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402A -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402A
KR20090087402A KR1020080109029A KR20080109029A KR20090087402A KR 20090087402 A KR20090087402 A KR 20090087402A KR 1020080109029 A KR1020080109029 A KR 1020080109029A KR 20080109029 A KR20080109029 A KR 20080109029A KR 20090087402 A KR20090087402 A KR 2009008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notation
consonants
syllable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201B1 (ko
Inventor
유완선
장영현
Original Assignee
유완선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넷플라이주식회사
김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완선,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넷플라이주식회사, 김영순 filed Critical 유완선
Priority to PCT/KR2009/0043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53248A2/ko
Priority to CN2009801438735A priority patent/CN102439648A/zh
Publication of KR2009008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국어한자의 성조발음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새로운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① 중국어 단모음의 표기는 1음절, 중국어 복모음은 2음절로, 그러나 중국원어민의 발성방식과 음가를 최대한도로 반영하기 위하여 부득이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3음절로, 각기 표기하도록 통일하였고, 또한 ② 한국어에서만 표준으로 존재하는 예사소리(평음)와 된소리(경음)의 구분을 성조 발성방식에도 적용하여, 중국어를 예사소리(평음)로 발성되는 성조군과 된소리(경음)로 발성되는 성조군으로 구분하였으며, 그리고 ③ 낮은 음으로 시작하여 장음으로만 존재하는 2성이나 3성과 같은 중국어 성조의 경우, 별도의 장음표기를 첫 글자(음절)에 부가하여, 그렇기 않은 성조와 구별이 되도록 한 것들이 특징이다.
그 결과, 학습자는 본 발명의 중국어 발음교육전용 한글표기 결과물을 읽을 때, 첫 음절에 예사소리 또는 된소리의 존재여부와 별도의 장음표기 존재여부를 함께 판단하게 되어, 자연히 4개 성조를 무의식적으로 즉각 구분하여 발성할 수가 있게 되고, 또한 쉽게 암기 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80109029
중국어 교육, 중국어 성조 발음표기 방법, 중국어의 한글표기, 중국어 발음표기 시스템

Description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A System Designed Exclusively for Learning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Method thereof Using Korean Hangeul Alphabet}
본 발명은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새로운 한글표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대한민국 교육부 한글표기법(1986년)과 같은 제한적인 단순 한글표기 목적에서 완전히 벗어나, 중국 보통어 특유의 성조 발성방식에 대한 발음표기에 가장 실용적이면서도 일관성이 있는 원칙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① 단모음은 1글자(음절)로, 2중모음은 2글자(음절)로, 3중모음은 가능하면 축약하여 2글자(음절)로 표기하나,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음절로 표기하며, ② 현대 한글에서 사용되는 자모(홑자음 14자, 홑모음 10자, 복자음 16자, 복모음 11)와 옛한글에서 표준으로 제정하여 한때 사용되었던 6개의 겹자음( ㄴㄴ, ㄹㄹ, ㅁㅁ, ㅇㅇ, ㅌㅌ, ㅎㅎ)과 더불어, 새로이 필요하여 창조된 1개의 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2
)와 4개의 겹자음(ㅊㅊ, ㅋㅋ, ㅍㅍ,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3
)로 자음을 추가로 정의하고, 그리고 ③ 권설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음가가 없는 기호의 부가와, 낮은 음으로 시작하는 2성과 3성의 첫 음절에, 목젖의 움직임을 상징하는 별도의 장음표기 부가를 통하여, 중국 보통어 성조발음을 위한 교육특성에 맞는 일관성 있는 자모결합 방법과 그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훈민정음을 근간으로 중국어 발음표기 표준을 정하고자 하였던, 동국정운 (세종조시기에 발간)을 보게 되면, 현대 한글에서 사용되지 않는 옛한글 자모를 별도로 만들어 활용한 것 이외에, 방점 (·, : )을 글자(음절)의 좌측에 추가로 기재하여 한국어 발음의 성조를 표기하였다 (도3 참조). 그러나, 동국정운에서 제시된, 한자의 발음표기를 위한 결과물은 너무나 복잡하고 많은 복자음과 복모음의 구성을 제시하였고, 또한 중국어 성조에 1:1로 대응하여 표기하기에는 아직도 부족한 방점표기 체계로 인하여, 결국은 대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외면당하여, 초기에도 아주 미미하게 사용되다가 곧 사멸되고 말았다.
현대에 와서는, 중국어 한글표기법을 정하는 것에 관하여, 기존의 국어학계 학자들의 제안을 포함한 대한민국 교육부 표기법을 보게 되면, 중국어 성모와 운모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만을 정의 하였다. 이러한, 중국어한글 표기방식은 중국어 발음학습에 제일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는 성조발음 표기를 제외시켜, 중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한글 표기법으로 전용하여 사용되기에는 매우 불만족스러운 중국어한글표기법이 되었다.
또한, 중국의 한자발음 표기법은 서양의 영어 알파벳을 이용한 병음(pinyin)표기방식(도4 참조)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 비록 1918년부터 1958년 2월까지 사용되었던 주음부호 표기를 통한 발음학습보다는 병음표기가 효과적이라 할지라도, 성조발음 표기에 관한 한, 동국정운의 방점 사용과 같은 종류인, 4개의 기호를 매 글자(음절) 위쪽에 부가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성조의 종류를 별도로 표기하게 함으로서, 효율적인 암기학습에 장애가 되어왔다. 그리고 부수적으로는, 병음표기는 중국어 한문의 띄어쓰기와는 완전히 달라서, 병음으로 표기된 것만을 기준으로 읽게 되면 원래 문장 감을 살려서 읽어가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에 성조를 자동으로 인식하며 발성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중국어 발음학습과 효율적인 중국어한자의 암기를 돕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발성방식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보면 (도1, 2 참조), 음절발성방식에서 한국어 발음표기 표준은 장음(긴소리)을 인정하지 않고 모두 단음으로 기재하지만, 중국어발음에서는 장음을 널리 인정하여 실질적으로 2중모음과 3중모음을 포함하여 단모음이라 할 지라도 장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중국어 발성방식을 그대로 수용하여, 단모음이면 1음절로 표기하되 2성이나 3성과 같은 장(長)음성조의 경우는 단(短)음성조와 구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음표기를 부가하였고, 복모음 음절과 같은 장음은 반드시 2음절로,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 최적의 발성방법과 음가를 반영하기 위하여 예외적으로 3음절로 표기하되, 2성이나 3성과 같이 완전히 장음만 존재하는 성조의 경우에는 첫 음절에 별도의 장음표기 부가를, 상기 단모음이면서 장음의 경우와 동일한 표기방식으로, 하였다. 동국정운에서 사용된 2중모음 및 3중모음의 표기는 1개의 글자(음절)에 모두 표기하는 방식(도3 참조)으로서, 물 흐르는 듯한 시각진행에 방해가 되고, 또한 성조 표기가 방점표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는 다른 방법을 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지양하였다.
그리고, 자음발성 방식을 예사소리(평음)과 된소리(경음)의 2가지로 구분하여 보면(도1, 2 참조), 옛한글을 포함한 한국어에서는 자음의 종류에 따라서 대부분 구분하여 발성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중국어에서는 이를 전혀 인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중국어 발음의 형태를 보면 1성과 2성은 예사소리로, 3성과 4성은 된소리의 특성과 대부분 부합이 되므로, 본 발명의 중국어교육전용한글표기에서는 예사소리는 1성과 2성의 초성에, 된소리는 3성과 4성의 초성에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시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독음할 때, 중국원어민의 한자 표준발성방식과 음가에 좀더 가까이 가도록, 예사소리는 표준한국어에서의 예사소리보다 아주 약하게 된소리를 성향을 띄운 듯한 기분으로 발성을 하고, 된소리는 표준한국어에서의 된소리보다 약간 약하고 어눌한 듯한 된소리로 발성하도록 하여 보완하였다.
또한, 2성과 3성에만 존재하는 장음표기의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2성과 3성의 발성 방식이 반드시 목젖을 움직여 낮은 음으로 발성을 시작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목젖의 모양과 위치를 형상화하여 원과 같은 도형을 2성과 3성의 첫 음절 둘레에 부가하여 시각적으로 즉시 알 수 있도록 도형문자화 하였다. (도6, 7 참조)
이렇게 중국어 성조 발음표기에 있어서, 첫 글자(음절)의 초성에 사용된 자음을 예사소리와 된소리를 구분하고, 그리고 동시에 첫 글자(음절)의 둘레에 목젖 움직임을 형상화한 도형문자로 나타내는 장음표기의 존재여부를 구분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4개의 성조를 완전히 분별할 수 있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라서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를 하게 되면, 중국어 발음 학습시에 ① 혼돈하기 쉬운 별도의 방점이나 체크와 같은 성조구분 표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어진 규칙대로 읽기만 하면, 자연히 그리고 매우 쉽고 정확하게 성조를 구분하면서 발성할 수 있게 되어,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알아 들을 수 있을 정도의 발음습관을 기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② 중국어한자 자체와 성조를 서로 연관시켜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하여, 학습능률을 최고수준으로 제고하게 됨은 물론, 부수적으로 ③ 중국어한문 띄어쓰기방식에 1:1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순수한 표음문자인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이용한 글자만을 가지고 중국어를 입력하게 되면, 중국어문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국어한자로 전환입력하지 않은 상태로도,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진다. 이러한 띄어쓰기 대응방식은 병음(pinyin)표기에서는 절대로 구현할 수 없는 것으로, 매우 우월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성조 발음교육에서 사용될 한글자모는, 현재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글자모 조합방식과 동일한 형태로 음절을 구성한다. 즉,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모든 한글 글자도 초성, 중성, 종성의 음소가 필요에 따라 서로 적절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표기된다. 그러나, 중국어한자의 발음을 글자자체에 성조를 분별하여 표기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자모 구성과 운용원칙이 부가 되어야 함은 물론, 이를 지원하는 별도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도 필요하다.
1)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글자(음절)수에 대하여, 중국어한자의 단(單)모음은 1개의 글자(음절)로, 중국어한자의 2중모음은 2개의 글자(음절)로, 그리고 3중모음은 2개의 글자(음절)로 축약하여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 최적의 발성방식과 음가를 반영하기 위하여 예외적으로 3개의 글자(음절)로 표기한다. 단, 3중모음을 2개의 글자(음절)로 축약하기 위한 방법은 앞의 2개 모음(운두모음과 운중모음의 2개)를 축약하여 첫 번째 글자(음절)에, 나머지 마지막 3번째 운미모음은 2번째 글자(음절)에 나누어 2글자(음절)로 표기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表(biao) 에서 'ㅣ(운두)+ㅏ(운중)+ㅗ(운미)'의 3중모음을 'ㅑ(운두+운중)+ㅗ(운미)'로 축약하여 표기한다.
다만 이때,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로 기재시에 주의하여야 할 것은, 1번째 글자(음절)는 정상적인 글자크기로 기재하고, 나머지 2번째와 3번째 글자(음절)의 크기는 1번째 글자크기의 70%이하로 작게 기재하되, 1번째 글자의 초성이 홑자음이면 1번째 글자의 천장과 2번째와 3번째 글자의 천장이 같은 가상(假想)의 횡직선상에 있도록,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4
'(실제 사용에서는, 점선이 제외 됨)와같이, 표기하며, 또한 1번째 글자의 초성이 겹자음이면 1번째 글자의 바닥과 2번째와 3번째 글자의 바닥이 같은 가상(假想)의 횡직선상에 있도록,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5
'(실제 사용에서는, 점선이 제외 됨)과 같이, 표기하여,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한 발성을 시각적인 도움으로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재를 하게 되면, 중 국어 한자 2개 이상이 있는 중국어 단어 또는 문장에서의 한자 띄어쓰기에 1:1로 대응하여 기재를 하여도, 바로 다음에 연속하여 이어지는 한자의 첫 번째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글자(음절)와 시각적으로 즉시 구분이 되도록 한다. 물론, 이렇게 기재를 하게되면, 하기 5)번의 경성표기시의 글자 크기와 같아지지만, 경성표기의 경우는 초성이 'ㅇ'아닌 자음으로 시작되어, 즉시 구별이 가능하게 되므로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다.
그리고, 동시에 단(單)모음 또는 복모음의 구별과는 별도로, 완전히 장음으로만 발성되는 성조인 2성과 3성의 경우에는, 별도의 장음표기를, 하기 3)항에서 서술된 대로, 부가하여 사용한다. (도6, 7 참조)
이중모음 또는 3중모음을 발성하는 방법은, 음절이 2개 또는 예외적으로 3개라고 하여 2배 또는 3배로 긴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고, 2개 또는 3개의 음절을 모두 합한 발음길이가 1개의 음절 발음길이보다 약 1/4정도로 길게 발성을 하여, 마치 보통의 한 음절의 길이 보다 약간 긴소리인 듯한 느낌을 가지도록 하여야 한다.
2)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 중에, 1번째 글자(음절)의 초성은, ① 1성과 2성의 경우, 예사소리를 나타내는 홑자음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14개의 홑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과 새로이 추가되어 병음표기의 순치음 "f"음가를 나타내는 1개의 홑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6
)와 권설음을 나타내는 기호인 "R"과 함께 결합한 4개의 권설홑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7
)을 포함한 총19개의 홑 자음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그리고 ② 3성과 4성인 경우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5개의 겹자음 (ㄲ,ㄸ,ㅆ,ㅃ,ㅉ)과 세종대왕시대에 저술된 동국정운에서 한자표준발음를 위하여 사용된 6개의 겹자음 (ㄴㄴ, ㄹㄹ, ㅁㅁ, ㅇㅇ, ㅋㅋ, ㅎㅎ)과 본 발명에서 새롭게 창조하여 추가된 3개의 겹자음 (ㅊㅊ, ㅌㅌ, ㅍㅍ)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 음가를 가지는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8
를 새롭게 추가하여 구성되는 1개의 겹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09
)와 권설음 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이 된 4개의 권설겹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0
)을 포함한 19개의 겹자음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도5, 6, 7, 8 참조)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한글자모 운용에서, 이렇게 19개의 겹자음을 모두 사용하여 표기를 하여야만 하는 이유는, 실제 중국어에서는 홑자음(평음)과 겹자음(같은 홑자음을 2번 중복하여 표기된 된소리)의 발음(음가) 구분을 공식적으로 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실생활 중국어에서 성조발음의 특성상 알게 모르게 일어나고 있고, 또한 중국어한자 발음의 성조구분을 논리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중국어한자의 발음학습에 지금의 병음(pinyin)표기보다 훨씬 더 능률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독음할 때, 중국어 표준발성 방식과 음가에 좀더 가까이 가도록, 예사소리는 표준한국어에서의 예사소리보다 아주 약하게 된소리를 성향을 띄운 듯한 기분으로 발성을 하고, 된소리는 표준한국어에서의 된소리보다 약간 약하고 어눌한 듯한 된소리로 발성하도록 하 여 보완하였다. 예사소리의 경우, 이렇게 발성방식을 보완하여야 하는 이유는, 우리말의 예사소리와 완전히 일치하는 음가인 2성의 시작음 높이에서 1성의 높이로 상승하고자 할 때 또는 이미 1성의 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발성이 되고자 할 때는 자연히 힘이 들어가게 되어 원래의 음가가 예사소리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어 성조 발음시에는 된소리성향을 자연히 띄우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4성 발성을 위한 된소리의 경우, 이렇게 발성방식을 보완하여야 하는 이유는, 특히 중국어 성모(b, d, z, s, g)를 표기하기 위한 된소리 발음(ㅃ, ㄸ, ㅉ, ㅆ, ㄲ)의 경우, 4성 시작음 높이와 세기가 중국원어민의 통상적인 인지영역 밖에서 발성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자의 중국보통어 발음에서 1성과 2성의 경우에는 첫 음절의 초성발음이 거의 대부분은 홑자음의 특성인 부드럽고 약하게 또는 음량이 적은 듯한 기분으로 가벼운 그러나 아주 약한 된소리 성향을 띄운 발성이 되지만, 혹시 이러한 홑자음의 특성이 없는 1성과 2성의 실제발음이 발견된다고 하여도, 중국어 표준에 1성과 2성으로 되어 있으면, 초성은 반드시 홑자음으로 표기 되어야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3성과 4성의 경우에도, 첫 음절의 초성발음이 분명히 겹자음의 특성인 조금 무겁고 음량이 많은듯한 그러나 약간 어눌한 된소리 기분으로 발음이 되지만, 혹시 이러한 겹자음의 특성이 없는 3성과 4성의 실제발음이 발견된다고 하여도, 중국어 보통어 표준에 3성과 4성으로 되어 있으면, 초성은 반드시 겹자음으로 표기 되어야 한다.
3) 중국어한자의 발음 성조가 2성과 3성의 경우에는, 단(單)모음 혹은 복모 음의 존재 여부와는 관계없이 모두 장음으로만 발성이 되므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첫 번째 글자(음절) 둘레에 반드시 원,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또는 n각형 등과 같은 도형을 삽입한 도형문자(표기 예: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1
)를 표기하여 장음임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러한 원문자를 포함한 도형문자 표기방식은, 성조가 2성과 3성의 시작발음이 목젖을 움직여서 나오는 낮은 소리의 장음임을 시각적으로 분명히 나타내기 위함이며, 또한 띄어쓰기가 없는 일반적인 중국어문장 기록방식으로 표기된 상태하에서도,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1번째 음절임을 무의식적으로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4)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를 위한 새로운 자음의 추가
현재의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글자음으로는 중국어의 발음을 표현할 수 없는 권설음과 순치음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새로운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자음을 추가하여 이들의 음가를 표기하도록 한다.
① 권설음
권설음은 영어알파벳의 대문자 "R"을 음가가 없는 기호로서, 첫 글자(음절)의 초성 자음 앞(왼쪽) 또는 뒤(오른쪽)에 부가하여 사용한다 (도8 참조). 예를 들면, 중국어 권설음의 병음표기(shi, zhi, chi, ri)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하여,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홑자음(ㅅ,ㅈ,ㅊ,ㄹ)과 결합한 권설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2
)이나 (ㅅR, ㅈR, ㅊR, ㄹR))로 표기하며, 또한 겹자음(ㅆ,ㅉ,ㅊㅊ, ㄹㄹ)과 결합한 권설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3
) 혹은 ( ㅆR, ㅉR, ㅊㅊR, ㄹㄹR ))로 표기한다.
그리고, 여기서 영어알파벳의 "R"을 권설음 기호로서 택한 이유는, "R"을 발음할 때의 혀의 위치에서, 권설음 발성이 되는 것을 상징하기 위함이다.
② 순치음
병음(pinyin)표기에서 순치음인 "f"음 발음표기는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 "F"형상을 취하여 홑자음은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4
"와 겹자음은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5
"로 표기한다. (도9 참조)
그리고, 이렇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6
"를 사용하는 이유는, 'ㅋ'의 좌우대칭으로서 모양이 매우 간단하고 기존 한글의 모음과도 잘 어울려 글자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발성하는 방식도 영어의 "f"음 발음과 같은 방식으로, 윗니와 아래입술이 혀안의 공기를 막았다가 터트리는 것과 같이 발성하면 된다.
5) 경성의 표기
경성은 중국어에서 접미사 종류와 허사(부사, 개사, 조사, 감탄사, 등)종류에 주로 나타나며, 바로 이전에 위치한 한자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담당한다. 이러한 관계로, 경성은 원래 한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성조를 잃고, 바로 앞에 위치한 한자의 성조에 종속되어 여러 가지의 음높이로 발음이 되며, 성모는 더 약하게 운모는 더 짧은소리로 발성된다. 이러한 경성에 대한 발성방식을 시각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기재방법으로, 경성의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글자크기를, 경성이 아닌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하는 중국어발음 교육전용한글표기의 1번째 음절의 글자크기와 비교해서, 70%이하의 작은 크기의 글자로 1번째와 2번째 그리고 3번째 음절까지를 모두 기재하되, 100% 정상글자 높이의 정중간위치와 70%이하의 작은 크기의 글자의 정중간위치를 가상(假想)의 횡직선으로 일치시켜,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7
'(실제 사용에서는, 점선이 제외 됨)와 같이, 표기한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3)항에서 기술한 도형문자로 나타내는 장음표기 "○"는 부가하지 않으나, 경성의 중국어한자가, 경성으로 변하기 전에 가지고 있던 원래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에 대한 기타 나머지 속성은 상기 1)항부터 ~ 4)항까지 기재된 대로 그대로 지키어 기재된다. 이렇게 글자의 크기를 작게 표기하고 도형문자와 같은 장음표기를 부가하지 않는 것은, 경성발음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즉각 발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경성으로 발음되는 성조의 실제 음높이는, 기존의 중국보통어 발음표준원칙에서 정해진 바대로, 바로 직전에 위치한 한자의 성조에 영향을 받아,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로 변하게 되므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에서의 경성표기 원칙은, 병음표기 원칙에서와 마찬가지로, 변화된 결과의 음높이는 표기하지 아니한다.
6) 단어 내에서 연음을 시키는 경우, 3성의 성조 변화
단어 내에서 연음이 되는 경우, 연음결과로 변화된 성조를 표기하는 것이 아니고, 중국어한자 자체가 원래 가지고 있던 성조대로 반드시 표기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원래 중국어 성조가 3성+3성의 단어가 있는 경우, 읽을 때에는 실제로 변 화된 성조인 2성+3성으로 바꾸어 읽는다. 그러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에서는, 병음(pinyin)표기 원칙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원래 성조인 3성+3성으로 기재한다.
7) 특정 단어의 성조변화
특정 단어 一(원래 1성)과 不(원래 4성)는 뒤에 오는 중국어한자의 성조에 따라서, 성조가 변하게 된다. 이 경우는, 성조의 변화를 그대로 수용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면, 一切: 원래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8
Figure 112008076519213-PAT00019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0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1
)' 이지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2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3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4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5
)'로 표기하여야 한다.
상기 1)항 ~ 7)항까지 서술된, 본 발명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게 하기 위하여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를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 프로그램과,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로부터 중국어 병음(pinyin)표기로의 전환 및 중국어 병음(pinyin)표기로부터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로의 전환기능을 담당할 컴퓨터 응용프로그램과, 중국어한자와 중국어 단어를 저장하고 있는 중국어 단어목록부와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가 1대1로 대응하여 중국어한자 또는 단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한 입력장치가 꼭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도 11, 12a, 12b 참조)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19개 홑자음(현재 사용하고 있는(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14개와, 병음표기의 순치음 "f" 음가를 표기하는 홑자음(이때, 경성으로 발음되는 성조의 실제 음높이는, 기존의 중국보통어 발음표준원칙에서 정해진 바대 로, 바로 직전에 위치한 한자의 성조에 영향을 받아,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로 변하게 되므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에서의 경성표기 원칙은, 병음표기 원칙에서와 마찬가지로, 변화된 결과의 음높이는 표기하지 아니한다.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6
) 1개, 권설음 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R" 과 결합한 권설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7
)4개)과 19개의 겹자음(현재 사용되는 겹자음(ㄲ,ㄸ,ㅃ,ㅆ,ㅉ) 5개와, 동국정운에서 사용되었던 겹자음(ㄴㄴ,ㄹㄹ,ㅁㅁ,ㅇㅇ,ㅋㅋ,ㅎㅎ) 6개와, 본 발명에서 새로이 창조하여 추가된 겹자음 (ㅊㅊ, ㅋㅋ, ㅍㅍ,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8
) 4개, 그리고 권설음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R"과 결합한 권설겹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29
)4개)과 모음은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및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과 또는 여러가지 모음(상기 10개의 기본모음 및 11개의 결합모음)생성을 위한 3개의 천(·)지(-)인(l) 기본모음과 2개의 기호(권설음 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R" 1개와 1글자(음절)의 둘레에 "○"과 같이 생긴 도형을 부가하여 나타내는 장음기호 1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12a 및 도12b 참조)와,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와 1:1로 대응하는 중국어병음표기를 출력할 수 있게하는 병음표기목록부(도11 (53)참조)와, 반대로 중국어병음표기와 1:1로 대응하는 본 발명의 중국어 발음교육전용 한글표기를 출력할 수 있게하는 한글표기목록부와(도11 (52)참조), 그리고 중국어병음표기 및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에 1:1로 대응하는 중국어 한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중국어한자목록부(도11 (51)참조)와, 상기 키버튼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모드(도13 참조)를 표시하여 나타내는 디스 플레이부 (도 11 (40) 참조)와 입력된 요구사항을 판별(도13 참조)하여 문자나 단어를 상기 병음표기목록부와 한글표기목록부 그리고 중국어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해당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인 제어부(도11 (30)참조)와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기지국과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이 되는 RF(Radio Frequency)부(도 11 (20)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RF부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디지털 복합 휴대단말기 등에서 구현되지 않는다면 필수구성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의 중국어 발음교육전용 한글표기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출간된 약 6000여권의 중국어 교육서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통일이 안된 중국어 발음에 대한 한글표기를 대체하여, 사용이 될 수 있다. 특히, 중국어 병음(pinyin)표기를 읽는데 익숙하지 못한 국민학교 학생들이나 중국어발음을 이전에 배우지 못한 중국여행자들에게는 매우 좋은 대체수단이 된다.
이렇게 좋은 대체수단이 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중국어 발음교육전용 한글표기를 배우는 시간은 거의 필요하지 않으면서,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의사 전달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정확도가 높은 중국어발음을 하게 되는 반면에, 중국어 병음표기를 배워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와 똑같은 정도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너무나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이용하여 같은 중국어한자 를 찾는다고 할 경우, 병음표기를 통해 출력되는 중국어한자의 양과 비교하여 볼 때, 확률적으로 그 수가 약 1/4정도로 줄어들게 되므로, 훨씬 빠른 시간 내에 중국어문장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평소 중국어 병음표기를 통해서 중국어 문장을 작성하지만,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보다 능숙도가 많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통한 중국어한자 입력은 매우 좋은 대체수단이 된다. 특히, 핸드폰이나 PDA와 같은 기기에서 중국어한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사용하면, 입력시간을 비교할 수가 없을 정도로 많이 절약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아주 많이 늘어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상대방이 본 발명의 중국어 발음교육전용 한글표기를 읽을 수 있는 경우에는, 의사소통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구태여 전부 중국어한자로 바꾸어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국어 병음표기와는 비교할 수 없이 편리하다.
그리고, 2007년 12월31일에 발효되는 산업자원부 표준기술원에서 고시된 옛한글 표기에 관한 표준문건( 규격번호 KSX1026-1, 제목: 정보기술 - 국제문자부호계(UCS) - 한글 - 제1부 정보교환용 한글 처리지침)을 보게 되면, 이미 옛한글에 사용되던 모든 한글자모가 표준으로 제정이 되어, 기존 시장에서 통용되는 한글 워드프로그램에 빠른 시간내에 반영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이에 따라, 기존 워드프로그램을 수정할 양이 최소화되므로, 본 발명의 사업화를 위한 부가가치제품을 쉽게 만들어 공급할 수 있어, 중국어 발음교육 산업현장에서 이용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도 1은 자음과 모음에 관한 한국어와 중국어 발성방식의 차이점을 개괄하여 설명
도 2는 도1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근접한 중국어 발음 표기 방식을 성조별로 구분하여 설명
도 3은 동국정운에 사용된 한글자모를 현대한글과 옛한글로 구분하여 설명
도 4는 중국어문장에서 병음(pinyin)표기의 실제 사용 예
도 5는 1성표기의 실제 적용사례를 사용 가능한 초성자음 별로 목록 작성
도 6은 2성표기의 실제 적용사례를 사용 가능한 초성자음 별로 목록 작성
도 7은 3성표기의 실제 적용사례를 사용 가능한 초성자음 별로 목록 작성
도 8은 4성표기의 실제 적용사례를 사용 가능한 초성자음 별로 목록 작성
도 9는 권설음 표기의 실제 적용사례를 사용 가능한 성조 및 초성자음별로 목록 작성
도 10은 순치음 표기의 실제 적용사례를 사용 가능한 성조별로 목록 작성
도 11은 중국어 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입력장치 구성도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한글자모 혹은 중국어병음(pinyin)표기를 입력할 수 있는 키버튼을 구비하여, 문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로부터 입력된 문자신호들에 따라 중국어단어목록부(50)에서 해당 음절, 단어, 등을 불러내고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30), 중국어발음교육전용 한글표기목록부(51)와 중국어병음단어목록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국어단어목록부(50), 그리고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기지국과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이 되는 RF(Radio Frequency)부(2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2a는 두벌식 표준자판에서 문자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
도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에대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두벌식 표준자판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주요 키버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겹자음은 모두 홑자음+Shift키를 동시에 누름으로서 입력이 되도록 하였으며, 표준자판에서 홑자음이 없는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62
"의 경우는 ㅗ+Shift키를, 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63
"의 경우는 ㅛ+Shift키를 동시에 누르고 입력이 되도록 하였다. 권설음의 기호인 "R"은 ㅏ+Shift키를, 도형문자 기호인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64
"는 ㅣ+Shift키를 동시에 눌러서 입력이 되도록 고안하였다.
도 12b는 기존의 천지인 축소형한글자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
도 13은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입력장치에서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와 1:1로 대응하는 중국어병음표기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병음표기목록부와
    반대로, 중국어병음표기와 1:1로 대응하는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한글표기목록부와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또는 중국어병음표기에 대응하는 중국어한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중국어단어목록부와
    상기 키버튼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모드(도13 참조)를 표시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도 11 (40) 참조)와 입력된 요구사항을 판별(도13 참조)하여 문자나 단어를 상기 병음표기목록부와 한글표기목록부 그리고 중국어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해당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인 제어부(도11 (30)참조)와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기지국과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이 되는 RF(Radio Frequency)부(도 11 (20)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장치.
  2. 상기 청구항 1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19개의 홑자음(현재사용되는 홑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개, 병음(pinyin)표기의 순치음 "f"음가를 표기하는 홑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0
    )1개, 권설음 기호"R"과 결합된 권설홑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1
    )4개)과
    19개의 겹자음(현재 사용되는 겹자음(ㄲ,ㄸ,ㅃ,ㅆ,ㅉ) 5개, 동국정운에서 사용되었던 겹자음 (ㄴㄴ, ㄹㄹ, ㅁㅁ, ㅇㅇ, ㅋㅋ, ㅎㅎ) 6개, 본 발명에서 새로이 창조하여 추가된 겹자음 (ㅊㅊ, ㅋㅋ, ㅍㅍ,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2
    ) 4개, 권설음 기호"R"과 결합된 권설겹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3
    )4개)과
    2개의 기호(권설음 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R" 1개와 글자(음절)의 둘레에 "○"과 같이 생긴 도형을 부가하여 나타내는 장음기호 1개)와
    모음은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과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을 포함하여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천(·)지(-)인(l)을 이용하여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과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을 생성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 자판 배열 시스템.
  3.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로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또는 병음(pinyin)표기에 대한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그리고,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19개의 홑자음(현재사용되는 홑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14개, 병음(pinyin)표기의 순치음 "f"음가를 표기하는 홑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4
    )1개, 권설음 기호"R"과 결합된 권설홑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5
    )4개)과 19개의 겹자음(현재 사용되는 겹자음(ㄲ,ㄸ,ㅃ,ㅆ,ㅉ) 5개, 동국정운에서 사용되었던 겹자음 (ㄴㄴ, ㄹㄹ, ㅁㅁ, ㅇㅇ, ㅋㅋ, ㅎㅎ) 6개, 본 발명에서 새로이 창조하여 추가된 겹자음 (ㅊㅊ, ㅋㅋ, ㅍㅍ,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6
    ) 4개, 권설음 기호"R"과 결합된 권설겹자음(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7
    )4개)과, 2개의 기호(권설음 표기에 사용되는 기호 "R" 1개와 글자(음절)의 둘레에 장음표기로 사용되는 "○"과 같이 생긴 도형기호 1개)와 모음은 10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과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을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거나, 또는 천(·)지(-)인(l)을 이용하여 10개(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의 기본모음과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을 생성할 수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되어지는 문자의 정보요청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나 중국어병음(pinyin)표기를 각기 출력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중국어한자목록부에서 해당 중국어한자나 2개이상의 중국어한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검색하여 모두 출력할 수 있도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를 이용한 입력방법.
  4. 상기 청구항 3의 문자데이타를 입력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로 구성되는, 4개의 중국어 성조 (1성, 2성, 3성, 4성)을 표기하는 방법으로서, 첫 번째 글자(음절)의 초성에,
    14개의 홑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 음가를 가지는 1개의 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8
    )와 권설음 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된 4개의 권설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39
    )을 포함한 총19개의 홑자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5개의 겹자음(ㄲ, ㄸ, ㅆ, ㅉ, ㅃ)과 옛한글에서 사용되던 6개의 겹자음 (ㄴㄴ,ㄹㄹ,ㅁㅁ,ㅇㅇ,ㅋㅋ, ㅎㅎ)과 본 발명에서 새롭게 창조하여 추가된 3개의 겹자음(ㅊㅊ,ㅋㅋ,ㅍㅍ)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가를 가지는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0
    를 새롭게 추가하여 구성되는 1개의 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1
    )와 권설음 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된 4개의 권설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2
    )을 포함한 총19개의 겹자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하며,
    그리고 동시에 장음성조인 중국어 2성과 3성의 경우에는 첫번째 글자(음절)의 둘레에 원,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또는 n 각형 등과 같은 도형을 삽입한 도형문자(표기 예: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3
    )로 입력하여 장음임을 나타내며,
    그리고 동시에 중국어 표기를 위한 음절 수에 대하여, 단(單)모음은 1개의 글자(음절)로, 이중모음은 2개의 글자(음절)로, 3중모음은 앞의 2개 모음(운두모음과 운중모음의 2개)를 축약하여 첫 번째 글자(음절)에, 나머지 마지막 3번째 운미모음은 2번째 글자(음절)에 나누어 2글자(음절)로 입력을 하거나, 만약 3중모음의 경우 운두모음과 운중모음을 축약하여 한 글자(음절)로 표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3개의 음절(운두, 운중, 운미)로 표기하며,
    그리고 동시에 기재하는 글자의 크기에 대하여, 1번째 글자(음절)는 정상적인 글자크기로 기재하고, 나머지 2번째와 3번째 글자(음절)의 크기는 1번째 글자크기의 70%이하로 작게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5.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로 구성되는, 중국어 성조 1성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은, 첫 번째 글자(음절)의 초성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14개의 홑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 음가를 가지는 1개의 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4
    )와 권설음 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된 4개의 권설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5
    )을 포함한 총19개의 홑자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6.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로 구성되는, 중국어 성조 2성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은, 첫 번째 글자(음절)의 초성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14개의 홑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 음가를 가지는 1개의 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6
    )와 권설음 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된 4개의 권설홑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7
    )을 포함한 총19개의 홑자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함과 동시에, 첫 번째 글자(음절) 둘레에 원,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또는 n 각형 등과 같은 도형을 삽입한 도형문자(표기 예: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8
    )로 입력하여 장음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7.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로 구성되는, 중국어 성조 3성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은, 첫 번째 글자(음절)의 초성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5개의 겹자음(ㄲ, ㄸ, ㅆ, ㅉ, ㅃ)과 옛한글에서 사용되던 6개의 겹자음 (ㄴㄴ, ㄹㄹ, ㅁㅁ, ㅇㅇ, ㅋㅋ, ㅎㅎ)과 본 발명에서 새롭게 창조하여 추가된 3개의 겹자음 (ㅊㅊ, ㅋㅋ, ㅍㅍ)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 음가를 가지는
    Figure 112008076519213-PAT00049
    를 새롭게 추가하여 구성되는 1개의 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0
    ) 와, 권설음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된 4개의 권설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1
    )을 포함한 총19개의 겹자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함과 동시에, 첫 번째 글자(음절) 둘레에 원,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또는 n 각형 등과 같은 도형을 삽입한 도형문자(표기 예: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2
    )로 입력하여 장음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8.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로 구성되는, 중국어 성조 4성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은, 첫 번째 글자(음절)의 초성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5개의 겹자음(ㄲ, ㄸ, ㅆ, ㅉ, ㅃ)과 옛한글에서 사용되던 6개의 겹자음 (ㄴㄴ, ㄹㄹ, ㅁㅁ, ㅇㅇ, ㅋㅋ, ㅎㅎ)과 본 발명에서 새롭게 창조하여 추가된 3개의 겹자음 (ㅊㅊ, ㅋㅋ, ㅍㅍ)과 중국어 병음(pinyin)의 순치음 표기인 "f"음 음가를 가지는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3
    를 새롭게 추가하여 구성되는 1개의 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4
    )와, 권설음 표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인 "R"과 결합된 4개의 권설겹자음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5
    )을 포함한 총19개의 겹자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9. 상기 청구항 (2, 3, 4, 5, 6, 7, 8)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음(pinyin)표기로 (shi, zhi, chi, ri)에 해당하는 음가의 중국어 권설음을 표기하기 위한 방 법은, 영어알파벳의 대문자 "R" 표기를 음가가 없는 기호로 활용함으로서, 홑자음(ㅅ,ㅈ,ㅊ,ㄹ)과 겹자음(ㅆ,ㅉ,ㅊㅊ,ㄹㄹ)의 앞(왼쪽)에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6
    )와 같은 순서로, 또는 뒤(오른쪽)에 (ㅅR, ㅈR, ㅊR, ㄹR, ㅆR, ㅉR, ㅊㅊR, ㄹㄹR)와 같은 순서로 결합하여, 첫 글자(음절)의 초성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10. 상기 청구항 (2, 3, 4, 5, 6, 7, 8)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국어 병음표기에서 순치음인 "f"음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홑자음은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7
    "와 겹자음은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8
    "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11. 상기 청구항 (2, 3, 4, 5, 6, 7, 8)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1글자(음절) 또는 2글자(음절) 또는 부득이한 경우 예외적으로 3글자(음절)로 구성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기재방법에 있어서, 1번째 글자(음절)는 정상적인 글자크기로 기재하고, 나머지 2번째와 3번째 글자(음절)의 크기는 1번째 글자크기의 70%이하로 작게 기재하되, 1번째 글자의 초성이 홑자음이면 1번째 글자의 천장과 2번째와 3번째 글자의 천장이 같은 가상(假想)의 횡직선상에 있도록,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59
    '(실제 사용에서는, 점선이 제외 됨)와같이, 표기하며, 또한 1번째 글자의 초성이 겹자음이면 1번째 글자의 바닥과 2번째와 3번째 글자의 바닥이 같은 가상(假想)의 횡직선상에 있도록,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60
    '(실제 사용에서는, 점선이 제외 됨) 과 같이, 기재하여,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한 발성을 시각적인 도움으로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12. 상기 청구항 (2, 3, 4, 5, 6, 7, 8)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국어 성조 경성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경성의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글자크기를, 경성이 아닌 중국어한자 1글자에 대응하는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의 1번째 음절의 글자크기와 비교해서, 70%이하의 작은 크기의 글자로 1번째와 2번째 그리고 3번째 음절까지를 모두 기재하되, 100% 정상글자 높이의 정중간위치와 70%이하의 작은 크기의 글자의 정중간위치를 가상(假想)의 횡직선으로 일치시켜, 예를 들면 '
    Figure 112008076519213-PAT00061
    '(실제 사용에서는, 점선이 제외 됨)와 같이, 표기하며, 그리고 동시에 도형문자로 나타내는 장음표기인 "○"를 경성의 중국어발음교육전용한글표기 글자의 둘레에서 생략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발음교육전용의 한글표기 입력방법.
KR1020080109029A 2008-02-12 2008-11-04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KR10098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4385 WO2010053248A2 (ko) 2008-11-04 2009-08-05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CN2009801438735A CN102439648A (zh) 2008-11-04 2009-08-05 汉语发音教育专用韩国语标记方法和输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2629 2008-02-12
KR1020080012629 2008-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402A true KR20090087402A (ko) 2009-08-17
KR100985201B1 KR100985201B1 (ko) 2010-10-05

Family

ID=4120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29A KR100985201B1 (ko) 2008-02-12 2008-11-04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2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29A1 (ko) * 2014-12-16 2016-06-23 문기성 한글을 이용한 한자의 중국어 발음 표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0413A (ko) * 2016-03-23 2017-10-11 장오현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102112059B1 (ko) * 2019-11-28 2020-05-19 권오성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CN112307712A (zh) * 2019-07-31 2021-02-02 株式会社理光 文本评价装置和方法以及存储介质和计算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12A (ko) * 2001-10-04 2001-11-14 서정수 국제 한글 음성 기호 입/출력법
KR20020086449A (ko) * 2002-10-28 2002-11-18 최우성 한자 입력 방법
KR100599873B1 (ko) 2003-04-28 2006-07-13 김상근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4073A (ko) * 2004-03-22 2005-09-27 이형인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29A1 (ko) * 2014-12-16 2016-06-23 문기성 한글을 이용한 한자의 중국어 발음 표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0413A (ko) * 2016-03-23 2017-10-11 장오현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CN112307712A (zh) * 2019-07-31 2021-02-02 株式会社理光 文本评价装置和方法以及存储介质和计算机装置
CN112307712B (zh) * 2019-07-31 2024-04-16 株式会社理光 文本评价装置和方法以及存储介质和计算机装置
KR102112059B1 (ko) * 2019-11-28 2020-05-19 권오성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201B1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2988B2 (en) Pictorial keyboard with polysemous keys for Chinese character output
JP2015036788A (ja) 外国語の発音学習装置
JP7166580B2 (ja) 言語学習方法
KR100985201B1 (ko)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KR20100081511A (ko)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KR101172580B1 (ko)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방법
Karan Writing system development and reform: A process
KR102517025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WO2000060560A1 (en) Text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s and systems
KR102517021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WO2010053248A2 (ko)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KR20010100112A (ko) 국제 한글 음성 기호 입/출력법
TW201104643A (en) Language teaching system
KR101777141B1 (ko)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517024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20080049606A (ko) 발음학습법
JP2020060887A (ja) 発音表示装置、発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Obolensky Persian basic course units 1-12
WO2014139060A1 (zh) 一种符合教学用的规范全息汉字输入方法及输入法系统
JP6449506B1 (ja) 外国語音声用日本語文字列表示装置、同表示システム、同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同表示媒体
KR20220030662A (ko)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030663A (ko) 영국·독일·프랑스·스페인어 등 알파벳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22044354A (ja) 日本語学習教材における促音のローマ字表記方法、及びこの表記方法を用いた日本語学習用教材並びに日本語学習用装置
KR20210141430A (ko) 한파벳 (영문표기 가능한 한글 자음이 표기된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