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067A -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067A
KR20060090067A KR1020050011273A KR20050011273A KR20060090067A KR 20060090067 A KR20060090067 A KR 20060090067A KR 1020050011273 A KR1020050011273 A KR 1020050011273A KR 20050011273 A KR20050011273 A KR 20050011273A KR 20060090067 A KR20060090067 A KR 2006009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storage container
substrate
coupl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양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0067A/ko
Priority to TW095103883A priority patent/TW200638102A/zh
Priority to JP2006028098A priority patent/JP2006222424A/ja
Priority to US11/349,300 priority patent/US20060178050A1/en
Priority to CNA2006100067740A priority patent/CN1818751A/zh
Publication of KR2006009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1/347Renovation door frames covering the existing ol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수납 용기는 바닥부 및 수납부를 포함한다. 바닥부는 제 1 측면 및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수납부는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 및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판의 수납 용기에 대한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기판의 수납 용기에 대한 조립 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RECEIVING CONTAINER, METHOD OF RECEIVING A BOA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RECEIVING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를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수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을 견고하게 수납하는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상호 대향하는 두 장의 표시 기판을 포함한다. 두 장의 표시 기판 상에는 각각 전극들이 배치되고, 각 전극들에는 서로 다른 전압이 각 인가된다.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에는 전기장이 인가되고,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이 재배열되고, 이로 인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이 변경된다. 따라서, 변경된 액정층의 광 투과율에 따라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액정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은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통상적으로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의 일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회로 기판과 수납 용기는 스크류 체결을 통하여 결합된다.
그러나, 회로 기판을 수납 용기에 스크류로 고정할 경우, 이들의 조립 공정 수가 증가하고, 이 결과, 회로 기판의 수납 용기에 결합하는 데 필요한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 및 제한을 실질적으로 제거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조립 공정수 및 조립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납 용기를 이용하여 기판을 수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수납 용기는 바닥부 및 수납부를 포함한다. 바닥부는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수납부는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판의 수납 방법은,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기판을 수납하 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에 기판을 수납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제 1 측면을 상기 제 1 수납부에 수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측면을 상기 제 2 수납부에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인쇄 회로 기판 및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 신호를 인가하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다. 수납 용기는 제 1 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으로 연장되어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와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연장되어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갖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수납 용기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용기를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10)는 바닥부(100) 및 기판(300)을 수납하는 수납부(200)를 포함한다.
기판(300)은,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300)이, 예를 들여,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경우, 기판(3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바닥면 및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부면,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제 1 측면(310),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320),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 3 및 4 측면들(330, 340)을 포함한다.
바닥부(100)는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1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바닥부(100)는 기판(300)을 수납하는 제 1 영역(110) 및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1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영역(110)의 평면적은 기판(300)의 바닥면의 평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영역(110)의 형상은 기판(300)의 형상과 닮은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판(300)의 형상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일 경우, 제 1 영역(110)의 형상 역시 직사각형이다.
수납부(200)는 바닥부(100) 상에 배치되고, 기판(300)을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부(200)는 제 1 수납부(210) 및 제 2 수납부(220)를 포함한다.
제 1 수납부(210)는 제 2 영역(120)으로부터 제 1 영역(110)을 향해 돌출되고, 제 1 수납부(210)는, 예를 들어,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을 수납한다. 제 1 수납부(210)는, 예를 들어, 제 1 측면(310)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납부(210)는 제 1 고정부(211) 및 제 1 연결부(215)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211)는 바닥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닥부(10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고정부(211)는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의 주변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 1 고정부(211)는 기판(300)의 들뜸을 방지한다.
제 1 연결부(215)는 제 1 고정부(211)를 바닥부(100)에 연결시킨다. 제 1 연결부(215)는 제 1 및 제 2 영역들(110, 120)의 경계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215)는 바닥부(10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210)는, 예를 들어, 'L' 자 형상을 갖고, 제 1 고정부(211), 제 1 연결부(215) 및 바닥부(100)에 의하여 이들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제 2 수납부(220)는 제 2 영역(120)으로부터 제 1 영역(110)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 2 수납부(220)는, 예를 들어, 기판(300)의 제 2 측면(320)을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수납부(220)는 제 2 고정부(221) 및 제 2 연결부(225)를 포함한다.
제 2 고정부(221)는 바닥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닥부(10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고정부(221)는 기판(300)의 제 2 측면(320)의 주변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 2 고정부(221)는 기판(300)의 들뜸을 방지한다.
제 2 연결부(225)는 제 2 고정부(221)를 바닥부(100)에 연결시킨다. 제 2 연 결부(225)는 제 1 및 제 2 영역들(110, 120)의 경계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225)는 바닥부(10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수납부(220)는, 예를 들어, 'L' 자 형상을 갖고, 제 2 고정부(221), 제 2 연결부(225) 및 바닥부(100)에 의하여 이들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은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의 개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수납부(210)가, 예를 들어, 제 1 측면(310)의 중앙에 대응하여 배치될 경우, 제 2 수납부(220) 또한 제 2 측면(320)의 중앙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을 포함하는 수납부(200)는 기판(300)을 견고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판(300)의 제 1 측면(310) 및 제 1 수납부(210)의 제 1 연결부(215)의 내측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이하, 기판의 제 1 측면(310) 및 제 1 수납부(210)의 제 1 연결부(215)의 내측면 사이의 상호 이격 거리를 제 1 폭(W1)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고정부(221)는 기판(300)의 일부와 중첩되고, 이하, 제 2 고정부(221)의 단부로부터 기판(300)의 제 2 측면(320)까지의 중첩 거리를 제 2 폭(W2)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 1 폭(W1)은 제 2 폭(W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300)을 수납부(200)에 결합하기 위해, 먼저, 기판(300)의 제 2 측면(320)은 제 2 수납부(220)에 삽입되고, 이어서,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이 제 1 수납부(210)에 삽입되어, 기판(300)은 수납 용기(10)에 수납된다.
이와 다르게,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이 제 1 수납부(210)에 먼저 삽입된 후, 기판의 제 2 측면(320)이 제 2 수납부(220)에 삽입되어, 기판(300)은 수납 용기(1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10)는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을 포함하는 수납부(200)를 포함한다. 제 1 수납부(210)는 제 1 고정부(211) 및 제 1 연결부(215)를 포함하다.
제 1 고정부(211)는 제 1 결합부(261)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261)는 바닥부(100)와 마주보는 제 1 고정부(211)의 제 1 면상에 배치된다. 제 1 결합부(261)는 제 1 면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 돌기이다.
바람직하게, 결합 돌기(261)의 두께는 제 1 고정부(211)의 단부로부터 제 1 연결부(215)로 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합 돌기(261)를 제 1 수납부(210)에 형성함으로써,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을 제 1 수납부(210)에 보다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한편, 기판(300)은 제 1 결합부(261)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31)를 포함한다. 제 2 결합부(331)는 제 1 결합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결합부(331)는 결합 돌기에 대응하는 결합 홈이다.
결합 돌기(211) 및 결합 홈(331)을 제 1 고정부(211) 및 기판(300)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제 1 수납부(210)가 기판(300)을 보다 견고하게 수납한다. 특히, 제 1 수납부(210)는 바닥면(100)의 상방으로 기판(300) 유동을 억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10)는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을 갖는 수납부(200)를 포함한다. 제 1 수납부(210)는 제 1 고정부(211) 및 제 1 연결부(215)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211)는 제 1 결합부(263)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263)는 바닥부(100)와 서로 마주보는 제 1 고정부(211)의 제 1 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263)는 상기 제 1 면에 리세스된 결합 홈을 포함한다.
한편, 기판(300)은 제 1 결합부(263)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33)를 포함한다. 제 2 결합부(333)는 제 1 결합부(26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결합부(333)는 결합 홈(263)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이다.
결합 홈(263) 및 결합 돌기(333)를 제 1 고정부(211) 및 기판(300) 상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제 1 수납부(210)가 기판(300)을 보다 견고하게 수납한다. 특히, 제 1 수납부(210)는 바닥부(100)의 상방으로 기판(300)의 유동을 억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납부(200)는 기판의 제 1 측면(310)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210) 및 기판의 제 2 측면(320)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210)는 2 이상의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제 2 수납부(220) 또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은 상호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수납부(200)는 기판(300)을 보다 견고 하게 수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납부(200)는 기판의 제 1 측면(310)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210) 및 기판의 제 2 측면(320)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210)는 2 이상의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제 2 수납부(220) 또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제 1 및 제 2 수납부들(210, 220)은 기판(300)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고르게 분산함으로써, 수납부(200)는 기판(300)의 들뜸을 감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납부(200)는 제 1 수납부(210) 및 제 2 수납부(220)를 포함한다.
제 1 수납부(210)는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을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300)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경우, 기판(300)은 바닥면 및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기판(300)은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제 1 측면(310),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320),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 3 및 4 측면들(330, 34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2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제 1 수납부(210)들은 기판(300)의 제 1 측면(310)과 제 3 측면(330)이 만나는 제 1 에지부 및 기판(300)의 제 1 측면(310)과 제 4 측면(340)이 만나는 제 2 에지부에 대 응하여 각각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제 2 수납부(220)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제 2 수납부(220)들이 제 2 측면(320)과 제 3 측면(330)이 만나는 제 3 에지부 및 제 2 측면(320)과 제 4 측면(340)이 만나는 제 4 에지부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측면(310)과 제 3 측면(330) 및 제 1 측면(310)과 제 4 측면(340)이 만나는 각각의 기판(300)의 에지부들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 1 수납부(210)가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을 수납함으로써, 수납부(200)는 기판(30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납부(200)는 제 1 수납부(210) 및 제 2 수납부(220)를 포함한다.
제 2 수납부(220)는, 예를 들어, 기판(300)의 제 2 측면(310)을 수납한다. 제 2 수납부(220)는 바닥부(10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판(300)의 제 2 측면(320)의 주변의 들뜸을 방지하는 제 2 고정부(221) 및 제 2 고정부(221)와 바닥부(100)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22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수납부(210)는 'L' 자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연결부(215)는 기판의 제 2 측면(32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 2 고정부(211)의 길이는 기판의 제 2 측면(32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수납부(210)는 기판의 제 2 측면(320)을 전면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제 2 수납부(21)가 기판(300)의 제 2 측벽(320)을 보다 견고하게 수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닥부(100)중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110)에 수납 홈이 형성된다. 수납 홈(130)의 형상은 기판(300)의 형상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기판(300)이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경우, 수납 홈(13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납 홈(130)은 기판(30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수납 홈(130)에 의하여 바닥부(100) 및 바닥부(100)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기판(300) 사이의 단차가 줄어든다. 따라서, 바닥부(100)에 대한 외부의 충격이 있을 경우, 수납 용기(10)는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기판(300)을 보호한다. 또한, 수납 용기(10)가 기울어지더라도, 수납 용기에 형성된 수납 홈(130)에 의하여 기판(300)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의 수납 방법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수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11을 참조하면, 기판(300)의 제 1 측면(310) 및 제 1 수납부(210)의 제 1 연결부(215)의 내측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이하, 기판의 제 1 측면(310) 및 제 1 수납부(210)의 제 1 연결부(215)의 내측면 사이의 상호 이격 거리를 제 1 폭(W1)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고정부(221)는 기판(300)의 일부와 중첩 되고, 이하, 제 2 고정부(221)의 단부로부터 기판(300)의 제 2 측면(320)까지의 중첩 거리를 제 2 폭(W2)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 1 폭(W1)은 제 2 폭(W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300)을 수납부(200)에 결합하기 위해, 먼저, 기판(300)의 제 2 측면(320)을 슬라이딩시켜 제 2 측면(320)을 제 2 수납부(220)에 삽입한다. 기판(300)의 제 2 측면(320)을 제 2 수납부(220)의 제 2 연결부(225)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을 슬라이딩시켜 제 1 측면(310)을 제 1 수납부(210)에 삽입한다. 이로써, 기판(300)은 수납 용기(10)에 수납된다.
이와 다르게, 기판(300)의 제 1 측면(310)이 제 1 수납부(210)에 먼저 삽입된 후, 기판의 제 2 측면(320)이 제 2 수납부(220)에 삽입되어, 기판(300)은 수납 용기(10)에 수납될 수 있다.
표시 장치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표시 패널(400), 인쇄 회로 기판(500), 및 수납 용기(60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표시 장치(20)는, 표시 패널(400) 및 인쇄 회로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성 회로기판(700)을 더 포함한다.
표시 패널(400)은 외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400)은 제 1 기판(410), 제 2 기판(420)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 1 기판(41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 전극들, 상기 각 화소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들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선(signal line)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선의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한 패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기판(420)은 제 1 기판(410)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제 2 기판(420)은 제 1 기판(42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다. 제 2 기판(420)은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 및 컬러 필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은 제 1 기판에 형성된 상기 화소 전극들에 대향한다. 상호 대향하는 공통 전극 및 각각의 화소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공통 전극 및 화소 전극들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공통 전극은 제 1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 패턴은 제 1 기판에 형성된 각각의 화소전극들과 대향하여, 제 2 기판 상에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컬러 필터 패턴은 제 1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은 제 1 기판(410)과 제 2 기판(420)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화소전극들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은 재배열한다. 따라서, 제 1 기판(410) 또는 제 2 기판(420)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액정층에 대한 광투과율이 변경된다.
인쇄 회로 기판(500)은 표시 패널(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 패널(400)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인쇄 회로 기판(500)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 기판은 바닥면 및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500)은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제 1 측면(510), 제 1 측면(510)에 대향하는 제 2 측면(520),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을 연결시키는 제 3 측면(530) 및 4 측면들(540)을 더 포함한다.
수납 용기(600)는 제 1 면(601) 및 상기 제 1 면(601)에 대향하는 제 2 면(60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 용기(600)는 제 1 면(601)에 인쇄 회로 기판(500)을 수납하고, 수납 용기(600)는 제 2 면(602)에 표시 패널(400)을 수납한다.
수납 용기(600)는 제 1 면(601)에 제 1 바닥부(610) 및 수납부(620)를 포함한다.
제 1 바닥부(610)는 기판(300)을 수납하는 제 1 영역(611) 및 제 1 영역(611)을 둘러싸는 제 2 영역(612)을 포함한다. 제 1 영역(611)의 평면적은 인쇄 회로 기판(500)의 평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500)의 형상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일 경우, 제 1 영역(611)의 형상 또한 직사각형이다.
수납부(620)는 제 1 바닥부(610) 상에 배치되고, 인쇄 회로 기판(500)을 수납한다. 수납부(620)는 제 1 수납부(621) 및 제 2 수납부(626)를 포함한다.
제 1 수납부(621)는 제 2 영역(612)으로부터 제 1 영역(611)으로 돌출된다. 제 1 수납부(621)는 인쇄 회로 기판(500)의 제 1 측면(510)을 수납한다. 제 1 수납부(621)는 제 1 측면(51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납부(621)는 제 1 고정부(622) 및 제 1 연결부(624)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622)는 제 1 바닥부(61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고정부(622)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측면(510)의 주변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 1 고정부(622)는 인쇄 회로 기판(500)의 들뜸을 방지한다.
제 1 연결부(624)는 제 1 고정부(622)를 제 1 바닥부(610)에 연결시킨다. 제 1 연결부(624)는 제 1 및 제 2 영역들(611, 612)의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624)는 제 1 바닥부(61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621)는 'ㄱ' 자 형상을 갖는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수납부(621)의 제 1 고정부(622)는 인쇄 회로 기판(500)에 대향하는 면에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500)은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가 제 1 고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수납 용기의 제 1 바닥부를 향하여 돌출된 결합 돌기일 경우, 제 2 결합부는 결합 돌기에 대응하고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결합 홈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결합부가 제 1 고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리세스된 결합 홈일 경우, 제 2 결합부는 결합 홈에 대응하고, 인쇄 회 로 기판에 형성된 결합 돌기일 수 있다.
제 2 수납부(626)는 제 2 영역(612)으로부터 제 1 영역(611)으로 돌출된다. 제 2 수납부(626)는 기판의 제 2 측면(520)을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수납부(626)는 제 2 고정부(627) 및 제 2 연결부(629)를 포함한다.
제 2 고정부(627)는 제 1 바닥부(61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고정부(627)는 인쇄 회로 기판(500)의 제 2 측면(520)의 주변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 2 고정부(627)는 인쇄 회로 기판(500)의 들뜸을 방지한다.
제 2 연결부(629)는 제 2 고정부(627)를 제 1 바닥부(610)에 연결시킨다. 제 2 연결부(629)는 제 1 및 제 2 영역들(611, 612)의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629)는 제 1 바닥부(61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수납부(626)는 'ㄱ' 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2 연결부(629)는 인쇄 회로 기판(500)의 제 2 측면(52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고정부(627)는 인쇄 회로 기판(500)의 제 2 측면(52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수납부들(621, 626)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수납부(621)가 제 1 측면(510)의 중앙에 대응하여 배치될 경우, 제 2 수납부(626) 또한 제 2 측면(520)의 중앙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수납부들(621, 626)에 의하여 수납부(620)는 인쇄 회로 기판(500)을 견고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및 제 2 수납부들(621, 626)은 각각 복수 개로 이루어지 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및 제 2 수납부들(621, 626)은 각각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수납 용기(600)는 제 1 면(601)에 대향하는 제 2 면(602)에 표시 패널(400)을 수납한다.
수납 용기(600)는 제 2 면(602)에 제 2 바닥부(630) 및 측벽(640)들을 포함한다. 측벽(640)들은 제 2 바닥부(630)의 주변부로부터 표시 패널(4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 2 바닥부(630) 및 측벽(640)들에 의하여 수납 용기는 표시 패널(400)을 수납하는 수납 영역을 형성한다.
측벽들의 일부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측벽들의 단턱은 표시 패널(400)을 지지한다.
연성 회로 기판(700)은 인쇄 회로 기판(500) 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및 절연층을 포함하며, 절곡이 가능한 플랙시블(flexible)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연성 회로 기판(700)의 일측은 표시 패널(400)의 제 1 기판(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인쇄 회로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500)으로부터 발생한 구동 신호는 연성 회로 기판(700)을 통하여 표시 패널의 제 1 기판(410)에 인가된다.
연성 회로 기판(700), 인쇄 회로 기판(500) 및 수납 용기(600)의 결합관계는 다음과 같다.
인쇄 회로 기판(500)과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700)은 수납 용기(600)의 일 측벽을 감싸면서 제 1 면(601)을 향하여 절곡되고 이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500) 은 수납 용기(600)의 제 1 바닥부(610) 상에 배치된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500)의 제 2 측면(520)이 제 2 수납부(620)를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측면(520)은 제 2 수납부(620)에 수납되고, 이후,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측면(510)이 제 1 수납부(610)를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수납된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500)은 제 1 바닥부(610)의 제 1 영역(611) 내에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표시 패널(40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를 더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램프 유닛(810), 광학 유닛(830) 및 몰드 프레임(850)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810)은 램프(811) 및 램프 반사판(813)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400)에 제공되는 광을 발생시킨다.
광학 유닛(830)은 도광판(831) 및 광학 시트류(833, 835, 837)를 포함한다.
도광판(831)은, 예를 들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투명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다. 도광판(831)은 일 측면을 통해 램프 유닛(810)으로부터 광을 입사 받는다.
광학 시트류(833, 835, 837)는 반사 시트(833), 확산 시트(835) 및 프리즘 시트(837)를 포함하고, 광학 시트류(833, 835, 837)는 램프 유닛(310)에서 발생된 광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반사 시트(833)는 수납 용기(270)의 제 2 바닥부(630)와 도광판(831)의 사이 에 배치되어 제 2 바닥부(630)로 누설되는 광을 다시 도광판(831) 쪽으로 반사한다. 또한, 확산 시트(835)는 도광판(831)과 표시 패널(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광판(83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킨다. 프리즘 시트(837)는 확산 시트(835)와 도광판(831) 사이에 배치되고 확산시트(835)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와 굴절을 통해 광의 바닥부에 대한 수직 방향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몰드 프레임(850)은 램프 유닛(810) 및 광학 유닛(830)을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수납 용기(600)에 수납된 표시 패널(400)을 보호하고 수납 용기(6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400)의 상부에서 수납 용기(600)와 결합되는 탑 샤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수납 용기(600)에 몰드 프레임(850)을 수납하고 반사시트(833) 및 도광판(831)을 차례로 수납한다. 다음, 도광판(831)과 몰드 프레임(850)의 일 측벽의 사이에 램프 유닛(810)을 배치한다. 이어서, 도광판(831) 위에 확산시트(835) 및 프리즘시트(837)를 배치한다.
이후, 표시 패널(400)을 몰드 프레임(850)의 측벽에 배치한다. 이때, 표시 패널(400)에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700)은 수납 용기(600)의 일 측벽을 따라 제 1 바닥부(610)를 향하여 절곡되고, 이 결과 연성 회로 기판(700)에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500)은 수납 용기(600)의 제 1 바닥부(610) 상에 배치된다.
이후, 제 1 바닥부(61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수납부들(621, 626)이 인쇄 회로 기판(250)의 제 1 및 제 2 측면들(510, 520)을 각각 수납하여, 인쇄 회로 기판(500)은 제 1 바닥부(61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 장치(20)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술한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인쇄 회로 기판의 고정을 위해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조립 공정 단계들에서 스크류 체결 공정 단계의 수가 감소되어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기판을 수납 용기에 수납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수납 용기의 바닥부 상에 배치되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를 포함하는 수납부에 의하여 회로 기판이 수납 용기에 수납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 단계들에서, 스크류 체결 공정수가 감소되어 조립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는 상기 제 2 수납부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측면의 주변의 들뜸을 방지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결합 돌기이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는 결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의 하부면은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부면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결합 홈이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납부들은 상호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수납부들은 각각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납부들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 납부들은 상기 제 1 측면의 양쪽 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2 측면의 주변부의 들뜸을 방지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측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측면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기판 사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기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16.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에 기판을 수납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제 1 측면을 상기 제 1 수납부에 수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측면을 상기 제 2 수납부에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의 수납 방법.
  17.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 신호를 인가하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제 1 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제 1 영역으로 연장되어 제 1 측면을 수납하는 제 1 수납부와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으로 연장되어 제 2 측면을 수납하는 제 2 수납부를 갖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납부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납부들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측면 주변의 들뜸을 방지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결합 돌기이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는 결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2 측면 주위의 들뜸을 방지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2 고정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측면에 대하여 실질적으 로 평행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측면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단턱을 갖는 측벽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011273A 2005-02-07 2005-02-07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6009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73A KR20060090067A (ko) 2005-02-07 2005-02-07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095103883A TW200638102A (en) 2005-02-07 2006-02-06 Receiving container, method for receiving a boa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receiving container
JP2006028098A JP2006222424A (ja) 2005-02-07 2006-02-06 収納容器、基板の収納方法及びそれを含む表示装置
US11/349,300 US20060178050A1 (en) 2005-02-07 2006-02-07 Receiving container, method for receiving a boar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receiving container
CNA2006100067740A CN1818751A (zh) 2005-02-07 2006-02-07 容纳容器、用于容纳板的方法和具有容纳容器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73A KR20060090067A (ko) 2005-02-07 2005-02-07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067A true KR20060090067A (ko) 2006-08-10

Family

ID=3678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273A KR20060090067A (ko) 2005-02-07 2005-02-07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78050A1 (ko)
JP (1) JP2006222424A (ko)
KR (1) KR20060090067A (ko)
CN (1) CN1818751A (ko)
TW (1) TW2006381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63B1 (ko) * 2007-11-07 201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6613A1 (en) * 2012-04-26 2013-10-31 Yinhung Chen LCD Module, LCD Device, and Backplane
CN102621726A (zh) * 2012-04-26 2012-08-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液晶显示装置及背板
KR102570321B1 (ko) * 2018-02-14 2023-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포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0428B (en) * 1999-07-12 2003-09-01 Nec Lcd Technologies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356697A (ja) * 2000-06-09 2001-12-26 Seiko Precision Inc 表示装置
JP3739640B2 (ja) * 2000-08-28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257180B2 (ja) * 2003-09-30 2009-04-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63B1 (ko) * 2007-11-07 201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22424A (ja) 2006-08-24
CN1818751A (zh) 2006-08-16
TW200638102A (en) 2006-11-01
US20060178050A1 (en)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5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651257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488078B2 (en) Chassis formed of interlocking parts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0783591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4415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JP2001201733A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044793A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05818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07734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218102B2 (en) Display apparatus
KR20080045380A (ko) 분할형 샤시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20080273138A1 (en) Receiving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80097699A (ko) 표시장치
US2007003568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60090067A (ko)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525609B2 (en) LCD module having inverter power supply with master/slave portions interconnected by flexible flat cable mounted on inner surface of lower cover and where master/slave portions and corresponding sides of power supply line are exposed on outer surface of lower cover
KR102264382B1 (ko) 가이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91143A (ko)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
KR20170040436A (ko) 표시 장치
KR2006008501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93923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63096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34044A (ko) 표시 장치
KR100443836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00059472A (ko) 인쇄회로기판 수납공간이 형성된 도광판이 적용된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