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595A -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595A
KR20090085595A KR1020097008923A KR20097008923A KR20090085595A KR 20090085595 A KR20090085595 A KR 20090085595A KR 1020097008923 A KR1020097008923 A KR 1020097008923A KR 20097008923 A KR20097008923 A KR 20097008923A KR 20090085595 A KR20090085595 A KR 20090085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ipe
joint
gripping
thre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the rings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more than one ring per pipe end being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12)는, 조인트 본체(1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1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15)을 구비하고 있다.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전에 있어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파지 부품(1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즉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린다.

Description

관 조인트{PIPE JOINT}
본 발명은, 조인트 본체에 체결 부재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배관을 조인트 본체에 접속하는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동 장치,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등에 있어서,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배관의 접속부에는, 여러 가지의 관 조인트,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플레어 조인트 및 파고 들어감식 조인트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레어 조인트 및 파고 들어감식 조인트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에 체결 부재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된다. 즉, 플레어 조인트에서는,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조인트 본체와 체결 부재 사이에 배관이 끼워져 지지되고, 이에 의해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된다. 파고 들어감식 조인트에서는,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파고 들어감부가 배관으로 파고 들어가고, 이에 의해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 본체에 체결 부재가 나사식 결합될 때에는, 체결 부재의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체결 공구로 체결 부재가 조여지는 체결 작업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배관이 접속되어 냉매가 유통되는 사용 시에 있어서는, 조인트 본체와 체결 부재가 체결된 채 그대로이다. 따라서, 일단 체결된 체결 부재에 대해 스패너, 렌치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가 이용됨으로써, 누구라도 조인트 본체와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을 간단히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떼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3-74768호 공보
그런데, 최근, 냉동 장치의 냉매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프레온가스는, 대기로 방출된 경우에 오존층의 파괴, 지구 온난화 등의 폐해를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그 때문에, 프레온가스의 취급은 해마다 엄격해져 오고 있다. 최근에는, 배관에 있어서 관 조인트에 의해 접속된 부분을, 프레온 회수기를 사용하지 않은 비전문가의 손에 의해 간단히 떼어낼 수 없도록 해야 한다라는 생각이 확산되어져 오고 있다. 이 때문에, 배관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와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할 수 없도록 관 조인트를 구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이 일단 접속된 관 조인트에 대해 일반적인 체결 공구가 사용됨으로써, 조인트 본체와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할 수 없도록 하여, 프레온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조인트 본체에 체결 부재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배관을 조인트 본체에 접속하는 관 조인트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을 조인트 본체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과,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 시에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전에 있어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배관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는 것은,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상태를 말하고, 파지 부품이 나사식 결합 부품으로부터 떼어져 나사식 결합 부품과 완전히 분리되는 상태뿐만 아니라,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지만 파지 부품이 나사식 결합 부품에 대해 공전하는 것과 같은 상태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전에 있어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의, 개별적으로 형성된 부품끼리가 결합되어 있다.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배관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즉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그 때문에, 배관이 접속된 후는,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배관이 일단 접속된 관 조인트에 대해 일반적인 체결 공구가 사용됨으로써,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갑작스러운 대기 중으로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어, 관 조인트는 프레온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양 부품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마찰력에 저항하여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이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관이 접속된 후에는,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맞닿음면의 마찰계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마찰력을 변경하여,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회전 토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한쪽에 설치되어 나사식 결합 시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갖는 축부가,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다른 쪽에 설치된 구멍에 압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부의 외주면과 구멍의 둘레면의 마찰력을, 축부의 구멍으로의 압입 정도에 따라 컨트롤할 수 있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양 부품의 맞닿음면에서의 접착에 의해 결합된다. 이 경우,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접착력에 저항하여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이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관이 접속된 후에는,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을 결합하는 접착력을 조절함으로써,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회전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1 나사부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2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의 회전 방향은,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1 나사부에 의한 체결 부재와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후, 제2 나사부에 의한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이 이완되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관이 접속된 후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의 동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2 나사부에 의한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을 이완하여 파지 부품을 나사식 결합 부품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제1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자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3 나사부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4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의 회전 방향은,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의 회전 방향과 동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3 나사부에 의한 체결 부재와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후, 제4 나사부가 파손되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관이 접속된 후에는, 제4 나사부의 파손에 의해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제3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이 파손되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관이 접속된 후에는, 파지 부품의 파손에 의해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품은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체결 공구로부터의 회전 토크의 부가에 의해 파지 부품이 용이하게 파손된다.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 조인트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조인트 본체 또는 체결 부재에 형성된 캠면과 맞닿음으로써 배관을 향해 변형되는 환상(環狀)의 페룰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페룰이 배관의 표면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페룰을 이용한 파고 들어감식 조인트에 있어서도,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인트 본체는, 상기 체결 부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제1 원뿔면을 갖고,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조인트 본체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제2 원뿔면을 갖는다. 이 경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되어 제1 원뿔면과 제2 원뿔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플레어 조인트에 있어서도, 배관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와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조인트 본체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너트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b)는 나사식 결합 부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c)는 파지 부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너트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b)는 나사식 결합 부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c)는 파지 부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너트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b)는 나사식 결합 부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c)는 파지 부품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다.
도 8(a)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너트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b)는 도 9(a)의 9b-9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 페룰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페룰이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d)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 배관의 접속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 배관의 접속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 배관의 접속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c)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관 조인트(1)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관 조인트(1)는, 예를 들면 냉동 장치 또는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의 냉매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파고 들어감 조인트이며, 배관(10)이 접속되는 조인트 본체(11)와, 조인트 본체(1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1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설치된 배관 접속구(11a)에는, 접속되 는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관 조인트(1)는, 배관의 접속 시에 배관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환상의 페룰(13)을 구비하고 있다. 페룰(13)은, 배관(10)의 접속 전에는 너트(12)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너트(12)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룰(13)의 전단부(13a) 및 후단부(13b)는, 너트(12)의 수나사부가 조인트 본체(11)의 암나사부(11c)에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에 의해, 조인트 본체(11)에 삽입된 배관(10)이 조인트 본체(11)에 접속된다. 도시 생략하지만, 조인트 본체(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너트(12)가 나사식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예를 들면 고정 배관이 접속되어 있고, 이 고정 배관과 배관(10)의 연통 상태가 유지된다.
너트(12)는, 조인트 본체(1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1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체결 공구, 예를 들면 스패너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15)을 구비하고 있다.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전에 있어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14) 및 파지 부품(1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은,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즉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조인트 본체(11)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조인트 본체(11)는, 배관(10)이 삽입되는 배관 접속구(11a)와, 배관 접속구(11a)를 형성하는 원환부(11b)와, 상기 너트의 수나사부가 나사식 결합되는 암나사부(11c)와, 조인트 본체(11)의 외주에 형성된 너트부(11d)를 갖고 있다.
배관 접속구(11a)는 원형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배관 접속구(11a)에 삽입되는 배관(1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갖고 있다. 원환부(11b)의 내주면에 있어서 배관 접속구(11a)의 입구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캠면(11e)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11e)은, 너트(12)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너트(12)가 조인트 본체(11)에 나사식 결합되어 페룰(13)이 조인트 본체(11)를 향해 가압될 때, 이 캠면(11e)은, 페룰(13)의 전단부(13a)를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가게 하도록 가이드한다. 암나사부(11c)는, 조인트 본체(11)에 있어서 원환부(11b)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내벽(11f)에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11d)는 6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공구로 조인트 본체(11)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a)∼(c)는, 너트(12)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배관(10)의 접속 작업 전에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부품(14) 및 파지 부품(15)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내주에는, 페룰(13)이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 결합 부품(14)은, 조인트 본체의 암나사부와 나사식 결합하는 수나사부(14a)와, 페룰(13)이 연결되는 내벽(14b)과, 배 관(10)의 외주면(10b)을 유지하는 유지구멍(14c)과, 파지 부품(15)이 결합되는 구멍(14d)을 갖고 있다.
수나사부(14a)는,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1)에 대향하는 외주면(14e) 상에 형성되어 있다. 내벽(14b)은, 외주면(14e)을 형성하는 원통부의 내주에 위치하고 있다. 내벽(14b)에는, 박육 연결부(13e)를 통해 페룰(13)이 접속되어 있다. 유지구멍(14c)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내주면에 있어서 파지 부품(15)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구멍(14c)은 원형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되는 배관(1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갖고 있다. 유지구멍(14c)의 둘레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절삭부(14f)가 설치되어 있다. 절삭부(14f)의 바닥면에는, 페룰(13)이 배관(10)으로 파고 들어갈 때에 페룰(13)을 가압하는 가압면(14g)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면(14g)은,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페룰(13)을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직경 방향에 따라 안쪽으로 가압하도록, 조인트 본체(11)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구멍(14d)은,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있어서 파지 부품(15)에 대향하는 단부에,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의 너트(12)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가짐과 더불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페룰(13)은, 너트(1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너트(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너트(12)의 취급 시에 페룰(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페룰(13)은, 배관(10)으로 파고 들어가는 전단부(13a) 및 후단부(13b)와, 전단부(13a)가 배관(10)으로 파고 들어갈 때에 조인트 본체(11)의 캠 면(11e)에 밀착되는 밀착면(13c)과, 배관(10)에 대향하는 내주면(13d)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내벽(14b)에 접속되는 박육 연결부(13e)를 갖고 있다.
전단부(13a)는, 페룰(13)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1)에 대향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후단부(13b)는, 페룰(13)에 있어서 절삭부(14f)에 대향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밀착면(13c)은, 조인트 본체(11)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져 있다. 밀착면(13c)의 경사각은, 조인트 본체(11)의 캠면(11e)의 경사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페룰(13)이 조인트 본체(11)를 향해 가압되었을 때에, 전단부(13a)가 캠면(11e)에 맞닿아 배관(10)을 향해 가이드된다.
내주면(13d)은 원형 구멍을 구성하고 있고, 이 원형 구멍은 배관(1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갖고 있다. 내주면(13d)에는 오목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3f)에 의해,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페룰(13)이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가압되었을 때에, 페룰(13)이 대략 산형상으로 변형되어 후단부(13b)가 배관(10)으로 파고 들어가기 쉬워진다.
박육 연결부(13e)는, 페룰(13)의 절삭부(14f)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박육 연결부(13e)에 있어서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는 얇게 설정되어 있고, 박육 연결부(13e)는,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축 방향을 따른 힘이 부여되면 용이하게 절단된다. 박육 연결부(13e)가 절단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절단면은,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가압면(14g)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페룰(13)이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가압된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15)은, 이 파지 부품(15)의 외주에 형성된 너트부(15a)와, 배관(10)의 외주면(10b)을 유지하는 유지구멍(15b)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에 결합되는 축부(15c)를 갖고 있다.
너트부(15a)는 6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공구로 너트(12)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구멍(15b)은, 파지 부품(15)과 동 축의 원형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되는 배관(1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갖고 있다. 축부(15c)는,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나사식 결합 부품(14)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축부(15c)는,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의 너트(12)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15)의 축부(15c)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에 압입됨으로써, 나사식 결합 부품(14) 및 파지 부품(15)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즉,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파지 부품(15)은, 축부(15c)와 구멍(14d)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대한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맞닿음면, 즉 나사식 결합 부품(14) 및 파지 부품(15)이 마찰력에 저항하여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린다.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릴 때에 파지 부품(15)에 부여되는 회전 토크의 상기 소정치는, 파지 부품(15)의 회전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 할 때의 회전 토크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는,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려,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회전 토크의 상기 소정치는, 축부(15c)의 외주면과 구멍(14d)의 둘레면의 마찰력, 즉 축부(15c)의 구멍(14d)으로의 압입 정도에 따라 컨트롤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하여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1)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d)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를 이용하여 배관(10)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1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15)의 유지구멍(1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유지구멍(1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11)의 배관 접속구(1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11)의 너트부(1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15)이 회전하여,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1)의 암나사부(11c)에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수나사부(1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13)의 전단부(13a)가 조인트 본체(11)의 캠면(11e)에 맞닿고,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전단부(13a)의 캠면(11e)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관 조인트(1)의 축 방향을 따라 페룰(13)의 박육 연결부(13e)에 가해지는 전단력이 커져, 박육 연결부(13e)는 절단된다. 페룰(13)의 박육 연결부(13e)의 절단에 의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13)이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부품(1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파지 부품(15)이 회전하여 너트(12)가 나사식 결합되면, 페룰(13)의 전단부(13a)가 조인트 본체(11)의 캠면(11e)에 맞닿고, 또한 박육 연결부(13e)의 절단에 의해 생긴 페룰(13)의 절단면(13g)에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가압면(14g)이 맞닿는다. 페룰(13)은,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14g)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13)의 전단부(13a)가 캠면(1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페룰(13)에 있어서의 절단면(13g)을 포함하는 후단부(13b)는,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가압면(14g)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도 4(c) 상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13)의 전단부(13a) 및 후단부(13b)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10)의 조인트 본체(11)로의 접속이 완료한다. 이 때, 페룰(13)의 전단부(13a)와 배관(10)의 외주면(10b)의 사이, 및 페룰(13)의 밀착면(13c)과 조인트 본체(11)의 캠면(11e)의 사이가 밀폐되어,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페룰(13)의 후단부(13b)가 배 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10)의 파지가 보다 강고하게 행해진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15)이 더 회전하면, 너트(1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15)의 축부(15c)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의 결합이 풀려,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15)이 나사식 결합 부품(1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는 이하의 이점을 갖고 있다.
(1)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너트(12)는, 조인트 본체(1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1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전에 있어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14) 및 파지 부품(1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즉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는,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관(10)이 일단 접속된 관 조인트(1)에 대해 일반적인 체결 공구를 사용 함으로써,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배관(10)을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는, 갑작스러운 대기 중으로의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어, 프레온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
(2)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12)를 구성하는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은, 양 부품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이 마찰력에 저항하여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관(10)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맞닿음면의 마찰계수를 조절함으로써 마찰력을 변경하여, 결합이 풀리는 회전 토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12)를 구성하는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은, 파지 부품(15)의 축부(15c)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에 압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이 때문에, 축부(15c)의 외주면과 구멍(14d)의 둘레면의 마찰력을, 축부(15c)의 구멍(14d)으로의 압입 정도에 따라 컨트롤 할 수 있어, 파 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리는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는, 너트(12)의 조인트 본체(1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캠면(11e)과 맞닿음으로써 배관(10)을 향해 변형되는 환상의 페룰(13)을 구비하고 있다. 페룰(13)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10)이 조인트 본체(1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페룰(13)을 이용한 파고 들어감식 조인트에 있어서도,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파지 부품(15)의 결합을 푸는 것에 의해, 배관(10)이 접속된 상태로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5)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페룰(13)은, 너트(12)의 나사식 결합 부품(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관(10)의 접속 시에 페룰(13)을 개별적으로 장착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배관(10)의 접속까지의 사이에, 비교적 작은 부품인 페룰(13)이 분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5(a)∼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너트를 구성하는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 양태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고,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조인트 본체 및 너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제2∼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 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2)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21)와, 조인트 본체(2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22)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21)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1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너트(22)는, 조인트 본체(2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2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너트(2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25)을 구비하고 있다.
도 5(a)∼(c)는, 너트(22)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배관(10)의 접속 작업 전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22)의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너트(22)의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내주에는, 페룰(23)이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 결합 부품(24)은, 조인트 본체의 암나사부와 나사식 결합하는 수나사부(24a)와, 파지 부품(25)이 결합되는 암나사부(24d)를 갖고 있다. 암나사부(24d)는, 나사식 결합 부품(24)에 있어서 파지 부품(25)에 대향하는 단부에, 너트(2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의 너트(22)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가짐과 더불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24d)의 나사홈은,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25)의 회전 방향이,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조인트 본체(21)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나사부(24a)는 오른나사에 형성되고, 암나사부(24d)는 왼나사에 형성되어 있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25)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암나사부(24d)에 나사식 결합되는 수나사부(25c)를 갖고 있다. 수나사부(25c)는, 파지 부품(25)에 있어서 나사식 결합 부품(24)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나사식 결합 부품(24)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너트(2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의 너트(22)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25c)는,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암나사부(24d)와 동일하게 왼나사에 형성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25)의 수나사부(25c)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암나사부(24d)에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나사식 결합 부품(24) 및 파지 부품(25)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21)의 암나사부(21c) 및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수나사부(24a)는 제1 나사부를 구성하고 있고, 파지 부품(25)의 수나사부(25c) 및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암나사부(24d)는 제2 나사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5(b) 및 도 5(c)에 있어서, 제1 나사부가 오른나사에 구성되고 제2 나사부가 왼나사에 구성되어 있지만, 제1 나사부가 왼나사에 구성되고 제2 나사부가 오른나사에 구성되어도 된다.
제2 나사부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25)의 수나사부(25c)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암나사부(24d)의 나사식 결합은, 나사식 결합 부품(24)으로의 파지 부품(25)의 나사식 결합이 이완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느슨해져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25) 및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나사식 결합 이 느슨해질 때에 파지 부품(25)에 부여되는 회전 토크의 상기 소정치는, 파지 부품(25)의 회전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할 때의 회전 토크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트(2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는, 파지 부품(25)과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결합이 풀려 파지 부품(2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2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너트(22)의 조인트 본체(2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1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21) 및 너트(2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 또한 파지 부품(25)의 동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파지 부품(2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제2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25) 및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나사식 결합이 이완되어 파지 부품(25)과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조인트 본체(21)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2)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d)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2)를 이용하여 배관(10)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2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25)의 유지구멍(2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유지구멍(2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21)의 배관 접속구(2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21)의 너트부(2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25)이 회전하여,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1)의 암나사부(21c)에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수나사부(24a)가 나사 식 결합된다.
너트(2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23)의 전단부(23a)가 조인트 본체(21)의 캠면(21e)에 맞닿고, 너트(2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전단부(23a)의 캠면(21e)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페룰(23)의 박육 연결부(23e)가 절단되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23)이 나사식 결합 부품(2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파지 부품(25)이 회전하여 너트(22)가 나사식 결합되면, 페룰(23)의 전단부(23a)가 조인트 본체(21)의 캠면(21e)에 맞닿고, 또한 박육 연결부(23e)의 절단에 의해 생긴 페룰(23)의 절단면(23g)에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가압면(24g)이 맞닿는다. 페룰(23)은, 너트(2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24g)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23)의 전단부(23a)가 캠면(2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페룰(23)의 후단부(23b)는,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가압면(24g)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23)의 전단부(23a) 및 후단부(23b)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관 조인트(2)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2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25)이 더 회전하면, 너트(2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2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25)의 수나사부(25c)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암나사부(24d)의 나사식 결합이 이완되어,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25)이 나사식 결합 부품(2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21)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21)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2)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 (4) 및 (5)에 더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고 있다.
(6)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너트(22)를 구성하는 파지 부품(25)과 나사식 결합 부품(24)은, 제2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25)과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25)의 회전 방향은,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조인트 본체(21)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너트(22)의 조인트 본체(2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1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21)와 너트(2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 파지 부품(25)의 또한 동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파지 부품(2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제2 나사부에 의한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의 나사식 결합이 이완되어 파지 부품(25)과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25)의 동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2 나사부에 의한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파지 부품(25)을 나사식 결합 부품(24)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 파지 부품(2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 합 부품(2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관(10)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제1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21)와 나사식 결합 부품(2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7(a)∼도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3)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31)와, 조인트 본체(3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32)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31)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1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너트(32)는, 조인트 본체(3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3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너트(3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35)을 구비하고 있다.
도 7(a)∼(c)는, 너트(32)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배관(10)의 접속 작업 전에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파지 부품(3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너트(32)의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내주에는, 페룰(33)이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 결합 부품(34)은, 조인트 본체의 암나사부와 나사식 결합하는 수나사부(34a)와, 파지 부품(35)이 결합되는 암나사부(34d)를 갖고 있다. 암나사부(34d)는, 나사식 결합 부품(34)에 있어서 파지 부 품(35)에 대향하는 단부에, 너트(3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의 너트(32)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가짐과 더불어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34d)의 나사홈은, 나사식 결합 부품(24)과 파지 부품(25)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25)의 회전 방향이,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조인트 본체(31)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회전 방향과 동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나사부(24a) 및 암나사부(24d)는 모두 오른나사에 형성되어 있다.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35)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암나사부(34d)에 나사식 결합되는 수나사부(35c)를 갖고 있다. 수나사부(35c)는, 파지 부품(35)에 있어서 나사식 결합 부품(34)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나사식 결합 부품(34)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너트(3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의 너트(32)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갖고 있다. 수나사부(35c)는,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암나사부(34d)와 동일하게 오른나사에 형성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35)의 수나사부(35c)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암나사부(34d)에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나사식 결합 부품(34) 및 파지 부품(35)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31)의 암나사부(31c) 및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수나사부(34a)는 제3 나사부를 구성하고 있고, 파지 부품(35)의 수나사부(35c) 및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암나사부(34d)는 제4 나사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7(b) 및 도 7(c)에 있어서, 제3 나사부 및 제4 나사부가 모두 오른나사에 구성되어 있지만, 제3 나사부 및 제4 나사부가 모두 왼나사에 구성되어도 된다.
제4 나사부는, 나사식 결합 부품(34)으로의 파지 부품(35)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 나사식 결합 부품(34)에 파지 부품(35)이 체결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손되어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파지 부품(35)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나사부가 파손될 때에 파지 부품(35)에 부여되는 회전 토크의 상기 소정치는, 파지 부품(35)의 회전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할 때의 회전 토크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트(3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는, 파지 부품(35)과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결합이 풀려 파지 부품(3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3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제4 나사부에 있어서 파손되는 부위는, 파지 부품(35)의 수나사부(35c)만 또는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암나사부(34d)만이어도 되고, 수나사부(35c) 및 암나사부(34d)의 양쪽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너트(32)의 조인트 본체(3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3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31)와 너트(3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 파지 부품(3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제4 나사부가 파손되어 파지 부품(35)과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조인트 본체(31)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3)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d)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3)를 이용하여 배관(10)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배관(10)이 조인트 본 체(3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35)의 유지구멍(3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유지구멍(3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31)의 배관 접속구(3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31)의 너트부(3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35)이 회전하여,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31)의 암나사부(31c)에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수나사부(3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3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33)의 전단부(33a)가 조인트 본체(31)의 캠면(31e)에 맞닿고, 너트(3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전단부(33a)의 캠면(31e)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페룰(33)의 박육 연결부(33e)가 절단되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33)이 나사식 결합 부품(3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너트(32)가 나사식 결합되면, 페룰(33)의 전단부(33a)가 조인트 본체(31)의 캠면(31e)에 맞닿고, 또한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가압면(34g)이 페룰(33)의 절단면(33g)에 맞닿는다. 페룰(33)은, 너트(3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34g)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33)의 전단부(33a)가 캠면(3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페룰(33)의 후단부(33b)는,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가압면(34g)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33)의 전단부(33a) 및 후단부(33b)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관 조인트(3)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3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35)이 더 회전하면, 너트(3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3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제4 나사부, 즉 파지 부품(35)의 수나사부(35c)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암나사부(34d)가 파손되어,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35)이 나사식 결합 부품(3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31)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31)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3)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 (4) 및 (5)에 더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7)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너트(32)를 구성하는 파지 부품(35)과 나사식 결합 부품(34)은, 제4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35)과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파지 부품(35)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35)의 회전 방향은, 나사식 결합 부품(34)과 조인트 본체(31)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회전 방향과 동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너트(32)의 조인트 본체(3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3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31)와 너트(3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 파지 부품(3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제4 나사부가 파손되어 파지 부품(35)과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파지 부품(3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3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관(10)이 접속된 상태로, 제3 나사부에 의한 조인트 본체(31)와 나사식 결합 부품(3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9(a)∼도 10(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4)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41)와, 조인트 본체(4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42)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41)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1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너트(42)는, 조인트 본체(4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4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44)과, 너트(4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45)을 구비하고 있다.
도 9(a)는, 너트(42)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배관(10)의 접속 작업 전에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 결합 부품(44)과 파지 부품(4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너트(42)의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내주에는, 페룰(43)이 나사식 결합 부품(4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 부품(45)은 수지에 의해 형성됨과 더불어, 너트(42)의 축 방향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41)에 대향하는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9(b)는, 도 9(a)의 9b-9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나사식 결합 부품(44)과 파지 부품(45)은, 파지 부품(45)의 내주에 형성된 구멍(45d)이, 나사식 결합 부 품(44)의 외주에 형성된 축부(44h)에 접착, 압입 등으로 고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있다. 파지 부품(45)의 외주에는 너트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45a)는 6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조인트 본체(41)로의 너트(4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공구로 너트(42)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지에 의해 형성된 파지 부품(45)은, 파지 부품(45)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지 부품(45)이 파손되는 상태란, 스패너 등의 공구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될 정도로 파지 부품(45)이 파괴되어 파지 부품(45)이 나사식 결합 부품(44)으로부터 떼어져 버리는 상태를 말한다. 파지 부품(45)이 파손될 때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의 상기 소정치는, 파지 부품(45)의 회전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할 때의 회전 토크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트(4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는, 파지 부품(45)이 파손되어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4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너트(42)의 조인트 본체(4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 파지 부품(4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파지 부품(45)이 파손되어 파지 부품(45)과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조인트 본체(41)와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4)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d)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4)를 이용하여 배관(10)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41)에 접속될 때는, 우선,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유지구멍(4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41)의 배관 접속구(4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41)의 너트부(4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45)이 회전하여,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41)의 암나사부(41c)에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수나사부(4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4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33)의 전단부(43a)가 조인트 본체(41)의 캠면(41e)에 맞닿고, 너트(4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전단부(43a)의 캠면(41e)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페룰(43)의 박육 연결부(43e)가 절단되어,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43)이 나사식 결합 부품(4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너트(42)가 나사식 결합되면, 페룰(33)의 전단부(43a)가 조인트 본체(41)의 캠면(41e)에 맞닿고, 또한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가압면(44g)이 페룰(43)의 절단면(43g)에 맞닿는다. 페룰(43)은, 너트(4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44g)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43)의 전단부(43a)가 캠면(4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페룰(43)의 후단부(43b)는,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가압면(44g)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43)의 전단부(43a) 및 후단부(43b)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관 조인트(4)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4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45)이 더 회전하면, 너트(4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4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45)이 파손되어,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 결합 부품(44)으로부터 파지 부품(45)이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41)와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41)와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4)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 (4) 및 (5)에 더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고 있다.
(8)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너트(42)의 조인트 본체(4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 파지 부품(45)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하면, 파지 부품(45)이 파손되어 파지 부품(45)과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결합이 풀린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후에는 파지 부품(4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4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관(10)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41)와 나사식 결합 부품(4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9)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부품(45)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로부터 상기 소정치를 넘는 회전 토크가 부가됨으로써, 파지 부품(45)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1(a)∼(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페룰이 너트와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 분리된 페룰이 너트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구성, 및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서로 결합하는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과 동일하다. 제5 실시 형태는, 관 조인트의 구성이 간소화된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11(a)∼(d)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5)를 이용하여 배관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배관(1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관 조인트(5)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관 조인트(5)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51)와, 조인트 본체(5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5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52)는, 조인트 본체(5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5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54)과, 너트(5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55)을 갖고 있다. 파지 부품(55) 및 나사식 결합 부품(54)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파지 부품(5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즉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 파지 부품(55)과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너트(52)의 나사식 결합 부품(54)에는, 배관(10)의 접속 시에 배관(1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환상의 페룰(53)이 나 사식 결합 부품(5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관 조인트(5)의 조인트 본체(51)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11)에 있어서 원환부(11b)와 내벽(11f)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었던 슬릿이 생략되어 있다. 즉,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캠면(51e)에 인접하는 위치에 암나사부(51c)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52)의 나사식 결합 부품(54)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있어서 페룰(13)의 박육 연결부(13e)로부터 조인트 본체(11)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었던 원통부가 생략되어 있다. 즉,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53)이 너트(52)로부터 그 축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인트 본체(51) 및 너트(52)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관 조인트(5)를 그 직경 방향 및 축 방향에 있어서 용이하게 콤팩트화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 조인트(5)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5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55)의 유지구멍(5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유지구멍(5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51)의 배관 접속구(5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51)의 너트부(5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55)이 회전하여,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51)의 암나사부(51c)에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수나사부(5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5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53)의 전단부(53a)가 조인트 본체(51) 의 캠면(51e)에 맞닿고, 너트(5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전단부(53a)의 캠면(51e)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페룰(53)의 박육 연결부(53e)가 절단되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53)이 나사식 결합 부품(5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파지 부품(55)이 회전하여 너트(52)가 나사식 결합되면, 페룰(53)의 전단부(53a)가 조인트 본체(51)의 캠면(51e)에 맞닿고, 또한 박육 연결부(53e)의 절단에 의해 생긴 페룰(53)의 절단면(53g)에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가압면(54g)이 맞닿는다. 페룰(53)은, 너트(5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54g)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53)의 전단부(53a)가 캠면(5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페룰(53)의 후단부(53b)는,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가압면(54g)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53)의 전단부(53a) 및 후단부(53b)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관 조인트(5)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5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55)이 더 회전하면, 너트(5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5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55)의 축부(55c)와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구멍(54d)의 결합이 풀려,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55)이 나사식 결합 부품(5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51)와 나 사식 결합 부품(5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51)와 나사식 결합 부품(5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5)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5)와 동일한 이점을 갖고 있다. 또,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5)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의 구성에 비해 간소화되어 있으므로, 관 조인트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2(a)∼(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페룰이 너트와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 분리된 페룰이 너트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구성, 및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서로 결합하는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과 동일하다. 제6 실시 형태는, 조인트 본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너트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12(a)∼(d)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6)를 이용하여 배관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배관(1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관 조인트(6)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관 조인트(6)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61)와, 조인트 본체(6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6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62)는, 조인트 본체(6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 관(10)을 조인트 본체(6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64)과, 너트(6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65)을 갖고 있다. 파지 부품(65) 및 나사식 결합 부품(64)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파지 부품(6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65)과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너트(62)의 나사식 결합 부품(64)에는, 배관(10)의 접속 시에 배관(1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환상의 페룰(63)이 나사식 결합 부품(6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관 조인트(6)의 조인트 본체(61)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11)에 있어서의 암나사부(11c) 대신에 수나사부(61c)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61c)는, 배관 접속구(61a)를 형성하는 원환부(61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11)에 있어서 원환부(11b)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었던 원통부는 생략되어 있다. 너트(62)의 나사식 결합 부품(64)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있어서의 수나사부(14a) 대신에 암나사부(64a)가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부(64a)는, 페룰(63)이 연결되는 내벽(64b)에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61c)와 암나사부(64a)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조인트 본체(61)와 너트(62)가 체결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6)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6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65)의 유지구멍(6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유지구멍(64c)에 배관(10)이 삽입 관 통되어 조인트 본체(61)의 배관 접속구(6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61)의 너트부(6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65)이 회전하여,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61)의 수나사부(61c)에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암나사부(6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6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63)의 전단부(63a)가 조인트 본체(61)의 캠면(61e)에 맞닿고, 너트(6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전단부(63a)의 캠면(61e)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페룰(63)의 박육 연결부(63e)가 절단되어,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63)이 나사식 결합 부품(6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너트(62)가 나사식 결합되면, 페룰(63)의 전단부(63a)가 조인트 본체(61)의 캠면(61e)에 맞닿고, 또한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가압면(64g)이 페룰(63)의 절단면(63g)에 맞닿는다. 페룰(63)은, 너트(6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64g)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63)의 전단부(63a)가 캠면(6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페룰(63)의 후단부(63b)는,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하는, 가압면(64g)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63)의 전단부(63a) 및 후단부(63b)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관 조인트(6)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6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65)이 더 회전하면, 너트(6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 지 부품(6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65)의 축부(65c)와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구멍(64d)의 결합이 풀려,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65)이 나사식 결합 부품(6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61)와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61)와 나사식 결합 부품(6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5)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3(a)∼(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된 페룰이 너트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구성, 및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서로 결합하는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과 동일하다. 제7 실시 형태는, 페룰이 조인트 본체와 일체로 설치되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13(a)∼(d)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7)를 이용하여 배관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배관(1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관 조인트(7)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관 조인트(7)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71)와, 조인트 본체(7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 트(7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72)는, 조인트 본체(7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7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74)과, 너트(7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75)을 갖고 있다. 파지 부품(75) 및 나사식 결합 부품(74)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파지 부품(7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75)과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관 접속구(71a)를 형성하는 원환부(71b)에 있어서 너트(72)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배관(10)의 접속 시에 배관(1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환상의 페룰(73)이 조인트 본체(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73)은 원환부(71b)로부터 너트(72)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페룰(73)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너트(72)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73h)이 형성되어 있다. 페룰(73)의 외주면은, 테이퍼면(73h)의 정상에 위치하는 정상부(73i)로부터 원환부(71b)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대략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73)의 축 중심에는, 배관(10)이 끼워져 삽입되는 관통구멍(73j)이 형성되어 있다. 페룰(73)의 내주면에는, 페룰(73)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산형상을 갖는 오목부(73k)가 설치되어 있다. 페룰(73)의 원환부(71b)에 대향하는 단부는, 조인트 본체(71)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박육 연결부(73l)를 통해 원환부(71b)에 연결되어 있다. 박육 연결부(73l)에 있어서, 원환부(71b)에 대향하는 단부의 내주면에는 절삭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삭부에 있 어서, 페룰(73)이 배관(10)으로 파고 들어갈 때에 페룰(73)을 너트(72)를 향해 가압하는, 조인트 본체(71)의 가압면(71g)과, 페룰(73)의 후단면(73m)이, 조인트 본체(7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너트(72)의 나사식 결합 부품(74)은, 조인트 본체(51)에 대향하는 유지구멍(74c)의 단부의 내주면 상에 캠면(74i)을 구비하고 있다. 캠면(74i)은 조인트 본체(71)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고,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74i)의 중간에 위치하는 개소에, 너트(72)의 축 중심과 평행한 평행구멍면(74j)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캠면(74i)은, 소경 경사면(74k), 평행구멍면(74j), 및 대경 경사면(74l)의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행구멍면(74j)의 직경은, 페룰(73)의 정상부(73i)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7)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7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75)의 유지구멍(7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유지구멍(7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71)의 배관 접속구(7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71)의 너트부(7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75)이 회전하여,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71)의 암나사부(71c)에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수나사부(7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7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캠면(74i)이 페룰(73)의 테이퍼면(73h)에 맞닿고, 너트(7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캠면(74i)의 테이퍼면(73h)으로의 가압력이 커진다. 이에 의해 페룰(73)의 박육 연결부(73l)가 절단되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73)이 조인트 본체(71)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파지 부품(75)이 회전하여 너트(72)가 나사식 결합되면,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캠면(74i)이 페룰(73)의 테이퍼면(73h)에 맞닿고, 또한 페룰(73)의 후단면(73m)이 조인트 본체(71)의 가압면(71g)에 맞닿는다. 페룰(73)은, 너트(7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가압면(71g)으로부터 나사식 결합 부품(74)을 향하는 가압력을 받는다. 이 때, 전단부(73n)가 소경 경사면(74k)에 의해 가압됨과 더불어, 정상부(73i)가 평행구멍면(74j)에 의해 조인트 본체(7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73)의 전단부(73n) 및 후단부(73o)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에 의해, 페룰(73)의 후단부(73o)와 배관(10)의 외주면(10b)의 사이, 및 페룰(73)의 후단면(73m)과 조인트 본체(71)의 가압면(71g)의 사이가 밀폐되어,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 페룰(73)의 전단부(73n)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10)의 파지가 보다 강고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조인트(7)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7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75)이 더 회전하면, 너트(7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7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75)의 축부(75c)와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구멍(74d)의 결합이 풀려,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75)이 나사식 결합 부품(7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71)와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71)와 나사식 결합 부품(7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4)에 더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0)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페룰(73)은, 조인트 본체(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관(10)의 접속 시에 페룰(73)을 개별적으로 장착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배관(10)의 접속까지의 사이에, 비교적 작은 부품인 페룰(73)이 분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4(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페룰이 너트와 일체로 설치되고, 페룰이 배관으로 파고 들어갈 때에 있어서도 페룰이 너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관 조인트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14(a)∼(c)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8)를 이용하여 배관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배관(1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관 조인트(8)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관 조인트(8)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81)와, 조인트 본체(8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 트(8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82)는, 조인트 본체(8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8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84)과,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85)을 갖고 있다. 파지 부품(85) 및 나사식 결합 부품(84)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파지 부품(8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85)과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너트(82)의 나사식 결합 부품(84)에는, 배관(10)의 접속 시에 배관(1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환상의 페룰(83)이 나사식 결합 부품(8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페룰(83)은,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유지구멍(84c)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81)에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있어서 유지구멍(14c)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었던 절삭부(14f), 및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페룰(13)에 있어서 내주면(13d)에 형성되어 있었던 오목부(13f)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8)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81)에 접속될 때는, 우선, 파지 부품(85)의 유지구멍(8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유지구멍(84c)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81)의 배관 접속구(8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81)의 너트부(8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85)이 회전하여,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81)의 암나사부(81c)에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수나사부(8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8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83)의 전단부(83a)가 조인트 본체(81)의 캠면(81e)에 맞닿는다. 그리고,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8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페룰(83)의 전단부(83a)는 캠면(81e)으로 가이드되어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와 같이 페룰(83)의 전단부(83a)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관 조인트(8)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8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85)이 더 회전하면, 너트(8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8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85)의 축부(85c)와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구멍(84d)의 결합이 풀려,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85)이 나사식 결합 부품(8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81)와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81)와 나사식 결합 부품(8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5)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5(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페룰이 너트 또는 조인트 본체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단독 부품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관 조인트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제9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 트(6)에 있어서 페룰이 단독 부품으로 되어 있고,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15(a)∼(c)는,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9)를 이용하여 배관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배관(1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관 조인트(9)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관 조인트(9)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91)와, 조인트 본체(9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9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92)는, 조인트 본체(9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9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94)과, 너트(9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95)을 갖고 있다. 파지 부품(95) 및 나사식 결합 부품(94)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파지 부품(9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95)과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 조인트(9)는, 배관(10)의 접속 시에 배관(1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환상의 페룰(9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페룰(93)은 조인트 본체(91)와 너트(92)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조인트 본체(9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축 중심에 관통구멍(96a)을 갖는 프론트 페룰(96)과, 너트(9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축 중심에 관통구멍(97a)을 갖는 백 페룰(97)로 구성되어 있다.
유지구멍(94c)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91)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백 페룰(97)을 가압하는 가압면(94m)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면(94m)은, 너트(92)의 나사식 결합 시에 백 페룰(97)의 후단부(97b)를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가압하도록, 조인트 본체(91)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져 있다.
백 페룰(97)의 선단부(97c)에는, 프론트 페룰(96)의 후단부(96b)를 조인트 본체(91)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가압하도록, 선단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97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 작용에 의해 백 페룰(97)의 선단부(97c)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선단부(97c)는 조인트 본체(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페룰(96)의 후단부(96b)에는, 백 페룰(97)의 테이퍼면(97d)에 밀접하는 테이퍼면(96c)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페룰(96)의 선단부(96d)에는, 조인트 본체(91)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96e)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9)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91)에 접속될 때에는, 우선, 파지 부품(95)의 유지구멍(95b)과,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유지구멍(94c)과, 프론트 페룰(96) 및 백 페룰(97)의 관통구멍(96a, 97a)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조인트 본체(91)의 배관 접속구(91a)에 배관(10)의 선단부(10a)가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91)의 너트부(91d)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95)이 회전하여,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91)의 수나사부(91c)에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암나사부(9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9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페룰(97)이 가압면(94m)에 의해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직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가압되 어, 선단부(97c)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동시에, 백 페룰(97)의 테이퍼면(97d)과 프론트 페룰(96)의 테이퍼면(96c)의 압접에 의해, 프론트 페룰(96)의 선단부(96d)가 조인트 본체(91)의 캠면(91e)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테이퍼면(96e)이 캠면(91e)에 밀접함과 더불어 선단부(96d)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에 의해, 프론트 페룰(96)의 선단부(96d)와 배관(10)의 외주면(10b)의 사이, 및 프론트 페룰(96)의 테이퍼면(96e)과 조인트 본체(91)의 캠면(91e)의 사이가 밀폐되어,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또, 백 페룰(97)의 선단부(97c)가 배관(10)의 외주면(10b)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10)의 파지가 보다 강고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조인트(9)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9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95)이 더 회전하면, 너트(9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9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95)의 축부(95c)와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구멍(94d)의 결합이 풀려,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95)이 나사식 결합 부품(9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91)와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91)와 나사식 결합 부품(9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4)와 동일한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관 조인트(9)는 2개의 독립한 페룰(96, 97)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높은 시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6(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관 조인트로 구체화한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가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된 배관이 접속되는, 이른바 플레어 조인트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도 16(a)∼(c)는,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00)를 이용하여 배관이 접속될 때의 접속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배관(1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관 조인트(1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관 조인트(100)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101)와, 조인트 본체(101)에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너트(102)를 구비하고 있다. 너트(102)는, 조인트 본체(101)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10)을 조인트 본체(101)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104)과, 너트(102)의 나사식 결합 시에 스패너 등의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105)을 갖고 있다. 파지 부품(105) 및 나사식 결합 부품(104)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파지 부품(105)의 회전 토크가 배관(10)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105)과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결합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101)는, 그 축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101a)과, 너트(102)의 나사식 결합 부품(104)이 나사식 결합되는 수나사부(101b)와, 외주에 형성된 너트부(101c)를 갖고 있다. 조인트 본체(101)는, 관통구멍(101a)에 있어서 너트(102) 에 대향하는 단부에, 너트(102)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제1 원뿔면(101d)을 갖고 있다. 제1 원뿔면(101d)은, 너트(102)의 조인트 본체(10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된 배관(10)의 단부(10c)의 내주면과 밀착한다.
너트(102)의 나사식 결합 부품(104)은, 조인트 본체(101)의 수나사부(101b)와 나사식 결합하는 암나사부(104a)와,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축 중심에 형성되어 배관(10)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04b)을 갖고 있다. 관통구멍(104b)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01)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조인트 본체(101)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제2 원뿔면(104c)을 갖고 있다. 제2 원뿔면(104c)은, 너트(102)의 조인트 본체(101)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된 배관(10)의 단부(10c)의 외주면과 밀착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100)를 이용한 배관(10)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10)이 조인트 본체(101)에 접속될 때에는, 우선, 파지 부품(105)의 축 중심에 형성된 유지구멍(105b) 및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관통구멍(104b)에 배관(10)이 삽입 관통되어, 배관(10)의 단부(10c)가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101)의 너트부(101c)가 유지된 상태로 파지 부품(105)이 회전하여,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01)의 수나사부(101b)에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암나사부(104a)가 나사식 결합된다.
너트(102)의 나사식 결합에 따라,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10)의 단부(10c)가 제1 원뿔면(101d)과 제2 원뿔면(104c)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에 의해, 조인트 본체(101)의 제1 원뿔면(101d)과 배관(10)의 단부(10c)의 사이, 및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제2 원뿔면(104c)과 배관(10)의 단부(10c)의 사이가 밀폐되어,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조인트(100)는, 배관(10)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배관(10)을 조인트 본체(101)에 접속한다.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파지 부품(105)이 더 회전하면, 너트(102)가 이미 체결되어 있으므로, 파지 부품(105)의 회전 토크가 커져 상기 소정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품(105)의 축부(105c)와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구멍(104d)의 결합이 풀려,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 부품(105)이 나사식 결합 부품(104)으로부터 떼어진다. 이 때문에, 스패너 등의 일반적인 체결 공구의 사용에 의해 조인트 본체(101)와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조인트 본체(101)와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는, 제1 실시 형태의 상기 이점 (1)∼(3)에 더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1)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100)에서는, 너트(102)의 조인트 본체(101)로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된 단부(10c)가 조인트 본체(101)의 제1 원뿔면(101d)과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제2 원뿔면(104c)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에 의해, 배관(10)이 조인트 본체(10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레어 조인트에 있어서도, 배관(10)의 접속 완료 후에 나사식 결합 부품(104)과 파지 부품(105)의 결합을 푸는 것에 의해, 배관(10)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101)와 나사식 결합 부품(104)의 나사식 결합을 용 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변경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너트(12)를 구성하는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은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양 부품이 맞닿음면에서 서로 접착됨으로써 결합되어도 된다.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이 접착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파지 부품(15)의 축부(15c)의 외주면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의 둘레면이 접착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배관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이 접착력에 저항하여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린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12)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10)의 접속이 완료한 후에는,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려 파지 부품(15)의 회전 토크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배관(10)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조인트 본체(11)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양 부품을 결합하는 접착력을 조절함으로써,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결합이 풀리는 회전 토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은, 파지 부품(15)의 축부(15c)의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으로의 압입에 의한 축 부(15c)와 구멍(14d)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형태이면, 다른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파지 부품(15)의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대향하는 측면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파지 부품(15)에 대향하는 측면이, 스프링 등의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 너트(12)의 축 방향을 따라 압접되어, 양 측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이 결합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 부품(15)의 축부(15c)가 나사식 결합 부품(14)의 구멍(14d)에 압입되어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 대신에, 나사식 결합 부품(14)에 형성된 축부가 파지 부품(15)에 형성된 구멍에 압입되어 파지 부품(15)과 나사식 결합 부품(14)이 결합되어도 된다. 또,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 부품(25, 35)의 수나사부의, 나사식 결합 부품(24, 34)의 암나사부로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파지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 대신에, 파지 부품(25, 35)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나사식 결합 부품(24, 34)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이 결합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부품(45)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체결 공구로부터 상기 소정치를 넘는 회전 토크가 부가됨으로써 파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파지 부품(45)이 수지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5∼10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제1 실시 형태의 결합 양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제2∼ 4 실시 형태에 따른 각 결합 양태에 의해 결합되어도 된다.
제1∼7 실시 형태에서는, 페룰이 조인트 본체 또는 너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페룰이 조인트 본체 또는 너트에 접착, 압입 등에 의해 접합되고, 그 접합부가 너트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절단되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인트 본체 및 너트에 각각 설치되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서로 교체되어 있다. 제2∼5, 제7 및 8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도,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서로 교체되어도 된다. 또, 제9 및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 있어서도, 조인트 본체 및 너트에 각각 설치되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서로 교체되어도 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배관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페룰(93)로서 2개의 페룰(96, 97)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1개의 페룰만이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조인트 본체의 일단부에만 배관이 접속되어 있지만, 조인트 본체의 타단부에도 상기 일단부와 동일한 구성에 의해 배관이 접속되어도 된다. 또, 조인트 본체에 3개 이상의 배관 접속구가 설치되고, 유체가 합류 또는 분기하는 개소에 관 조인트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의 구성은, 냉동 장치에 이용되는 냉매 배관끼리의 접속부, 및 폐쇄밸브에 있어서의 배관의 접속부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는, 배관 내에 물이 흐르는 급수 배관의 접속부, 및 수지로 구성되는 배관의 접속부에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산화탄소 냉매 등의 초임계 냉매, 또는 프로판, 이소부탄 등의 탄화수소 냉매가 유통되는 배관의 접속에,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가 이용되어도 된다.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에서는, 조인트 본체와 너트의 나사식 결합을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거나, 이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배관의 접속부에 고압이 가해지는 경우, 또는 강한 인화성을 갖는 냉매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관 조인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조인트 본체에 체결 부재가 나사식 결합됨으로써 배관을 조인트 본체에 접속하는 관 조인트로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어 배관을 조인트 본체에 접속하는 나사식 결합 부품과, 체결 부재의 나사식 결합 시에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전에 있어서는 나사식 결합 부품과 파지 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있어서,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배관의 접속 완료 시의 회전 토크보다 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양 부품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고,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마찰력에 저항하여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이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한쪽에 설치되어 나사식 결합 시의 회전축과 대략 동 축을 갖는 축부가,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다른 쪽에 설치된 구멍에 압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양 부품의 맞닿음면에서의 접착에 의해 결합되고,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접착력에 저항하여 파지 부품 및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이 상대 이동을 개시하여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1 나사부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2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행해지며,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의 회전 방향은,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 사식 결합 부품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1 나사부에 의한 체결 부재와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후, 제2 나사부에 의한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이 이완되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3 나사부에 의해 행해지고,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은, 그들에 설치된 제4 나사부에 의한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행해지며,
    상기 파지 부품과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파지 부품의 회전 방향은, 나사식 결합 부품과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있어서의 나사식 결합 부품의 회전 방향과 동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제3 나사부에 의한 체결 부재와 조인트 본체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접속이 완료한 후, 제4 나사부가 파손되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의 회전 토크가 상기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파지 부품이 파손되어 파지 부품과 나사식 결합 부품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조인트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기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 시에, 조인트 본체 또는 체결 부재에 형성된 캠면과 맞닿음으로써 배관을 향해 변형되는 환상(環狀)의 페룰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페룰이 배관의 표면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는, 상기 체결 부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제1 원뿔면을 갖고,
    상기 나사식 결합 부품은, 조인트 본체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는 제2 원뿔면을 가지며,
    체결 부재의 조인트 본체로의 나사식 결합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플레어형상 으로 가공되어 제1 원뿔면과 제2 원뿔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배관이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KR1020097008923A 2006-12-12 2007-11-28 관 조인트 KR20090085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4710A JP4124257B2 (ja) 2006-12-12 2006-12-12 管継手
JPJP-P-2006-334710 2006-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95A true KR20090085595A (ko) 2009-08-07

Family

ID=3951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923A KR20090085595A (ko) 2006-12-12 2007-11-28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308576A1 (ko)
EP (1) EP2072875A4 (ko)
JP (1) JP4124257B2 (ko)
KR (1) KR20090085595A (ko)
CN (1) CN101535700B (ko)
AU (1) AU2007330845B2 (ko)
WO (1) WO2008072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8409A (ja) * 2008-07-23 2010-03-04 Daikin Ind Ltd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WO2010068762A1 (en) * 2008-12-10 2010-06-17 Swagelok Company Ferrule assembly for conduit fitting
WO2010150553A1 (ja) * 2009-06-26 2010-1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3076457A (ja) * 2011-09-30 2013-04-25 Daikin Industries Ltd 管接続構造
EP2843284B1 (en) * 2012-04-27 2017-09-13 Nasco Fitting Co., Ltd. Pipe joint, closing valve and loosening tool
WO2017060981A1 (ja) * 2015-10-06 2017-04-13 オーエヌ工業株式会社 銅管と継手の接続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8555A (en) * 1976-09-02 1978-01-17 Hi-Shear Corporation Inherently torque-limited nut
US4159667A (en) * 1977-08-08 1979-07-03 Solitron Devices, Inc. Torque limiting RF connector
US4575274A (en) * 1983-03-02 1986-03-11 Gilbert Engineering Company Inc. Controlled torque connector assembly
JPS6129117U (ja) * 1984-07-26 1986-02-21 貞行 三浦 逆ネジ付きナツト
US4789759A (en) * 1986-03-25 1988-12-06 Amp Incorporated Assembly for an electrical cable providing strain relief and a water-tight seal
JPS6455410A (en) * 1987-04-16 1989-03-02 Dagurasu Uorii Retsukusu Clamping device
US4944534A (en) * 1988-10-03 1990-07-31 Mcneil (Ohio) Corporation Frangible male coupling component
JPH04362391A (ja) * 1991-06-07 1992-12-15 Toyo Fuitsutengu Kk 管継手
SE502627C2 (sv) * 1994-04-25 1995-11-27 Sandvik Ab Anordning för skydd mot överåtdragning av bultar, skruvar och dylikt
SE503488C2 (sv) * 1994-10-17 1996-06-24 Excelsior Dev Inc Fästelement med vridmomentbegränsande funktion
JPH10299739A (ja) * 1997-04-23 1998-11-10 Fuse Rashi:Kk 締結装置
DE19841801C1 (de) * 1998-09-12 2000-05-04 Hewing Gmbh Fitting für ein Rohr
JP3063831U (ja) * 1999-05-12 1999-11-30 日本鉄塔工業株式会社 取付ボルト取外し防止装置
JP2003074768A (ja) * 2001-08-31 2003-03-12 Daikin Ind Ltd 管継手の構造
BR0314309A (pt) * 2002-09-18 2005-07-26 Swagelok Co Encaixe para tubos com anel de aperto e vedante
JP4362391B2 (ja) * 2004-03-08 2009-11-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炉壁形状測定方法及び炉壁形状測定装置
JP2005299814A (ja) * 2004-04-13 2005-10-27 Tooling Media:Kk ボ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30845B2 (en) 2010-11-18
CN101535700A (zh) 2009-09-16
JP4124257B2 (ja) 2008-07-23
JP2008144909A (ja) 2008-06-26
EP2072875A1 (en) 2009-06-24
US20100308576A1 (en) 2010-12-09
EP2072875A4 (en) 2014-03-26
CN101535700B (zh) 2012-02-15
AU2007330845A1 (en) 2008-06-19
WO2008072470A1 (ja)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5595A (ko) 관 조인트
JP5012118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4026666B1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AU2008298279B2 (en) Duplex pipe fitting, exclusive tool for the duplex pipe fitting, refrigeration system employing the duplex pipe fitting, and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KR100983157B1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KR20080059318A (ko) 관 조인트
JP2006515404A (ja) 細管相互連結継手および細管路を支える方法
JP2005036947A (ja) 管継手
KR101062508B1 (ko)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KR101070538B1 (ko)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JPH1130368A (ja) 配管継手
CN101517299B (zh) 管接头、冷冻装置以及热泵式热水装置
NO20121504A1 (no) Kopling og framgangsmate for a tilveiebringe samme
JP4858372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8144908A (ja) 管継手
JP2009085343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998029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4858371B2 (ja) 管継手、冷凍装置、配管接続解除方法
JP2008064202A (ja) 管継手
JPH0814192A (ja) 回転伝達経路のフランジ接合装置
TW202316053A (zh) 管接頭、壓環及管的接合方法
JP4618117B2 (ja) 配管の接続方法、及び管継手
JP2009150443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