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644A - 통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644A
KR20090082644A KR1020080008531A KR20080008531A KR20090082644A KR 20090082644 A KR20090082644 A KR 20090082644A KR 1020080008531 A KR1020080008531 A KR 1020080008531A KR 20080008531 A KR20080008531 A KR 20080008531A KR 20090082644 A KR20090082644 A KR 2009008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tory
database
failure
complaint
produ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601B1 (ko
Inventor
송근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601B1/ko
Priority to US12/045,464 priority patent/US20090192646A1/en
Publication of KR2009008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공장의 정상 가동 여부, 제품의 생산량, 판매량, 소비자의 불만 등을 입력 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해결 방안 또는 전문가로부터 직접 의견을 입력 받아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장치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을 검출하는 카메라와,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센서와, 공장 내의 생산 기계들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센서에 연결된 공장 서버;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입력 받거나 판매처로부터 판매 수량 및 소비자의 불만을 입력 받는 복수개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카메라와 정보 센서와 고장 판단 센서가 검출한 신호를 상기 공장 서버로부터 입력 받아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와 공장 서버를 연결하여 문제 해결을 보조하며,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판매 수량 및 소비자의 불만을 입력 받아 이를 분석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 생산 라인, 인식 수단

Description

통합 관리 장치{COMBINED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공장의 정상 가동 여부, 제품의 생산량, 판매량, 소비자의 불만 등을 입력 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 해결 방안 또는 전문가로부터 직접 의견을 입력 받아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혁명 이후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급격하게 발전을 하였다. 제조업의 경우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판매하게 되었다. 더욱이, 해외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외에 직접 공장을 지어 해외에서 생산된 물품을 해외에서 판매함으로써 운송비를 줄이고 해외의 소비자들에게 신속히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 및 해외에 공장이 늘어남에 따라 생산 기계의 고장 또는 소비자의 불만 접수 시 이를 신속하게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해외에 건설되는 공장은 인건비가 낮은 지역에 대부분이 건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는 문제 발생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하여 문제 해결이 지연되 게 되었다. 즉,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타지에 있는 전문가가 현지에 가서 직접 문제를 해결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공장의 문제 발생 부분에 대한 사진을 통신 수단으로 전달 받아 이를 분석한 후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 공장 지역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즉각적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방안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는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문제의 신속한 해결과 더불어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관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산이 중단되지 않고 제품의 생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들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생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제품의 판매가 부진한 경우에는 제품의 제고가 증가하게 된다. 제품의 제고가 증가하거나 제품의 각 부품들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확보하게 되면 이를 보관할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제품의 제고가 부족하거나 제품의 각 부품들이 부족하게 확보되게 되면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제고와 제품의 각 부품들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장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각 공장 지역과 전문가들을 직접 연결하는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품의 제고,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 및 고장 유무를 검출하고,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는 공장 서버;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입력 받는 복수개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공장 서버에서 검출한 신호를 전송 받아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와 공장 서버를 연결하여 문제 해결을 보조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장 서버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을 검출하는 카메라;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센서; 그리고 공장 내의 생산 기계들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모델화되어 있고, 각 공장에서 발생된 고장의 원인, 상태, 그리고 처리 방법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정보 센서에서 검출된 각 부품의 정보는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각 부품들에는 각각 고유의 인식 수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센서는 상기 각 부품에 부착된 인식 수단을 검출하여 각 부품의 위치를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수단은 바코드와 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된 각 부품의 위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고, 고장 판단 센서로부터 고장이 난 생산 기계에 대한 정보를 받아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생산 기계의 고장 원인, 상태가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처리 방법을 공장 서버에 출력할 수 있다.
생산 기계의 고장 원인, 상태가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문가들의 의견을 입력 받아 이를 공장 서버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는 소비자의 불만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불만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 스는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소비자의 불만 및 상기 불만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비자의 불만이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결 방안을 상기 소비자와 연결된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비자의 불만이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전문가들에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불만의 해결 방안을 입력 받아 이를 소비자와 연결된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서버는 제품의 생산량 및 각 부품의 제고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는 생산 데이터베이스와, 제품의 판매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는 판매 데이터베이스와, 제품과 각 부품의 운송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운송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는, 원격의 공장으로부터 생산 라인의 영상 및 고장 유무를 입력 받으며,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원격의 전문가에게 상기 생산 라인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전문가가 공장의 문제점을 원격상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 의하면, 공장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결 방안을 출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문제는 전문가로부터 직접 의견을 들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문제 해결 및 인력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품의 제고 및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불만이 발생한 경우 전문가로부터 신속히 의견을 들어 해결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 증가 및 이러한 불만을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장래의 제품 설계를 연령 및 지역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는 각 공장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공장 서버(10), 상기 복수개의 공장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중앙 서버(20), 판매처, 소비자, 그리고 전문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중앙 서버(20)에 전송하는 복수개의 단말기(30), 그리고 상기 중앙 서버(20)가 분석한 정보를 전달 받아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중앙 표시 장치(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공장 서버의 구성을 보 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장 서버(10)는 카메라(12), 정보 센서(14), 공장 모니터(16), 그리고 고장 판단 센서(1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장 서버(10)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을 검출하고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며, 공장 내의 생산 기계들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중앙 서버(20)에 전달한다.
카메라(12)는 고정식 카메라(12)와 이동식 카메라(12)의 두 종류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장 내의 생산 기계들에는 각각 고정식 카메라(12)가 장착되어 있고, 각 생산 기계들 사이에는 이동식 카메라(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식 카메라(12)와 이동식 카메라(12)는 회전하며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을 검출하여 공장 서버(1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각 카메라(12)의 작동은 중앙 서버(2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생산 기계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중앙 서버(20)의 제어에 의하여 고장 발생 부분에 대한 영상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되어 중앙 서버(20)로 전송되게 된다.
정보 센서(14)는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상기 공장 서버(10)에 전송한다. 상기 각 부품들에는 각각 고유의 인식 수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정보 센서(14)는 상기 각 부품에 부착된 인식 수단을 검출하여 각 부품의 종류, 각 부품의 인식 번호, 생산 라인 상에서 각 부품의 위치 등에 대한 신호를 상기 공장 서버(10)에 전송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인식 수단은 바코드 또는 ID일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센서(14)는 광학식 마크판독장치일 수 있다.
공장 모니터(16)는 상기 중앙 서버(2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와 지령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공장 모니터(16)는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장 내의 기술자들은 상기 공장 모니터(16)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지령에 따라 공장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대처를 하게 된다.
고장 판단 센서(18)는 공장 내의 생산 기계들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여 이에대한 신호를 공장 서버(10)에 전송한다. 상기 고장 판단 센서(18)는 각 생산 기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색 기계의 경우 페인트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페인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제품의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중앙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20)는 생산 데이터베이스(21), 판매 데이터베이스(22),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 제품 데이터베이스(24), 불만 데이터베이스(25), 그리고 운송 데이터베이스(26)를 포함한다.
상기 생산 데이터베이스(21)에는 제품의 생산량 및 각 부품의 제고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된다. 즉, 상기 정보 센서(14)에서 각 부품에 부착된 인식 수단을 검출하여 상기 중앙 서버(20)에 전송하면, 상기 중앙 서버는 각 공장의 생산 라인 상에서 제품의 최종 조립 기계에서 출고로 이동하는 부품을 체크함으로써 제품의 생산 량이 자동적으로 기록되고, 공장 내의 생산 라인 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각 부품의 개수를 체크함으로써 각 부품의 제고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생산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각 부품의 제고량을 분석하여 부품의 제고량이 부족한 경우 부족한 부품의 생산 공장에 생산량을 늘리도록 지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생산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제품의 생산량과 각 부품의 제고량을 표, 그래프 등으로 가공하여 이를 상기 중앙 표시 장치(40)에 표시할 수 있다.
판매 데이터베이스(22)는 각 판매처의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되는 제품의 판매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판매 데이터베이스(22)에는 판매된 제품의 종류, 판매 지역, 판매 일시 등에 따라 제품의 판매량이 기록되고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판매 데이터베이스(22)에 기록된 제품의 판매량을 표, 그래프 등으로 가공하여 상기 중앙 표시 장치(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생산 데이터베이스(21)에 기록된 제품의 생산량과 상기 판매 데이터베이스(22)에 기록된 제품의 판매량을 비교하여 제품의 제고량을 계산하며 이를 기초로 공장의 가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 공장 서버(10)에 지령을 내리게 된다.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는 각 공장에서 발생된 고장의 원인, 상태, 그리고 처리 방법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는 각 공장에서 고장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상기 공장 서버(1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모델화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공장의 생산 라인을 모델링한 일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은 평면도로 이차원적으로 모델화되어 있다. 도 4에서, 네모 박스는 생산 기계들을 나타내며 상기 네모 박스 내에 기록된 숫자들은 상기 생산 기계들에 로딩되어 있는 부품의 고유 인식 수단을 나타내며, 선은 컨베이어(conveyor) 등의 이송수단을 나타낸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의 고유 인식 수단은 상기 정보 센서(14)에서 검출한다. 이와 같이,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모델화되어 있으므로 고장 발생 부분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고장이 발생된 부분에 위치한 카메라(12)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부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타 지역에 위치한 전문가들이 고장에 대하여 원격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는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된 각 부품의 위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고장 판단 센서(18)로부터 특정한 생산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한다. 생산 라인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중앙 서버(20)는 고장 판단 센서(18)로부터 고장이 난 생산 기계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분석한다.
제품 데이터베이스(24)는 각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상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불만 데이터베이스(25)는 소비자로부터 제기된 불만 및 상기 불만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저장되어 있다. 즉, 소비자가 단말기(30)를 통하여 불만을 입력하면 상 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불만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불만이면,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상기 불만을 저장하고 전문가가 접근하는 단말기(30)로부터 상기 불만에 대한 전문가의 해결책을 입력 받아 소비자가 접근하는 단말기(30)에 출력한다.
운송 데이터베이스(26)는 제품과 각 부품의 운송 상태가 기록되어 있다. 제품이 판매처로 운송되는 경우 또는 부품이 공장으로 운송되는 경우 운송 수단이 기록된다. 또한, 상기 각 운송 수단에도 고유의 인식 수단이 부착되어 있어 위성을 통하여 각 운송 수단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기록된다. 이를 통하여 각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기간 및 부품의 생산 등이 효율적으로 관리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0)는 전문가, 판매처, 그리고 소비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상기 단말기(30)를 통하여 고장에 대한 해결방안과 소비자의 불만에 대한 해결 방안을 입력하고, 판매처는 상기 단말기(30)를 통하여 제품의 판매량 및 필요한 제품을 입력하며, 소비자는 상기 단말기(30)를 통하여 불만 사항을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은 상기 중앙 서버(20)에 전송되어 각 데이터베이스(21, 22, 23, 24, 25, 26)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단말기(30)는 전문가, 판매처, 그리고 소비자로부터 의견, 판매량, 불 만 등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32)와, 공장의 고장 부분에 대한 영상, 소비자의 불만에 대한 해결 내용이 표시되는 출력 장치(34)를 포함한다.
중앙 표시 장치(40)는 복수개의 모니터가 통합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는 큐브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멀티 스크린 구성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정보를 각각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하나의 정보를 전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고장 상황의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고장 상황의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가 고장 상황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면(S100),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고장인지를 판단한다(S110).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된 각 부품의 위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고장 판단 센서(18)로부터 특정한 생산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 고장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설정된 시간은 10~20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S110 단계에서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고장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 서버(20)는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처리 방법을 공장 서버(10)에 출력하고 고장에 대한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다(S160).
만일 상기 S110 단계에서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고장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 서버(20)는 관련 전문가가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30)를 통하여 관련 전문가와 연결한다(S120). 이 때, 카메라(12)에서 검출되는 고장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와 고장 판단 센서(18)에서 검출된 생산 기계의 작동 상태는 중앙 서버(20)를 거쳐 관련 전문가가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30)의 출력 장치(34)에 표시되게 되고(S130), 전문가는 출력 장치(34)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기초로 고장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게 된다. 그 후, 전문가는 입력 장치(32)를 통해 고장 상태의 해결 방안을 입력하게 되고(S140), 발생된 고장의 원인, 상황, 그리고 해결 방안은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다(S150).
그 후, 상기 중앙 서버(20)는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처리 방법을 공장 서버(10)에 출력하고 고장에 대한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다(S160).
상기와 같이, 공장에서 고장이 발생된 경우 공장과 떨어져있는 전문가가 고장 부분을 눈으로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고장의 처리 상황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고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고장 발생시 카메라로 고장 부분을 검출한 모습을 보인 일 예이다.
해외 공장에서 차량의 바디가 대차에서 이탈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국내에거주하는 전문가는 도 7에 도시된 사고 발생 부분의 영상 신호를 단말기(30)의 출 력 장치(34)로부터 확인 하고 바디 안착용 고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입력 장치(32)로 입력하였다. 이 후, 전문가는 바디 안착용 고리를 대차에 설치하는 과정을 지켜 보며 설치 과정에서의 주의 사항을 입력하였고, 이러한 주의 사항에 따라 대차에 바디 안착용 고리가 설치되었다. 그 후, 전문가는 바디 안착용 고리가 설치된 대차에서 바디가 안전하게 이동 하는 영상까지 지켜봄으로써 사고에 대한 해결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소비자로부터 불만 접수 시 그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단말기(30)를 통하여 불만 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불만 사항은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전송되게 된다(S200). 이 경우,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입력 받은 불만이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된 불만 사항인지를 판단한다(S210).
만일 상기 S210 단계에서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된 불만 사항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해결 방안을 상기 단말기(30)의 출력 장치(34)에 표시하고 소비자의 불만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추가 불만 사항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250).
만일 상기 S210 단계에서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된 불만 사항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 서버(20)는 관련 전문가가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30)를 통하여 관련 전문가와 연결한다(S220). 이 때, 소비자의 불만 사항과 필요한 경우 불만 사항에 대한 영상 신호가 전문가가 접근할 수 있는 단말기(30)의 출력 장 치(34)에 표시되게 되고, 전문가는 출력 장치(34)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기초로 소비자의 불만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찾게 된다. 그 후, 전문가는 입력 장치(32)를 통해 불만 사항에 대한 해결 방안을 입력하게 되고(S230), 불만의 내용, 원인, 그리고 해결 방안은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된다(S240).
그 후, 상기 중앙 서버(20)는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해결 방안을 상기 단말기(30)의 출력 장치(34)에 표시하고 전문가는 소비자의 불만 처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추가 불만 사항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250).
상기와 같이, 소비자에서 불만이 발생된 경우 소비자로부터 떨어져있는 전문가가 불만 사항을 눈으로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불만 사항의 처리 상황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불만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공장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중앙 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공장의 생산 라인을 모델링한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고장 상황의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고장 발생시 카메라로 고장 부분을 검출한 모습을 보인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에서 소비자로부터 불만 접수 시 그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Claims (15)

  1.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 및 고장 유무를 검출하고,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는 공장 서버;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입력 받는 복수개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공장 서버에서 검출한 신호를 전송 받아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와 공장 서버를 연결하여 문제 해결을 보조하는 중앙 서버;
    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 서버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의 영상을 검출하는 카메라;
    공장 내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의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센서; 그리고
    공장 내의 생산 기계들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는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모델화되어 있고, 각 공장에서 발생된 고장의 원인, 상태, 그리고 처리 방법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센서에서 검출된 각 부품의 정보는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품들에는 각각 고유의 인식 수단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센서는 상기 각 부품에 부착된 인식 수단을 검출하여 각 부품의 위치를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은 바코드와 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생산 라인의 모델에 표시된 각 부품의 위치가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고, 고장 판단 센서로부터 고장이 난 생산 기계에 대한 정보를 받아 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통합 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생산 기계의 고장 원인, 상태가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처리 방법을 공장 서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생산 기계의 고장 원인, 상태가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문가들의 의견을 입력 받아 이를 공장 서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는 소비자의 불만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불만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소비자의 불만 및 상기 불만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의 불만이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결 방안을 상기 소비자와 연결된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의 불만이 상기 불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전문가들에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불만의 해결 방안을 입력 받아 이를 소비자와 연결된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제품의 생산량 및 각 부품의 제고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는 생산 데이터베이스와, 제품의 판매량이 실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는 판매 데이터베이스와, 제품과 각 부품의 운송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운송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장치.
  15. 원격의 공장으로부터 생산 라인의 영상 및 고장 유무를 입력 받으며, 공장 내의 생산 라인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원격의 전문가에게 상기 생산 라인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전문가가 공장의 문제점을 원격상에서 해결할 수 있도 록 보조하는 통합 관리 장치.
KR1020080008531A 2008-01-28 2008-01-28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97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531A KR100974601B1 (ko) 2008-01-28 2008-01-28 통합 관리 시스템
US12/045,464 US20090192646A1 (en) 2008-01-28 2008-03-10 Combined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531A KR100974601B1 (ko) 2008-01-28 2008-01-28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644A true KR20090082644A (ko) 2009-07-31
KR100974601B1 KR100974601B1 (ko) 2010-08-06

Family

ID=4090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531A KR100974601B1 (ko) 2008-01-28 2008-01-28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92646A1 (ko)
KR (1) KR100974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30B1 (ko) * 2010-10-18 2011-03-16 (주) 디지털팩토리 디지털 팩토리에서의 최적 생산 시나리오 구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983B1 (ko) * 2017-02-13 2018-01-30 황명숙 제품 조립 참관 및 주문자 피드백 요청 기반의 산업 로봇 자동화 시스템
KR101935652B1 (ko) 2017-03-06 2019-0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한 스마트 공장 운영 관리 솔루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808B1 (ko) * 1995-03-29 1999-01-15 경주현 고장 진단용 전문가 시스템 및 고장진단방법
KR100327785B1 (ko) * 1999-10-12 2002-03-15 조순문 화학공장에서의 휴먼 에러 관련 사고분석에 의한 예방/분석 방법
JP2003177815A (ja) * 2001-12-07 2003-06-27 Komatsu Ltd 産業機械の保全システム
US7010384B2 (en) * 2003-12-18 2006-03-07 Finn-Power International, Inc. Flexible distributed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4455246B2 (ja) * 2004-03-29 2010-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コール対応支援システム、リコール対応支援方法、およびリコール対応支援プログラム
US7353120B2 (en) * 2006-01-24 2008-04-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static discharge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30B1 (ko) * 2010-10-18 2011-03-16 (주) 디지털팩토리 디지털 팩토리에서의 최적 생산 시나리오 구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2646A1 (en) 2009-07-30
KR100974601B1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03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cess product return requests
US7423534B2 (en) Electroni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ainers and products
US20150066782A1 (en) Computer monitoring, servicing, and management of remote equipment and assets
CN107636702A (zh) 集成式资产完整性管理系统
CN104508701A (zh) 在移动终端上呈现过程控制对象的过程数据
CN103229118A (zh) 设备安全设计支援装置及设备监视保养支援装置
KR101781337B1 (ko) 생산공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090001710A (ko)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WO2006132174A1 (ja) 分散型トレーサビ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20200077230A (ko) 스마트 생산 관리시스템
KR100974601B1 (ko) 통합 관리 시스템
CN105629941A (zh) 一种利用rfid对钢管流转工序的实时品质管理系统
CN105205567A (zh) 一种烟草订购异常跟踪系统及其方法
EP3327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30088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spection of cargo
CN113344495B (zh) 一种基于rfid与工业视觉的卷烟出入库系统
KR20180115501A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32769A (ja) 検品端末機、検品システム、および検品方法
US11592799B2 (en) Distributed production method
US11520793B2 (en) Servicing, diagnosing, logging, and surveying building equipment assets
KR102408232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4127A (ko)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JP2018179792A (ja) リターナブル容器の修理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JP5096787B2 (ja)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JP5436475B2 (ja) 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