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400A -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400A
KR20090085400A KR1020080011267A KR20080011267A KR20090085400A KR 20090085400 A KR20090085400 A KR 20090085400A KR 1020080011267 A KR1020080011267 A KR 1020080011267A KR 20080011267 A KR20080011267 A KR 20080011267A KR 20090085400 A KR20090085400 A KR 2009008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emergency
electric wheelchair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원경
심평강
강대훈
황재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Priority to KR102008001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400A/ko
Publication of KR2009008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하는 수단;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저장된 장애인 관리 DB에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수단; 및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이 위치하는 긴급 대응 기관에 설치된 단말로 긴급 대응 대상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동 휠체어, 긴급 대응 서비스, 소방방재청, 장애인

Description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Emergency rescue system and its method for handicapped person getting on electric motion wheel chair}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으로부터 발신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신속하게 장애인에게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국가에서는 사고, 화재 및 재난과 같은 각종 비상 상황으로부터 인명을 안전하게 구출하고 재산 손실을 경감하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911 전화를 이용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경우는 소방관서에서 119 전화를 이용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긴급 대응 서비스에 있어서, 긴급 대응 대상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하기 위해서는 구조 요청을 접수할 때 발생 상황이 무엇인지, 발생 위치가 어디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요구된다. 발생 상황의 종류와 위치가 파악되면 긴급 대응 대상자에게 어떠한 응급 처치를 제공하여 생명을 구할 것인 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전술한 긴급 대응 서비스 과정에서 긴급 대응 대상자의 성명, 성별, 나이, 질병, 혈액형, 연령, 장애 여부, 보호자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 신상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면 인명 긴급 대응 서비스가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통계상으로 보더라도 구조 대원이 현장에 출동한 후 사용자에게 어떠한 초기 응급 처치를 제공했느냐에 따라서 인명 구조율이 높았음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사고 신고를 접수한 후 현장 출동하는 구조 대원에게 이용자의 개인 신상정보를 사전에 알려 초기 응급 처치 및 초기 대응에 도움을 주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 장애인에 대한 사회 복지 환경이 나아지면서, 신체 부자유 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해주는 전동 휠체어의 보급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전동 휠체어는 충전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한 번의 충전으로 약 20킬로미터 정도 운행이 가능하여 신체 부자유 장애인에게 보다 먼 거리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끔 하였다. 그러나, 신체 부자유 장애인이 일반 휠체어를 이용하였을 때에는 보호자가 동반하여 장애인의 안전을 확보하여 주었으나, 전동 휠체어를 이용할 경우에는 대부분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장애의 어려움으로 외부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긴급한 상황 시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장애인으로부터 간편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받은 후 긴급 대응 대상에게 적절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송출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긴급 대응 요청 장애인의 긴급 상황에 따라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하는 수단;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저장된 장애인 관리 DB에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수단; 및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이 위치하는 긴급 대응 기관에 설치된 단말로 긴급 대응 대상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 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은, 상기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을 요청하는 긴급 대응 요청 버튼; 상기 전동 휠체어의 고장 및 사고를 감지하는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 GPS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 휠체어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GPS 수신기;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긴급 대응 요청 버튼이 활성화되거나,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으로부터 고장 또는 사고가 감지될 경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얻은 전동 휠체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은, 전동 휠체어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 수단; 및 전동 휠체어의 전복이나 충돌을 감지하는 사고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 이상 검출 시 이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 긴급 상황 종류 식별코드 및 전동 휠체어의 위치 좌표를 코드화한 데이터 신호이고,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의 코드화된 데이터 신호를 긴급 대응 대상, 긴급 상황 종류 및 위치 정보로 복호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상기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수단은, 장애인 관리 DB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가 최초 또는 재등 록되는 경우, 최신의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보다 우선하며,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 상기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입력 또는 변경 입력된 사실을 통보하고,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인증받는 수단; 및 인증된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상기 장애인 관리 DB에 저장되는 것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장애인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및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여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개인 신상정보 및 전동 휠체어의 제품명, 제조일자, 배터리의 기종, 간략한 부품 정보 및 정비 이력을 포함하여 정비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전동 휠체어의 특징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관리 DB에 저장된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는 고유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매체(바코드, RFID, 스티커, ID 카드)가 전동 휠체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송출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긴급 대응 요청 장애인의 긴급 상황에 따라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대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되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에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d)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저장된 장애인 관리 DB에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e)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이 위치하는 긴급 대응 기관에 설치된 단말로 긴급 대응 대상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간편하게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동 휠체어의 고장 또는 사고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상황 종류별로 적합한 긴급 대응 기관을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대응 서비스를 담당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 요원에게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를 미리 하달하여 긴급 대응 대상에게 최적화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 응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1)은,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2),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에서 송출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발생된 긴급 상황에 따라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저장된 장애인 관리 DB(4)를 참조하여 긴급 대응 대상에게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 사전에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구축된 장애인 관리 DB(4) 및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와 함께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받는 긴급 대응 기관 단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로서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2)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한다.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되면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에서 생성 전송되는 코드화된 데이터 신호로서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코드, 긴급 상황 종류에 따라 부여된 식별코드 및 전동 휠체어의 위치 좌표를 포함한다. 긴급 대응 요청 정보는 코드화 된 데이터 신호인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복호화하여 직관적인 정보로 변환한 것으로서 긴급 대응 대상, 긴급 상황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리 DB(4)에서 조회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와, 긴급 대응 요청 정보에서 얻은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긴급 대응 기관에 통보함으로써, 구조 대원이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대응 요청 지점으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장애인 관리 DB(4)는, 사전에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아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인증받은 정보를 저장하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장애인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보호자 연락처 등과 같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개인 신상정보와, 전동 휠체어의 제품명, 제조일자, 배터리의 기종, 간략한 부품 정보 및 정비 이력 등과 같이 전동 휠체어의 고장 시 정비 서비스를 받을 때 정비사가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전동 휠체어의 특징 정보를 말한다.
상기 긴급 대응 기관 단말(5)은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로부터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을 전송받는다. 상기 긴급 대응 기관은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상황에 따라 장애인을 긴급 후송할 수 있는 응급 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의료 서비스 기관과 전동 휠체어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정비 서비스 기관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긴급 대응 기관 단말(5)이 3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3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3세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로부터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을 접수 받을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로부터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긴급 대응 기관 서버가 추가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긴급 대응 기관 서버는 긴급 대응 기관 단말(5) 측에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을 전달한다.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하는 자에게 가장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긴급 대응 기관 단말(5) 측에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긴급 대응 기관 서버는 긴급 대응 기관 단말(5)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유지 관리한다.
한편 상기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보호자로 등록된 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는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상황, 후송되는 병원 위치 등의 간략 정보를 포함한다. 이런 경우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보호자는 빠른 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여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긴급 대응 기관 단말(5)로부터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전송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대응 요청 단말의 개략적 구성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을 요청하는 긴급 대응 요청 버튼(21), 상기 전동 휠체어의 고장 및 사고를 감지하는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22), GPS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 휠체어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GPS 수신기(23),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4) 및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버튼(21)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주위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곤란한 상황이나, 긴급 의료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긴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하는 버튼이다. 긴급 대응 요청 버튼(21)은 단일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장애인의 긴급 상황별로 선택적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긴급 대응 요청을 실수로 활성화했을 때 이를 취소할 수 있는 취소 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22)은 전동 휠체어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 수단(221) 및 전동 휠체어의 전복이나 충돌을 감지하는 사고 감지 수단(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감지 수단(221)은 전동 휠체어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검지하여 충전 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24) 측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사고 감지 수단(222)은 휠체어가 전복되었을 때 이를 제어부(24) 측으로 통보한다. 상기 전원 감지 수단(221)이나 사고 감지 수단(222)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모듈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상용화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22)에 포함되는 감 지 수단의 종류에 의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동 휠체어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GPS 수신기(23)는 인공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집하여 전동 휠체어가 현재 위치하는 위치 좌표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24) 측으로 입력한다. 여기서, GPS 수신기(23)는 전동 휠체어의 위치 추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모듈로 통상적으로 알려진 상용화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휠체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GPS 수신기(23)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예컨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식이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어부(24)는 긴급 대응 요청 단말(2)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긴급 대응 요청 버튼(21)이 활성화되거나,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22)으로부터 고장 또는 사고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GPS 수신기(23)로부터 얻은 위치 좌표와, 긴급 상황 종류의 식별코드와,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25)으로 전달한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코드는 상기 제어부(24)가 참조하는 불활성 메모리에 미리 저장한 정보로서, 긴급 대응 대상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고유하게 발생된 식별코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코드는 장애인 등록번호, 휴대폰 번호 또는 유선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25)은 생성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 측으로 송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25)은 CDMA칩과 같은 무선 통신 칩을 탑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25)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 Band)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장애인이 소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신호를 전달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 측으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에 가입한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에는 긴급 대응 대상을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식별 매체는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 번호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바코드, RFID, 스티커, ID 카드와 같은 식별 매체를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에 구비하는 것이다. 만약,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를 미처 통보받지 못하고 현장에 출동한 긴급 대응 서비스 요원은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식별 매체를 이용하여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매체는 긴급 대응 서비스 요원의 이동식 스캔 단말을 이용하여 읽혀지고 읽혀진 식별 번호를 통하여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칩을 내장한 식별 매체일 경우,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 번호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정보까지 모두 저장하는 것 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의 개략적 구성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긴급 대응 요청 단말(2)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수신 수단(31),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 접수하는 긴급 대응 요청 정보 접수 수단(32),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를 조회하는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조회 수단(33) 및 긴급 대응 대상의 구조를 위해 긴급 대응 기관으로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긴급 대응 출동 요청 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요청하는 장애인에게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에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저장하여 구축된 장애인 관리 DB(4)와 연동하여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장애인 관리 DB(4)는 장애인 관리 DB 구축 수단(6)을 통하여 정보가 축적된다. 장애인 관리 DB 구축 수단(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수신 수단(31)은 긴급 대응 요청 단말(2)로부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수신 수단(31)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코드 화된 데이터 신호이거나, 119번에 따른 전화호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긴급 대응 대상의 식별코드, 긴급 상황 종류의 식별코드(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휠체어 정지, 전복 등을 나타내는 코드) 및 전동 휠체어의 위치 좌표를 코드화한 데이터 신호이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 접수 수단(32)은 수신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 접수한다. 코드화된 데이터 신호인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복호화하여 직관적인 정보인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 접수한다.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는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 긴급 상황의 종류에 대한 식별코드 및 위치 정보를 문자화한 정보이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조회 수단(33)은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신원을 파악하여 상기 장애인 관리 DB(4)에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를 조회한다. 신원 파악을 위해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는 주민등록번호, 장애인 등록번호, 휴대폰 번호, 유무선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조회 수단(33)에서 조회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보호자 연락처와 같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개인 신상정보 및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 제품명, 제조일자, 배터리의 기종, 간략한 부품 정보 및 정비 이력과 같이 전동 휠체어의 고장 시 정비 서비스를 받을 때 정비사가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전동 휠체어의 특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 와 매칭되어 장애인 관리 DB(4)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급 대응 출동 요청 수단(34)은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상황 종류와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의 위치에서 가장 가깝고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상황에 맞는 긴급 대응 기관 단말(5)로 조회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한다. 긴급 상황 종류는 전동 휠체어가 배터리의 방전이나 제어 장치의 고장에 의해 고장이 일어난 상황, 전동 휠체어가 전복된 상황 등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긴급 대응 출동 요청 수단(34)은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이 긴급 후송과 같은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응급 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의료 서비스 기관을,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가 고장 또는 사고를 당해 수리가 필요한 경우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정비 서비스 기관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각 기관은 긴급 대응 요청 수단(34)으로부터 긴급 대응 출동 요청을 전송받을 수 있는 단말을 비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과 긴급 대응 요청 수단은 인터넷을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인 관리 DB(4)를 구축하는 장애인 관리 DB 구축 수단(6)은,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입력 수단(61), 입력된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인증받는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인증 수단(62) 및 인증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장애인 관리 DB(4) 에 저장되는 것을 인가하는 데이터 저장 인가 수단(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입력 수단(61)은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다.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입력 수단(61)은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신청하면, 사용자에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정보 기입란을 제공한다.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본인뿐 아니라 보호자로부터도 입력받을 수 있다. 보호자가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보호자는 자신의 연락처(휴대폰 번호)를 함께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장애인 관리 DB(4)로부터 조회되는 전술한 각 정보에 대응되므로 긴급 대응 대상 정보의 종류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는 서비스 정책상 개인의 생명과 관련된 비밀 정보라는 특성상 데이터의 정확성이 요구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허락받는 인증 절차가 요구될 수도 있다. 인증 절차가 요구되는 경우,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인증 수단(62)은 사용자에게 별도의 통보 수단(예; 이메일, SMS, ARS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가 입력된 사실을 통보하고,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에 대한 허락 여부를 인증받는다. 데이터 저장 인가 수단(63)은 사용자로부터 인증이 수락된 경우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가 장애인 관리 DB(4)에 저장되는 것을 인가한다. 인증의 수락은 e-mail을 통해 인증 수락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e-mail에 삽입된 인증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 URL 콜백 SMS 메시지를 통해 인증 수락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통화 버튼의 조작을 통해 인증이 수락된다. 또 다른 예로, ARS에 의해 긴급 대응 대상자의 등록된 전화와 통화로가 형성된 경우 안내되는 특정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인증 수락이 이루어진다. 상기 장애인 관리 DB 구축 수단(6)은 필요에 따라 의료보험 공단 서버와 연동하여 긴급 대응 대상자의 치료 이력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보험 공단 서버와의 연동은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함은 자명하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과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10)에서는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신청한다.
단계(S2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정보 기입란을 제공하여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다. 긴급 대응 대상 정보의 입력은 본인뿐 아니라 보호자로부터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받는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장애인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및 보호자 연락처와 같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개인 신상정보 및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 제품명, 제조일자, 배터리의 기종, 간략한 부품 정보 및 정비 이력과 같이 전동 휠체어의 고장 시 정비 서비스를 받을 때 정비사가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전동 휠체어의 특징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30)에서는 사용자에게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입력 또는 변경 입력된 사실을 통보한다. 입력 사실의 통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이메일, SMS 또는 ARS와 같은 별도의 통보 수단을 이용하여 통보된다.
단계(S40)에서는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입력된 사실이 통보된 사용자에게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에 대한 허락 여부를 인증받는다.
단계(S5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인증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장애인 관리 DB(4)에 저장하는 것을 인가한다. 상기 단계(S50)에서는 의료보험 공단의 서버와 연동하여 긴급 대응 대상으로 등록된 자들의 치료 이력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의 전체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100)에서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되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에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단계(S200)에서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300)에서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수신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 긴급 상황 종류 식별코드 및 전동 휠체어의 위치 좌표를 코드화한 데이터 신호이다.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해석과정을 거쳐 복호화된 정보인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 접수한다. 긴급 대응 요청 정보는 긴급 대응 대상, 긴급 상황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문자화한 정보이다.
단계(S400)에서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신원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리 DB(4)에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조회한다.
단계(S500)에서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상황 종류와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의 위치에서 가장 가깝고 긴급 대응 대상의 긴급 상황에 맞는 긴급 대응 기관으로 조회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한다. 또한,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3)는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보호자로 등록된 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는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상황, 후송되는 병원 위치 등의 간략 정보를 포함한다. 이런 경우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의 보호자는 빠른 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여 긴급 대응 대상 장애인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들에게 발생되는 긴급 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를 기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이 사고로 인해 긴급 대응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전동 휠체어의 고장 또는 사고를 감지하고 자동적으로 긴급 대응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긴급 출동 시 긴급 대응 대상자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보호자 연락처 또는 긴급 대응 대상자의 전동 휠체어 제품명, 정비 이력, 간략한 부품 정보 등을 파악한 상태에서 긴급 대응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불필요한 시간적 낭비 없이 신속하게 긴급 대응 대상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대응 요청 단말의 개략적 구성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의 개략적 구성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과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의 전체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번호>
1 :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2 : 긴급 대응 요청 단말
3 : 장애인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 4 : 장애인 관리 DB
5 : 긴급 대응 기관 단말 6 : 장애인 관리 DB 구축 수단
21 : 긴급 대응 요청 버튼 22 :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
23 : GPS 수신기 24 : 제어부
25 :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
31 :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수신 수단
32 : 긴급 대응 요청 정보 접수 수단
33 :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조회 수단
34 : 긴급 대응 출동 요청 수단
61 :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입력 수단
62 : 긴급 대응 대상 정보 인증 수단
63 : 데이터 저장 인가 수단

Claims (13)

  1.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송출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긴급 대응 요청 장애인의 긴급 상황에 따라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하는 수단;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저장된 장애인 관리 DB에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수단; 및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이 위치하는 긴급 대응 기관에 설치된 단말로 긴급 대응 대상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은,
    상기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대응을 요청하는 긴급 대응 요청 버튼;
    상기 전동 휠체어의 고장 및 사고를 감지하는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
    GPS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전동 휠체어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GPS 수신기;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긴급 대응 요청 버튼이 활성화되거나,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으로부터 고장 또는 사고가 감지될 경우,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얻은 전동 휠체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은,
    전동 휠체어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 수단; 및
    전동 휠체어의 전복이나 충돌을 감지하는 사고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상 검출 시 이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 긴급 상황 종류 식별코드 및 전동 휠체어의 위치 좌표를 코드화한 데이터 신호이고,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의 코드화된 데이터 신호를 긴급 대응 대상, 긴급 상황 종류 및 위치 정보로 복호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상기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수단은,
    장애인 관리 DB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가 최초 또는 재등록되는 경우, 최신의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보다 우선하며,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
    상기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입력 또는 변경 입력된 사실을 통보하고,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인증받는 수단; 및
    인증된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상기 장애인 관리 DB에 저장되는 것을 인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장애인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및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여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개인 신상정보 및
    전동 휠체어의 제품명, 제조일자, 배터리의 기종, 간략한 부품 정보 및 정비 이력을 포함하여 정비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전동 휠체어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관리 DB에 저장된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는 고유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매체(바코드, RFID, 스티커, ID 카드)가 전동 휠체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시스템.
  8.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의 긴급 상황 발생시 송출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긴급 대응 요청 장애인의 긴급 상황에 따라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대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되어 전동 휠체어에 구비된 긴급 대응 요청 단말에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대응 요청 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d)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저장된 장애인 관리 DB에서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e)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로부터 긴급 대응 대상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대응 대상이 위치하는 긴급 대응 기관에 설치된 단말로 긴급 대응 대상 정보, 긴급 상황 종류 및 긴급 대응 대상의 상세 위치 정보를 통보하여 긴급 대응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긴급 대응 요청 버튼,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 GPS 수신기, 제어부 및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단말에서,
    상기 긴급 대응 요청 버튼이 활성화되거나, 상기 고장 및 사고 감지 수단에서 고장 또는 사고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얻은 전동 휠체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긴급 대응 요청 신호를 긴급 대응 요청 신호 송출 수단에서 송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는,
    긴급 대응 대상 식별코드, 긴급 상황 종류 식별코드 및 전동 휠체어의 위치 좌표를 코드화한 데이터 신호이고,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정보는,
    상기 긴급 대응 요청 신호의 코드화된 데이터 신호를 긴급 대응 대상, 긴급 상황 종류 및 위치 정보로 복호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상기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애인 관리 DB를 구축하는 단계는,
    장애인 관리 DB로 긴급 대응 대상의 정보가 최초 또는 재등록되는 경우, 최신의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보다 우선하며,
    맞춤형 긴급 대응 서비스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가 입력 또는 변경 입력된 사실을 통보하고, 입력된 정보가 긴급 대응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인증받는 단계; 및
    인증된 장애인의 긴급 대응 대상 정보를 상기 장애인 관리 DB에 저장되는 것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대상 정보는,
    장애인의 성명,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액형, 질병, 치료 이력, 장애 종류, 장애 등급, 주민등록번호 및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여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개인 신상정보 및
    전동 휠체어의 제품명, 제조일자, 배터리의 기종, 간략한 부품 정보 및 정비 이력을 포함하여 정비 서비스를 받을 때 참고해야 할 전동 휠체어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 관리 DB에 저장된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는 고유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매체(바코드, RFID, 스티커, ID 카드)가 전동 휠체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 방법.
KR1020080011267A 2008-02-04 2008-02-04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KR20090085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67A KR20090085400A (ko) 2008-02-04 2008-02-04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267A KR20090085400A (ko) 2008-02-04 2008-02-04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400A true KR20090085400A (ko) 2009-08-07

Family

ID=4120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267A KR20090085400A (ko) 2008-02-04 2008-02-04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40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2821A (zh) * 2019-07-04 2019-11-19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道路救援派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KR20200131574A (ko) * 2019-05-14 2020-11-24 토도웍스 주식회사 휠체어의 전복 알림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367940B1 (ko) * 2020-12-30 2022-02-25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5868B1 (ko) * 2021-10-19 2022-12-07 주식회사 케이티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동 휠체어 및 그 방법
KR20230039327A (ko) * 2021-09-14 2023-03-21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 운행 보조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22B1 (ko) * 2019-01-24 2019-12-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낙상사고 대응 시스템
KR20200131574A (ko) * 2019-05-14 2020-11-24 토도웍스 주식회사 휠체어의 전복 알림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0472821A (zh) * 2019-07-04 2019-11-19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道路救援派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367940B1 (ko) * 2020-12-30 2022-02-25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39327A (ko) * 2021-09-14 2023-03-21 (주) 경성테크놀러지 전동이동보조기기 운행 보조 시스템
KR102475868B1 (ko) * 2021-10-19 2022-12-07 주식회사 케이티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동 휠체어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KR101583378B1 (ko)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90086B1 (ko) 생체신호 측정단말기, 이를 이용한 응급구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응급구호 시스템
JP6374949B2 (ja) 遭難状況おける支援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257513B (zh) 一种人员安全远程智能监护救援处理方法
KR20090085400A (ko)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긴급 대응시스템 및 긴급 대응 방법
KR100920031B1 (ko) 구호 대상의 정보를 이용하는 긴급 대응 시스템 및 긴급대응 방법
JP2017015485A (ja) 装着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3222305A (ja) 緊急時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10049391A (ko) 차량 사고시 보험사 자동 연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91548A (ja) 救急手配システム及び救急手配プログラム
KR101911039B1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20040087226A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긴급출동고지방법
KR20100071751A (ko)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94906B1 (ko) 헬프트리거를 소지한 실버 세대를 위한 개인응급 응답시스템
JP2008079082A (ja) 非常時緊急通報代行システムと非常時情報提供代行システム並びに非常時緊急通報情報提供代行システム
WO2011021314A1 (ja) 情報通信システム、緊急時利用機器、および携帯通信機器
KR20090085460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관심 대상의 안전 관리 시스템 및안전 관리 방법
KR102056937B1 (ko)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KR1010782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2387709B1 (ko) 약자층을 위한 교통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JP4666522B2 (ja) 訪問介護装置及び訪問介護支援システム
KR102368158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JP5224997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