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995A -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995A
KR20090083995A KR1020080009902A KR20080009902A KR20090083995A KR 20090083995 A KR20090083995 A KR 20090083995A KR 1020080009902 A KR1020080009902 A KR 1020080009902A KR 20080009902 A KR20080009902 A KR 20080009902A KR 20090083995 A KR20090083995 A KR 2009008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eck
welding
side shell
kn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962B1 (ko
Inventor
강덕진
조정헌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9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Abstract

본 발명은 위보기 용접 개소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이면 가우징 작업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 협소구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주조화를 통한 블록 조립방법은, 다수개의 늑판과 스트링거를 종격벽판 상부면에 용접 부착하여 종격벽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일측 끝단부에 경사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너데크 상부면에 상갑판 하부 늑판의 경사면을 취부하여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의 경사부가 시작되는 지점인 이너데크의 너클부에 상부 스트링거를 용접 부착하여 이너데크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갑판 하부 늑판의 상갑판측 면이 하향 위치하도록 이너데크 블록을 턴오버시켜 상갑판에 용접 부착하여 상갑판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종격벽판이 상향되도록 종격벽 블록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에 용접 부착한 다음, 상부 스트링거가 종격벽 블록의 일측 늑판 면에 위치하고 이너데크의 경사부가 종격벽판의 일측 끝단부와 접하도록 상갑판 블록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에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의 경사부와 종격벽판을 용접 부착하여 선측외판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멤브레인, LNG선, 용접, 스트링거, 종격벽 너클, 선측외판, 늑판, 상갑판 블록, 이너데크 블록, 선측외판 블록

Description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Side shell block assemble method of Membrane LNG by longitudinal bulkhead knuckle}
본 발명은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보기 용접 개소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이면 가우징 작업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 협소구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경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구조와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롤러정반에서 조립되는 선측외판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멤브레인 LNG선의 선측외판 블록 형성을 위해서는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늑판과 스트링거(10)를 종격벽판(12)에 용접 부착하고, 늑판과 스트링거(10) 사이의 접합부를 용접 부착하여 종격벽 블록(12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종격벽 블록(120)을 형성한 다음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데크(14)에 상갑판 하부 늑판(13)을 용접 부착하여 이너데크 블록(140)을 형성하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갑판(15)에 이너데크 블록(140)을 턴오버시켜 용접 부착하여 상갑판블록(150)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갑판블록(150)과 종격벽 블록(120) 및 상부 스트링거(11)를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측외판(17)에 용접 부착하여 선측외판 블록(170)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의 c에서 형성된 상갑판 블록(150)은 중량물로써 이너데크(14)와 종격벽판(12)이 이루는 각도와 용접 위치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움으로써 상기 이너데크(14)와 종격벽판(12)이 이루는 각도와 용접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종격벽판(12)이 상부 스트링거(11)에 수직으로 만나도록 상부 스트링거(11)를 돌출되게 하여 용접 부착한 다음, 이너데크(14)와 상부 스트링거(11)가 이루는 각도와 용접 위치를 조절한 후 이너데크(14)와 상부 스트링거(11)를 용접 부착하였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멤브레인 LNG선의 선측외판 블록은 고정정반이 아닌 흐름생산이 가능한 롤러 정반에서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 기와 같이 종격벽 블록(120)이 롤러(16)를 타고 이동 중일 경우에는 종격벽 블록(120)에 상부 스트링거(11)를 부착하는 용접 작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부 스트링거(11)를 종격벽 블록(120)에 탑재하여 용접을 한다 하더라도, 상부 스트링거(11)는 종격벽판(12)에 수직으로 만나도록 한쪽 끝단부가 돌출되어 용접 부착되어야 함으로써 상부 스트링거(11)의 일측 끝단부가 롤러(16)에 걸리게 되어 롤러(16)에 의한 종격벽 블록(120)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종격벽 블록(120) 형성시 상부 스트링거(11)를 부착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였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늑판과 스트링거(10)를 종격벽판(12)에 용접 부착하여 종격벽 블록(120)을 형성한 다음, 종격벽 블록(120)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17)에 용접 부착한 후 상부 스트링거(11)를 종격벽판(12)과 수직으로 만나며 상부 스트링거(11)의 일측 끝단이 돌출되도록 선측외판(17)과 종격벽 블록(120)에 용접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부 스트링거(11)를 종격벽 블록(120)과 선측외판(17)에 용접 부착한 다음에는, 상갑판 하부 늑판(13)의 경사면(130)을 이너데크(14)에 용접하여 이너데크 블록(140)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이너데크 블록(140)을 턴오버시켜 상갑판(15)에 용접 부착하여 상갑판 블록(150)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상갑판 블록(150)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17)에 용접 부착함으로써 선측외판 블록(170)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멤브레인 LNG선의 선측외판 블록(170) 조립방법에 따르면, 종격벽판(12)에 돌출되도록 상부 스트링거(11)가 용접 부착되어야 하기에 종 격벽 블록(120)을 턴오버시킨 후 상부 스트링거(11)를 용접 부착할 수 있으므로, 상부 스트링거(11)와 종격벽판(12)이 만나는 부분(C)과 상부 스트링거(11)와 이너데크(14)가 만나는 부분(E)에 이면 가우징 작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용접부위(A)(B)가 작업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위보기 자세로 용접을 해야 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 스트링거(11)와 이너데크(14)가 만나는 부분(E)이 이루는 각도(D)가 통상적으로 15도 정도를 이루게 되어 용접 공간이 매우 협소함으로써 용접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용접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보기 용접 개소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면 가우징 작업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 협소구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늑판과 스트링거를 종격벽판 상부면에 용접 부착하여 종격벽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일측 끝단부에 경사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너데크 상부면에 상갑판 하부 늑판의 경사면을 취부하여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의 경사부가 시작되는 지점인 이너데크의 너클부에 상부 스트링거를 용접 부착하여 이너데크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갑판 하부 늑판의 상갑판측 면이 하향 위치하도록 이너데크 블록을 턴오버시켜 상갑판에 용접 부착하여 상갑판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종격벽판이 상향되도록 종격벽 블록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에 용접 부착한 다음, 상부 스트링거가 종격벽 블록의 일측 늑판 면에 위치하고 이너데크의 경사부가 종격벽판의 일측 끝단부와 접하도록 상갑판 블록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에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의 경사부와 종격벽판을 용접 부착하여 선측외판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멤브레인 LNG 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은, 종격벽 구조를 너클 구조화하여 이너데크 블록 형성단계에서 상부 스트링거가 용접 가능함으로써 아래보기 자세로 상부 스트링거와 이너데크의 용접 작업을 할 수 있고, 이면 가우징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용접 협소 구역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용접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용접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구역이 협소함으로써 발생되는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 멤브레인 LNG선의 구성요소와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개의 늑판과 스트링거(10)를 종격벽판(12)에 용접 부착하여 종격벽 블록(12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종격벽 블록(120)을 형성한 다음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데크(14)의 상부면에 상갑판 하부 늑판(13)의 경사면(130)을 취부하여 용접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이너 데크(14)의 일측 끝단부에는 경사부(141)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너 데크(14)에 상갑판 하부 늑판(13)의 경사면(130)을 용접 부착한 다음에는 이너데크(14)의 경사부(141)가 시작되는 지점인 이너데크(14)의 너클부(142)에 상부 스트링거(11)를 용접 부착하여 이너데크 블록(1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이너데크(14)의 너클부(142)는 상갑판 하부 스트링거(13)의 경사면(130)에 용접 부착된 상태이므로 이너데크(14)의 너클부(142)에 상부 스트링거(11)를 용접 부착할 때에는 아래 보기 자세로 용접작업을 할 수 있고, 이너데 크(14)의 이면 가우징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용접 협소 구역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용접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 협소 구역이 존재함에 따른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용접 부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너데크 블록(140)을 형성한 다음에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갑판 하부 늑판(13)의 상갑판측 면이 하향 위치하도록 이너데크 블록(140)을 턴오버시켜 상갑판(15)에 용접 부착하여 상갑판 블록(15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갑판 블록(150)을 형성한 다음에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격벽판(12)이 상향되도록 종격벽 블록(120)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17)에 용접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선측외판(17)에 종격벽 블록(120)을 용접 부착한 다음에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트링거(11)가 종격벽 블록(120)의 일측 늑판(10) 면에 위치하고 이너데크(14)의 경사부(141)가 종격벽판(12)의 일측 끝단부와 접하도록 상갑판 블록(150)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17)에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14)의 경사부(141)와 종격벽판(12)을 용접 부착하여 선측외판 블록(170)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트링거(11)를 종격벽판(12)에 돌출되도록 용접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데크 블록(14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경사부(141)가 시작되는 이너데크(14)의 너클부(142)에 상부 스 트링거(11)를 사전 용접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아래 보기 용접 자세로 용접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너데크(14)의 이면 가우징 작업을 전혀 할 필요가 없어 작업 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 스트링거(11)와 이너데크(14)가 접촉하는 부위의 각도가 크게 형성되어 용접 각도가 넓게 형성됨으로써 용접 구역이 협소함으로써 발생되는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용접 부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용접 부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구조와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롤러정반에서 조립되는 선측외판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늑판 및 스트링거(Floor & Stringer)
(11) : 상부 스트링거(Stringer)
(12) : 종격벽판(Longitudinal Bulkhead)
(13) : 상갑판 하부 늑판
(14) : 이너 데크(Inner Deck)
(15) : 상갑판(Upper Deck)
(17) : 선측외판(Side Shell)

Claims (1)

  1. 다수개의 늑판과 스트링거를 종격벽판 상부면에 용접 부착하여 종격벽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일측 끝단부에 경사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너데크 상부면에 상갑판 하부 늑판의 경사면을 취부하여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의 경사부가 시작되는 지점인 이너데크의 너클부에 상부 스트링거를 용접 부착하여 이너데크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갑판 하부 늑판의 상갑판측 면이 하향 위치하도록 이너데크 블록을 턴오버시켜 상갑판에 용접 부착하여 상갑판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종격벽판이 상향되도록 종격벽 블록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에 용접 부착한 다음, 상부 스트링거가 종격벽 블록의 일측 늑판 면에 위치하고 이너데크의 경사부가 종격벽판의 일측 끝단부와 접하도록 상갑판 블록을 턴오버시켜 선측외판에 용접 부착함과 동시에 이너데크의 경사부와 종격벽판을 용접 부착하여 선측외판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멤브레인 LNG 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 블록 조립방법.
KR1020080009902A 2008-01-31 2008-01-31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KR10095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02A KR100954962B1 (ko) 2008-01-31 2008-01-31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02A KR100954962B1 (ko) 2008-01-31 2008-01-31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995A true KR20090083995A (ko) 2009-08-05
KR100954962B1 KR100954962B1 (ko) 2010-04-23

Family

ID=4120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902A KR100954962B1 (ko) 2008-01-31 2008-01-31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9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8531A (zh) * 2014-07-21 2014-10-2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单壳散货船斜纵舱壁的不等高折边方法及单壳散货船
KR20170055760A (ko) * 2015-11-12 2017-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호퍼 어셈블리 블록의 조립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호퍼 어셈블리 블록
CN108177730A (zh) * 2017-12-25 2018-06-1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舷侧分段一体化建造方法
KR20190032804A (ko) *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건조 방법
CN109895945A (zh) * 2019-04-02 2019-06-1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矿砂船舷侧总段的纵横舱壁预组装方法
CN110937080A (zh) * 2019-10-31 2020-03-31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集装箱船横隔舱顶板组立的建造方法
KR102197025B1 (ko) 2019-09-24 2020-12-30 최영숙 다 기능성 구두 깔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8673B (zh) * 2019-09-18 2021-11-0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舷侧门分段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92B1 (ko) * 2001-03-05 2003-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사이드 쉘 블록 제작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8531A (zh) * 2014-07-21 2014-10-2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单壳散货船斜纵舱壁的不等高折边方法及单壳散货船
CN104118531B (zh) * 2014-07-21 2016-06-0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单壳散货船斜纵舱壁的不等高折边方法及单壳散货船
KR20170055760A (ko) * 2015-11-12 2017-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호퍼 어셈블리 블록의 조립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호퍼 어셈블리 블록
KR20190032804A (ko) * 2017-09-20 2019-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건조 방법
CN108177730A (zh) * 2017-12-25 2018-06-1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舷侧分段一体化建造方法
CN109895945A (zh) * 2019-04-02 2019-06-1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矿砂船舷侧总段的纵横舱壁预组装方法
KR102197025B1 (ko) 2019-09-24 2020-12-30 최영숙 다 기능성 구두 깔창
CN110937080A (zh) * 2019-10-31 2020-03-31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集装箱船横隔舱顶板组立的建造方法
CN110937080B (zh) * 2019-10-31 2023-12-2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集装箱船横隔舱顶板组立的建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962B1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962B1 (ko) 멤브레인 lng선의 종격벽 너클 구조화를 통한 선측외판블록 조립방법
CN1457280A (zh) 焊接方法、焊接装置、焊接接头及焊接结构件
JP6001004B2 (ja) 乗物用シート
US20220134491A1 (en) Welding ji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art
CN108523811A (zh) 一种洗碗机的内胆结构
CN1936202B (zh) 用于支撑重型工程设备座舱的增强上梁及其制造方法
JP6374357B2 (ja) 鉄道車両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166104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CN101670498B (zh) 限制铝合金薄壁球体和法兰焊接变形的坡口工艺
TWI523723B (zh) Multi - piece display aluminum extrusion front frame laser welding structure
KR100775810B1 (ko) 편방향 스폿 용접기의 지그 유닛
JP2017019306A (ja) 鉄道車両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32773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body frame
US20150115687A1 (en) Seat component positioning structure
US20160096241A1 (en) Consumable insert for welding
KR20130000984A (ko) 갑판에 설치되는 데크 크레인용 서포트 구조물
JP4669387B2 (ja) 船体構造におけるスティフナの溶接方法
JP2018176795A (ja) 鉄道車両構体及び鉄道車両構体の製造方法
KR101215891B1 (ko) 멀티 템플릿 게이지
CN110355491B (zh) 散索鞍的装焊方法
KR20130006526U (ko) 해양구조물의 블록 조립용 정반 레벨링 지그
CN107234993A (zh) 一种拼焊式汽车座椅靠背侧边板
JPH0515431Y2 (ko)
JP2009297750A (ja) 溶接用裏当て金
JP2020001050A (ja) インダイレクトスポット溶接用の溶接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