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544A - 레일 경화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경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544A
KR20090085544A KR1020090008843A KR20090008843A KR20090085544A KR 20090085544 A KR20090085544 A KR 20090085544A KR 1020090008843 A KR1020090008843 A KR 1020090008843A KR 20090008843 A KR20090008843 A KR 20090008843A KR 20090085544 A KR20090085544 A KR 2009008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olant
hardening
positioning member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567B1 (ko
Inventor
노르베르트 쾨크
한스 파일러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핀 쉰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698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855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핀 쉰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핀 쉰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21B43/003Transfer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21B43/06Cooling beds comprising carri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3Quenching devices for bath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8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for charging, discharging or manipulation of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4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5Rail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21B43/006Transfer from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by immersion in a ba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제 내에 있는 전체 레일 길이에 걸친 개별 레일 횡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냉각함으로써 50m 이사의 길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롤러 테이블의 영역에 있는 가로 이동 부재, 레일을 장치 안으로 보내기 위한 조정 부재 및 조작 그립,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 냉각제가 담긴 각각 하나의 용기 또는 통(tray) 그리고 냉각 베드로 구성된 레일 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은 안정성과 더불어 질적으로 고가의 레일들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조작 그립(3)은 동일하게 성형되어 일직선상에 놓인, 그리고 동일한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집게(30)로 형성되고, 상기 집게는 그립 암(31, 31')을 가지며, 상기 그립 암은 각각 레일 헤드(12)의 축 방향 정렬을 위한 중앙 설정 부분(311, 311') 및 레일 풋의 횡단면을 일직선상에 지지하기 위한 그립 부분(311, 311')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치 결정 부재 내에 레일(1)의 치수 정확한 삽입 및 상기 위치 결정 부재 내에 레일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4)는 현가 방식으로 설치된 레일(1)의 풋(11)을 위한 플랜트(41)를 갖는 수평의 일직선상에 놓여있는 다수 지지 소자(40)를 가지며, 상기 풋(11)은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42) 또는 홀딩 다운 클램프(holding down clamp)에 의해 플랜트(41) 상에서 밀리지 않도록 레일(1)의 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위치 결정 부재(4)를 갖는 2개 이상의 용기(5)는 축 방향으로 평행 하게 나란히 동일한 높이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레일 경화에 이용될 수 있는 냉각제(50)의 일부분은 용기(5) 내에서 최대 레일 프로파일의 높이를 최소한 10%만큼 초과하는 깊이를 갖고 그리고/또는 위치 결정 부재(4)의 모든 소자의 현가 방식 레일(1)의 풋(11)을 위한 용기(5), 플랜트(41) 및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42)은 레일을 냉각제 안에 삽입하기 위해 동시에 수직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제어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레일의 각각의 수직 지지 위치 및 이용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경화 장치 {DEVICE FOR HARDENING RAILS}
본원발명은 레일,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제 내에 있는 전체 레일 길이에 걸친 개별 레일 횡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냉각함으로써 50m 이상의 길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롤러 테이블의 영역에 있는 가로 이동 부재, 레일을 장치 안으로 보내기 위한 조정 부재 및 조작 그립,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 냉각제가 담긴 각각 하나의 용기 또는 통(tray) 그리고 냉각 베드로 구성된 레일 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 후에 냉각 베드로 이동되어 냉각되며, 탄소를 함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저합금 강철로 이루어진 레일들은 예외없이 펄라이트 구조를 가지며, 이 경우 재료는 그에 상응하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특히 축하중이 높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차의 속도가 빠른 경우 그리고 좁은 곡선에서는 레일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특히 열처리를 통해서 구조는 적어도 응력을 받은 레일 헤드가 높은 경도, 높은 마모 내구성을 갖고 균열 형성이 적은, 즉 트랙 내에 있는 레일이 개선된 사용 특성을 갖도록 조정될 수 있다.
레일 냉각시에 구조를 목적한 바대로 형성함으로써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는 스프레이 냉각 장치 순환용으로 그리고 냉각제 내부에 침지할 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 경화를 위한 순환-스프레이 냉각 장치는 일반적으로 간단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불필요한 기술을 요구하며, 또한 생산 중에 레일의 원치 않는 질적 편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그 외에도 종종 순환-스프레이 냉각 장치에서는 설형부-, 그루우브(groove)- 및 평저 레일 등과 같은 변동되는 횡단면 프로파일에 대하여 냉각이 만족할 수준으로 정확하게 매칭될 수 없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횡단면 영역을 냉각할 경우 밀리는 현상은 순환 중에 불균일한 냉각제 공급 및 그로 인해 레일 길이에 걸쳐서 발생하는 재료의 경도 편차로 이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개의 스프레이 부재 간격을 교대로 바꾸기 위해, 레일을 스프레이 템퍼링 할 경우에 레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단지 약간만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은 이미 제안되어 있다.
그 외에, 레일 및/또는 레일 횡단면의 부분을 열적으로 템퍼링하기 위한 장치가 하나 또는 다수의 침지용 용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AT 410 549 B호에 따르면, 높은 압연능력을 갖는 경화된 레일들을 연속으로 제조하는 경우는 롤러 테이블로부터 냉각 장치의 조작기로 그리고 이어서 상기 조작기로부터 냉각 베드의 라이닝 영역 내로 레일을 보내기 위해, 2개 이상의 액체 냉각 장치를 각각 정렬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하고, 압연 라이닝을 갖는 가로 운반 부재를 롤러 테이블의 롤러들 사이에 제공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레일의 처리량의 증가는 템퍼링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압연 프레임으로부터의 배출, 롤러 테이블에서의 레일의 정렬 및 회전은 능동적인 정렬 부재에서는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의 결함을 제거하고 서문에 언급한 종류의 레일 경화 장치,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 경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인해 높은 작업 처리량 및 높은 안정성과 더불어 질적으로 고가의 레일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목표에 상응하는 플랜트는,
- 압연기로부터 배출되는 레일을 신속하게 통과시키기 위한 조작 그립을 가지며, 상기 조작 그립은 레일의 축 방향 정렬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 내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그리고/또는 전송 부재 및/또는 냉각 베드 위로의 배치를 실행해야 하고,
- 밀림 현상 없는 고정을 위한 위치 결정 부재 및/또는
- 위치 결정 부재와 상호 작용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급속 냉각 부재를 구비해야하며, 이 경우
- 헤드 및/또는 횡단면의 다른 부분들 및/또는 레일 전체 표면의 주기적인 침지를 위해, 레일 냉각 과정 중에 플랜트 소자들을 상호 매칭 시킬 수 있는 제어 부재를 가져야 한다.
상기 목적은 동류의 장치에서, 조작 그립이 집게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가 그림 암을 구비하며, 상기 그립 암이 레일 헤드의 축 방향 정렬을 위한 중앙 설정 부재 및 레일 풋의 횡단면을 일직선상에 지지하기 위한 그립 부분들을 구비하고, 위치 결정 부재 내에 레일의 적확한 삽입 및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레일의 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그립으로 달성되는 장점은 실제로 조작 그립의 일직선상에 놓이는 집게들이 중앙 설정 부재 및 그립 부분들을 구비한 그립 암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레일은 집게 부분들의 폐쇄 시에 마지막 압연작업 및 압연 열에서, 즉 재료의 연성 또는 전반적으로 탄성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롤러 테이블에서의 압연 작업 종료 직후에는 우선 헤드 측에서 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어서 레일 풋의 횡단면이 일직선상에 지지되며 이 경우 레일들은 항상 같은 방식으로 축을 따라 회전한 다음 위치 결정 부재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냉각 베드 위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으로 정렬되고 일직선상에 놓이는 레일 풋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 상기 위치 결정 부재 내에서 레일 풋의 위치를 항상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고, 비대칭적인 단면 프로파일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동일한 위치가 보장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레일을 상이한 롤러 테이블-위치, 예를 들어 눕힘 위치들로부터 헤드 측에서 인출하고, 횡단면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지지하며, 축 방향 회전에 의해 위치 결정 부재 내로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기 위해, 집게들은 적어도 공동의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소정의 각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실현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로부터 레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는 집게들의 회전에 의해 레일이 바람직하게 원하는 횡단면-위치에서 전송 부재 위에 및/또는 냉각 베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엄밀하게는 2개 이상의 집게를 갖는 조작 그립이 10m 용기 길이마다 형성되어 있다면, 정렬된 레일의 통과는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 동일한 형태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정지할 수 있는 그립 암을 갖는 집게가 형성되어 있다면, 기능과 관련해서뿐만 아니라 정렬- 및 그립 특성과 관련해서도 유리하다.
조작 그립 및 해당 통과 부재가 롤러 테이블을 지나는 가장 높은 레일 높이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가로로 이동할 수 있고, 집계의 그립 암이 레일의 수용을 위해 롤러 테이블의 롤러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다면, 압연기로부터 인출된 레일과 롤러 테이블 영역의 접촉은 경화 장치 내에서의 레일의 동시 통과와 관련하여 방해받지 않고 유지된다. 이는 레일의 높은 유연성 및 성능 또는 높은 처리량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에서 위치 결정 부재(4)가 현가 방식으로 설치된 레일의 풋을 위한 플랜트를 갖는 수평의 일직선상에 놓여있는 다수의 지지 소자를 가지며, 상기 레일의 풋이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 또는 홀딩 다운 클램프에 의해 플랜트 상에서 밀리지 레일의 축 방향으로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들은,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매우 정확하게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놓인 지지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소자가 2개의 플랜트 및 홀딩 다운 클램프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조작 그립에 의해서 소정의 원하는 위치에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레일 풋을 위한 각각 2개의 플랜트를 가지는 지지 소자 내로 삽입되는 오스테나이트계 구조의 압연 열로부터 인출된 레일은 2개의 고정 부품에 의해 이동- 및 비틀림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상태는 강한 파워가 작용할 경우에도, 예를 들어 레일 헤드의 냉각 단계에서도, 높은 정확성으로 유지된다. 지지 소자 및 홀딩 다운 클램프 또는 레일 풋을 위한 고정 부품이 위치 결정 부재의 세로 연장부 안에 각각 동일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레일 고정 시에는 바람직하게 휨 모멘트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레일이 위치 결정 부재의 한 소자의 레일 풋을 위한 플랜트 및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에 의해 양측에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고, 상기 각 소자들의 나머지 플랜트 및 부품들이 레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로 인해 냉각 또는 열처리 동안에도 레일을 원하는 횡단면-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료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단축은 이동에 의해서 표면 손상없이 이루어진다.
상기 복적은 메인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레일 경화 장치에서, 위치 결정 부재를 갖는 2개 이상의 용기가 축을 따라 평행하게 나란히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레일 경화에 이용될 수 있는 냉각제의 일부분이 용기 내에서 최대 레일 프로파일 높이를 최소한 10%만큼 초과하는 깊이를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의 장점들은 주로 축을 따라 평행하게 놓인 2개 용기를 이용해서 도달하는 경화 장치의 높은 파워 및 특히 유연성, 그리고 제어할 수 있는 위치 결정 부재를 이용한 보편적인 상용 가능성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냉각제 내에 있는 레일의 헤드 또는 작동면과 같은 횡단면 부분들을 연속으로 충분히 냉각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내용에 근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는 냉각제 내에 있는 레일에 대한 다수의 침지 파라미터를 레일 경화 시에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레일 횡단면에 걸쳐서 원하는 구조물 분배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는 바닥 측에 적어도 각각 1.5m 용기 길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유입구를 가지고, 상기 냉각제 유입구를 통하여 각각 조절된 냉각제 흐름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 용기 내에서 냉각제 유입구 상부에는 상기 용기에 대하여 밀폐되고 이격된, 홀이 있거나 또는 관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냉각제의 흐름 방향으로 뒤쪽에는 노즐 또는 채널을 갖는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 의해서는, 횡단면 표면 영역을 위한 냉각제의 국부적 냉각강도가 레일의 길이 연장부에 걸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 결과 경화 레일의 제조 시에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수준의 품질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용기를 단시간에 비우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냉각제용 유도 부재가 용기 내에 및/또는 공급라인 내에 배치되어 있다면, 예를 들 어 방해를 받는 경우에는 가장 짧은 시간 안에 냉각제가 용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레일 경화가 중단된다. 이러한 경화 중단은 장치의 보호 그리고 플랜트 장해의 경우 용기 내에 고정된 레일의 용이한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횡단면에 걸쳐서 상이한 다양한 작용을 미치는 국부적인 냉각강도를 갖는 새로운 레일 경화 장치를 제작하려는 본 발명의 목적은, 현가 방식 레일의 풋을 위한 위치 결정 부재의 모든 소자들의 용기, 플랜트 및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이 레일을 냉각제 내로 삽입하기 위해 동시에 수직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제어되며 이동할 수 있고 개개 수직의 지지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지지 기간을 조정할 수 있음으로 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를 갖는 소정의 구조물 형성체 및 구조물 영역이 레일의 횡단면에 걸쳐서 형성됨으로써, 특이한 하중에 유리하게 형성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와 같은 레일들이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는 레일의 경우에 횡단면에 걸쳐서 헤드 경도 및 기계적인 재료 특성의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해, 위치 결정 부재의 모든 소자의 현가 방식 레일의 풋을 위한 플랜트 및 고정 부품은 동시에 수평으로 용기를 가로지르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발명의 실시예가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레일(1)은 마지막 압연 게이지(도시되지 않음) 내에서 압연작업 후에 롤러 테이블(2) 위로 보내져 가로 이동 부재(21)에 의해서 상기 롤러 테이블 위에 위치가 결정된다.
롤러 테이블(2)에서의 위치에서부터 레일(1)의 수용은 조작 그립(3)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그립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의 길이에 걸쳐서 그립 암(31, 31')을 갖는 다수의 집게(30)를 갖는다. 그립 암(31, 31')은 각각 레일 헤드(12)의 축 방향으로 정렬을 위한 중앙 설정 부분(312, 312') 및 레일 풋(11)에 현가 지지를 위한 그립 부분(311, 31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이한 레일 프로파일들을 도 4에 1Z, 1R 및 1V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30)의 중앙 설정 부분(312, 312')에 의하여 헤드 측으로 축을 따라 정렬하기 위해 플랜지들의 간격은 레일 풋(11)에서부터 그립 암(31, 31')까지 확대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그립(3)은 롤러 테이블(2)에 위치해 있는 레일(1)을 레일 길이에 걸쳐있는 다수의 집계(30)를 이용해서 정확한 위치에서 집어서, 그립 암(31, 31')을 갖는 지지부에 의해 축을 따라 정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집게(30)는 공통으로 중앙 설정 부분(312, 312')을 동시에 고정하는 경우에 기계 공학적으로 형성된 부분들에 의해 레일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어 그리고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측면에 놓여있는 레일이 롤러 테이블(2)에 의해 수용되어,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수평의 풋 면에 의해 현가 위치로 회전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트(41, 41') 상에 있는 위치 결정 부재(4) 내부로 운반될 수 있다.
동일 방법에 따라, 도 1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레일(1, 1')은 롤러 테이블(2) 또는 위치 결정 부재(4)에 의해서 수용될 수 있고, 냉각 베드(6) 또는 전송 부재(6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부재(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레일(1)의 길이에 걸쳐서 플랜트(41, 41')를 구비한 지지 소자(40, 40')를 가지며, 레일(1)은 상기 플랜트 내부로 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품(42, 42')은 플랜트(41, 41') 방향으로 레일 풋(11)의 플랜지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4) 및 냉각제(50)를 갖는 용기(5)는 레일(1)의 경화 과정에서 함께 작용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냉각제(50)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용기(5)가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 경우 레일(1)의 경화에 이용될 수 있는 냉각제(50)의 일부분은 용기(5) 내에서, 냉각액(50)에 레일을 충분히 침지시키기 위한 최대 레일 높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제 유입구(54) 및 냉각제 방향 조정 장치(53)는 용기(5) 내에서 바닥 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경우 레일(1)이 유입될 때 냉각제(50)의 유속의 균일성을 위해 용기(5)의 전체 길이를 지나 관류할 수 있는 플레이트(51) 및/또는 분사 플레이트(52)가 침지 챔버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레일(1) 및 냉각제(50)를 갖는 용기(5)를 위한 위치 결정 부재(4)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호 작용하고 제어 장치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적어도 "횡단면 부분의 침지" 위치에 및/또는 "헤드 경화" 위치에 및/또는 "충분한 침지 경화" 위치에 짧은 기간 동안 위치를 결정될 수 있다.
레일(1)의 상이한 횡단면 프로파일들을 위하여, 즉 도 4에 평저 레일(1V)과 비교해 도시된 집게 레일(1Z) 및 그루우브 레일(1R)을 위하여 헤드 축(x)과 풋 축(y) 사이에서는 축 편차(AZ 및 AR)가 발생할 수 있다. 냉각제(50) 유입 침지 용기(5) 내에서 레일 헤드(12)의 메인 질량을 각각 횡단면 프로파일과 무관하게 중앙에 배치하기 위해, 위치 결정 부재(4) 및 용기(5)의 위치는 축 편차(Az 및 Ax)에 상응하는 수평의 축 평행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며, 텍스트에서 도면 부호가 종속된다.
도 1은 레일 경화 장치를 레일 세로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도시한 횡단면.
도 2는 조작 그립의 집게 안에 있는 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레일 세로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 결정 부재 및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레일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 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부호의 설명※
1. 레일 11. 레일 풋
12. 레일 헤드 1Z. 설형 레일
1R. 그루우브 레일(groove rail) 1V. 평저 레일
y. 풋 중심축 x. 헤드 중심축
A. 축 편차 H. 레일 높이
2. 롤러 테이블 21. 가로 이동 부재
3. 조작 그립 30. 집게
31, 31'. 그립 암 311, 311'. 그립 부분
312, 312'. 중앙 설정 부분 4. 위치 결정 부재
40, 40'. 지지 소자 41, 41'. 플랜트
42, 42'. 고정 부품 5. 용기(탱크)
50. 냉각제 51. 관류 가능한 플레이트
52. 분사 플레이트 53. 냉각제 방향 조정 장치
54. 냉각제 유입구 6. 냉각 베드
61. 전송 부재

Claims (11)

  1. 레일(1),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제 내에 있는 전체 레일 길이에 걸친 개별 레일 횡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냉각함으로써 50m 이상의 길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롤러 테이블(2)의 영역에 있는 가로 이동 부재(21), 레일을 장치 안으로 보내기 위한 조정 부재 및 조작 그립(3),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4), 냉각제가 담긴 각각 하나의 용기(5) 또는 통(tray) 그리고 냉각 베드(6)로 구성된 레일 경화 장치에 있어서,
    조작 그립(3)은 동일하게 성형되어 일직선상에 놓인, 그리고 동일한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집게(30)로 형성되고, 상기 집게는 그립 암(31, 31')을 가지며, 상기 그립 암은 각각 레일 헤드(12)의 축 방향 정렬을 위한 중앙 설정 부분(312, 312') 및 레일 풋(11)의 횡단면을 일직선상에 지지하기 위한 그립 부분(311, 311')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치 결정 부재(4) 내에 레일(1)의 치수 정확한 삽입 및 상기 위치 결정 부재 내에 레일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집게(30)를 갖는 조작 그립(3)이 10m 용기 길이마다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30)는 각각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정지할 수 있는 그립 암(31, 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그립(3) 및 해당 통과 부재는 롤러 테이블(2) 위에서 최대 레일 높이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가로로 이동할 수 있고, 집게(30)의 그립 암(31, 31')은 레일(1)의 수용을 위해 롤러 테이블(2)의 롤러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5. 레일(1),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제 내에 있는 전체 레일 길이에 걸친 개별 레일 횡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냉각함으로써 50m 이상의 길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롤러 테이블(2)의 영역에 있는 가로 이동 부재(21), 레일을 장치 안으로 보내기 위한 조정 부재 및 조작 그립(3),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4), 냉각제가 담긴 각각 하나의 용기(5) 또는 통(tray) 그리고 냉각 베드(6)로 구성된 레일 경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4)는 현가 방식으로 설치된 레일(1)의 풋(11)을 위한 플랜트(41)를 갖는 수평의 일직선상에 놓여있는 다수 지지 소자(40)를 가지며, 상기 풋(11)은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42) 또는 홀딩 다운 클램프에 의해 플랜트(41) 상에서 밀리지 않도록 레일(1)의 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은 위치 결정 부재(4)의 한 소자의 레일 풋(11)을 위한 플랜트(41) 및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42)에 의해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고, 개별 소자들의 나머지 플랜트(41) 및 부품(42)은 레일 길이 방향으로 변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7. 레일(1),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제 내에 있는 전체 레일 길이에 걸친 개별 레일 횡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냉각함으로써 50m 이상의 길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롤러 테이블(2)의 영역에 있는 가로 이동 부재, 레일을 장치 안으로 보내기 위한 조정 부재 및 조작 그립(3),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4), 냉각제가 담긴 각각 하나의 용기(5) 또는 통(tray) 그리고 냉각 베드(6)로 구성된 레일 경화 장치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4)를 갖는 2개 이상의 용기(5)는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동일한 높이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레일 경화에 이용될 수 있는 냉각제(50)의 일부분은 용기(5) 내에서 최대 레일 프로파일의 높이를 최소한 10%만큼 초과하는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용기(5)는 바닥 측에 1.5m 용기 길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유입구를 갖고, 상기 냉각제 유입구를 통하여 조절된 냉각제 흐름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용기(5) 내에서 냉각제 유입구 상부에는 홀이 있거나 또는 관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51)가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냉각제의 흐름 방향으로 뒤쪽에는 채널을 갖는 분사 플레이트(5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9. 제 7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용기(5)를 단시간 동안 비우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냉각용 유도 부재가 용기(5) 내에 및/또는 공급라인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10. 레일(1), 특히 성형된 차량 레일을 경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제 내에 있는 전체 레일 길이에 걸친 개별 레일 횡단면의 적어도 한 부분을 냉각함으로써 50m 이상의 길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상이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롤러 테이블(2)의 영역에 있는 가로 이동 부재, 레일을 장치 안으로 보내기 위한 조정 부재 및 조작 그립(3),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부재(4), 냉각제가 담긴 각각 하나의 용기(5) 또는 통(tray) 그리고 냉각 베드(6)로 구성된 레일 경화 장치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4)의 모든 소자(40)의 현가 방식 레일(1)의 풋(11)을 위한 용기(5), 플랜트(41) 및 해체 가능한 고정 부품(42)은 레일을 냉각제 안에 삽입하기 위해 동시에 수직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제어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레일의 각각의 수직 지지 위치 및 이용 기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4)의 모든 소자의 현가 방식 레일(1)의 풋(11)을 위한 플랜트(41) 및 고정 부품(42)이 동시에 수평으로 용기를 가로지르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경화 장치.
KR1020090008843A 2008-02-04 2009-02-04 레일 경화 장치 KR101221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75/2008 2008-02-04
AT0017508A AT505930B1 (de) 2008-02-04 2008-02-04 Einrichtung zum härten von schie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544A true KR20090085544A (ko) 2009-08-07
KR101221567B1 KR101221567B1 (ko) 2013-01-14

Family

ID=4046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843A KR101221567B1 (ko) 2008-02-04 2009-02-04 레일 경화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8226883B2 (ko)
EP (4) EP2241384B1 (ko)
JP (4) JP5163987B2 (ko)
KR (1) KR101221567B1 (ko)
CN (4) CN101509060B (ko)
AT (4) AT505930B1 (ko)
AU (5) AU2009200367B2 (ko)
BR (4) BR122019018872B1 (ko)
CA (4) CA2742873C (ko)
DK (4) DK2243566T3 (ko)
ES (4) ES2385182T3 (ko)
HR (4) HRP20120492T1 (ko)
PL (4) PL2241384T3 (ko)
PT (4) PT2241384E (ko)
RU (1) RU2388834C1 (ko)
SI (4) SI2085160T1 (ko)
TW (1) TW200946689A (ko)
UA (1) UA9295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907011A (pt) 1998-01-16 2000-10-24 Stefan Wolz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blocos, coroas, pontes, pontes parciais, estruturas para implantes totalmente cerâmicos, ou super estruturas em odontologia
AT505930B1 (de) * 2008-02-04 2009-05-15 Voestalpine Schienen Gmbh Einrichtung zum härten von schienen
ITMI20090892A1 (it) * 2009-05-20 2010-11-21 Danieli Off Mecc Vasca di raffreddamento per rotaie
ITMI20112052A1 (it) * 2011-11-11 2013-05-12 Danieli Off Mecc Vasca di raffreddamento per rotaie
JP5421399B2 (ja) * 2012-01-27 2014-02-19 電気興業株式会社 高周波誘導連続加熱方法及び高周波誘導連続加熱装置
DE102012020844A1 (de) 2012-10-24 2014-04-24 Thyssenkrupp Gft Gleistechnik Gmbh Verfahren zur thermomechanischen Behandlung von warmgewalzten Profilen
CN103736981B (zh) * 2013-12-27 2016-04-27 浙江今飞凯达轮毂股份有限公司 轮毂自动泡水装置
EP3099828B1 (en) * 2014-01-29 2019-01-02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Effective cooling tank for treating pearlitic and bainitic rails
JP6244569B2 (ja) * 2014-02-28 2017-12-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表面加工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表面加工部品の製造装置
CN108221517B (zh) * 2016-12-22 2023-10-20 上海工程技术大学 用于固定中频感应加热正火变压器的仿形定位装置
CN109652617B (zh) * 2017-03-16 2020-07-14 绍兴市寅创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件热处理设备
CN107598578B (zh) * 2017-11-03 2023-09-22 湖南精专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钳子头全自动加工钻孔、打磨加工生产中心
CN110106339A (zh) * 2019-05-15 2019-08-09 宁夏天地奔牛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连续式齿轨高效感应淬火方法
CN112536517B (zh) * 2020-11-20 2022-04-12 安徽腾达钢构有限公司 型钢定位导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43461A (fr) * 1921-11-11 1922-09-04 Cie Des Forges De Chatillon Procédé et appareil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des aciers et en général de tous autres alliages susceptibles de prendre la trempe
GB266730A (en) * 1926-02-23 1927-12-01 Maximilianshuette Eisenwerk Improved process and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heads of railway rails
GB619699A (en) * 1946-07-17 1949-03-14 Petits Fils Francois Wende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railroad rails
US4336924A (en) * 1980-01-21 1982-06-29 Park-Ohio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quenching heated workpieces
JPS63203724A (ja) * 1987-02-19 1988-08-23 Nkk Corp レ−ルの焼入方法
JPH03503967A (ja) 1987-11-27 1991-09-05 クナイスル ダハシュタイン スポルトアルティケル アクツ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シェルと複数の部分より成る靴甲とを備えたスキー靴
DE4003363C1 (en) * 1990-02-05 1991-03-28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es.M.B.H., Linz, At Hardening rails from rolling temp. - using appts. with manipulator engaging rail from exit roller table with support arms positioned pivotably on each side
AT402941B (de) * 1994-07-19 1997-09-25 Voest Alpine Schie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ärmebehandlung von profiliertem walzgut
AT409268B (de) * 2000-05-29 2002-07-25 Voest Alpine Schienen Gmbh & C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ärten von schienen
JP4078100B2 (ja) 2001-09-11 2008-04-2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軌条の熱処理装置における軌条の拘束装置
AT410549B (de) * 2001-09-13 2003-05-26 Voest Alpine Schienen Gmbh & C Vorrichtung zum vergüten von walzgut mit grosser länge
AT505930B1 (de) * 2008-02-04 2009-05-15 Voestalpine Schienen Gmbh Einrichtung zum härten von schie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00892A1 (en) 2011-03-24
US20090200713A1 (en) 2009-08-13
ATE550113T1 (de) 2012-04-15
AU2011200893A1 (en) 2011-03-24
JP5551736B2 (ja) 2014-07-16
DK2241384T3 (da) 2012-07-09
ES2386877T3 (es) 2012-09-04
BR122019018876B1 (pt) 2020-11-24
AU2011200892B2 (en) 2014-06-12
ATE554867T1 (de) 2012-05-15
HRP20120590T1 (hr) 2012-08-31
CN102010969A (zh) 2011-04-13
HRP20120750T1 (hr) 2012-10-31
CA2742949A1 (en) 2009-08-04
JP2012184510A (ja) 2012-09-27
EP2243565A1 (de) 2010-10-27
CN102010970A (zh) 2011-04-13
PL2243566T3 (pl) 2012-11-30
EP2243566B1 (de) 2012-06-27
AU2011200883B2 (en) 2014-12-04
JP2012183589A (ja) 2012-09-27
AU2009200367A1 (en) 2009-08-20
CA2652329A1 (en) 2009-08-04
AU2015203117A1 (en) 2015-07-09
DK2085160T3 (da) 2012-07-30
CN101509060B (zh) 2011-04-20
ES2384441T3 (es) 2012-07-04
JP5551734B2 (ja) 2014-07-16
ATE550112T1 (de) 2012-04-15
TW200946689A (en) 2009-11-16
CN101509060A (zh) 2009-08-19
JP5551735B2 (ja) 2014-07-16
EP2085160B1 (de) 2012-04-25
HRP20120493T1 (hr) 2012-07-31
DK2243566T3 (da) 2012-09-24
EP2241384B1 (de) 2012-03-21
CA2742939A1 (en) 2009-08-04
UA92954C2 (ru) 2010-12-27
PL2243565T3 (pl) 2012-08-31
JP5163987B2 (ja) 2013-03-13
US20120168043A1 (en) 2012-07-05
JP2012193455A (ja) 2012-10-11
EP2243565B1 (de) 2012-03-21
PT2085160E (pt) 2012-06-21
CA2742873A1 (en) 2009-08-04
SI2243566T1 (sl) 2012-10-30
PT2243566E (pt) 2012-10-02
US8557172B2 (en) 2013-10-15
PT2241384E (pt) 2012-04-16
CN102010968B (zh) 2013-11-06
KR101221567B1 (ko) 2013-01-14
CA2742939C (en) 2013-04-02
SI2085160T1 (sl) 2012-07-31
AT505930A4 (de) 2009-05-15
PL2241384T3 (pl) 2012-08-31
CA2652329C (en) 2012-03-27
SI2241384T1 (sl) 2012-05-31
CN102010970B (zh) 2013-04-03
RU2388834C1 (ru) 2010-05-10
AU2011200883A1 (en) 2011-03-24
CA2742949C (en) 2013-04-02
SI2243565T1 (sl) 2012-06-29
US8226883B2 (en) 2012-07-24
HRP20120492T1 (hr) 2012-07-31
CN102010969B (zh) 2022-06-03
PL2085160T3 (pl) 2012-09-28
CN102010968A (zh) 2011-04-13
EP2241384A1 (de) 2010-10-20
AT505930B1 (de) 2009-05-15
EP2243566A1 (de) 2010-10-27
BR122019018872B1 (pt) 2020-11-24
JP2009185385A (ja) 2009-08-20
AU2015203117B2 (en) 2017-06-08
DK2243565T3 (da) 2012-07-09
AU2009200367B2 (en) 2011-03-31
EP2085160A1 (de) 2009-08-05
ES2382728T3 (es) 2012-06-12
PT2243565E (pt) 2012-05-07
BR122019018877B1 (pt) 2020-11-24
CA2742873C (en) 2013-04-02
BRPI0900474A2 (pt) 2009-11-10
ES2385182T3 (es) 2012-07-19
BRPI0900474B1 (pt)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567B1 (ko) 레일 경화 장치
AU2002332945B2 (en) Device for quenching and tempering long-length rolling st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