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285B1 -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285B1
KR102544285B1 KR1020210136740A KR20210136740A KR102544285B1 KR 102544285 B1 KR102544285 B1 KR 102544285B1 KR 1020210136740 A KR1020210136740 A KR 1020210136740A KR 20210136740 A KR20210136740 A KR 20210136740A KR 102544285 B1 KR102544285 B1 KR 10254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ription
user
page
electronic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341A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김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옥 filed Critical 김종옥
Priority to KR102021013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2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필사 관리 서버를 통해 전자 필사 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필사 관리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사 이력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사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전자 필사 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페이지의 필사 실행 페이지는 필사 원문이 표시되는 필사 원문 페이지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필사 입력 페이지가 표시되며, 상기 필사 관리 서버는 상기 필사 입력 페이지에 입력된 텍스트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오류에 대응하는 텍스트에 오탈자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필사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필사가 완료된 필사본을 원패로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후에는 위패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TRANSCRIPTION SERVICE USING ELECTRONIC TRANSCRIP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자 필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원문을 필사하는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사'는 경전이나 명언, 고전과 같은 심도있는 내용을 담을 책을 손으로 직접 베껴 쓰는 일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문헌들이나 책들이 전자책이나 PDF와 같은 형태로도 출간되고 있다. '필사'는 고전적 의미의 책들뿐만 아니라 전자책이나 PDF, 또는 다양한 전자 문서 형태로 출간된 자료들에 대한 베껴 쓰기도 포함될 것이다. 인쇄술이 제대로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동일한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손으로 직접 베껴 썼다. 동양에서도 불교의 불경을 필사하는 '사경'이 단순히 인쇄술의 미발달을 넘어 옮겨쓰는 행동 자체가 중생과 내세를 이롭게 하려는 공덕의 일종으로서 간주되어 권장되고 있다. 인쇄술이 발달하고, 더 이상 책의 배포를 위한 필사 요구가 없는 현대에도 경전의 깊이있는 이해 또는 문학 작품에 대한 심도있는 독서를 위해 필사는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필사를 통해서 문장 하나하나를 곱씹어 가면서 내재화시킴으로써, 신앙인의 경우에는 신앙심을 키워갈 수도 있다.
하지만,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글자의 입력 방법이 다양화된 현대에 와서는 필사의 방법이 전통적인 수기(手記)에만 의존할 필요는 없어지게 되었다. 정보기기에 익숙한 세대들은 수기보다는 키보드를 통한 기록이 더 자연스럽게 되었다. 또한, 수족 장애 또는 시각 장애자와 같이 수기가 어려운 이들도 깊이있는 독서 또는 공덕을 쌓기 위한 사경에서 배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필사 또는 사경이 가능한 디지털 필사 시스템 또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2932 (2012.04.30) (2)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041259 (2019.10.31)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책의 내용을 키보드나 음성으로 쉽게 베껴 쓸 수 있는 전자 필사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하는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필사 관리 서버를 통해 전자 필사 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필사 관리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사 이력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사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전자 필사 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페이지의 필사 실행 페이지는 필사 원문이 표시되는 필사 원문 페이지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필사 입력 페이지가 표시되며, 상기 필사 관리 서버는 상기 필사 입력 페이지에 입력된 텍스트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오류에 대응하는 텍스트에 오탈자 마크를 표시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웹페이지는 각각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시작 페이지 및 최종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시 2개 페이지로 확장되어 표시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웹페이지에는 언어 선택 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언어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웹페이지 상의 텍스트들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언어로 표시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필사 원문의 텍스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신하는 텍스트 음성 변환(TTS) 모듈, 점자 입력으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점자 키보드, 그리고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필사 입력 페이지로의 기록을 지원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STT)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필사 원문은 법화경, 지장전, 금강경, 그리고 반야심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전자 책의 내용을 키보드나 음성으로 쉽게 필사할 수 있는 전자 필사 책 장치 및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더불어, 시각 장애자나 수기가 어려운 사용자라 할지라도 다양한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필사할 수 있어, 경전이나 고전에 대한 깊이있는 독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필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사 관리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필사 서비스 접속시 웹페이지의 초기 화면들을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7b는 웹페이지의 필사 실행 페이지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웹페이지의 뒷부분 화면들을 보여준다.
도 9는 도 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필사 시스템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필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네트워크(120), 그리고 필사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서 필사 관리 서버(130)와 통신하고,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구동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또는 필사 관리 서버(130)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은 전자 필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키보드와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구비한 셋톱 박스,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일반적으로는 음성이나 문자 교환을 위한 모바일 폰이나 테블릿 PC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10)이 모바일 폰에만 국한되지 않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테블릿 PC(Tablet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고속 기간망인 통신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120)가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12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 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네트워크(120)는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한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전자 필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서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와 사용자들 각각의 필사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필사 자료를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필사 관리 서버(130)는 필사 자료에 대한 다국 언어를 지원하기 위한 자료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웹페이지를 사용하여 전자 필사 서비스에 접속하면, 필사 관리 서버(130)는 필사 원문에 대한 필사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필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필사 관리 서버(130)는 등록된 사용자에 대해 필사 이력을 저장하고, 추후 접속시에는 사용자의 필사 이력을 참조하여 필사가 중지되었던 부분부터 연속하여 필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CPU(111), 램(112), 입출력 인터페이스(113), 키보드(113a), 디스플레이(113b), 마이크(113c), 스피커(113d), 스토리지(114), 모뎀(115), 그리고 시스템 버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110)의 구성 요소들은 도시된 것들에만 국한되지 않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CPU(111)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 장치 드라이버들)를 실행한다. 기본적으로 CPU(111)는 램(112)에 로드되는 운영 체제(OS)를 실행할 것이다. CPU(111)는 운영 체제(OS) 기반에서 구동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Application Program)을 실행할 것이다. CPU(111)는 동종 멀티-코어 프로세서(Homogeneous Multi-Core Processor) 또는 이종 멀티-코어 프로세서(Heterogeneous Multi-Core Processor)로 제공될 수 있다.
램(112)에는 부팅시에 운영 체제(OS)가 로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10)의 부팅시에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OS 이미지가 부팅 시퀀스에 의거하여 램(112)으로 로드될 수 있다. 운영 체제(OS)에 의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13)가 활성화되고 제반 입출력 동작들이 지원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들이 램(112)에 로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자 필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필사 지원 애플리케이션(112a), TTS 모듈(112b), STT 모듈(112c) 등이 램(112)에 로드될 수 있다. 램(112)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PRAM, MRAM, ReRAM, FRAM, NOR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자 필사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앱을 활성화하는 경우에 CPU(111)에 의해서 호출되고 구동된다.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자 필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전자 필사 서비스가 필사 관리 서버(130)에서 관리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경우,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필사 관리 서버(130)에서 지원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네트워크(120) 연결 없는 오프라인 상태나 사용자 단말(110) 단독으로도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의 구동을 통해서 전자 필사 서비스는 제공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TTS(Test to Speech) 모듈(112b)은 필사 원문의 텍스트를 사람의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TTS 모듈(112b)에 의해서 필사 원문의 텍스트가 시각 장애자와 같은 사용자에게 스피커(113d)를 통해 음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 STT 모듈(112c)은 마이크(113c)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에 제공한다.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은 키보드(113a) 입력 신호 대신에 STT 모듈(112c)을 통해서 제공된 텍스트 신호를 사용하여 필사 입력 페이지에 텍스트를 기록할 것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3)는 입출력 장치들(113a, 113b, 113c, 113d)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3)는 CPU(111)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13b)에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3)는 키보드를 통한 텍스트 입력이나 점자 입력 신호를 CPU(111)에 전달한다.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13)는 마이크(113c)를 통해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CPU(111)에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13)는 TTS 모듈(112b)을 통해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113d)에 전달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스토리지(114)는 사용자 단말(110)의 저장 장치로서 제공된다. 스토리지(114)는 메모리 카드(MMC, eMMC, SD, MicroSD 등)나 대용량의 저장 능력을 가지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type Flash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토리지(114)는 PRAM, MRAM, ReRAM, FRAM 등의 차세대 불휘발성 메모리나 NOR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스토리지(114)는 필사 서비스를 통해서 생성되는 사용자의 필사 이력 데이터(114a)를 저장하고, 필요시 필사 관리 서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
모뎀(115)은 네트워크(120)를 통해서 필사 관리 서버(130)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를 들면, 모뎀(115)은 이더넷 통신이나 3GPP(3rd Generation 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5G, 6G 등의 표준을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6)는 사용자 단말(110)의 내부에서 온칩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커넥터 기능을 제공한다. 시스템 버스(116)는 예를 들면, 데이터 버스(Data bus),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및 컨트롤 버스(Control bus)를 포함할 것이다. 데이터 버스(Data bus)는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이다. 주로, 램(112)이나 스토리지(114)로의 메모리 접근 경로를 제공될 것이다.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는 기능 블록들(IPs) 간의 어드레스 교환 경로를 제공한다. 컨트롤 버스(Control bus)는 기능 블록들(IPs) 간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하지만, 시스템 버스(116)의 구성은 상술한 설명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중재 수단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각 장애를 가졌거나, 키보드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110)은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구동되는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은 USB 메모리나, SD 카드를 비롯한 다양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판매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에 설치 파일 형태로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이 제공되고, 구입자는 설치 파일을 실행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10)에서 필사 애플리케이션(112a)이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필사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필사 관리 서버(130)는 통신부(131), 제어부(133),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들(135, 13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1)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필사 관리 서버(130)와 사용자 단말(110, 도 1 참조)과 통신한다. 통신부(131)는 외부의 서버들이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1)는 이더넷(Ethernet) 통신,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통신, 이동 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메모리 카드 통신, 및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필사 관리 서버(130)에서 수행되는 웹페이지 관리, 사용자 관리, 필사 자료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33)는 웹페이지 관리 모듈(132), 사용자 관리 모듈(134), 그리고 필사 자료 관리 모듈(136)을 포함할 수 있다.
웹페이지 관리 모듈(132)은 사용자 단말(11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한 웹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다. 웹페이지 관리 모듈(132)은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전자 필사 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웹페이지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 모드에 따라 필사 원문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 모드가 한국어인 경우에는 필사 원문이 한글로 표시될 것이다. 또는 웹페이지 관리 모듈(132)은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 모드에 따라 영어, 중국어, 인도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들 중 어느 하나의 언어로 필사 원문을 표시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필사 텍스트도 선택한 언어 모드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웹페이지 관리 모듈(132)은 고객 단말(110)의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에 응답하여 필사 이력의 저장, 페이지 넘김이나, 필사된 내용에 대한 오탈자 체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사용자 단말(110)을 전자 필사 서비스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접속된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를 개인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사용자들의 필사 이력을 저장하여 추후에 접속할 때 이전 필사 작업에서 중지되었던 부분부터 연속하여 필사를 시작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필사 이력을 별도로 구비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하고 관리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필사가 완료된 후에 완료본을 원패로 봉안한다.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필사 완료본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하여 봉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봉안된 원패는 사용자가 사망한 후에는 위패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134)은 더불어 사용자의 목소리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사망후 사용자 목소리 정보를 사용하여 인공지능(AI) 기반의 가족과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필사 자료 관리 모듈(136)은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사 원문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필사 원문으로는 불교의 경전인 법화경, 지장전, 금강경, 반야심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필사 자료 관리 모듈(136)은 이들 필사 원문들을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인도어, 일본어 등과 같이 언어별로 구비할 수 있다. 필사 원문에는 기독교나 천주교 등에서 사용하는 성경이나 사도 신경과 같은 기도문들이 각 언어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밖에 필사 원문에는 시나 소설과 같은 문학을 비롯한 종교, 인문, 과학, 교양 등을 막론한 다양한 고전 작품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필사 원문은 필사 자료 데이터베이스(137)에 저장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접속된 사용자들의 이름, 주소, 법명,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 및 각 사용자들의 필사 이력(History)을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는 사용자 관리 모듈(134)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필사 이력을 제공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필사 원문을 연속적으로 필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는 사용자 관리 모듈(134)의 제어에 따라 필사 완료본을 저장하여 원패로 봉안한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봉안된 원패는 사용자가 사망한 후에는 위패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는 음성 기반의 필사본이 저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소리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는 사용자의 사망후 사용자 목소리 정보를 사용자 관리 모듈(134)에 제공하여 인공지능(AI) 기반의 가족과의 대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필사 자료 데이터베이스(137)는 전자 필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필사 원문을 저장한다. 필사 자료 데이터베이스(137)는 불교의 경전인 법화경, 지장전, 금강경, 반야심경, 기독교의 성경이나 기도문 등의 필사 원문을 저장한다. 필사 원문들은 다양한 언어별로 필사 자료 데이터베이스(137)에 저장될 수 있다. 필사 원문은 여기의 개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문학 작품을 비롯한 종교, 인문, 과학, 교양 등의 작품들이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필사 시스템(100, 도 1 참조)에 접속하여 이전 접속시에 종료된 페이지나 부분에서부터 필사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10, 도 1 참조)을 통해서 사용자가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그러면, 필사 관리 서버(130, 도 1 참조)는 웹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 정보를 수신한다.
S120 단계에서, 필사 관리 서버(130)는 접속한 사용자가 이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기존 사용자인지 아니면 새로운 사용자인지에 따라 동작 분기를 수행한다.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이전 접속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전의 접속 이력이 없는 사용자인 경우(아니오 방향), 절차는 S135 단계로 이동한다. 반면, 사용자가 이전에도 접속한 적이 있는 기존 사용자라면(예 방향), 절차는 S130 단계로 이동한다.
S130 단계에서,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필사 이력을 불러온다. 즉, 필사 관리 서버(130)는 접속한 사용자가 이전 접속에서 필사가 중지되었던 페이지 또는 라인을 읽어와 사용자 단말(110)의 웹페이지 상에 표시할 것이다.
S135 단계에서, 필사 관리 서버(130)는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새로운 사용자나 이력이 초기화된 사용자로 판단하고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즉, 필사 관리 서버(130)는 이력이 초기화되거나 처음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 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할 것이다.
S140 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필사 원문을 필사 실행 페이지에 베껴쓰는 필사 입력을 수행할 것이다. 이때, 필사 관리 서버(130)는 필사된 내용들에서 필사 원문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오류 체크 또는 오탈자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필사 원문과 다른 용어나, 띄어쓰기, 문법 오류 등을 필사된 문장에서 언더라인이나 체크 마크, 또는 형광 표시 등의 형태로 오탈자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오탈자 마크는 여기의 개시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S150 단계에서,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필사 입력 중에 현재까지의 필사 이력을 저장하는지 모니터링한다. 즉, 필사 관리 서버(130)는 필사 실행 페이지에 표시된 저장 버튼의 사용자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저장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예 방향), 절차는 필사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S160 단계로 이동한다. 반면, 저장 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방향), 사용자의 필사를 계속 진행하기 위한 S140 단계로 복귀한다.
S160 단계에서,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필사를 실행한 페이지나 라인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필사 이력으로 업데이트한다. 즉, 사용자가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최초 접속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필사 실행 진도를 최초로 기록하게 될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이전에도 접속하여 필사를 실행한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필사 관리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의 이전 필사 이력을 현재의 필사 이력으로 업데이트할 것이다.
S170 단계에서,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필사 서비스를 종료했는지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닫거나, 로그아웃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필사 서비스를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한 경우에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필사 서비스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용자가 필사 서비스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필사 서비스는 종료될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저장 버튼만 클릭하고 계속하여 필사를 계속하는 경우, 절차는 S140 단계로 복귀한다.
이상에서는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필사 관리 서버(130)의 기능은 웹페이지를 활용하는 실시 예를 대상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10)에서 구동되는 전자 필사를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 가능함을 잘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110)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웹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최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시작 페이지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개인정보 입력창(150)은 사용자가 이름과 생년월일을 입력하기 위한 창이다. 개인정보 입력창(15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입력하고, 처음 사용자 또는 기존 사용자에 따라 하부의 새로 시작 버튼(151)과 불러오기 버튼(152)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도록 안내하는 문구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새로 시작 버튼(151)을 클릭하는 경우,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새로운 사용자나 이력이 초기화된 사용자로 판단하고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초기화된 사용자는 후술하게 될 '전자 사경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필사 관리 서버(130, 도 3 참조)는 이력이 초기화되거나 처음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 도 3 참조)에 항목으로 생성하고 저장할 것이다.
사용자가 불러오기 버튼(152)을 클릭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 도 3 참조)에서 이름과 생년월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필사 이력이 검색되고 읽혀진다. 그리고 접속한 사용자가 이전 접속에서 작성 중이던 내용(페이지 또는 라인)이 사용자 단말(110)의 웹페이지 상에 표시될 것이다.
언어 선택 버튼(153a)은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다. 언어 선택 버튼(153a)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언어들의 리스트가 팝업되고, 필사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모든 텍스트를 전환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언어 선택이 한국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검색창(153b)은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나 문장을 필사 원문에서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검색창(153b)에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화면의 좌측 새로 팝업창이 생성되고 검색 결과들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검색 결과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화면은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여 필사 원문과 필사 페이지를 나란히 표시할 것이다.
페이지 이동 버튼들(154a, 154b)은 현재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들이다. 시작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 이동 버튼(154a)을 클릭하는 경우, 시작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페이지 이동은 차단된다. 하지만, 시작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 이동 버튼(154b)을 클릭하는 경우, 시작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가 책장 넘김 표시와 함께 표시될 것이다. 시작 페이지는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나, 시작 페이지를 넘기면 이후부터는 2개 페이지로 표시될 것이다.
화면의 하단에는 복수의 화면 제어 버튼들(155a, 155b, 155c, 156a, 156b, 157a, 157b, 158, 159a, 159b, 159c)이 표시된다. 확대/축소 버튼(155a)은 해당 페이지를 특정 비율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처음 확대/축소 버튼(155a)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가 확대되고, 다시 한번 클릭하면 이전의 화면으로 축소된다. 이러한 기능은 시력이 약한 사용자들이 쉽게 필사 원문을 읽을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리보기 버튼(155b)은 현재 페이지를 중심으로 복수의 페이지들을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미리보기 버튼(155b)을 클릭하면 현재 페이지와, 복수의 이전 페이지들, 그리고 복수의 다음 페이지들이 축소되어 화면의 중앙에 배열된다. 미리보기 기능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미리보기 페이지에 표시된 'X'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목차보기 버튼(155c)은 필사 원문 전체의 목차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목차보기 버튼(155c)을 클릭하면, 화면 좌측 또는 우측에 필사 원문 전체의 목차 리스트가 창으로 표시된다. 목차보기 기능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목차 리스트에 표시된 'X'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시작/종료 페이지 이동 버튼들(156a, 156b)은 현재 페이지에서 시작 또는 종료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들이다. 시작 페이지 이동 버튼(156a)을 클릭하면, 현재 페이지에서 시작 페이지로 이동한다. 물론, 종료 페이지 이동 버튼(156b)을 클릭하면, 현재 페이지에서 마지막 페이지에 해당하는 종료 페이지로 이동한다.
페이지 이동 버튼들(157a, 157b)은 현재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들이다. 즉, 페이지 이동 버튼들(157a, 157b)을 클릭하는 경우, 페이지 이동 버튼들(154a, 154b)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페이지 표시창(158)은 전체 페이지들 중에서 현재 페이지의 위치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전체 페이지 수가 882 페이지인 경우, 시작 페이지는 '1/882' 형태로 표시된다. 2개 페이지가 나타나는 화면에서는 페이지 표시창(158)에는 '2-3/882'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자동 넘김 버튼(159a)은 페이지들이 특정 시간을 간격으로 자동으로 페이지 넘김하도록 제어하는 버튼이다. 자동 넘김 버튼(159a)을 클릭하면, 현재 페이지에서부터 측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2초)으로 자동적으로 페이지 넘김이 진행된다. 자동 넘김 기능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자동 넘김 버튼(159a)을 한 번 더 클릭하면 된다.
전체 화면 버튼(159b)은 웹페이지의 북마크나 아이콘, 제어창이 표시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모니터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전체 화면 버튼(159b)을 클릭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복귀하기 위해는 전체 화면 버튼(159b)을 한번 더 클릭하면 된다.
텍스트 선택 버튼(159c)은 필사 원문의 텍스트를 복사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정상 모드에서는 필사 원문을 텍스트로 복사하는 것이 불가하지만, 텍스트 선택 버튼(159c)을 클릭하면 필사 원문에 대한 선택 및 복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에서의 버튼들의 배열과 위치가 간략히 설명되었다. 하지만, 버튼들의 종류나 위치는 도시된 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필사 서비스 접속시 웹페이지의 초기 화면들을 보여준다. 도 6a 내지 도 6i를 참조하면, 제 1 페이지에서부터 필사 페이지 이전까지의 초기 웹페이지들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의 제 1 페이지(1/882)는, 전자 필사 서비스를 위한 도 5의 시작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이름과 생년월일을 입력한 후에 새로 시작 버튼(151, 도 5 참조) 또는 불러오기 버튼(152)을 클릭하면 나타난다. 제 1 페이지에는 사용자의 주소나 성명, 또는 법명이 나타날 수 있다.
도 6b는 페이지 이동 버튼들(154a, 154b) 또는 페이지 이동 버튼들(157a, 157b)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해 책의 오른편 에지 부분(160)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좌측으로 드레그(Drag)하면, 책장이 넘어가는 영상이 표시되고, 이후 다음 페이지로 이동된다.
도 6c는 제 2 내지 3 페이지(2-3/882)를 보여주는 웹페이지 화면이다. 시작 페이지(1/882)는 하나의 페이지로 표시되지만, 제 2 페이지 이후에는 2개 페이지가 하나의 웹페이지 화면에서 표시될 것이다. 제 3 페이지에서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필사 또는 사경을 시작한 일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d는 웹페이지의 제 4 내지 5 페이지(4-5/882)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웹페이지의 제 4 내지 5 페이지(4-5/882)에서는 출간 인사가 소개되어 있다. 이밖에도 추천사나 다양한 인사말이 추가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도 6e는 웹페이지의 제 6 내지 7 페이지(6-7/882)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제 6 내지 7 페이지(6-7/882)에서는 전자 필사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권장 사용과 지원되는 웹 브라우저, 필사를 위한 입력과 편집 방법, 특수 문자의 입력 방법, 그리고 전자 사경 또는 필사 이력의 초기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 사경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접속된 사용자의 모든 필사 이력이 삭제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필사 이력의 불러오기가 불가하게 되고, 시작 화면에서 새로 시작 버튼(151)을 사용하여 서비스에 접속해야 한다.
도 6f는 웹페이지의 제 8 내지 9 페이지(8-9/882)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웹페이지의 제 8 내지 8 페이지(8-9/882)에서는 각각 사경 또는 필사의 정의나 유익을 설명하고, 사경시 주의 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도 6g는 웹페이지의 제 10 내지 11 페이지(10-11/882)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웹페이지의 제 10 내지 11 페이지(10-11/882)에서는 전자 사경의 필사 원문의 목차가 소개된다.
도 6h는 임의의 웹페이지에서 미리보기 버튼(155b)을 클릭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준다. 미리보기 버튼(155b)을 클릭하면, 화면의 중앙에 현재 페이지의 이전 그리고 이후의 복수 페이지들이 미리 보기로 축소되어 배열된다. 미리보기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6i는 임의의 웹페이지에서 목차보기 버튼(155c)을 클릭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준다. 목차보기 버튼(155c)을 클릭하면, 화면의 좌측에 목차 리스트가 상하 순서로 배열된다. 그리고 목차들에 대한 검색창도 제공될 수 있다. 배열된 목차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목차의 시작 페이지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목차 리스트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리스트 상측의 'X'자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도 7a 내지 도 7b는 웹페이지의 필사 실행 페이지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필사 실행 페이지에 진입하면, 좌측에는 필사 원문이 표시되고, 우측은 필사 입력 페이지가 도시된다. 필사 입력 페이지의 하단에는 '저장'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사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사한 현재 페이지 또는 줄에 대한 필사 이력 정보가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되고, 이러한 필사 이력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의 스토리지(114)나 필사 관리 서버(13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될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좌측의 필사 원문을 우측의 필사 입력 페이지에 기입한 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필사 입력 페이지에는 필사된 내용에 대한 오탈자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필사된 내용 중에서 필사 원문과 다른 부분이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110)의 필사 입력 페이지 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붉은색 언더라인이나 형광 마크 등을 이용하여 필사된 내용 중에 오류가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부분을 다시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수정이 완료되면, 오탈자 표시는 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필사 원문의 '계셨다'는 단어를 필사 입력시 '있었다'로 기입하면, 오탈자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필사 원문의 '없으며'는 필사 입력시 '있으며'로 기입되어 오류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오탈자 마크를 확인하고 편집 기능을 사용하여 필사 원문과 동일한 단어로 수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웹페이지의 뒷부분 화면들을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 878 페이지에서부터 최종 페이지까지의 후기 웹페이지들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의 제 878 내지 879 페이지는 필사 입력이 가능한 마지막 페이지들에 해당한다. 도 8a의 제 878 내지 879 페이지에서 필사 입력을 마치고 페이지 이동 버튼을 클릭하면 도 8b의 제 880 내지 881 페이지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8b의 제 880 내지 881 페이지는 2개 페이지가 나타나는 최종 페이지에 대응한다. 페이지 이동 버튼들(154a, 154b, 157a, 157b) 또는 마우스 드레그를 통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면, 단일 페이지만 도시되는 도 8c의 마지막 페이지가 나타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관리되는 전자 필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페이지의 버튼이나 아이콘의 구성이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특정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추가 또는 제거될 수도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도 9는 도 3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는 사용자의 필사 이력과 함께 필사 완료본(135a)이 원패 또는 위패로 봉안될 수 있다. 전자 사경 보관함(135b)에는 전자 필사 시스템(100)에 접속된 사용자들 각각의 필사중인 전자 사경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필사가 완료되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는 필사가 완료된 필사 완료본(135a)은 원패(願牌)로 저장(봉안)된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 봉안된 원패는 사용자가 사망한 후에는 위패(位牌)로 사용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에는 음성 기반의 필사본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소리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5)는 이를 위해 목소리 저장소(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망후 사용자의 목소리 정보는 사용자 관리 모듈(134, 도 3 참조)에 제공하여 인공지능(AI) 기반의 가족과의 대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 단말 및 필사 관리 서버를 통해 전자 필사 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필사 관리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필사 이력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사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전자 필사 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페이지의 필사 실행 페이지는 필사 원문이 표시되는 필사 원문 페이지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필사 입력 페이지가 표시되고,
    상기 필사 입력 페이지의 하단에는 저장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저장 버튼을 클락하면 사용자가 필사한 현재 페이지의 줄에 대한 필사 이력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스토리지나 상기 필사 관리 서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필사 이력과 함께 필사 완료본이 원패 또는 위패로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의 전자 사경 보관함에는 상기 전자 필사 시스템에 접속된 사용자들 각각의 필사 중인 전자 사경들이 저장되고,
    필사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필사가 완료된 필사 완료본은 원패로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패는 사용자가 사망한 후에는 위패로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음성 기반의 필사본이과 사용자의 목소리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사망후 사용자의 목소리 정보는 사용자 관리 모듈에 제공하여 인공지능(AI) 기반의 가족과의 대화 서비스를 지원하고,
    상기 웹페이지는 각각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시작 페이지 및 최종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페이지에서 다음 페이지로 이동시 2개 페이지로 확장되어 표시되고,
    상기 웹페이지에는 언어 선택 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언어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복수의 언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웹페이지 상의 텍스트들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언어로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언어들은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인도어, 그리고 일본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필사 원문의 텍스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신하는 텍스트 음성 변환(TTS) 모듈;
    점자 입력으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점자 키보드; 그리고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필사 입력 페이지로의 기록을 지원하는 음성 텍스트 변환(STT)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36740A 2021-10-14 2021-10-14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4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40A KR102544285B1 (ko) 2021-10-14 2021-10-14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40A KR102544285B1 (ko) 2021-10-14 2021-10-14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341A KR20230053341A (ko) 2023-04-21
KR102544285B1 true KR102544285B1 (ko) 2023-06-14

Family

ID=8609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740A KR102544285B1 (ko) 2021-10-14 2021-10-14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41B1 (ko) * 2023-09-04 2024-01-16 주식회사 에이디자인그룹 디지털 경전에 대한 필사를 체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496A (ja) * 2000-10-18 2002-04-23 Navitas Co Ltd 位牌への印字システム
KR102175340B1 (ko) * 2019-07-31 2020-11-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유아를 위한 교육용 ar 어플리케이션 및 그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932U (ko) 2010-10-20 2012-04-30 김영동 성경필사
KR102224500B1 (ko) * 2018-03-23 2021-03-08 주식회사 포지큐브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 호스트 캐릭터를 이용한 대화형 고객 응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259B1 (ko) 2018-12-20 2019-11-06 최세용 전자책을 이용하는 독서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711979B1 (ja) * 2019-06-07 2020-06-17 株式会社セルシス 書籍表示プログラム及び書籍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496A (ja) * 2000-10-18 2002-04-23 Navitas Co Ltd 位牌への印字システム
KR102175340B1 (ko) * 2019-07-31 2020-11-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유아를 위한 교육용 ar 어플리케이션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341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6738B2 (en) Computer device,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utilizing sequenced symbols to enable programmed application and commands
US8031943B2 (en) Automatic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of embedded text regions in images during information transfer
US8538757B2 (en) System and method of a list commands utility for a speech recognition command system
KR101149982B1 (ko) 키보드를 사용한 아시아 언어 입력
US8122424B2 (en) Automatic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during information transfer
US8886521B2 (en) System and method of dictation for a speech recognition command system
US7719521B2 (en) Navigational interface providing auxiliary character support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TWI305314B (en) Zhu yin symbol and tone mark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080409A1 (en) Formula input method using a computing medium
JPH05324702A (ja) 情報処理装置
van Esch et al. Writing across the world's languages: Deep internationalization for Gboard, the Google keyboard
KR102544285B1 (ko)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461228B (zh) 电子装置及其文字输入界面显示方法
JP5959072B2 (ja) 入力文字列に関連付けられた変換候補を表示する方法、その電子装置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並びに電子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用プログラム
CN105683891A (zh) 通过手势来输入声调和音符符号
Dasgupta et al. VoiceMail architecture in desktop and mobile devices for the Blind people
JP5674140B2 (ja) テキスト入力装置、テキスト入力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09498B2 (ja) 音声入力装置
JP5442212B2 (ja) 電子機器
JP2008217770A (ja) 言語データ表示システム、言語データ表示方法、及び言語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JP2018072509A (ja) 音声読み上げ装置、音声読み上げシステム、音声読み上げ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63418B1 (ko)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문서의 하이퍼 링크 처리 방법
Hart-Davis et al. Learning Common Tools Across the Office Suite
Ubul et al. The design and realization of unicode based minorities character online processing system
JP200316776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