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491A -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491A
KR20090085491A KR1020080012402A KR20080012402A KR20090085491A KR 20090085491 A KR20090085491 A KR 20090085491A KR 1020080012402 A KR1020080012402 A KR 1020080012402A KR 20080012402 A KR20080012402 A KR 20080012402A KR 20090085491 A KR20090085491 A KR 2009008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klonia
dyeing
dye
ecklonia cava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423B1 (ko
Inventor
김두경
조순애
Original Assignee
김두경
조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경, 조순애 filed Critical 김두경
Priority to KR102008001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4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 갈옷 원단인 갈천의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것으로 감물염색 후에 갈천의 변퇴색 및 물빠짐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복합염료제조방법이다.
갈천에 제주바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갈조식물인 감태(학명:Ecklonia cava)를 염료로 하여 화학매염제를 사용하지 않고 한번 염색한 후 2일 정도 지나면 자연 상태의 무쇠가마솥 안쪽에 금속과 산소가 결합하여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녹 성분의 천연매염제인 철장을 활용하여 염색하는 천연염색 방법으로, 갈천의 특징인 염색 후 빳빳하여 통풍이 잘 되는 점 등이 습도가 높은 제주지역의 기후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크게 개선된 염색견뢰도를 갖는 친환경적인 감태염료 제조방법 및 이 염료를 이용하는 감태복합염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1
감물염색, 갈천, 천연매염제, 무쇠가마솥, 감태복합염색

Description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 제조방법{A manufacturing process of Gamtae dyes to improve Jeju Galcheon's color fastness}
본 발명은 제주 갈천의 염색견뢰도 향상을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물염색 후 갈천의 색변퇴 및 물빠짐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감태복합염료 제조방법 및 이 염료를 이용한 복합염색방법에 관한 것 이다.
감물염색은 고려시대부터 제주의 민속의상인 갈옷에 사용되어 왔으며 염료가 되는 감은 타닌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색소가 풍부한 7-8월경에 채취한 토종 풋감이 이용되며, 염색의 기본 원리는 풋감의 타닌성분이 섬유와 결합하여 응고되면서 섬유를 빳빳하게 만드는 성질과 감물로 염색된 섬유를 햇빛에 노출시키면 산화중첩이 되면서 짙은 갈색(褐色)으로 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천연감물염색 방법은 염색 후 색바램 현상과 물세탁시 물빠짐 현상이 단점으로 지적되어왔다.
감물염색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67702호에 화학매염제를 사용하고 염색한 섬유를 햇빛에 노출시켜 햇빛을 직접 받는 부분과 직접 받지 않은 부분의 차이를 이용한 '갈옷원단 양면 2색 동시 염색방법'을 제시하 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색상의 진하고 엷음을 나타내는 포화도(飽和度)의 차이점을 구현한 것으로 색바램과 물세탁시 감물빠짐 현상 등 염색견뢰도의 개선은 이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감물로 염색한 갈천의 장점인 '빳빳하여 통풍이 잘 되어 여름에 시원한 기능'을 살리면서도 색변퇴와 물세탁시 감물빠짐 현상이 개선된 본 발명은 천연염색 방법을 이용하는 고부가가치의 갈옷을 위한 새로운 천연섬유의 염색기술이 필요한 시점의 복합 천연염색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본 발명은 제주지역에서 갈옷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갈천에 제주바다에 자생하는 다시마목 미역과의 갈조식물인 감태(甘苔)로부터 얻어지며, 토종 풋감에 들어있는 성분과 같은 타닌성분 및 갈색계통의 색소성분을 이용하여 갈천의 단점인 변색 및 물빠짐 현상 등에 대한 염색견뢰도의 개선을 위한 것으로 천연염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황산제일철(iron sulphate; FeSO4·7H2O), 염화제일철(ferric chloride; FeCl2·H2O)등의 화학매염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통 무쇠가마솥에서 한번 염색한 후 이틀정도 지나면 금속이 산소와 결합하여 다시 녹이 슬어 자연 생성되는 철장(鐵漿) 성분을 천연매염제로 활용하여 염색하는 친환경적인 감태염료 제조방법 및 이 염료를 이용하는 복합염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타닌성분이 풍부한 7-8월경의 토종 풋감을 채취한 후 풋감과 물의 중량비 5:1의 비율로 분쇄하는 단계와, (B) 토종 풋감과 물의 중량비 5:1의 비율로 분쇄된 감즙을 염료로 하여 감물염색하는 단계와, (C) 9-11월경의 성장한 감태를 채취, 건조하는 단계와, (D) 감태와 물의 비율을 350그램 : 10리터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E) 천연매염제인 철장이 자연 생성된 무쇠가마솥에서 80℃ 온도에서 30분 끓여 감태염료를 만드는 단계와, (F) 갈천을 60℃ 온도에서 20분간 염색하는 단계와, (G) 감태로 다시 복합염색된 섬유를 햇빛에 노출시켜 하루 3회 이상 물을 뿌려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染色堅牢度) 향상을 위한 감태염료 제조방법 및 복합염색방법은 감태와 천연매염제인 철장 성분을 이용하여 갈천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색바램 및 물세탁시 감물빠짐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그리고 갈천의 장점인 빳빳함은 통풍을 도와 습도가 높은 지역의 기후에 적합하여 여름에 시원한 기능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상품성이 높은 갈옷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알긴산이나 요오드·칼슘 원료 등으로 주로 사용되어온 제주산 감태의 소비를 촉진시켜 농어촌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태 채취 시기인 9-11월경의 성장한 감태를 채취, 건조된 감태와 물의 비율을 350그램:10리터의 비율로 혼합하고 천연매염제인 철장이 생성된 무쇠가마솥에서 80℃에서 30분 끓여 감태염료를 만든 다음 갈천을 60℃ 온도에서 20분간 복합염색한 후 염색한 섬유를 햇빛에 노출시켜 하루 3회 이상 물을 뿌려 건조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시험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예 1] 감태복합염색 섬유시험포의 염색견뢰도
피염물의 견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예 1)의 감물로 염색한 갈천에 감태복합염색한 면(40수)과 인견섬유의 시험포에 대한 세탁견뢰도, 마찰견뢰도, 일광견뢰도, 해수견뢰도, 땀견뢰도, 물견뢰도, 드라이클리닝견뢰도를 시험·평가 했으며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감태복합염색 섬유시험포의 염색견뢰도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2
세탁견뢰도는 오염에 대하여 4-5급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드라이클리닝에 대한 변퇴색 또한 4-5급으로 나타났으나 마찰견뢰도는 건조에서 2-3급, 습윤에서 1-2급으로 낮게 나타났다.
일광견뢰도 또한 4급 이상을 나타냈으며 해수견뢰도, 땀견뢰도, 물견뢰도는 오염에 대하여 4-5급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비교시험예 1] 세탁견뢰도(변퇴색) 비교시험
아래에 비교실험한 <표 2> 는 감물로 염색한 갈천 면(40수)과 갈천에 감태복합염색을 한 면(40수)을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한 세탁견뢰도의 변퇴색에 대한 비 교시험 결과이다.
<표 2>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3
<표 2> 는 감물염색한 갈천과 갈천을 무쇠가마솥에서 60℃의 온도로 20여분 염색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시험한 결과 감물염색 (2급), 감태복합염색 (3급)으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의 변퇴색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시험예 2] 땀견뢰도(변퇴색) 비교시험
아래에 비교실험한 <표 3> 은 감물로 염색한 갈천 면(40수)과 갈천에 감태복합염색을 한 면(40수)을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한 땀견뢰도의 변퇴색에 대한 비교시험 결과이다.
<표 3>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4
<표 3> 은 감물로 염색한 갈천과 갈천을 무쇠가마솥 에서 60℃의 온도로 20여분 염색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시험한 결과 감물염색 (3급), 감태복합염색 (4급)으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의 변퇴색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시험예 3] 일광견뢰도(변퇴색) 비교시험
아래에 비교실험한 <표 4> 는 감물염색한 갈천 면(40수)과 갈천에 감태복합염색을 한 면(40수)을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한 일광견뢰도의 변퇴색에 대한 비교시험 결과이다.
<표 4>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5
<표 4> 는 감물로 염색한 갈천과 갈천을 무쇠가마솥에서 60℃의 온도로 20여분 염색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시험한 결과 감물염색 (3-4급), 감태복합염색 (4급이상)으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의 변퇴색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시험예 4] 해수견뢰도(변퇴색) 비교시험
아래에 비교실험한 <표 5> 는 감물로 염색한 갈천 면(40수)과 갈천에 감태복합염색을 한 면(40수)을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한 해수견뢰도의 변퇴색에 대한 비교시험 결과이다.
<표 5>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6
<표 5> 는 감물로 염색한 갈천과 갈천을 무쇠가마솥에서 60℃의 온도로 20여분 염색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시험한 결과 감물염색 (3-4급), 감태복합염색 (4-5급)으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의 변퇴색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시험예 5] 물견뢰도(변퇴색) 비교시험
아래에 비교실험한 <표 6> 은 감물염색한 갈천 면(40수)과 갈천에 감태복합염색을 한 면(40수)을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한 물견뢰도의 변퇴색에 대한 비교시험 결과이다.
<표 6>
Figure 112008500727801-PAT00007
<표 6> 은 감물염색한 갈천과 갈천을 무쇠가마솥에서 60℃의 온도로 20여분 염색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시험한 결과 감물염색 (3-4급), 감태복합염색 (4-5급)으로 감태복합염색 시험포의 변퇴색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1은 : 감물 및 감태염료 제조방법과 복합염색 개념도를 도식화시킨 흐름도이다.
도 2는 : 감물염색의 단계별 공정도를 도식화시킨 흐름도이다.
도 3은 : 감태복합염색의 단계별 공정도를 도식화시킨 흐름도이다.

Claims (3)

  1. (A) 타닌성분이 풍부한 7-8월경에 채취한 토종 풋감의 꼭지와 씨를 제거한 후 물과의 중량비 5:1의 비율로 분쇄하는 단계와, (B) 9-11월경의 성장한 감태를 채취, 건조하여 감태와 물의 비율을 350그램:10리터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C) 천연매염제인 철장이 생성된 무쇠가마솥에서 80℃ 온도에서 30분 끓여 감태염료를 만드는 단계와, (D) 갈천을 감태염료를 이용 60℃ 온도에서 20분간 염색하는 단계와, (E)감태복합염색된 섬유를 햇빛에 노출시켜 하루 3회 이상 물을 뿌려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태염료제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9-11월에 채취·건조한 감태와 물을 350그램:10리터의 비율로 화학매염제를 사용하지 않고 무쇠가마솥에서 80℃의 온도로 30분간 끓여 감태염료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감물염색한 섬유인 갈천을 감태염료를 이용하여 60℃ 온도에서 20분간 복합염색하는 방법.
KR1020080012402A 2008-02-04 2008-02-04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093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02A KR100933423B1 (ko) 2008-02-04 2008-02-04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02A KR100933423B1 (ko) 2008-02-04 2008-02-04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91A true KR20090085491A (ko) 2009-08-07
KR100933423B1 KR100933423B1 (ko) 2009-12-22

Family

ID=4120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402A KR100933423B1 (ko) 2008-02-04 2008-02-04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4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15B1 (ko) * 2011-05-11 2013-03-06 주식회사 제주씨그린 감태에서 추출한 플로로탄닌 혼합물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20140141188A (ko) 2013-05-31 2014-12-10 (주)아모레퍼시픽 풋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67236A (ko) * 2014-12-03 2016-06-14 사단법인 제주관광문화산업진흥원 염색원단 및 그 염색방법
CN114592361A (zh) * 2020-12-04 2022-06-07 株式会社衣思时尚文化 使用发酵柿子汁的天然染色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480B1 (ko) 2015-07-29 2016-11-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및 감태를 포함하는 이성분 복합천연염료 및 이를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25B1 (ko) * 2002-03-22 2006-10-19 정관선 감물염료를 이용한 호피무늬형성방법
KR100531713B1 (ko) * 2002-03-29 2005-11-28 김영만 섬유의 천연염색방법
KR20040011239A (ko) * 2002-07-29 2004-02-05 박은원 황토 염색 방법
KR100628894B1 (ko) * 2003-12-29 2006-09-27 (주)우리 감옷원단 양면2색 동시 염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15B1 (ko) * 2011-05-11 2013-03-06 주식회사 제주씨그린 감태에서 추출한 플로로탄닌 혼합물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20140141188A (ko) 2013-05-31 2014-12-10 (주)아모레퍼시픽 풋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67236A (ko) * 2014-12-03 2016-06-14 사단법인 제주관광문화산업진흥원 염색원단 및 그 염색방법
CN114592361A (zh) * 2020-12-04 2022-06-07 株式会社衣思时尚文化 使用发酵柿子汁的天然染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423B1 (ko) 200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0529B (zh) 蓝靛膏的工业制备方法
CN101956334B (zh) 一种茶叶植物染料染棉纤维的方法
KR100933423B1 (ko)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3013167A (zh) 天然植物靛蓝染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348851A (zh) 花色苷染料的制备及其在纤维素纤维织物染色上的应用
CN101195714A (zh) 一种虎杖天然染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4179037A (zh) 植物染料染色的柞蚕丝睡衣
CN106366692A (zh) 一种蓝靛染料及蓝染花布的制作工艺
CN105086501A (zh) 一种蓝靛染料及其制备方法
CN105064075A (zh) 一种用蓝靛染布的工艺
CN106978716A (zh) 夏季清凉女装及其制备方法
Sasivatchutikool et al. Application of natural dye extracted from Cassia Fistula ripe pods for dyeing of silk fabric
CN102911517A (zh) 一种蚕丝专用茶叶染料的制备方法及用途
CN105255213A (zh) 利用核桃青皮废弃物制备天然染料的方法
CN102677485A (zh) 利用胡桃科植物染料染真丝的方法
CN102127309A (zh) 商陆浆果天然植物染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6749647B2 (en) Fiber dyeing method and dyed fiber products
CN106868889A (zh) 一种基于植物的印染产品及其印染方法
KR101348479B1 (ko) 탄산온천수를 함유한 감물의 분말염료 제조방법
KR100930885B1 (ko) 보리잎 분말 천연염료의 제조방법
KR20220005284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형광 염색 방법
Adeyanju et al. Extraction of Indigo Dye (Powdered, Form) from the Leaf of IndigoferaTinctoria
Ramadhanti et al. Leveraging Ethnobotany to Unlock The Green Economy Potential of Flores Through Local Textile Industry
Jabasingh In Search of Natural Dyes Towards Sustainability from the Regions of Africa (Akebu‐Lan)
KR100608174B1 (ko) 배를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