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044A -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044A
KR20090083044A KR1020080008978A KR20080008978A KR20090083044A KR 20090083044 A KR20090083044 A KR 20090083044A KR 1020080008978 A KR1020080008978 A KR 1020080008978A KR 20080008978 A KR20080008978 A KR 20080008978A KR 20090083044 A KR20090083044 A KR 2009008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electrode
lamp electrode
free en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123B1 (ko
Inventor
조주완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23B1/ko
Priority to EP20090000687 priority patent/EP2086067A1/en
Priority to CN2009100039034A priority patent/CN101498429B/zh
Priority to US12/361,519 priority patent/US7942685B2/en
Priority to JP2009018469A priority patent/JP5268067B2/ja
Publication of KR2009008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75Holders with resilient means for protecting apparatu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소켓은 램프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도전성 재질의 전원 인가 부재 및 전원 인가 부재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전원 인가 부재는 인버터 접속부, 인버터 접속부와 연결되며, 램프 전극이 삽입되는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1 램프 전극 지지부 및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에 연결된 고정단과, 램프 전극 삽입부에 밀착하도록 램프 전극을 지지하는 자유단과, 하우징의 내측에서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단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LAMP SOCK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LAMP 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은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최근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어 다방면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전자 기기의 특성상 평판 형상을 갖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평판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액정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 및 구동 전압에서 작동하는 장점을 갖고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램프 리드선에 와이어를 솔더링하여 램프 소켓에 결합한 후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버터에 접속시켰다. 이러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램프 리드선과 와이어를 솔더링하고, 램프 소켓에 체결한 뒤 커넥터를 체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에 의해 조립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서로 다른 품질을 보여주며, 제조 시간의 증가와 인건비에 의한 원가 상승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께가 얇고 조립성이 우수한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소켓은 램프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도전성 재질의 전원 인가 부재; 및 상기 전원 인가 부재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인가 부재는 인버터 접속부; 상기 인버터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램프 전극이 삽입되는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1 램프 전극 지지부; 및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에 연결된 고정단과,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는 자유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단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유단의 최고점은 상기 고정단의 최고점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는 상기 램프 전극의 삽입시 상기 램프 전극을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 상기 램프 전극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며,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지지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유단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과 상기 삽입 가이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단은 상기 램프 전극을 감싸며 접촉되는 램프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소켓은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2 램프 전극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고정 설치되며, 램프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램프 소켓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샤시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소켓은 인버터 접속부와, 상기 인버터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램프 전극이 삽입되는 제1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와,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에 연결된 고정단과, 상기 제1 램프 전극 삽입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는 자유단과,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단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원 인가 부재; 및 상기 전원 인가 부재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자유단의 최고점은 상기 고정단의 최고점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는 상기 램프 전극의 삽입시 상기 램프 전극을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 상기 램프 전극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며,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지지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유단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과 상기 삽입 가이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단은 상기 램프 전극을 감싸며 접촉되는 램프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2 램프 전극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시는 상기 램프 소켓이 체결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조리 방법은 램프와 램프 소켓의 조립 자동화를 위해서 외부에 램프 전극이 형성된 램프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인버터 접속부,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램프 전극 지지부, 고정단, 자유단 및 연결단으로 구분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원 인가 부재로 구성된 램프 소켓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전극부를 이동시켜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와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에 상기 램프 전극을 삽입하고, 상기 전극부를 탄성 이동시켜 상기 램프 전극에 접촉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자유단의 최고점이 상기 고정단의 최고점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자유단의 끝단에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간격 조절부를 지그 등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자유단과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의 간격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연결단의 탄성으로 상기 램프 전극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램프 소켓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고, 전극의 돌출 부위가 없어 외력에 의한 물리적 및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램프 삽입시에도 조립 장치 등에 의해서 전극의 곡률 부분이 손상되지 않는 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전극의 고정 및 이동이 원활하여 조립의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시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램프 소켓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인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원 인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램프 및 램프 전극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표시 패널 200: 패널 구동부
300: 백라이트 어셈블리 310: 램프
311: 램프 전극 315: 램프 소켓
316: 하우징 320: 전원 인가 부재
321: 인버터 접속부 322,323: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
324: 램프 전극 삽입부 340: 전극부
400: 탑 샤시 500: 바텀 샤시
600: 인버터 610: 보호 커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시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백라이트 어셈블리(300), 탑 샤시(400) 및 바텀 샤시(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외부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 패널(100)은 광 투과량을 조절하는 액정(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착되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미도시), 컬러 필터(미도시) 및 공통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제2 기판(120)은 절연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및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이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패널 구동부(200)는 신호 전송 기판(220)에 실장되는 구동 집적회로(210)와, 신호 전송 기판(220)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전원 및 각종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 기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100)에 광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램프(310), 램프 소켓(315), 반사 부재(365), 광학 시트(370), 몰드 프레임(380) 및 사이드 몰드(390)를 포함한다.
램프(310)은 표시 패널(100)에 공급하기 위한 광을 생성한다. 램프(310)는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외부 전극형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로 형성되어 램프 소켓(315)에 체결된다. 이러한 램프(310)는 외부의 전원를 공급받기 위해 램프(310)의 외부에 형성된 램프 전극(311)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소켓(315)은 램프(310)의 끝단에 배치되어 램프(310)를 고정시키고, 램프(31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램프 소켓(315)은 연결부(3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램프 소켓(315)의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반사 부재(365)는 램프(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램프(310)의 하측으로 방출되는 광을 램프(310)의 상측으로 반사시켜 광 손실을 줄인다. 이를 위해, 반사 부재(365)는 광 반사율이 높은 플레이트나 시트로 형성된다.
광학 시트(370)는 확산 시트(371), 프리즘 시트(372) 및 보호 시트(373) 등으로 구성된다. 확산 시트(371)는 램프(3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표시 패널(100)에 고르게 입사하도록 확산시킨다. 프리즘 시트(372)는 확산 시트(371)에 의해 확산된 광이 표시 패널(100)에 수직하게 입사하도록 집광시킨다. 보호 시트(373)는 프리즘 시트(372)에 스크레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리즘 시트(372)를 보호한다. 이러한 광학 시트(370)는 표시 장치의 특성에 따라 2 ~ 3장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80)은 표시 패널(100)을 수납하고, 표시 패널(100), 램프(310), 램프 소켓(315), 반사 부재(365) 및 광학 시트(37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를 위해, 몰드 프레임(380)은 플라스틱과 같은 몰드물로 형성된다.
사이드 몰드(390)는 램프(310)를 감싸는 램프홈(395)이 형성되어 램프(31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사이드 몰드(39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광학 시트(370)를 지지하며, 램프(310)와 광학 시트(370)를 일정 간격 이격시킨다. 이때, 사이드 몰드(390)는 광학 시트(370)를 수납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탑 샤시(4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0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탑 샤시(400)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이 노출되도록 가운데가 개구되어 표시 패널(100)의 외곽 테두리를 감싼다.
상기 바텀 샤시(5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를 수납한다. 바텀 샤시(500)는 일측에 램프 소켓(315)이 삽입되도록 개구된 체결홈(5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홈(510)은 램프 소켓(315)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램프(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600)와, 인버터(600)와 램프 소켓(315)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610)를 더 포함한다. 인버터(600)는 바텀 샤시(500)의 배면에 실장되며 램프 소켓(315)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보호 커버(610)는 바텀 샤시(500)의 배면에 체결되어 램프 소켓(315)에 접속된 인버터(6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예를 들어, 보호 커버(6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인버터(600)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소켓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램프 소켓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인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원 인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램프 및 램프 전극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소켓(315)은 하우징(316)과 전원 인가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6)은 전원 인가 부재(320)를 수납하고 바텀 샤시의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316)은 전원 인가 부재(320)가 수납되는 수납부(317)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인가 부재(3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인버터와 램프(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전원 인가 부재(320)는 인버터 접속부(321),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 및 전극부(340)를 포함한다.
인버터 접속부(321)는 수납부(317)를 따라 인버터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인버터 접속부(321)는 수납부(317)를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고, 일부분이 중첩되어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인버터 접속부(321)는 일부 영역에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버터 접속부(321)는 중첩된 일부분이 탄성을 지녀 인버터와 접촉시 인버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는 인버터 접속부(321)와 연결되며, 수납부(317)에 수납되도록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는 램프 전극(311)이 삽입되는 램프 전극 삽입부(324)가 형성된다.
램프 전극 삽입부(324)는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의 일측에 형성되며, 삽입 가이드(325)와, 고정홈(326)과, 지지 경사부(327)와 제1 및 제2 보조부(328,329)로 구분된다. 삽입 가이드(325)는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의 상측으로부터 램프 전극(311)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고정홈(326)은 삽입 가이드(325)와 연결되며, 램프 전극(31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326)은 삽입 가이드(325)와 함께 램프 전극(3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의 역할을 한다. 지지 경사부(327)는 고정홈(326)과 연결되고, 삽입된 램프 전극(311)이 고정홈(326)에 밀착되도록 램프 전극(31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지지 경사부(327)는 램프 전극(311)이 고정홈(326)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보조부(328)는 수평하게 형성되어 지지 경사부(327)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보조부(328)는 램프 전극(311)을 램프 전극 삽입부(324)에서 분리시킬 때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램프 전극(311)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제2 보조부(329)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삽입 가이드(325)와 함께 램프 전극(311)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이룬다.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3)는 전극부(340)를 사이에 두고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3)는 제1 램프 전극 지지부(322)와 동일하게 램프 전극 삽입부(3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극부(340)는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를 연결한다. 전극부(340)는 하우징(316)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탄성으로 램프 전극(311)을 지지하여 고정홈(326)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전극부(340)는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에 의해 보호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조립의 안정성 및 편리성에서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전극부(340)는 램프 전극(311)에 대한 접촉 압력인 접압력이 1 ~ 5N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극부(340)가 1N 미만의 접압력을 가지게 되면 램프 전극(311)에 접촉되는 힘이 부족하여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부(340)가 5N 초과의 접압력을 가지게 되면 램프 전극(311)의 삽입시 많은 힘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전극부(340)는 고정단(341), 연결단(342) 및 자유단(343)으로 구분된다.
고정단(341)은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의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며 고정되어 형성된다.
연결단(342)은 고정단(341)과 연결되며, 하우징(316)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연결단(342)은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의 선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단(342)은 제1 및 제2 램프 전극 지지부(322,323)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연결단(342)은 1 ~ 5N의 접압력을 가질 수 있는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단(342)은 0.3 ~ 1.0mm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다.
자유단(343)은 연결단(342)에 연결되어 램프 전극(311)과 접촉하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자유단(343)은 최고점(H1)이 고정단(341)의 최고점(H2)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자유단(3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이동을 고려한 최고점(H1)이 고정단(341)의 최고점(H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자유단(343)은 램프 전극(311)을 지지하여 램프 전극 삽입부(324)와 함께 램프 전극(311)을 고정시킨다. 자유단(343)은 램프 전극(311)에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램프 그립부(344)를 포함한다. 램프 그립부(344)는 예를 들어, 홈 형태로 고정홈(326)에 대응되며 램프 전극(311)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자유단(343)은 램프 전극(311)이 고정홈(326)에 밀착되도록 램프 전극(311)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자유단(343)은 램프 그립부(344)와 연결되는 간격 조절부(345)를 더 포함한다. 간격 조절부(345)는 자유단(343)의 끝단에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간격 조절부(345)는 구조 안정성을 위해 고정단(341)의 최고점(H2) 이내에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345)는 외부의 힘에 의해 이동하여 자유단(345)과 삽입 가이드(325)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간격 조절부(345)는 외부 힘을 통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자유단(343)의 램프 그립부(344)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간격 조절부(345)는 삽입 가이드(325)와 램프 그립부(344) 간의 공간을 확장시켜 램프 전극(311)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간격 조절부(345)는 조립 방법을 고려할 때 조립 자동화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소켓(315)은 박형의 표시 장치에 사용되도록 상단이 램프(31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프 조립 방법은 외부에 램프와 램프 소켓을 준비하는 제1 단계(S11), 전극부와 램프 전극 삽입부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제2 단계(S21), 램프 전극을 삽입하는 제3 단계(S31)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1)는 외부에 램프 전극이 형성된 램프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 소켓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램프 소켓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수납되는 전원 인가 부재로 구성되도록 준비한다. 전원 인가 부재는 도전성 판형 부재를 가공하여 인버터 접속부와,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램프 전극 지지부와, 고정단, 자유단, 연결단 및 간격 조절부를 구비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램프 전극 삽입부는 램프 전극 지지부에 일측으로 개구된 삽입홈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램프 전극 삽입부는 경사를 이루는 삽입 가이드와, 삽입 가이드와 연결되며 램프 전극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태의 고정홈과, 고정홈에 연결되며 경사를 이루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한다.
제2 단계(S21)는 전극부의 자유단을 이동시켜 램프 전극이 삽입되는 램프 전극 삽입부와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단계이다. 전극부의 간격 조절부를 조립 장치의 제1 지그로 이동시킨다. 이때, 간격 조절부를 고정단측으로 이동시켜 자유단을 램프 전극 삽입부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그리고, 제1 지그로 간격 조절부를 고정하여 자유단과 램프 전극 삽입부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제3 단계(S31)는 램프 전극 삽입부에 램프 전극을 삽입하고, 램프 전극에 전원 인가 부재를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조립 장치의 제2 지그가 램프를 집어 램프 전극이 램프 전극 삽입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램프 전극 삽입부의 삽입 가이드를 따라 램프 전극이 삽입되도록 제2 지그로 램프를 이동시킨다. 제2 지그를 램프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간격 조절부의 제1 지그를 치워 자유단을 연결단의 탄성으로 램프 전극에 접촉시킨다. 이때, 램프 전극이 지지 경사부를 따라 고정홈에 밀착하도록 자유단을 접촉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0)

  1. 램프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도전성 재질의 전원 인가 부재; 및
    상기 전원 인가 부재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인가 부재는
    인버터 접속부;
    상기 인버터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램프 전극이 삽입되는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1 램프 전극 지지부; 및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에 연결된 고정단과,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는 자유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단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램프 소켓.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최고점은 상기 고정단의 최고점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는
    상기 램프 전극의 삽입시 상기 램프 전극을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
    상기 램프 전극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며,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과 상기 삽입 가이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램프 전극을 감싸며 접촉되는 램프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2 램프 전극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8.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고정 설치되며, 램프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램프 소켓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샤시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소켓은
    인버터 접속부와, 상기 인버터 접속부와 연결되며, 상기 램프 전극이 삽입되는 제1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와,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에 연결된 고정단과, 상기 제1 램프 전극 삽입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는 자유단과,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단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원 인가 부재; 및
    상기 전원 인가 부재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최고점은 상기 고정단의 최고점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는
    상기 램프 전극의 삽입시 상기 램프 전극을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
    상기 램프 전극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과 연결되어 상기 램프 전극을 지지하며,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과 상기 삽입 가이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램프 전극을 감싸며 접촉되는 램프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전극 지지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제2 램프 전극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램프 소켓이 체결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램프와 램프 소켓의 조립 자동화를 위한 램프 조립 방법에 있어서,
    외부에 램프 전극이 형성된 램프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인버터 접속부, 램프 전극 삽입부가 형성된 램프 전극 지지부, 고정단, 자유단 및 연결단으로 구분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원 인가 부재로 구성된 램프 소켓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전극부를 이동시켜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와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에 상기 램프 전극을 삽입하고, 상기 전극부를 탄성 이동시켜 상기 램프 전극에 접촉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자유단의 최고점이 상기 고정단의 최고점 이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자유단의 끝단에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간격 조절부를 지그 등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여 상기 자유단과 상기 램프 전극 삽입부의 간격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연결단의 탄성으로 상기 램프 전극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 방법.
KR1020080008978A 2008-01-29 2008-01-29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KR10139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78A KR101398123B1 (ko) 2008-01-29 2008-01-29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EP20090000687 EP2086067A1 (en) 2008-01-29 2009-01-20 Lamp socket,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lamp
CN2009100039034A CN101498429B (zh) 2008-01-29 2009-01-23 灯座、包括该灯座的显示装置和组装灯的方法
US12/361,519 US7942685B2 (en) 2008-01-29 2009-01-28 Lamp socket,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lamp
JP2009018469A JP5268067B2 (ja) 2008-01-29 2009-01-29 ランプソケットとこれを含む表示装置、及びランプ組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78A KR101398123B1 (ko) 2008-01-29 2008-01-29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44A true KR20090083044A (ko) 2009-08-03
KR101398123B1 KR101398123B1 (ko) 2014-06-11

Family

ID=4062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978A KR101398123B1 (ko) 2008-01-29 2008-01-29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42685B2 (ko)
EP (1) EP2086067A1 (ko)
JP (1) JP5268067B2 (ko)
KR (1) KR101398123B1 (ko)
CN (1) CN101498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184A (ko) * 2008-07-15 2010-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램프 조립방법
KR20110058488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lcd모듈 및 이를 위한 소켓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KR101580294B1 (ko) 2015-06-22 2015-12-24 (주)알앤비코리아 소켓 조립장치
US11635194B2 (en) * 2020-04-08 2023-04-25 Ghsp, Inc. Fastenerless holde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mponent to a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87A (ja) 1993-06-22 1995-01-06 Nippon Steel Corp 高電流密度錫めっき硫酸浴
JP3171729B2 (ja) 1993-07-13 2001-06-0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パネル吊り下げ具
JP2533574Y2 (ja) * 1993-10-04 1997-04-23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挾支接続片
JPH0730487U (ja) * 1993-11-11 1995-06-06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挾支接続片
JP2000133012A (ja) * 1998-10-26 2000-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多灯照明具の接続構造
DE19912032C1 (de) * 1999-03-17 2000-11-30 Heraeus Noblelight Gmbh Strahlereinheit aus beidseitig gesockelter Entladungslampe und Lampen-Fassung
TWI258041B (en) * 2005-03-11 2006-07-11 Au Optronics Corp Lamp clamp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lamp
KR101294012B1 (ko) * 2006-04-03 201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US7637625B2 (en) * 2006-05-23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323924A (ja) * 2006-05-31 2007-12-13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及び蛍光管の取付方法
JP2007335178A (ja) 2006-06-14 2007-12-27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及び蛍光管の取付方法
KR101261547B1 (ko) * 2006-06-27 2013-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200987024Y (zh) * 2006-11-24 2007-12-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KR101380305B1 (ko) * 2007-06-22 201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8429B (zh) 2013-09-11
EP2086067A1 (en) 2009-08-05
JP2009181957A (ja) 2009-08-13
KR101398123B1 (ko) 2014-06-11
CN101498429A (zh) 2009-08-05
US7942685B2 (en) 2011-05-17
US20090191741A1 (en) 2009-07-30
JP5268067B2 (ja)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7464B1 (en) Backlight assemble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backlight assembly
KR20060120895A (ko) 표시장치
US8167477B2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lamp socket with elastomeric conductor
KR101562230B1 (ko) 표시 장치
CN101329461B (zh) 液晶显示模块及其制造方法
KR20090083044A (ko) 램프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램프 조립 방법
KR2008002682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225824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36298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06718B1 (ko) 램프 고정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96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08184A (ko) 램프 소켓,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램프 조립방법
US85316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11292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90067A (ko)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810966B2 (en) Cables fixing apparatus for backlight module
KR101041617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587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5000801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12066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04012A (ko) 램프 소켓
KR20070068088A (ko) 액정 표시 모듈
KR20080065054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