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751A -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751A
KR20100071751A KR1020080130572A KR20080130572A KR20100071751A KR 20100071751 A KR20100071751 A KR 20100071751A KR 1020080130572 A KR1020080130572 A KR 1020080130572A KR 20080130572 A KR20080130572 A KR 20080130572A KR 20100071751 A KR20100071751 A KR 2010007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dementia
life
patient
guid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명
김정수
민경선
남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1751A/ko
Publication of KR2010007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치매환자의 기억/능력을 보조함으로써, 치매환자로 하여금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생활스케줄에서 수행대상 일정을 확인하는 일정 확인 단계; 상기 수행대상 일정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수행대상 일정을 구성하는 단계일정을 안내하면서 해당 단계일정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수행 확인 단계; 및 소정의 안내횟수 범위 내에서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이 미수행되면, 관련 제 3자에게 통보하는 통보 단계를 포함한다.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생활 스케줄, 일정, 단계일정

Description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LIFE GUIDE SERVICE}
본 발명은 치매환자를 위한 생활가이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매환자의 기억/능력을 보조함으로써, 치매환자로 하여금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할 수 있게 하는,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의학/의료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생활 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회 구성원 중에서 노령화된 계층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노령화 추세로 인하여 노인성 치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 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현대 사회의 복잡화, 고도화 등에 따라 현대인의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중장년층에서도 치매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상황에 따라 등장한 치매환자 관련 선행기술들은 치매환자를 단순히 "환자"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치료/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치매환자는 언제나 치매상태에 빠져 있는 것이 아니고, 특히 중증 치매환자를 제외하고는 정상적으로 생각하고 활동하다가도 어느 순간에 치매 현상이 발생한다는 독특한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기술들은 이러한 점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중증 치매환자를 제외하고 일반 치매환자에게서 순간순간 발생하는 기억의 약화 내지 상실 등에 대하여 보조해준다면 이들도 정상적인 생활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바, 치매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생활상의 일정을 안내하고 도와주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특히, 치매환자는 자신이 해야 하는 것을 잊거나, 무엇을 하고자 할 때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른다. 그러므로,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일정(일, 업무, 워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스케줄에 따라 알려주는 체계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고, 일정을 하는데 필요한 방법(매뉴얼)을 쉽게 알려주는 메커니즘도 필요하다. 또한, 치매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매환자에 맞는 맞춤형 전달 방식(정보 제공 형태)도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치매환자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함이 없이 치매환자를 단순히 '환자'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치료/예방에 치중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매환자의 기억/능력을 보조함으로써, 치매환자로 하여금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할 수 있게 하는,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매환자용 생활스케줄에서 수행대상 일정을 확인하는 일정 확인 단계; 상기 수행대상 일정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수행대상 일정을 구성하는 단계일정을 안내하면서 해당 단계일정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수행 확인 단계; 및 소정의 안내횟수 범위 내에서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이 미수행되면, 관련 제 3자에게 통보하는 통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치매환자의 기억을 보조함으로써, 치매환자로 하여금 기본적인 일상생활(밥 먹기, 길 찾기, 물건 찾기, 도구 사용하기 등)을 원활하게 영위하고, 진료시간/약 먹기 등의 정확한 실행으로 치매를 포함한 기타 질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료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노인화/노령화 시대에서, 개인, 가정 및 국가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치매환자의 사회적 문제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치매환자 스스로 기초적인 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 줌으로써, 치매환자로 인한 가족 등의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매환자가 원활한 생활을 할 수 하도록, 스케줄에 따라 치매환자가 해야 할 것들을 스케줄에 따라 환자의 상태에 맞게 알려주고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보호자 등이 치매환자를 위한 프로파일, 스케줄 등을 등록하면,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알고리즘(기억보조 알고리즘)이 실행되어 환자가 소유한 단말(기억보조 장치)에 적절한 신호와 매뉴얼 등을 제공함으로써, 치매환자가 자신이 해야 할 일정(업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원활하게 수행해 나갈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하여, 치매환자는 자신의 상태에 따라 생활 가이드 서비스를 받아 편 안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설명도로서, 치매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일들을 돕는 생활가이드 서비스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낸다. 이하,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에서 치매환자로 판명된 환자뿐만 아니라, 기억력 감퇴 등으로 순간 순간 기억이 박약한 상태에 있는 일상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연령에 관계없이 기억 보조가 요구되는 사람을 총칭하여 '치매환자'라 하기로 한다.
치매환자 생활 가이드와 관련해서는, 우선적으로 환자, 환자가족, 도우미, 의사 등에 의해 환자의 프로파일과 스케줄이 관리되어야 한다. 더불어, 치매환자가 소지한 기억보조 장치(치매환자 생활가이드 단말)를 통하여 치매환자의 LBS(Context)를 관리한다.
치매환자의 기억을 보조하고 치매환자가 스스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스케줄에 따라 해당 시점에 해야 할 일(일정)에 대하여 환자에게 알려준다. 여기서, "일정"은 해야할 일, 업무, 워크, Activity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며, 이하 이러한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치매환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활동에는, 긴급상황 대처(예: 길 찾기 등)(101), 일상 스케줄(예: 밥 먹기, 물건 찾기, 도구 사용법 제공 등)(102), 특별 활동 스케줄(예: 운동시간 및 방법 제공, 간병인과의 약속, 커뮤니티 활동 등)(103), 치료 관련 스케줄(예: 약 먹는 시간 및 방법 제공, 진찰 약속 등)(104), 센싱/모니터링(105)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를 환자에게 알려주는데 있어서, 단순한 알람/통보가 아니라, 도움 내용에 따라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가지고 환자를 도와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가이드 메커니즘(치매환자의 기억을 보조하여 스스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서비스)은 환자에게 업무 매뉴얼을 통하여 현재 수행대상이 되는 일(환자가 현재 수행해야 할 일)에 대한 '수행 방법'을 알려준다. 즉, 예를 들어, 환자가 약을 먹어야 할 경우, 어떤 약을 얼마만큼 먹어야 하고, 그 약은 어디에 있는지 등을 알려준다. 다른 예로, 길을 안내할 경우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가 목적지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를 위한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를 위한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 및 치매환자 단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는 치매환자가 원활한 생활을 할 수 하도록, 스케줄에 따라 치매환자가 해야 할 일정들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알려주고 수행을 도와주는 시스템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치매환자 단말(22)은 치매환자가 소지하는 기억보조 장치인 단말로서,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와 연동하여.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에서 제공(안내)하는 각종 생활가이드 서비스를 수신하여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치매환자의 요청을 받아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에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그리고, 물건 찾기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RFID 리더기가 탑재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생활가이드 서버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는 일정 관리 모듈(301),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303), 매뉴얼(E-Manual) 서비스 모듈(304), 사용자 적응 모듈(User Adaptation)(305),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 게이트웨이(30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부의 단말이나 서버 등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운용자 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등이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하, 각각의 기능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정 관리 모듈(301)은 치매환자별로 프로파일이나 치매환자가 일상 생활에서 해야 할 일정을 등록받아 관리하고, 관련자(예를 들면, 보호자 등)와 공유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 등록 일정 중에서 해당 일정(수행 대상 일정)을 확인하여 치매환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은 치매환자가 해야 할 일정을 수행하도록 요구하고, 그 요구된 일정을 치매환자가 수행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6 참조).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303)은 치매환자가 특정한 일정(예를 들어, 약먹기)을 수행하다가 세부 활동("약 먹을 준비"와 관련하여, 약 찾기, 약의 종류/정량 선택, 물 준비 등)의 안내를 요청하면, 그에 따라 치매환자 단말(22)에게 세부활동에 대한 안내(가이드)를 제공한다. 즉,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303)은 치매환자 스스로 해당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워크 플로우(Workflow)에 따라 안내(가이드)를 해준다(도 7 참조).
매뉴얼 서비스 모듈(304)은 치매환자가 임의의 일을 하는데 필요한 도구 사용법, 전자제품 매뉴얼, 물건 사는 방법(계산 포함) 등과 같은 각종 매뉴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치매환자 단말(22)의 요청이 있으면, 그 요청된 매뉴얼을 제공한다.
사용자 적응 모듈(305)은 치매환자의 감각 상태에 따라 음성/문자/진동 등으 로 정보를 환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청각이 약한 치매환자에게는 문자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시력이 약한 치매환자에게는 음성 등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은 댁내에서 환자가 임의의 일을 하는데 필요한 물건(예를 들면, 약 등)을 찾도록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고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307)는 제3 서비스 제공자 서버(21)와의 연동을 통하여 제3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통신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응급(Emergency) 서비스, 기억향상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 센싱 및 모니터링 서비스(예를 들어, 치매환자의 댁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가스 밸브의 상태를 센싱하여, 만약 가스 밸브가 "Open"되어 있으면, 이를 치매환자 단말, 보호자 등에게 알려주는 서비스) 등을 통합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한다. 즉, 게이트웨이(307)는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3 서비스 제공자 서버(31)와의 연동을 통하여 치매환자 단말(22)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일정 관리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치매환자의 일정은 치매환자 본인 또는 제3자에 해당하는 관련자들(가족 등의 보호자, 의사, 복지사, 가정간호사, 커뮤니티 등)(40)에 의해 등록/관리된다.
치매환자 스스로(예를 들어, 치매상태가 양호한 환자), 또는 보호자 등과 같 은 일정한 권한을 갖는 제3자가 일정 관리 모듈(301)에 접근하여 치매환자의 일정을 등록한다. 이때, 제3자(40)가 치매환자의 일정을 등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3자(40)가 치매환자와 관련된 업무를 자신의 단말기(일정 관리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탑재된 개인용 컴퓨터)의 일정관리부(의사의 일정을 관리하는 기능 모듈)에 등록하면, 연동 기능을 통하여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의 일정 관리 모듈(301)에 자동으로 치매환자의 일정을 등록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동 기능을 통하지 않고, 제3자(40)가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에 직접 접근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사가 자신의 단말(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단말)상의 일정관리부에 "치매환자의 다음 진료일시"를 등록하면, 그 의사 단말은 연동 기능을 통하여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에 "진료 예약"을 치매환자의 일정으로 등록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는 치매환자의 모든 일정을 고려하여 중복되지 않는 경우에 일정 등록을 허용하게 되며, 이미 다른 일정이 잡혀져 있는 경우에는 의사에게 "일정 등록 불가 및 일정 변경"을 안내하게 된다.
제3자에 의한 치매환자 일정 등록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자는 일정 관리 모듈(301)에 의해 공개된 Open API를 통하여 가용 시간 조회, 일정 등록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3자는 일정 관리 모듈(301)에 Open API를 통하여 접속하여 치매환자 일정을 등록할 때 접속 권한이 필요한데, 이 접속 권한은 접속인가 토 큰 신청을 통하여 유효기간이 있는 토큰을 획득한 경우에 주어진다(도 5 참조).
일정 관리 모듈(301)은 외부 일정관리 서비스 연동 인터페이스(제3자의 일정과 치매환자 일정을 연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41), 일정 등록 기능(치매환자의 일정을 등록하는 기능)(42), 가용시간 조회 기능(치매환자의 일정 중에서 가용시간을 조회하는 기능)(43), 일정 통지 기능(44), 접속인가토큰 신청(제3자로부터 접속인가토큰을 신청받는 기능)(45), 제3자 등록일정 확정 기능(제3자가 등록한 일정을 최종적으로 확정(허용)하는 기능)(46), 제3자 접속인가토큰 발행 기능(특정한 제3자에게 접속인가토큰을 발행하는 기능)(47), 일정 수행 확인 인터페이스(Activity 수행 확인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8), 제3자 일정등록 불허 통보 기능(권한 없는 제3자의 일정 등록을 불허하고 이를 통지하는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일정 관리 서비스는 각 관련자의 개별적인 일정관리상에서 환자의 정보통신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메일, 메신져 등)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이 방식의 경우 환자의 일정이 중복되거나, 특정 시간대에 일정이 집중되거나, 환자의 이동시간 등을 고려하지 못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정상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스스로 감안하여 약속을 하고 일정을 잡겠지만, 치매환자의 경우에는 스스로 이러한 일정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자의 치매환자 일정 등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일정 관리 모듈(301)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치매환자 본인이 자신의 일정을 등록하는 것과는 달리, 제3자가 치매환자의 일정을 등록해야 하는 경우에는 허가된 3자만이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제3자가 등록한 일정을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 병원의 담당의사가 병원 진료와 관련하여 치매환자의 일정을 예약(병원 예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5를 설명하기로 한다.
Open API를 공개함으로써(501), 병원의 담당의사의 단말(의사 단말)의 환자 관리 프로그램에는 일정 등록, 가용시간 조회 등과 관련된 Open API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담당 의사는 일정 관리 모듈(301)에 접근하여 치매환자의 일정을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
의사 단말로부터 접속인가 토큰(Token)의 발급을 신청받으면(502), 발급 승인 권한자(예를 들어, 치매환자의 보호자 또는 치매환자 본인 등)에게 담당 의사에 대한 접속인가 토큰 발행 허용 여부를 확인한다(503).
발급 승인 권한자로부터 접속인가 토큰 발급을 승인받으면, 해당 치매환자의 가용시간을 조회하고(504), 치매환자에 대한 관련 일정을 임시 등록한다(505).
이후, 임시 등록된 일정의 허가 여부를 확인하여(506), 임시 등록 일정이 허용 가능하면 임시 등록된 치매환자의 일정의 등록을 확정한다(507). 그렇지 않고, 임시 등록 일정이 허용 불가하면 의사 단말에 일정 등록 불허 통보를 한 후(508), 임시 등록된 일정을 삭제한다(509).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일정 수행 확인 모듈에서의 치매환자 일정 수행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단계('단계일정')를 치매환자 단말(22)에 제공한다. 여기서, 단계 일정(세부활동)은 "약 먹기"를 수행대상 일정이라 할 때, 이러한 수행대상 일정을 구성하는 세부 활동(예를 들어, 약 준비, 약 먹기 등)을 의미하며, 각각의 세부 활동을 이루는 작은 단위의 활동들(예를 들어, "약 준비"와 관련하여, 약 찾기 등)도 포함하여 "단계 일정"이라 하기로 한다. 즉, 시간의 경과에 치매환자용 생활 스케줄상의 수행 대상 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행해야 할 개개의 활동을 "단계 일정"이라 한다.
치매환자에 대한 일정(생활 스케줄)이 "60"과 같은 경우,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행대상 일정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수행대상 일정이 있으면 이벤트를 발생시켜서 해당 일정 수행확인 알고리즘을 구동한다.
도 6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오전 9시에 치매환자가 약을 먹어야 한다"는 일정(스케줄상의 여러 일정 중의 하나이므로, '단위 일정'이라 한다)이 있는 경우,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의 스케줄러가 이벤트를 발생시켜 "약 먹기 수행확인 알고리즘"(일정 수행확인 알고리즘의 일종)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약 먹기 수행확인 알고리즘"은 치매환자가 약을 먹는 태스크(Task)를 수행하도록 도와 주게 된다.
"약 먹기 수행확인 알고리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을 먹어야 함을 환자에게 알리고("약 먹을 시간입니다"라는 메시지 전송하 고)(611), 약 먹을 준비를 하도록 지시한다("약 먹을 준비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613). 여기서, "약 먹을 시간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치매환자 단말(22)에 전송한 경우, 이에 응답(예를 들면, "예"를 의미한다는 것으로 미리 약속된 특정 키(Key) 버튼을 누르는 경우)을 하면 다음 단계(613)을 수행하고, 치매환자 단말(22)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하여 약을 먹어야함을 알린다(611, 612). 만약 소정의 횟수 내에도 응답이 없으면 보호자(및/또는 도우미 등도 해당할 수 있음)에게 전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통보를 한다(617).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이 "약 먹을 준비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이 메시지를 받은 치매환자가 "약 먹을 준비"에 대한 가이드(일정 수행 가이드)를 요청하면,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은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303)(도 7 참조)을 가동시킨다. 즉, 약 먹을 준비를 하는데 필요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303)의 알고리즘을 가동시킨다.
한편,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이 "약 먹을 준비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3분)내에 일정 수행 가이드 요청이 없으면, 일정 수행확인 모듈(302)은 다음 단계인 "약 드세요"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614).
이후,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한 후, 약을 먹었는지를 확인한 후(615), 치매환자 단말(22)로부터 응답(예를 들면, "예"를 의미한다는 것으로 미리 약속된 특정 키(Key) 버튼을 누르는 경우)이 없으면 "614" 및 "615" 과정을 소정의 횟수 범위 내에서 반복한다(616). 이 과정에서 소정의 횟수를 초과하는 동안에도 응답("예"와 같은 긍정 응답)이 없으면 보호자(및/또는 도우미 등도 해당할 수 있음)에게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해당 사실을 알려준다(617). 이와 달리, 소정의 횟수 범위 내에서 긍정 응답이 있으면, "약 먹기" 일정(태스크)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에서의 일정 수행 가이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치매환자가 약 먹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일정 수행 가이드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303)은 치매환자 단말(22)의 요청에 따라, 일정 수행 호 확인 알고리즘의 특정 단계(세부 활동)와 관련된 가이드(일정 수행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는 치매환자 스스로 특정 단계(세부 활동)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약 먹을 준비"(613)와 관련하여 "약 준비"(701), "물 준비"(702)를 가이드 하고, 그 과정에서 "약 준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을 구동시켜서 "약 찾기"(703)를 도와주고, 더 나아가 "약 선택"(704)과 관련해서는 매뉴얼 서비스 모듈(304)을 구동시켜서 치매환자가 약 종류 및 정량을 선택하는 것을 도와준다.
즉, 일정 수행 가이드 알고리즘이 수행하면서, 물건을 찾거나, 이용방법/매뉴얼이 필요할 경우, 필요한 홈 내비게이션(Home Navigation)이나 매뉴얼(E-Manual)을 불러 치매환자를 도와 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약을 먹기 위해서는 약과 물이 준비되어야 한다. 약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약이 위치한 곳을 알아야 하고 약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치매환자는 약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 집안의 물건 위치를 알려주는 내비게이션을 이용하고, 약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약 매뉴얼을 이용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치매환자를 위한 다양한 생활가이드 서비스 중 대상물 관리 서비스를 나타낸다.
보호자(가족 등)는 대상물(약 등과 같이 치매환자의 생활과 관련된 물건으로서, 추후 치매환자에게 그 위치를 알려주게 될 물건)에 RFID 태그를 부착한 후, 태그 정보를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의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에 등록한다. 여기서, 태그 정보에는 대상물의 아이덴티티(Identity)(예를 들어, 대상물 이름, 사용 목적 등), 대상물 위치정보(예를 들어, 거실, 큰방, 베란다 등과 같은 보관 영역/위치), 대상물 용도 등이 포함된다.
추후, 치매환자 단말(22)로부터 물건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면,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은 치매환자가 해당 대상물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치매환자가 자신의 단말(22)을 통하여 물건찾기 서비스의 유형(문자 물건찾기, 음성 물건 찾기, 자동 물건찾기)을 선택하고, 찾기를 원하는 대상물의 이름을 검색하여 선택(또는 직접 입력 등)하면,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은 해당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치매환자 단말(22)로 전송한다. 그러면, 치매환자 단말(22)은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치매환자에게 출력(문자 출력, 음성 출력 등)하게 되며, 이에 따라 치매환자는 대상물을 찾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홈 내비게이션 모듈에서의 대상물 찾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일정수행 가이드 모듈(303)이 일정수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치매환자 단말(22)로부터 대상물 찾기 서비스(예를 들어, "약 찾기"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이 동작(연동)하는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은 치매환자 단말(22)로부터 서비스 방식을 선택받으면(901), 그 선택된 서비스 방식에 맞는 대상물 찾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치매환자가 자신의 단말(22)에서 "문자 물건찾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대상물에 대한 위치 정보(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위치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해달라는 요청(문자서비스 요청)이고(902), "음성 물건찾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대상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음성 메시지로 전송해달라는 요청(음성서비스 요청)이며(903), "자동 물건찾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전파인식(RFID) 탐색을 요청(자동 서비스 요청)한 것이 된다.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은 치매환자가 선택한 서비스 방식 유형(문자 물건찾기, 음성 물건 찾기)에 따라 문자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를 통하여 위치 정보(치매환자가 찾고자 하는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905, 906), 자동 물건찾기 서비스 요청의 경우에는 치매환자 단말(22)(RFID 리더기가 탑재된 단말)에 RFID 탐색을 명령한다(908).
그러면, 치매환자 단말(22)의 RFID 리더기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대 상물을 탐색하게 된다. 이때, RFID 리더기를 구비한 치매환자 단말(22)은 대상물이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문자/음성/소리 등으로 안내하며, 특히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차별화된 출력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에 점점 가까워질 때마다, "삐삐" 소리가 더 크게 나거나(특히, 시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 출력 문자의 크기/색깔 등이 변하게 할 수 있다(특히, 청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에 적합한 출력형태로서, 예를 들면, 대상물에의 근접성에 따라 글자 크기가 점점 커지거나, 글자 색깔이 점점 진해지게 할 수 있다).
홈 내비게이션 모듈(306)은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치매환자 단말(22)로부터 물건 찾기가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받으면(907, 909), 홈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그렇지 않고, 문자/음성 물건 찾기 서비스의 경우, 기설정된 시간 내에 물건찾기 완료 응답을 받지 못하거나, 물건찾기 실패 응답을 받으면, 자동 물건찾기 서비스로 전환하여 RFID 탐색을 명령한다(908). 자동 물건찾기 서비스의 경우에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자동 물건찾기 완료 응답을 받지 못하거나, 자동 물건찾기 실패 응답을 받으면, 대상물이 분실되었음을 알리는 분실 메시지를 치매환자 단말(22)에 전송한다(910).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를 위한 생활가이드 서비스의 가입 유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환자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매환자가 자신의 단말(22)을 통하여 치매환자 생활 가이드 서버(20)에 접속하여 서비스(치매환자 가이드 서비스)에 가입하고(1001) 일정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1002), 치매환자 생활 가이드 서버(20)는 등록된 일정에 따라 해당 치매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1003), 치매환자는 그 서비스에 대하여 이용료를 납부하게 된다(1004). 도 10a에서는 치매환자가 스스로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치매환자의 보호자(가족 등)가 서비스 가입(1001), 일정관리 정보 입력(1002), 서비스 이용료 납부(1004)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는 치매환자가 된다.
다음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회복지 차원에서 중앙 관리 센터(100)라는 제3의 기관이 치매환자를 위하여 생활가이드 서비스 가입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관리 센터(1000)가 치매환자, 보호자, 병원, 복지과, 건강 센터 등으로부터 특정 치매환자에 대한 일정 관리 정보를 받아서(1011, 1012), 그 치매환자를 위하여 서비스(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에 가입하면(1013), 치매환자 생활 가이드 서버(20)는 치매환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1014), 이에 대한 대가로서 중앙 관리센터(1000)는 치매환자를 대신하여 서비스 이용료를 납부한다(1015). 이때, 치매환자 생활 가이드 서버(20)에서 등록/관리되는 '치매환자에 대한 일정'은 치매환자, 보호자, 권한있는 제3자 등에 의하여 수시로 변경/추가/삭제될 수 있다.
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갖는 환경에서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20)에서 수행되는 알고리즘을 치매환자 단말(22)에 탑재하여, 단말 자체에서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가 제공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의 주체가 치매환자 단말(22)이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를 위한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일정 관리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자의 치매환자 일정 등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일정 수행 확인 모듈에서의 치매환자 일정 수행 확인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에서의 일정 수행 가이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홈 내비게이션 모듈에서의 대상물 찾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를 위한 생활가이드 서비스의 가입 유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서버 21: 네트워크
22: 치매환자 단말 31: 제3 서비스 제공자 서버
301: 일정 관리 모듈 302: 일정 수행 확인 모듈
303: 일정 수행 가이드 모듈 304: 매뉴얼 서비스 모듈
305: 사용자 적응 모듈 306: 홈 내비게이션 모듈
307: 게이트웨이

Claims (10)

  1.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치매환자용 생활스케줄에서 수행대상 일정을 확인하는 일정 확인 단계;
    상기 수행대상 일정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수행대상 일정을 구성하는 단계일정을 안내하면서 해당 단계일정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수행 확인 단계; 및
    소정의 안내횟수 범위 내에서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이 미수행되면, 관련 제 3자에게 통보하는 통보 단계
    를 포함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확인 단계는,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수행대상 일정을 확인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확인 단계는,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치매환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계일정의 상세 수행방식을 가이드 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확인 단계는,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의 수행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기 치매환자의 요청에 따라 대상물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찾기 서비스는,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의 수행에 필요한 대상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확인 단계는,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의 수행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치매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안내된 단계일정의 수행에 필요한 대상물에 대한 사용 매뉴얼을 제공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치매환자에게 제공되는 안내 정보를 해당 치매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출력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적응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단계는,
    시력이 약한 치매환자에게는 상기 안내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청력이 약한 치매환자에게는 상기 안내 정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환자용 생활스케줄은,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가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치매환자 또는 권한이 있는 제3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등록 또는 변경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제 3자는,
    치매환자의 보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130572A 2008-12-19 2008-12-19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71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72A KR20100071751A (ko) 2008-12-19 2008-12-19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72A KR20100071751A (ko) 2008-12-19 2008-12-19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51A true KR20100071751A (ko) 2010-06-29

Family

ID=4236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572A KR20100071751A (ko) 2008-12-19 2008-12-19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17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663A (ko) 2017-09-29 2019-04-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보조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97631A1 (en) * 2015-10-02 2019-06-27 Not So Forgetful.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minders and recommendations,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memory assistance and facilitating related purchases through an interconnected social network
KR102063182B1 (ko) *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KR20200036199A (ko) 2018-09-28 2020-04-07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장애인 돌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20145755A1 (ko) * 2019-01-10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의 사용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38924A (ko) * 2020-05-13 2021-11-22 류경희 치매 환자 케어 및 기록 지원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97631A1 (en) * 2015-10-02 2019-06-27 Not So Forgetful.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minders and recommendations,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memory assistance and facilitating related purchases through an interconnected social network
US11341583B2 (en) * 2015-10-02 2022-05-24 Not So Forgetful,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minders and recommendations,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memory assistance and facilitating related purchases through an interconnected social network
US11763396B2 (en) * 2015-10-02 2023-09-19 Not So Forgetful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minders and recommendations,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memory assistance and facilitating related purchases through an interconnected social network
KR20190037663A (ko) 2017-09-29 2019-04-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6199A (ko) 2018-09-28 2020-04-07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장애인 돌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20145755A1 (ko) * 2019-01-10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의 사용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63182B1 (ko) * 2019-07-19 2020-0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특성을 고려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방법
KR20210138924A (ko) * 2020-05-13 2021-11-22 류경희 치매 환자 케어 및 기록 지원 시스템
KR20220065746A (ko) * 2020-05-13 2022-05-20 류경희 치매 환자의 기록 데이터 가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8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response
US10431220B2 (en) Voice assistant system
US20190051391A1 (en)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14453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THEMESSL‐HUBER et al. Frail older people's experiences and use of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KR20100071751A (ko)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17455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egistering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US20130304488A1 (en) Method to support an advanced home services coordination platform
WO2021237345A1 (en) Human-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10084930B (zh) 一种基于his的护士站用病房监管系统
JP20073234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案内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4038401A (ja) 受診管理システム、リマインド方法、病院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7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JP2017191548A (ja) 救急手配システム及び救急手配プログラム
US20170124259A1 (en) Computer program produc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aid service and personalized management of health records
Polonetsky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s a tool for inclusion and equality
JPH1173463A (ja) 介護サービス用icカード及び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
KR102144540B1 (ko) 응급 상황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US20220223240A1 (en)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7143549A (ja) 高度在宅サービス調整プラットフォームをサポートする方法
KR20020007506A (ko) 인터넷 기반 병원 진료 예약 방법과 그 시스템
Brandon-Friedman Enhancing the psychosocial and sexual well-being of gender-diverse young adults within a multidisciplinary clinic
Giroux et al. Distributed mobile services and interfaces for people suffering from cognitive deficits
KR20230028634A (ko) 약자층을 위한 맞춤형 교통 및 의료용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JP2023018148A (ja) 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