단말장치(12)의 유저가 어떠한 조작(예를 들면, 구입, 즐겨찾기에 넣음, 포커스 이동 등)을 한 대상물의 식별자이다.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링크정보 생성부(114)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해서,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이 소정의 정도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미리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 내의 기억매체에 유지되어 있음)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여기에서,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는, 예를 들면 대상물 식별자와 다른 정보(유저 식별자, 유저의 속성값, 제2실시예에서 후술할 입력정보)를 이용해서 구축된 이부(二部)그래프로부터 다른 정보를 제외하고,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이용한 일부(一部)그래프를 구성한 경우에, 소정의 관계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링크정보 생성부(114)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해서,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링크정보 생성부(114)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해서,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대상물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고,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그룹에 속하는 대상물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알고리즘은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대상물끼리의 관계를 내포한 일부그래프를 관계 네트워크라 한다. 어떤 대상물과 동일 그룹의 대상물을 찾아내는 것은 관계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커뮤니티 구조에 관한 임의의 양을 최대화하도록 그래프를 분할하는 것이다. 동일 그룹이 적절한 커뮤니티 구조를 형성하는 지표로서는 모듈성(modularity)이라는 개념이 있다.
예를 들면,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아래의 수식 1을 이용한 알고리즘으로 국소적 모듈성(modularity)(R)을 계산한다. 그리고, 이 지표(R)에 기초해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대상물을 특정하고 이것들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수식 1]
Figure 112009007024039-PAT00001
즉, 지금, 해석 대상이 되는 관계 네트워크(상기의 일부그래프)에 있어서, 주목하는 기점 노드를 Vm이라 한다(도 3 참조). 주목하는 기점 노드 Vm은 전술한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이다. 그리고, 기점 노드 Vm은 대상물 식별자의 그룹을 추출할 때 베이스가 되는 대상물 식별자(네트워크의 노드)이다. 여기에서, 노드 Vm을 중심으로 추출된 그룹의 노드 집합을 C라 한다. 또한, C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C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인접하는 노드 집합을 U라 한다. 또한, U와 인접하는 C의 노드 집합을 B라 한다. 이때, C의 국소적 모듈 성(local modularity) R은 상기 수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수식 1에 있어서, Bij는 노드 Vi, Vj가 접속되어 있어서 어느 일측이 B에 포함될 때의 Vi, Vj 간의 링크 웨이트(가중치)이다. 또한, δ(i, j)는, Vi∈B 및 Vj∈C, 혹은 Vi∈C 및 Vj∈B일 때 1, 그 이외의 경우는 0이라고 한다. 즉, T는 B에 포함되는 노드가 갖는 모든 링크 웨이트의 총합, I는 B의 모든 링크 중 U가 아닌 노드와 연결되는 링크 웨이트의 총합이 된다. 주목하는 기점 노드 Vm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노드를 C에서 받아들이는 조작을 되풀이함에 따라, R이 최대가 되는 C를 노드 Vm의 그룹으로서 구할 수 있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2알고리즘에 의해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3알고리즘에 의해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 및 상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와 더욱더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4알고리즘에 의해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 및 상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와 더욱더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그리고, 더욱 재귀적으로, 어디까지나,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5알고리즘에 의해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대상물 식별자 및 상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 대상물 식별자와 더욱더 역치 이상의(또는 역치보다 큰) 링크강도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6알고리즘에 의해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대상물 식별자 중에서, 링크강도가 강한 순서로부터 상위 x개(x는 1 이상의 자연수)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7알고리즘에 의해 대상 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대상물 식별자 중에서, 링크강도가 강한 순서로부터 상위 x%(x는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음)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이하의 제8알고리즘(이 알고리즘을 「상호중요도 가미 알고리즘」이라고 함)에 의해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다. 상호중요도 가미 알고리즘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로부터 본 상대적인 다른 대상물 식별자와의 링크 웨이트(링크 웨이트 A) 및 다른 대상물 식별자로부터 본 상대적인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의 링크 웨이트(링크 웨이트 B)를 파라미터로 해서 산출되는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를 이용하여, 그룹내의 대상물 식별자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식은, 예를 들면 수식 2이다.
수식 2는 대상물(Vm)과 대상물(Va) 간의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를 산출하는 식의 예이다. 또한, 수식 2에 있어서, Vm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합은 Vm으로부터 인접하는 대상물에 뻗어져 있는 링크 웨이트의 합이다.
[수식 2]
링크강도 A = VmVa 간의 링크 웨이트 / Vm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합
링크강도 B = VmVa 간의 링크 웨이트 / Va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합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 = 링크강도 A × 링크강도 B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대상물 식별자에 대하여,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가 큰 상위 x개(x는 1 이상의 자연수)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고, 상위 x%(x는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음)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해도 좋고,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가 역치 이상인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의 산출방법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대상물(Vm)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합은 200이다. 대상물(Va)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합은 10000이다. 대상물(Vb)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합은 20이다. 그리고, VmVa 간의 링크 웨이트는 100이다. VmVb 간의 링크 웨이트는 5이다.
그리고, VmVa 간의 링크강도 A는 「100/200」, VmVa 간의 링크강도 B는 「100/10000」이다. 그리고, VmVa 간의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는 「(100/200) × (100/10000) = 1/200」이 된다.
한편, VmVb 간의 링크강도 A는 「5/200」, VmVb 간의 링크강도 B는 「5/20」이다. 그리고, VmVb 간의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는 「(5/200) × (5/20) = 1/160」이 된다.
즉, 대상물(Vm)로부터 본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 C는 대상물(Vb) 쪽이 대상물(Va)보다 크다. 이에 의해, 대상물(Vm)로부터 보면, 대상물(Vb) 쪽이 그룹내의 대상물로서 선택되기가 더 쉬워진다.
기타,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동일한 그룹에 존재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알고리즘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통상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의 처리 순서는,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좋다.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한다.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예를 들면 대상물 식별자와 쌍으로 대상물 정보를 갖는 대상물 정보 저장수단(미도시)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정보를 대상물 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리딩(reading)해서 출력한다. 또한, 대상물 정보는 대상물(예를 들면, 상품)의 명칭, 스펙, 가격, 화상 데이터 등이다. 또한, 대상물 정보는 대상물 식별자라 도 좋다.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단말장치(12)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출력은, 통상적으로 외부 장치(단말장치(12) 등)로의 송신이지만,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프로젝터를 이용한 투영, 프린터로의 인쇄, 소리 출력, 기록매체로의 축적, 다른 처리장치나 다른 프로그램 등으로 처리 결과를 인도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통상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접수부(121)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입력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의 구입 지시나 상품 정보의 열람 지시(웹페이지의 열람 지시), 상품 정보를 즐겨찾기로 하는 표시를 부여하는 지시, 후술할 키워드나 컬러 등의 입력정보의 입력 등이다. 또한, 입력으로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의 입력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지시나 정보 등의 입력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또는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어느 것이어도 좋다. 입력접수부(121)는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메뉴 화면의 제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정보송신부(122)는 입력접수부(121)가 접수한 지시나 정보 등을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한다. 정보송신부(122)는, 통상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정보수신부(123)는 정보처리장치(11)나 그 밖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하는 정보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정보수신부(123)는, 통상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정보출력부(124)는 정보수신부(123)가 수신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출력으로는,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프로젝터를 이용한 투영, 프린터로의 인쇄, 소리 출력, 외부 장치로의 송신, 기록매체로의 축적, 다른 처리장치나 다른 프로그램 등으로 처리 결과를 인도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보출력부(124)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고 생각해도 좋고, 포함하지 않는다고 생각해도 좋다. 정보출력부(124)는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 또는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와 출력 디바이스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하, 정보처리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정보처리장치(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501) 조작정보 접수부(112)는 조작정보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작정보를 접수했으면 단계 S502로 가고, 조작정보를 접수하지 않았으면 단계 S503으로 간다.
(단계 S502)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단계 S501에서 접수한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단계 S5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503)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했으면 단계 S504로 가고,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지 않았으면 단계 S5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여기에서, 통상적으로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단말장치(12)로부터 대상물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S504)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단계 S503에서 접수한 대상물 식별자를 이용하여 링크정보 생성처리를 수행한다. 링크정보 생성처리는 링크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기억매체에 기입하는 처리이다. 링크정보 생성처리에 대해서는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505)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단계 S504에서 생성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를 한다.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는 단계 S503에서 접수한 대상물 식별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처리이다. 또한, 단계 S503에서 접수한 대상물 식별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대상물 식별자가 0일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에 대해서는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506)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단계 S505에서 취득된 대상물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상물 정보를 구성한다. 대상물 정보는 대상물(예를 들면, 상품)의 명칭, 스펙, 가격, 화상 데이터, 대상물 식별자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단계 S507)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단계 S506에서 구성된 대상물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의 출력은, 통상적으로 단계 S503에서 접수한 대상물 식별자를 송신해 온 단말장치(12)로 대상물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단계 S501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5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단계 S504의 링크정보 생성처리는 미리 행해지고, 상기 링크정보를 미리 기억매체(미도시)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단계 S505의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는 미리 행해지고, 각 대상물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하나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미리 기억매체(미도시)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전원 오프나 처리 종료의 개입에 의해 처리는 종료된다.
이하, 단계 S504의 링크정보 생성처리에 대해 도 6,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601)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602)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i번째의 유저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i번째의 유저 식별자가 존재하면 단계 S603으로 가고, i번째의 유저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613으로 간다. 또한,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저장부(111)의 조작정보의 내부 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유저 식별자군 관리표의 내부를 검색하고, i번째의 유저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i(i는 1, 2, …)번째의 유저 식별자는 각각 유니크(unique)한 유저 식별자이다.
(단계 S603)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카운터 j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604)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면 단계 S605로 가고,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612로 간다.
(단계 S605)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카운터 k에 「j+1」을 대입한다.
(단계 S606)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면 단계 S607로 가고,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611로 간다.
(단계 S607)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i번째의 유저 식별자를 포함하는 모든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리딩한다.
(단계 S608)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단계 S607에서 리딩한 조작정보 내에서,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와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함께(동시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함께 존재하면 단계 S609로 가고, 함께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610으로 간다.
(단계 S609)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를 버퍼에 기입한다.
(단계 S610)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카운터 k를 1 증분한다. 단계 S606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611)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카운터 j를 1 증분한다. 단계 S604로 되돌아간다.
(단계 S612)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카운터 i를 1 증분한다. 단계 S602로 되돌아간다.
(단계 S613)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단계 S609에서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정보를 구성한다. 상위 처리로 리턴한다. 링크정보 구성처리에 대해서는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단계 S609에서 기입한 데이터의 구조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하, 단계 S613의 링크정보 구성처리에 대해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도 6의 플로우차트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701)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단계 S609에서 버퍼에 기입된 데이터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수(number)를 취득하고,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단계 S702)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단계 S701에서 취득한 수가 0이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0이 아니면 단계 S703으로 가고, 0이면 단계 S610으로 간다.
(단계 S703)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데이터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및 단계 S701에서 취득한 수를 이용하여 링크정보를 구성한다. 링크정보는, 예를 들면(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단계 S701에서 취득한 수)이다.
(단계 S704)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단계 S703에서 구성한 링크정보를 미도시한 기억매체에 축적한다. 상기 기억매체는 비휘발성의 기억매체이어도 좋고, 휘발성의 기억매체이어도 좋다.
이하, 단계 S505의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에 대해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해석 대상이 되 는 관계 네트워크(상기의 일부그래프)에 있어서, 주목하는 기점 노드를 Vm이라 한다(도 3 참조). 주목하는 기점 노드 Vm은 전술한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이다. 그리고, 기점 노드 Vm은 대상물 식별자의 그룹을 추출할 때의 베이스가 되는 대상물 식별자(네트워크의 노드)이다. 여기에서, 노드 Vm을 중심으로 추출된 그룹의 노드 집합을 C라고 한다. 또한, C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C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인접하는 노드 집합을 U라고 한다. 또한, U와 인접하는 C의 노드 집합을 B라고 한다.
(단계 S801)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버퍼 C에 저장하고, B의 인접 행렬(β)의 초기값을 얻고, 상기 초기값을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단계 S802)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상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식별자를 링크정보로부터 리딩하고 버퍼 U에 저장한다.
(단계 S803)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버퍼 C 내부의 대상물 식별자의 수가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역치는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역치 이하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역치보다 작은지 아닌지의 판단」이어도 좋다. 역치 이하이면 단계 S804로 가고, 역치 이하가 아니면 상위 처리로 리턴한다.
(단계 S804)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카운터 j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805)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버퍼 U 내부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면 단계 S806으로 가고,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809로 간다.
(단계 S806)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아래의 수식 3을 실행하고, △Rj를 얻어서,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수식 3]
Figure 112009007024039-PAT00002
또한, 상기 수식 3에 있어서 x, y, z는 다음과 같다. 즉, 「x」는 Vj의 B로의 모든 링크 웨이트의 총합이다. 또한, 「y」는 Vj가 C에 선택된 경우 T에 더해지는 링크 웨이트의 총합이다. 「z」는 Vj가 C에 선택된 경우 T로부터 감해지는 링크 웨이트의 총합이다. 또한, 수식 3은 수식 1과 개념적으로 같은 식이며, 적은 계산량으로 해결되는 간이화 된 식이다.
(단계 S807)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카운터 j를 1 증분한다. 단계 S805로 되돌아간다.
(단계 S808)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Rj가 최대가 되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단계 S809)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단계 S808에서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를 버퍼 C에 추기한다(추가하여 기입한다).
(단계 S810)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단계 S808에서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단계 S811)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신규의 인접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버퍼 U에 추기한다(추가하여 기입한다).
(단계 S812)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R과 B를 갱신한다. 단계 S80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B의 갱신에 의해 β는 갱신된다.
또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가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의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단말장치(1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장치(12)의 입력접수부(121)는 유저로부터 조작정보나 대상물 식별자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입력접수부(121)는 유저로부터 어떤 상품의 구입 지시를 포함하는 조작정보(예를 들면, 「유저 A, 상품 1」)를 접수한다. 또한, 유저 A가 상품을 구입하고자 어떤 상품 2의 상품 정보를 열람하는 것에 의해, 입력접수부(121)는 대상물 식별자 「상품 2」를 접수한다.
다음에 정보송신부(122)는 입력접수부(121)가 접수한 조작정보나 대상물 식 별자 등의 정보를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한다.
다음에 정보수신부(123)는 정보처리장치(11)나 그 밖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는, 예를 들면 상기 대상물 식별자 「상품 2」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대상물 식별자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이다. 이와 같은 대상물 정보는 유저 A에 리커맨드되는 상품 등의 정보이다. 그리고, 정보출력부(124)는 정보수신부(123)가 수신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처리시스템(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처리시스템의 개념도는 도 1이다.
지금, 미도시한 서버장치 또는 정보처리장치(11)는 도 9에 나타낸 대상물 관리표를 유지하고 있다. 서버장치가 대상물 관리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 서버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대상물 관리표는 대상물을 관리하는 표이다. 여기에서, 대상물은 상품, 특히 의복이나 신발 등, 몸에 걸치는 물품이다. 대상물 관리표는 전자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인 대상물 레코드를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는 표이다. 대상물 관리표는 「ID」「대상물 식별자」「대상물」을 갖는다. 「ID」는 표의 레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표의 관리를 위해 존재한다. 「대상물 식별자」는 대상물을 식별하는 정보이며, 여기에서는 대상물 ID이다. 그러나, 「대상물 식별자」는 상품의 명칭 등이어도 좋고, 후술할 대상물 속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생각해도 좋다. 「대상물」은 대상물의 하나 이상의 속성값이 저장된다. 속성값은 「상품명」「상품종」「사이즈」등이다. 「상품종」은 상품의 종류를 나타낸다.
단말장치(12)의 유저 A는 대상물 관리표를 유지하고 있는 장치(이하, 이 장치를 정보처리장치(11)라고 함)에 액세스하고, 또한 전자상거래를 하는 사이트(D사의 E-shopping 사이트)에 로그인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2)는, 예를 들면 전자상거래를 하는 웹사이트를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웹사이트를 해석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웹사이트를 표시하는 처리는 소위 웹 브라우저의 처리이고,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자상거래를 하는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유저 A는 유저 식별자 「A」를 입력한다.
다음에, 유저는 도 10의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상품(예를 들면, 대상물 식별자 「1」의 상품)을 장바구니에 넣어(「장바구니에 넣는다」버튼을 누름) 구입하기 위한 동작(예를 들면, 미도시된 구입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행한다. 이렇게 하면, 입력접수부(121)는 유저 식별자 「A」와 대상물 식별자 「1」을 접수한다. 그리고, 정보송신부(122)는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인 정보를 구성하고,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은 전술한 조작정보의 일례이고, 유저 A가 대상물 식별자 「1」로 식별되는 상품을 구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처리장치(11)의 조작정보 접수부(112)는 조작정보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을 수신한다. 그리고,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수신한 시간을 미도시된 시계로부터 취득하고, 「유저 식별자, 대상물 식별자, 시간정보」의 구조를 갖는 조작정보로 변경한다. 그리고,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변경한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또한, 유저 A 이외의 유저인, 유저 B나 유저 C 등도 전술한 바와 같은 상품의 구입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1)의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상기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그리고,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도 11에 나타낸 조작정보 관리표가 축적된다. 조작정보 관리표는, 여기에서는 과거의 상품 등의 구입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인 조작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여기에서, 조작정보는 유저가 상품 등을 구입하는 행동을 발생시킨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유저 식별자, 대상물 식별자 및 시기정보를 갖는다. 조작정보 관리표는 「ID」「조작정보」를 갖는 레코드를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다. 「조작정보」는 「유저 식별자」「대상물 식별자」「시기정보」를 갖는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조작정보 관리표에 의해, 각 유저(예를 들면, 유저 A 내지 유저 F)는 도 12에 나타낸 동그라미 표시가 부여된 상품(예를 들면, 상품 1 내지 상품 10 중 어느 하나)을 구입한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도 12의 정보로부터 이하의 링크정보 생성처리를 한다. 즉, 도 6, 도 7의 플로우차트의 동작에 따라,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1번째의 유저 식별자 「A」를 취득한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1번째의 유저 식별자 「A」를 포함하는 모든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리딩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A, 1) (A, 4) (A, 8)」을 얻는다. 또한, 본 조작정보에서는 시간정보를 제외하고 있다.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A, 1) (A, 4) (A, 8)」로부터 대상물 식별자 「1」「4」「8」을 취출하고,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모든 조합인 「(1, 4) (1, 8) (4, 8)」을 얻는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 「(1, 4) (1, 8) (4, 8)」을 버퍼에 기입한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2번째의 유저 식별자 「B」를 취득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2번째의 유저 식별자를 포함하는 모든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리딩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B, 1) (B, 3) (B, 5) (B, 9)」를 얻는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조작정보 「(B, 1) (B, 3) (B, 5) (B, 9)」로부터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 「(1, 3) (1, 5) (1, 9) (3, 5) (3, 9) (5, 9)」를 얻는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 「(1, 3) (1, 5) (1, 9) (3, 5) (3, 9) (5, 9)」를 버퍼에 추기한다(추가하여 기입한다).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이와 같은 처리를 3번째 이후의 유저 식별자 「C」「D」「E」「F」에 대하여도 실행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도 13에 나타낸 데이터군을 얻는다. 도 13의 데이터군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구조를 갖는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동일한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집약해서, 도 14의 링크정보군을 얻는다. 여기에서, 링크정보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수)이다. 이러한 「수」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의 수이고,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와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링크강도이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도 14의 링크정보군을 기억매체에 축적한다. 상기 기억매체는 휘발성의 기억매체이어도 좋고, 비휘발성의 기억매체이어도 좋다.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도 13의 데이터군을 취득하고, 이후에 도 14의 링크정보군을 취득하는 처리는 도 15의 이부그래프로부터 도 16의 일부그래프를 생성하는 처리이다. 도 15의 이부그래프는 유저 식별자와 대상물 식별자를 노드로 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의 일부그래프는 대상물 식별자를 노드로 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의 일부그래프는 도 15의 이부그래프로부터 동일한 유저 식별자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끼리를 유저 식별자를 소거하는 형태로 링크 접속하여, 작성된 그래프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 A는 단말장치(12)를 이용하여 D사의 웹사이트를 액세스하고, 예를 들면 상품 7을 장바구니에 넣는다(「장바구니에 넣는다」 버튼을 누름). 이렇게 하면, 입력접수부(121)는 상품 7을 장바구니에 넣은 취지의 정보를 접수한다. 그리고, 정보송신부(122)는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7」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정보처리장치(11)에 송신한다.
다음에,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대상물 식별자 「7」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아래와 같이 그룹내의 대상물 식별자군을 취득한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예를 들면 전술한 제3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상물 식별자 「7」부터 링크강도가 「2」이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는 노드(대상물 식별자)를 전부 취득한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5」「9」「10」을 얻는다. 다음에, 대상물 식별자 「5」 또는 「9」 또는 「10」과, 「2」이상의 링크강도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 「3」을 취득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3」「5」「9」「10」을 취득하고,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도 17은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7」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대상물 식별자군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3」「5」「9」「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취득한다. 먼저,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3」「5」「9」「10」 중에서, 유저 A가 구입하고 있는 대상물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유저 식별자 「A」를 키로 해서, 도 11의 조작정보 관리표를 검색하고,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를 대상물 식별자 「3」「5」「9」「10」으로부터 제외하는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 제외되는 대상물 식별자는 존재하지 않고,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3」「5」「9」「10」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3」「5」「9」「10」의 각 식별자를 키로 해서, 대상물 정보(예를 들면, 「상품명」「가격」「화상」등)를 도 9의 대상물 관리표로부터 리딩한다.
다음에,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리딩한 대상물 정보(대상물 식별자 「3」「5」「9」「10」에 대응하는 「상품명」 「가격」 「화상」등)를 단말장치(12)에 송신한다.
다음에, 단말장치(12)의 정보수신부(123)는 대상물 정보(대상물 식별자 「3 」「5」「9」「10」에 대응하는 「상품명」「가격」「화상」등)을 수신한다. 다음에, 정보출력부(124)는 수신된 대상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또한, 이러한 대상물 정보는 유저 A에게 리커맨드하는 상품의 정보이다. 또한, 대상물 정보는 유저 A가 장바구니에 넣은 상품 7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상품군의 정보이다. 또한, 대상물 정보의 출력 양태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精度)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렌디피티가 풍부한 상품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세렌디피티(serendipity)는 본래 무엇인가를 찾고 있을 때에 찾고 있는 것과는 다른 값진 것을 찾아내는 능력·재능을 가리키는 말이며, 차세대 리커맨데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품 등의 리커맨드 방법으로서,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상품 등의 리커맨드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가 장바구니에 상품을 넣은 것을 트리거로 해서, 상품 등의 리커맨드를 행했다. 그러나, 유저가 상품 등을 구입한 것을 트리거로 해서 또는 유저가 상품 등에 포커스를 이동한 것을 트리거로 해서, 상품 등의 리커맨드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유저 식별자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끼리를 유저 식별자를 소거하는 형태로 링크 접속하여, 그래프(그래프를 구성하는 정보)를 작성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로부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고, 출력했다. 그러나, 동 일한 대상물 식별자끼리로 연결되어 있는 유저 식별자끼리를 링크 접속한, 유저 식별자를 노드로 하는 그래프도 작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 정보처리장치(11)는 조작정보 저장부(111),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유저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유저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유저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유저 식별자를 접수하는 유저 식별자 접수부,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유저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유저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유저 식별자 취득부, 상기 그룹내 유저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유저 식별자 또는 상기 유저 식별자로 식별되는 유저에 관한 정보인 유저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유저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러한 정보처리장치는 유저 식별자를 노드로 하는 그래프에 의해, 「유저 베이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등에 의해 배포해도 좋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해서 유포해도 좋다. 또한, 이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해당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처리장치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기록매체)은 컴퓨터를,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조작정보를 2 이상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낸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는 단말장치로부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는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상기 조작정보를 접수하는 조작정보 접수부 및 상기 조작정보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정보를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에 축적하는 조작정보 축적부로서, 더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이 적절하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2 이상 유저의 2 이상의 대상물(상품, 컨텐츠, 서비스 등)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고, 상기 조작으로부터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링크 관계의 정보로부터 하나의 대상물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대상물을 취득하고, 출력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조작은 유저의 정보 입력이다. 유저가 입력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대상물의 인상(印象)을 나타내는 컬러나 키워드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처리시스템(2)의 개념도는 도 1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시스템(2)의 블럭도이다. 정보처리시스템(2)은 정보처리장치(21) 및 단말장치(12)를 포함한다.
정보처리장치(21)는 조작정보 저장부(111), 조작정보 접수부(112), 조작정보 축적부(113), 링크정보 생성부(214),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 및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를 포함한다.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링크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링크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링크정보는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조작정보는 대상물 식별자와 유저가 입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작정보는 유저 식별자를 포함해도 좋다. 입력정보는, 예를 들면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대한 유저의 인상을 나타내는 컬러의 정보이다. 또한, 입력정보는, 예를 들면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대한 유저의 인상을 나타내는 키워드이다. 또한, 「입력정보를 경유해서」라는 것은, 예를 들면 「동일한 입력정보」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취득하는 것, 「유사한 입력정보」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취득하는 것, 「표현의 변동을 허용하는 동일한 입력정보」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취득하는 것 등이다. 「유사한 입력정보」는, 예를 들면 「좋다」「멋있다」등이며, 이러한 판단을 위해 유사한 정보군이 관리되어 있다. 「유사한 입력정보」는, 예를 들면 「빨강」「핑크」「노랑」등의 난색(warm color)계의 컬러의 정보군이다. 또한, 「유사한 입력정보」는, 예를 들면 긍정적인 입력정보(「좋다」「좋아한다」등)는 전부 유사로 하고, 또한 부정적인 입력정보(「안된다」「싫어하다」등)는 전부 유사로 해도 된다. 또한, 「표현의 변동을 허용하는 동일한 입력정보」는, 예를 들면 「멋있다」와 「멋지다」이며, 「표현이 변동된 동일한 입력정보」가 관리되어 있다. 또한, 「입력정보를 경유해서」는, 예를 들면 「동일의 입력정보」와 쌍으로 이루어진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 중,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전부 취득하는 것이다.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통상적으로 MPU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실현될 수 있다. 링크정보 생성부(214)의 처리 순서는,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좋다.
이하, 정보처리시스템(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처리시스템(2)의 동작은 정보처리시스템(1)의 동작과 비교해 볼 때 링크정보의 생성처리가 다르다. 따라서, 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링크정보 생성부(214)가 하는 링크정보 생성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외의 정보처리시스템(2)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도 6의 플로우차트와 같은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901)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입력정보를 키로 해서 조작정보를 소팅(sorting)한다. 여기에서, 소팅은 동일한 입력정보를 갖는 조작정보가 분리되지 않고 모여지면 바람직한 취지이다.
(단계 S1902)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1903)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i번째의 입력정보가 단계 S1901에서 소팅한 조작정보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i번째의 입력정보가 존재하면 단계 S603으로 가고, i번째의 입력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613으로 간다. 또한, i번째의 입력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때에는 이미 처리한 입력정보와 동일한 입력정보는 고려하지 않는다. 즉, i번째의 입력정보는 i번째 종류의 입력정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처리시스템의 개념도는 도 1이다.
제1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와 마찬가지로, 지금 미도시된 서버장치 또는 정보처리장치(11)는 도 20에 나타낸 대상물 관리표를 유지하고 있다. 서버장치가 대상물 관리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 서버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대상물 관리표는 음악의 정보를 관리하는 표이며, 「ID」「대상물 식별자」「대상물」을 갖는다. 「ID」는 표의 레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표를 관리하기 위해 존재한다. 「대상물 식별자」는 대상물을 식별하는 정보이며, 여기에서는 대 상물 ID이다. 그러나, 「대상물 식별자」는 곡명 등이어도 좋다. 「대상물」은 「곡명」「장르」「재킷(화상)」등을 갖는다. 「곡명」은 곡의 명칭을 나타낸다. 「장르」는 곡의 장르를 나타낸다. 「재킷(화상)」은 음악 재킷의 화상 데이터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2)의 유저 A는 대상물 관리표를 유지하고 있는 장치(이하, 이 장치를 정보처리장치(11)라 함)에 액세스하고, 또한 음악의 다운로드 판매를 하는 사이트(「사이트 X」라 함)에 로그인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2)는, 예를 들면 사이트 X를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웹사이트를 해석하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유저 A는 유저 식별자 「A」를 입력한다.
다음에, 유저는, 도 21의 화면을 보면서, 다운로드하고 싶은 음악(예를 들면, 대상물 식별자 「1」의 음악)을 선택한다(포커스를 이동하고, 다운로드 버튼을 누름). 이렇게 하면, 입력접수부(121)는 유저 식별자 「A」와 대상물 식별자 「1」을 접수한다. 그리고, 정보송신부(122)는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이라는 정보를 구성하고, 정보처리장치(21)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은 유저 A가 대상물 식별자 「1」로 식별되는 음악을 다운로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21)는 정보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을 접수하고, 대상물 식별자 「1」로 식별되는 음악을 단말장치(12)에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2)는 대상물 식별자 「1」로 식별되는 음악을 수신하고, 출력한다.
그리고, 유저 A는 대상물 식별자 「1」로 식별되는 음악을 듣고, 그 인상을 나타내는 키워드 「경쾌하다」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한다. 그리고, 유저 A는 「송신」버튼을 누른다. 또한, 단말장치(12)에 있어서, 음악이 출력된 후에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워드 입력을 위한 윈도우가 표시된다.
이렇게 하면, 단말장치(12)의 입력접수부(121)는 대상물 식별자 「1」과 키워드 「경쾌하다」를 접수한다. 그리고, 정보송신부(122)는 조작정보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 키워드: 경쾌하다」를 정보처리장치(21)에 송신한다.
다음에, 정보처리장치(21)의 조작정보 접수부(112)는 조작정보 「유저 식별자: A, 대상물 식별자: 1, 키워드: 경쾌하다」를 수신한다. 그리고,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수신된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유저 A 이외의 유저인 유저 B나 유저 C 등도, 전술한 바와 같은 음악의 다운로드, 키워드의 입력을 행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21)의 조작정보 축적부(113)는 상기 처리와 같은 처리를 하고,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낸 조작정보 관리표가 조작정보 저장부(111)에 축적된다. 조작정보 관리표는, 여기에서는 유저가 음악을 듣고, 부여한 키워드에 관한 정보인 조작정보를 저장한다. 조작정보 관리표는 「ID」「조작정보」를 갖는 레코드를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다. 「조작정보」는 「유저 식별자」「대상물 식별자」「키워드」를 갖는다. 또한, 키워드는 입력정보의 일종이다.
또한, 도 23의 조작정보 관리표 중, 대상물 식별자와 키워드를 노드로 하는 네트워크를, 예를 들면 도 24로 한다. 도 2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5의 이부그래프의 유저 식별자를 유저가 입력한 키워드로 변경한 것이다. 즉, 어떤 대상물 (예를 들면, 음악, 상품 등)에 대해서, 유저가 같은 행동(예를 들면, 다운로드, 구입, 즐겨찾기에 넣기 등)을 일으키더라도 유저의 대상물에 대한 인상, 감정은 각각 다르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저의 인상, 감정을 나타내는 키워드(전술한 컬러 등이어도 좋음)를 이용하여 이부그래프를 구성하고, 후술할 처리를 하고, 대상물 식별자를 그룹화하는 것은 진짜로 관련되는 대상물을 그룹화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품 등을 리커맨드할 경우에 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도 23의 정보로부터 이하의 링크정보 생성처리를 한다. 즉, 도 19의 플로우차트의 동작에 따라,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입력정보를 키로 해서, 도 23의 조작정보 관리표의 레코드를 소팅한다. 여기에서의 소팅은 동일한 입력정보를 갖는 레코드를 모으는 처리이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1번째의 입력정보 「경쾌하다」를 취득한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1번째의 입력정보 「경쾌하다」를 포함하는 모든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리딩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조작정보 「(1, 경쾌하다) (4, 경쾌하다) (5, 경쾌하다) (6, 경쾌하다)」를 얻는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조작정보 「(1, 경쾌하다) (4, 경쾌하다) (5, 경쾌하다) (6, 경쾌하다)」로부터,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모든 조합 「(1, 4) (1, 5) (1, 6) (4, 5) (4, 6) (5, 6)」을 얻는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114)는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 「(1, 4) (1, 5) (1, 6) (4, 5) (4, 6) (5, 6)」을 버퍼에 기입한다. 또한, 상기 레코드를 소팅하는 처리가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2번째의 입력정보 「리드미컬(rhythmical) 」을 취득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2번째의 입력정보 「리드미컬」을 포함하는 모든 조작정보를 조작정보 저장부(111)로부터 리딩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조작정보 「(2, 리드미컬) (7, 리드미컬)」을 얻는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조작정보 「(2, 리드미컬) (7, 리드미컬)」로부터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 「(2, 7)」을 얻는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2개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 「(2, 7)」을 버퍼에 추기한다(추가로 기입한다).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이러한 처리를 3번째 이후의 입력정보 「무사」「자연」「바다」「스타(star)」에 대해서도 실행한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도 25에 나타낸 데이터군을 얻는다. 도 25의 데이터군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구조를 갖는다.
다음에,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도 25의 데이터군을 이용하여 동일한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를 집약해서, 도 26의 링크정보군을 얻는다. 여기에서의 링크정보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수)이다. 상기 「수」는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세트의 수이며, 「j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와 「k번째의 대상물 식별자」의 링크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도 26의 링크정보군을 기억매체에 축적한다. 상기 기억매체는 휘발성의 기억매체이어도 좋고, 비휘발성의 기억매체이어도 좋다.
링크정보 생성부(214)가 도 25의 데이터군을 취득하고, 이후에 도 26의 링크 정보군을 취득하는 처리는 도 24의 이부그래프로부터 도 27의 일부그래프를 생성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 C는 단말장치(12)를 이용하여 사이트 X에 액세스하고, 예를 들면 음악 「ZCZ」에 대하여 「즐겨찾기」에 넣기 위한 조작을 한다. 이렇게 하면, 입력접수부(121)는 음악 「ZCZ」를 「즐겨찾기」에 넣은 취지의 정보를 접수한다. 그리고, 정보송신부(122)는 「유저 식별자: C, 대상물 식별자: 3」의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를 정보처리장치(21)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송신부(122)는 음악 「ZCZ」에 대응하는 대상물 식별자가 「3」인 것을 도 21의 웹사이트의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다음에,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115)는 대상물 식별자 「3」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아래와 같이 그룹내의 대상물 식별자군을 취득한다. 즉,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제5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상물 식별자 「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8」「9」를 얻는다. 다음에, 대상물 식별자 「8」 또는 「9」와, 「2」이상의 링크강도로 연결되어 있는 대상물 식별자 「1」을 취득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116)는 대상물 식별자 「1」「8」「9」를 취득하고,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또한, 여기에서, 제5알고리즘에 있어서의 역치는 「2」이다.
다음에,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1」「8」「9」 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취득한다. 먼저,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1」「8」「9」 중에서, 유저 C가 다운로드하고 키워드를 입력하고 있는 대상물의 대상물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유저 식별자 「C」를 키로 해서, 도 11의 조작정보 관리표를 검색하고,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를 대상물 식별자 「1」「8」「9」로부터 제외하는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 제외되는 대상물 식별자는 「9」이며 (도 23의 「ID=10」의 레코드 참조),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최종적으로 대상물 식별자 「1」「8」을 취득하고, 메모리 상에 배치한다.
다음에,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대상물 식별자 「1」「8」의 각 식별자를 키로 해서, 대상물 정보(예를 들면, 「곡명」 「재킷」등)를 도 20의 대상물 관리표로부터 리딩한다.
다음에,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117)는 리딩한 대상물 정보(대상물 식별자 「1」「8」에 대응하는 「곡명」「재킷」등)을 단말장치(12)에 송신한다.
다음에, 단말장치(12)의 정보수신부(123)는 대상물 정보(대상물 식별자 「1」「8」에 대응하는 「곡명」「재킷」등)을 수신한다. 다음에, 정보출력부(124)는 수신된 대상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또한, 이러한 대상물 정보는 유저 C에게 리커맨드하는 음악의 정보이다. 또한, 대상물 정보는 유저 C가 다운로드한 음악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음악의 정보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세렌디피티가 풍부한 상품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음악, 영화 또는 회화 등과 같은 감성적인 대상물의 검색에 특히 유효하다. 즉, 어떤 대상물(예를 들면, 음악, 상품 등)에 대하여, 유저가 같은 행동(예를 들면, 다운로드, 구입, 즐겨찾기에 넣기 등)을 일으키더라도, 유저의 대상물에 대한 인상, 감정은 각각 다르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저가 입력한 입력정보(인상, 감정을 나타내는 키워드나 컬러 등)를 이용하여 대상물 식별자를 그룹화함으로써, 진짜로 관련되는 대상물을 그룹화할 수 있고, 보다 세렌디피티가 풍부한 상품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대상물 식별자를 그룹화하는 것은 여러 유저의 감성을 연결하면서 서로 관련되는 대상물을 그룹화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유저 체험(음악이라면 음악 체험 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정보생성의 알고리즘은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동일한 입력정보」와 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 식별자 사이를 링크시킨다. 그러나,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동일한 유저가 어떠한 입력정보(입력정보의 내용은 고려하지 않음)를 부여한 대상물의 대상물 식별자 사이를 링크시켜도 좋다. 또한, 링크정보 생성부(214)는, 동일한 유저가 동일한 입력정보를 부여한 대상물의 대상물 식별자의 사이를 링크시켜도 좋다. 즉, 유저가 대상물에 대하여 입력한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 사이에 링크를 부여하면 좋 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대상물(예를 들면, 음악)에 대하여, 자신의 인상, 감정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자유롭게 입력했다. 그러나, 유저는 미리 결정된 키워드 중에서, 자기의 인상, 감정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유저는 미리 결정된 컬러 중에서, 대상물에 상응하는 컬러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처리장치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기록매체)은 컴퓨터를,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조작정보를 2 이상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대상물 식별자와 유저가 입 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를,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는 단말장치로부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는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상기 조작정보를 접수하는 조작정보 접수부 및 상기 조작정보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정보를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에 축적하는 조작정보 축적부로서, 더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이 적절하다.
또한, 도 28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 등을 실현하는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28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340)의 개관도이며, 도 29는 컴퓨터 시스템(340)의 블럭도이다.
도 28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340)은 FD(Flexible Disk) 드라이브,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컴퓨터(341), 키보 드(342), 마우스(343), 모니터(344)를 포함한다.
도 29에 있어서, 컴퓨터(341)는, FD 드라이브(3411), CD-ROM 드라이브(3412)에 부가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3413), CD-ROM 드라이브(3412) 및 FD 드라이브(3411)에 접속된 버스(3414), 부팅 프로그램(boot up program)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ROM(Read-Only Memory)(3415), CPU(3413)에 접속되고 응용 프로그램의 명령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동시에 일시적 기억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3416),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3417)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컴퓨터(341)는 LAN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컴퓨터 시스템(340)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 등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CD-ROM(3501) 또는 FD(3502)에 기억되어서, CD-ROM 드라이브(3412) 또는 FD 드라이브(3411)에 삽입되고, 게다가 하드 디스크(3417)에 전송되어도 좋다. 이 대신에, 프로그램은 미도시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341)에 송신되고, 하드 디스크(3417)에 기억되어도 좋다. 프로그램은 실행시에 RAM(3416)에 로딩된다. 프로그램은 CD-ROM(3501), FD(3502)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로딩되어도 좋다.
프로그램은, 컴퓨터(341)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 등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또는 서드파티(third party) 프로그램 등은 반드시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프로그램은 제어된 양태로 적절한 기능(모듈)을 호출하 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의 부분만을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컴퓨터 시스템(340)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알려져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등에서는 하드웨어에 의해 행하여지는 처리, 예를 들면 송신 단계에 있어서의 모뎀이나 인터페이스 카드 등으로 행하여지는 처리(하드웨어로만 행하여지지 않는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단수이어도 되고, 복수이어도 된다. 즉, 집중 처리를 행해도 좋고, 혹은 분산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에 존재하는 2 이상의 통신수단(정보송신부, 정보수신부 등)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매체로 실현되어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처리(각각의 기능)는 단일의 장치(시스템)에 의해 집중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고, 혹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산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시스템은 상품 등의 리커맨데이션 정도 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고, 정보처리시스템 등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처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처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해석 대상을 이루는 관계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호중요도 가미 링크강도의 산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 구성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대상물 관리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웹사이트의 화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정보 관리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정보 관리표로부터 취득될 수 있 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부가 취득한 데이터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이부그래프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일부그래프의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대상물 식별자군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정보처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처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대상물 관리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웹사이트의 화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정보의 입력 화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정보 관리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이부그래프의 개념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부가 취득한 데이터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정보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일부그래프의 개념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시스템의 개관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정보처리시스템 11, 21: 정보처리장치
12: 단말장치 111: 조작정보 저장부
112: 조작정보 접수부 113: 조작정보 축적부
114, 214: 링크정보 생성부 115: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116: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117: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
121: 입력접수부 122: 정보송신부
123: 정보수신부 124: 정보출력부

Claims (10)

  1.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조작정보를 2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조작정보 저장부;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로부터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및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대상물 식별자와 유저가 입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포함하 고;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는,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의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대한 유저의 인상을 나타내는 컬러의 정보인
    정보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대한 유저의 인상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정보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는 단말장치로부터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는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를 접수하는 조작정보 접수부; 및
    상기 조작정보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정보를 상기 조작정보 저장부에 축적하는 조작정보 축적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7. 링크정보 생성부,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및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정보처리방법으로서,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에 의해,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조작정보를 2 이상 리딩하고, 상 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단계;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에 의해,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단계;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에 의해, 상기 링크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단계에서 접수할 수 있는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단계; 및
    상기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에 의해,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대상물 식별자와 유저가 입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정보 생성단계에 있어서,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방법.
  9. 컴퓨터를,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자와 상기 유저가 조작한 대상물을 식별하는 대상물 식별자를 갖는 조작정보를 2 이상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유저 식별자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부,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를 접수하는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 식별자 접수부가 접수한 하나의 대상물 식별자와 소정 이상의 관련 정도의 강도를 갖는 대상물 식별자를 취득하는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 및
    상기 그룹내 대상물 식별자 취득부가 취득한 대상물 식별자 또는 상기 대상물 식별자로 식별되는 대상물에 관한 정보인 대상물 정보를 출력하는 그룹내 대상물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대상물 식별자와 유저가 입력한 정보인 입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정보 생성부를,
    2 이상의 조작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2 이상의 각 조작정보가 갖는 입력정보를 경유해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대상물 식별자를 검출하고,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2 이상의 대상물 간의 링크강도를 갖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090009020A 2008-02-12 2009-02-04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090087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9997 2008-02-12
JP2008029997A JP5357432B2 (ja) 2008-02-12 2008-02-12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413A true KR20090087413A (ko) 2009-08-17

Family

ID=4056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020A KR20090087413A (ko) 2008-02-12 2009-02-04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90716B2 (ko)
EP (1) EP2091018A1 (ko)
JP (1) JP5357432B2 (ko)
KR (1) KR20090087413A (ko)
CN (1) CN101510202A (ko)
CA (1) CA2653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9625B2 (en) * 2010-11-29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query suggestions with time-location awareness
US8725681B1 (en) * 2011-04-23 2014-05-13 Infoblox Inc. Synthesized identifiers for system information database
JP5297501B2 (ja) * 2011-05-26 2013-09-25 ヤフー株式会社 情報作成装置、情報作成方法、レコメンド装置、レコメンド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18534B2 (en) * 2011-08-22 2014-05-06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clustering of student assessment data
JP5696113B2 (ja) * 2012-09-25 2015-04-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推薦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77329B (zh) * 2013-03-29 2018-04-03 西门子公司 一种信息推荐方法和系统
US9672557B2 (en) * 2013-10-11 2017-06-0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parallel search on bipartite graphs using dynamic vertex-to-processor mapping
US9529887B2 (en) * 2013-12-10 2016-12-2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Efficient detection of information of interest using greedy-mode-based graph clustering
US9871862B2 (en) 2014-06-30 2018-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object identifiers based on user groups
KR101520357B1 (ko) * 2014-09-30 2015-05-15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감성 qr 코드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6120467B1 (ja) * 2016-06-24 2017-04-26 サイジニア株式会社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269117B (zh) * 2017-01-03 2021-10-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的推送、确定方法及装置、计算机终端
DE102018100895A1 (de) * 2018-01-16 2019-07-18 Zoe Life Technologies Holding AG Währungseinheiten für Wissen
WO2020046331A1 (en) * 2018-08-30 2020-03-05 Google Llc Percentile linkage cluster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292A (ja) 2000-08-03 2002-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販売促進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20198882A1 (en) * 2001-03-29 2002-12-26 Linden Gregory D. Content personalization based on actions performed during a current browsing session
JP2004127075A (ja) * 2002-10-04 2004-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製品陳列方法、関連製品管理・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57835A (ja) * 2002-11-07 2004-06-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広告群順序付け方法、広告掲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87835A (ja) * 2003-03-20 2004-10-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オブジェクト表作成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推薦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表作成プログラム及びオブジェクト推薦方法
JP2004362011A (ja) 2003-06-02 2004-1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利用者特徴抽出システム、情報レコメンドシステム、情報レコメンド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92721A (ja) 2003-09-19 2005-04-07 Seiko Epson Corp マーケット情報分析装置、マーケット情報分析システム、マーケット情報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93384A (ja) 2004-04-02 2005-10-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レコメンドシステムと方法、及びコンテンツレコメンドプログラム
US8676654B2 (en) * 2006-02-07 2014-03-18 Ebiz Indust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purchase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04634A1 (en) 2009-08-13
JP5357432B2 (ja) 2013-12-04
US8090716B2 (en) 2012-01-03
CA2653381A1 (en) 2009-08-12
JP2009193098A (ja) 2009-08-27
EP2091018A1 (en) 2009-08-19
CN101510202A (zh)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413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JP52716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636416B (zh) 內容個人化之多相排序方法和系統
US7542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images with recognition analysis
US8117228B2 (en) Head-to-head comparisons
US10282752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ap system user interface and digital content
US20090208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images with recognition analysis
US200600415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user ratings from user behavior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US20080215453A1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2822815A (zh) 用于利用浏览器历史进行动作建议的方法和系统
KR20140026932A (ko) 사용자 성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059256B (zh) 用于展示信息的系统、方法及装置
US20150310529A1 (en) Web-behavior-augmented recommendations
Yen et al. Personalization of information access for electronic catalogs on the web
Sharma et al. Designing Recommendation or Suggestion Systems: looking to the future
CN113469786A (zh) 物品推荐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339429B (zh) 一种资讯推荐方法
CN115358807A (zh) 物品的推荐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460300B (zh) 网络内容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07041647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images with recognition analysis
JP200215014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345940A (ja) Web分析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並びにWeb分析データ出力方法
Wang E-book recommender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data mining
KR20230030323A (ko) 패션 취향 정보 생성 방법 및 패션 취향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20120988A (ko) 팬덤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