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073A -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073A
KR20050094073A KR1020040019186A KR20040019186A KR20050094073A KR 20050094073 A KR20050094073 A KR 20050094073A KR 1020040019186 A KR1020040019186 A KR 1020040019186A KR 20040019186 A KR20040019186 A KR 20040019186A KR 20050094073 A KR20050094073 A KR 2005009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igned
button
character
inpu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인
박수완
Original Assignee
이형인
박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인, 박수완 filed Critical 이형인
Priority to KR102004001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4073A/ko
Publication of KR2005009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외래어 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 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래어 표기용 한글문자셋은 기존의 기본자음 14개와, 기본모음 10개와, 쌍자음 5개와, 복모음 11개 외에, 한글자음 10개( , , , , , , , ,

Description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 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KOREAN CHARACTER SET FOR EXPRESSING FOREIGN LANGUAGE AND COMMUNICATION METHOD WITH FOREIGNER BY EXCHANGING SHORT MESSANG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자모 및 이를 이용한 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핸드폰과 같이 3×4 배열의 제한된 수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휴대용 전자단말에 사용하기 위한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자모 및 이를 이용한 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SMS)를 전송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그리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메모를 하거나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지인의 성명을 입력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의 경우 통상 3×4, 즉 12개의 제한된 수의 문자입력버튼을 갖고 있다.
도 1은 휴대폰의 전통적 자판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은 3×4 배열의 12개의 문자입력버튼(100), 메뉴선택 및 통화제어 버튼(200) 및 위치조절버튼(300) 및 화면표시창(400)을 갖는다. 상기 12개의 문자입력버튼(100)은 숫자 또는 문자(영어 및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메뉴선택 및 통화제어 버튼(200)은 휴대폰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통화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메뉴 선택 및 통화제어버튼(200) 중 메뉴 버튼(201)은 휴대폰의 각종 메뉴를 검색하는 버튼이고, "통화" 버튼(202)을 누르게 되면, 타인을 호출하게 된다. 상기한 버튼 외에 "취소" 버튼(203), "종료" 버튼(204) 및 "선택" 버튼(205)이 통상 상기 메뉴선택 및 통화제어버튼(200)에 포함되어 통화 등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전화번호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도중에 위치조절버튼(300) 중 "◀"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바로 전에 입력한 번호 또는 문자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문자입력모드에서 문자 상호간의 전환은 통상 문자입력모드 선택창(401)에서 메뉴버튼(201)을 조작하여 성취된다.
그러나 컴퓨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와 달리 상기한 매체들은 3×4 배열의 12개의 문자입력버튼만으로 문자를 모두 입력하여야 하므로, 입력 방식에 있어서 특별한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즉,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영어의 알파벳 및 한글자모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입력방식이 요구된다. 그 중에서 한글의 경우 표음문자(소리글자)로서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은 반면 영어의 알파벳의 경우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한국어보다 더욱 힘들며, 특히 중국어의 경우에는 영어보다 입력 시간이 현저히 많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인과 문자메시지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중국어 입력에 현저히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휴대폰의 휴대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문자메시지의 편리성 및 즉시성의 이점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한글의 경우 완전한 표음문자이므로 글자를 보고 발음을 익히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1 - 2 시간에 불과하고 나타내지 못할 소리가 없어 국어정보학회나 한글문화 세계화 운동본부 등에서는 국제음성기호를 한글로 채택하자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과 세계화는 언어를 획일화하는 부정적인 구실을 하고 있는데, 유네스코에서는 지난해 ‘바벨계획’을 제안하여 ‘언어 다양성과 정보 이용의 공평성’을 높이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말은 있되 이를 적을 글자가 없는 소수민족 언어 사용자들에게 그들의 말을 쓰도록 함으로써 소수언어의 사멸을 막는 것도 언어 다양성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할 것이라는 제언도 나오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는 1989년에 "세종대왕상(킹 세종 프라이스)"을 만들어 해마다 인류의 문맹률을 낮추는 데 공적을 끼친 단체나 개인을 뽑아 상을 주고 있기도 하다. 이는 세계 언어에서 한국어가 차지하는 위치가 어디인지를 드러내주는 몇몇 사례들이다. 다만,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완할 점이 남아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함과 아울러, 새로운 형식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수행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4 배열의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외래어 문자를 모두 표기할 수 있는 한글자모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이용한 외래어 표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외래어 표기용 한글자모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입력된 문자를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교환함으로써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래어 표기용 한글자모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새로운 자판배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외래어 표기용 한글자모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새로운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3×4 배열의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외래어 문자를 모두 표기할 수 있는 한글문자셋(또는 한글자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래어 표기용 한글자모는 영어 및 중국어를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한글자모로서, 상기한 한글자모는 기존의 기본자음 14개와, 기본모음 10개와, 쌍자음 5개와, 복모음 11개 외에, 자음 10개와 모음 2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한글자모가 제공된다. 추가되는 한글자모, 구체적으로는 자음 10개와 모음 2개는 다음과 같다.
1. 추가되는 한글자음 리스트
(1) 영어권의 발음기호 중 "f"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2) 영어권의 발음기호 중 "v"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3) 영어권의 발음기호 중 "r"을 표현하기 위한 자음 :
(4) 영어권의 발음기호 중 "θ"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5) 영어권의 발음기호 중 "ð"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6) 영어권의 발음기호 중 "dz"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7) 중국어의 발음기호 중 "zh"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8) 중국어의 발음기호 중 "ch"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9) 중국어의 발음기호 중 "sh"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10) 중국어의 발음기호 중 "q"를 표현하기 위한 자음 :
2. 추가되는 한글모음 리스트
(1) ㆍ (2) ㆌ
상기한 신 한글자모 12개는 영어와 중국어를 포함하는 전세계에 통용되고 있는 모든 언어와 소리를 한글로서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은 영어의 "p"와 "f"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은 영어의 "b"와 "v"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은 영어의 "l"과 "r"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 은 영어의 발음기호 중 "θ", "ð" 및 "dz"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 , 는 중국어의 발음기호 중 "zh", "ch", "sh" 및 "q"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문자셋(또는 신규의 한글자모)의 문자입력키 상에서의 배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소위 "천지인"이라 불리우는 입력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의 한글자모의 구현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상기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배치는, 숫자 "0"이 할당된 문자입력버튼(111)에 세 개의 문자 "ㅇ", "ㅁ" 과 ""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 천지인 배치와 동일하다. 이러한 키배치를 이용한 신규로 추가되는 한글자모의 입력을 예시하면, 먼저 은 숫자 "7"이 할당된 문자입력버튼(107)을 2회 순차 누른 후, 숫자 "0"이 할당된 문자입력버튼(111)을 연속해서 누르면 상기 문자가 입력된다. 아울러, 은 숫자 "9"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109)를 1회 누른 후, 연속해서 숫자 "6"이 할당된 문자입력버튼(106)을 누르면 상기 문자가 입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신규의 한글모음 "ㆌ"의 경우 "103버튼 1회 누름 + 102 버튼 순차 2회 누름 + 101 버튼 1회 누름"을 진행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문자입력셋은 "천지인" 이외의 입력방식으로도 입력가능하다. 그러한 예로는, 12개의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는 왼쪽쉬프트가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오른쪽쉬프트가 할당되고, 각 입력버튼에는 3개 이하의 알파벳이 할당되고, 3개의 알파벳이 할당된 입력버튼 중 첫 번째 문자로 할당된 알파벳은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두 번째 문자로 할당된 알파벳은 왼쪽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세 번째 문자로 할당된 알파벳은 오른쪽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문자입력버튼에 (ㄱ, ㅋ, ㄲ)가 할당된 경우 상기 문자입력버튼을 누를 경우 문자 "ㄱ"이 입력되고, "ㅋ"는 왼쪽쉬프트가 할당된 버튼을 눌러 왼쪽쉬프트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ㄲ"는 오른쪽쉬프트가 할당된 버튼을 눌러 오른쪽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게 된다.
다른 변형으로서, 3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의 문자는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다른 하나의 문자는 쉬프트가 할당된 버튼을 눌러 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나머지 하나의 문자는 해당 입력버튼을 주어진 임계치보다 길게 눌러 입력하는 방식도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문자입력버튼에 세 개의 문자, (ㄱ, ㅋ, ㄲ)이 할당된 경우, "ㄱ"는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짧게 눌러 입력되고, "ㅋ"는 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되고, "ㄲ"는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길게 눌러 입력하는 방식이다.
또 다른 변형으로서, 3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의 문자는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다른 하나의 문자는 순서지정기능이 할당된 순지지정버튼의 1회 누름과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나머지 하나의 문자는 순서지정기능이 할당된 순지지정버튼의 2회 누름과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방식도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문자입력버튼에 세 개의 문자 (ㄱ, ㅋ, ㄲ)이 할당되고 순서지정기능이 숫자 "0" 버튼에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를 경우, 숫자 "0" 버튼를 누르지 않고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누르면 문자 "ㄱ"이 입력된다. 이에 반해, 입력문자 순서지정버튼인 숫자 "0" 버튼를 누른 후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누르면 문자 "ㅋ"이 입력되고, 입력문자 순서지정버튼인 숫자 "0" 버튼를 2회 연속하여 누른 후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누르면 문자 "ㄲ"이 입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문자입력셋을 이용한 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갑이 중국인과 문자메시지의 교환으로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경우를 상정해보자. 이 때, 갑은 "닌하오"라고 입력하여 문자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중국인은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보면서 순수한 표음문자인 한글단어 "닌하오"를 발음하게 된다. 상기 단어 "닌하오"는 한국어 자체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중국인의 경우 "닌하오"란 단어를 발음하다보면 '안녕하세요'라는 의미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통신방법은 중국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짐과 아울러 표음문자인 한글을 이용함으로써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영어권의 사람과 문자메시지의 교환으로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경우를 상정해보자. 이 때, 갑은 "하아유"라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하게 되고, 수신인은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발음하게 된다. 비록, 상기 단어 "하아유" 자체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수 있지만, 이를 수신한 수신인이 상기 단어를 발음하는 순간 그 의미를 쉽게 받아들이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중국어, 영어 등을 포함한 외래어를 소리나는 대로 상기한 한글문자셋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외래어를 소리나는 대로 입력한 메시지를 휴대폰의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외국인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외국인은 수신된 메시지를 발음함으로써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국어, 영어 등을 포함하는 전세계에 통용되고 있는 모든 문자 및 소리를 표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한글문자셋(신한글)이 제공되며, 이러한 신한글은 누구라도 손쉽게 새한글을 배워서 문자메시지에 사용할 경우, 그 어떤 언어보다 빠르게 문자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수신자도 쉽게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적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휴대폰의 전통적 자판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천지인을 이용한 본 발명의 한글자모의 구현을 보여주는 문자입력버튼 상에서의 한글자모의 배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Claims (6)

  1. 외래어 표기용 한글자모로서, 상기 한글자모가 기존의 기본자음 14개와, 기본모음 10개와, 쌍자음 5개와, 복모음 11개 외에, 아래의 한글자음 10개와 한글모음 2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자모:
    (1) 추가되는 한글자음: , , , , , , , ,
    (2) 추가되는 한글모음: ㆍ 및 ㆌ
  2. 제1항에 따른 한글자모를 사용하여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휴대용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12개의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는 왼쪽쉬프트가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오른쪽쉬프트가 할당되고, 각 입력버튼에는 3개 이하의 알파벳이 할당되고, 3개의 알파벳이 할당된 입력버튼 중 첫 번째 문자로 할당된 알파벳은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두 번째 문자로 할당된 알파벳은 왼쪽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세 번째 문자로 할당된 알파벳은 오른쪽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따른 한글자모를 사용하여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휴대용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12개의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는 쉬프트가 할당되고, 각 입력버튼에는 3개 이하의 알파벳이 할당되고, 3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의 문자는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다른 하나의 문자는 쉬프트가 할당된 버튼을 눌러 쉬프트를 활성화시킨 후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나머지 하나의 문자는 해당 입력버튼을 주어진 임계치보다 길게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따른 한글자모를 사용하여 12개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휴대용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12개의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는 순서지정기능이 할당되고, 각 입력버튼에는 3개 이하의 알파벳이 할당되고, 3개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의 문자는 해당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다른 하나의 문자는 순서지정기능이 할당된 순지지정버튼의 1회 누름과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나머지 하나의 문자는 순서지정기능이 할당된 순지지정버튼의 2회 누름과 해당 문자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중국어, 영어 등을 포함한 외래어를 소리나는 대로 한글문자셋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외래어를 소리나는 대로 입력한 메시지를 휴대폰의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외국인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외국인은 수신된 메시지를 발음함으로써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로 작성된 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문자셋이 제1항의 한글자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19186A 2004-03-22 2004-03-22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KR20050094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186A KR20050094073A (ko) 2004-03-22 2004-03-22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186A KR20050094073A (ko) 2004-03-22 2004-03-22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073A true KR20050094073A (ko) 2005-09-27

Family

ID=3727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186A KR20050094073A (ko) 2004-03-22 2004-03-22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40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01B1 (ko) * 2008-02-12 2010-10-05 유완선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01B1 (ko) * 2008-02-12 2010-10-05 유완선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1706C (zh) 一种数据输入速率得到提高的移动终端
CA2156822C (en) Keyboard-type input apparatus
US20100245230A1 (en) Handwriting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s
US20060282583A1 (en) 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GB2399202A (en) Input of data from keyboard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CA3036940C (en) Device with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US20100125449A1 (en) Integratd phonetic Chinese system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CN104461228B (zh) 电子装置及其文字输入界面显示方法
KR102035087B1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102544285B1 (ko)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533311A (zh) 笔画类汉字输入法
KR20050094073A (ko) 외래어 문자표기용 한글문자셋 및 이를 이용한문자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외국인과 통신하는 방법
KR20180118096A (ko) 키보드상의 버튼에 배정된 글자들 중 일부 글자를 변경하는 방법
KR101753389B1 (ko) 특수 문자 등을 쉽게 입력하는 방법
KR101913359B1 (ko) 특수문자 입력방법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JP2009515272A (ja) 文字入力方法
KR20000042959A (ko)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10073483A (ko) 간편한 한글자판
Gupta et al. Text entry in South and Southeast Asian scripts
KR1003643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어 입력방법
KR100450459B1 (ko) 키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