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232B1 -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232B1
KR102408232B1 KR1020170047891A KR20170047891A KR102408232B1 KR 102408232 B1 KR102408232 B1 KR 102408232B1 KR 1020170047891 A KR1020170047891 A KR 1020170047891A KR 20170047891 A KR20170047891 A KR 20170047891A KR 102408232 B1 KR102408232 B1 KR 10240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information
state information
maintenance management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500A (ko
Inventor
김원섭
김수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2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AS와 연계하여 업데이트되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장비의 이상 발생 정도에 해당되는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함으로써 장비의 상태에 맞는 상세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 각각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해당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집받아 외부로 제공하는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 상기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는 IAS;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의 제원정보 및 상기 IAS로부터 제공된 장비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며,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요청된 장비의 제원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사전 설정된 장비별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이상 발생 장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이상 발생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비율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장비의 상태를 사전경고단계, 경고 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하여 결정된 단계를 알리기 위한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floating type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AS와 연계하여 업데이트되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장비의 이상 발생 정도에 해당되는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함으로써 장비의 상태에 맞는 상세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구조물 유지보수시장은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고, 부유식 구조물의 건조보다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에 따라 이 비용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선주들은 최적의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관리 방법을 찾아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부유식 구조물 운영의 목표로 삼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일부 해양 제품에 있어서만, 장비의 유지보수를 통합관리 하였고, 상선의 경우 SMS(Ship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일부 장비에 대해 관리하였다. 해양 제품의 경우에도 선체, 의장 별도의 시스템만이 부분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 유지보수 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도, 탑승한 선원, 기관장, 선장이 수작업으로 장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장비업체에서 개별적으로 유지보수 정보를 우편 또는 팩스로 전송하였고, 유지보수부품 구매를 위하여 개별적으로 구매오더(POR)를 발행하였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유지보수를 위한 통합 서비스 체계는 없는 상태이고, 부유식 구조물의 관리를 예방위주가 아닌 상태에 따라 부유식 구조물을 관리하여 수동적으로(Re-active) 부유식 구조물을 관리하고 있었다.
부유식 구조물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보수하는 서비스 체계는 없었고, 선사마다 독립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부유식 구조물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보수하기 위한 부유식 구조물 유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선 개발된 부유식 구조물 유지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의 일원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자동화된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부유식 구조물 내에서 자동화된 유지보수를 기대하기 어려웠고, 인력이 더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의 설비 등의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고 사후관리를 염두해 둔 기술이었다. 따라서 부유식 구조물의 관리를 능동적으로(Pro-active)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드릴쉽 등 시스템이 복잡하고 여러 시스템이 연결된 해양 구조물은 각 시스템에서 하나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고장시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바로 파악하기 어려워, 관련 시스템 전체를 중단하는 케이스가 상당하므로, 부품의 수리나 교체시 관련 시스템 운용 중단을 최소화하도록 대체라인을 미리 준비하여 이윤을 최대로 하면서도 운용의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10918 호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IAS와 연계하여 업데이트되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장비의 이상 발생 정도에 해당되는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함으로써 장비의 상태에 맞는 상세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 각각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해당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집받아 외부로 제공하는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 상기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는 IAS;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의 제원정보 및 상기 IAS로부터 제공된 장비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며,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요청된 장비의 제원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사전 설정된 장비별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이상 발생 장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이상 발생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비율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장비의 상태를 사전경고단계, 경고 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하여 결정된 단계를 알리기 위한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상기 판단된 이상발생 장비에 대해서 도면, 자료, 원리공정(P&ID) 도면을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점검결과 이상발생 장비가 확인되면 관련 장비 수리업체 서버로 해당 장비의 상태정보 및 수리요청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상기 장비의 제원정보를 표시하는 세부 제원창에 상기 장비의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방법은,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된 장비별 상태정보와 해당 장비의 제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임의의 장비가 선택되면 선택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사전 설정된 해당 장비의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이상 발생 장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판단결과 이상 발생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비율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장비의 상태를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위험단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상기 결정된 사전경고단계, 경고 단계, 또는 위험단계를 알리기 위한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상기 장비의 제원정보를 표시하는 세부 제원창에 상기 장비의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AS와 연계하여 업데이트되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장비의 이상 발생 정도에 해당되는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함으로써 장비의 상태에 맞는 상세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IAS와 연계하여 업데이트되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각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여 선박 또는 구조물의 운용을 최적화함으로써 이윤을 최대로 할 수 있고, 장비의 상태를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에 축적하여, 축적된 정보와 장비의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현재의 장비상태로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도출함으로써 도출된 상황에 맞게 부품조달, 엔지니어 지원 등을 진행할 수 있는 대체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관리 시 필요한 그 구조물에 통합된 기술정보와 기존 장비 이력 및 로그(Log)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유지보수 관리를 자동화함으로써, 운항 중 관련 시스템의 수리 및 승무원 교육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장비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장비와 연관된 계통 및 시스템의 3D 모델링, 업체 자료, 매뉴얼, 그리고 그 장비가 속한 프로세스상에서 장비 고유 넘버링 체계 및 도면번호를 이용한 검색 및 기능에 따라 구분된 정보를 제공하는 뷰어를 통해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자료들 간의 연동을 통해 기존의 완성된 도면만을 제공하는 경우와는 달리 문제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문서관리, 예방정비 및 점검, 인력정보 관리, 수리를 위한 부품조달까지 자동으로 연계되는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신속성을 가진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통합유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특정 장비의 세부 제원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중앙서버(100), IAS(Integrated Automation System)(150),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200), 유지보수 관리서버(300), 장비 수리업체 서버(400), 엔지니어 정보 제공 서버(500), 부품조달 업체 서버(600), 조달시스템(700), 그리고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 서버(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시 필요한 그 구조물에 통합된 기술정보와 기존 장비 이력 및 장비의 상태정보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유지보수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해양, 상선 분야의 유지보수를 위해 관련 기술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중앙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장비 이력 또는 장비의 상태정보들(계측값 포함)을 이용하여 특정 장비 혹은 시스템에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및 위험단계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를 결정하여 결정된 단계에 대응시켜 설정된 상세 경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상 발생시 연계된 계통 및 시스템의 3D 모델링, 업체 자료 및 매뉴얼, 그리고 그 시스템이 속한 프로세스 상에서 장비 고유 번호체계 및 도면번호를 이용한 검색 및 기능에 따라 구분된 뷰어를 통해 찾아가는 방식으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시 그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한 문제점 도출 및 필요시 관련 장비 업체로 장비 이력 및 수리요청이 바로 알림이 가서 직접 관리 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리그(Rig)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 재고를 확인하고, 미달시 공급업체에 자동 발주 및 입고 수행, PMS, 수리업체로부터 각 정비/점검/수리 담당 엔지니어의 정보를 연계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기술인력 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 관련 모든 정보들이 엔지니어의 개입을 최소화해서 유기적으로 흘러가고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해당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된 장비를 실시간으로 상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장비 또는 부품의 수리나 교체시 운용 중단을 최소화하도록 대체 라인을 미리 준비하여 운용의 효율을 가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서버(100)는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의 구조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신규 정보들을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들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저장된 장비들의 구조정보들을 기반으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련 기술정보들을 제공하고,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의 제원 정보 및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며,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해당 장비의 제원정보 및 장비의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중앙서버(100)는 IAS(150)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장비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장비 또는 장비의 기호를 선택하면 해당 장비의 제원정보 및 장비의 상태정보와, 기술정보 등이 연결되어 조회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서버(100)는 장비 또는 장비의 기호를 클릭하면 세부 제원창을 통하여 장비의 제원정보와 장비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업데이트되는 장비의 상태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해당 장비의 세부 제원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앙서버(100)는 장비의 제원정보 및 IAS(150)와 연계된 장비의 현재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중앙서버(100)는 해당 장비의 클릭과 동시에 장비와 관련된 모든 연계 도면과, 3D 모델링, 작동 메뉴얼 등을 포함하는 모든 기술정보를 제공 가능하다. 이에 추가하여 3D 모델링은 클릭시 해당하는 장비가 속한 블럭 단위의 모델링을 보여주게 되는데 그 블럭에 포함된 다른 장비를 클릭하면 연이어 그 클릭된 장비의 제원정보와, IAS(150)와 연동된 장비의 상태정보 및 수리 이력 등을 포함하는 로그 정보, 그리고 관련된 기술정보 역시 자동으로 연계되어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은 장비의 고유번호(Tag No.)를 기준으로 모든 정보가 필터링되며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200)는 장비들 각각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집받아 중앙서버(100)에 제공한다. 장비들 각각에 마련된 센서는 해당 장비의 온도, 압력, 시간, 점도, 또는 유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중앙서버(100)는 IAS(150)로부터 수집된 부유식 구조물의 특정 장비에서 감지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부유식 구조물의 기술정보, 더 자세하게는 장비별로 설정된 기준치를 제공받고, 장비의 상태정보와 해당 장비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장비의 이상 발생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 발생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이상 발생 정도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이상 발생 정도에 해당되는 상세 경고정보를 제공하며, 이상발생 장비에 대해서 도면, 자료, 원리공정(P&ID) 도면을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점검결과 이상발생 장비가 확인되면 장비 수리업체 서버(400)로 해당 장비 로그정보 및 수리요청정보를 송출하는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중앙서버(100)에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100)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서버(100)는 IAS(150)로부터 업데이트된 장비의 상태정보를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800)에 축적된 정보와 비교하여 선박의 상태로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황에 맞게 부품조달, 엔지니어 지원 등을 진행할 수 있는 대체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800)는 중앙 서버(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앙서버(100)에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8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부유식 구조물과, 부유식 구조물을 통합관리하는 본사에 각각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구조물이란, LNG와 같이 극저온 상태로 적재되는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재기화 장치를 가지면서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구조물뿐만 아니라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된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은 해당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된 장비를 실시간으로 상세하게 볼 수 있어서 선원들이 현재 부유식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문제점이 있는 경우 그 문제점에 대한 대응을 준비할 수 있어서 갑작스런 위기 상황이 구조물에 준비된 시스템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본사에 설치된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은 본사의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800)에 축적된 통합정보를 통해 추가적으로 해결방안을 제공할 수 있어, 구조물에서 빠른 시간내 대체라인을 작동시켜 갑작스런 문제 또는 예정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본사에 설치된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은 중앙서버(100)를 통해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800)에 기록하여 축적된 정보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사의 경영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IAS(150)와 연계된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200)를 통해 수집된 장비별 상태정보를 장비의 고유정보(태그번호)와 함께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310)와, 수신된 상태정보와 장비의 고유태그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320)와, 비교판단부(320)의 판단결과,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 경우, 기준치 대비 초과된 초과비율에 따라 정해지는 단계, 즉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및 위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해당하는 상세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경고정보 제공부(330)와, 비주얼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장비유지보수에 필요한 정보 및 장비이력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이미지 제공부(340)와, 배관 리스트, 케이블 리스트, 업체 도면, 완성 도면, 장비 이력 및 로그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해진 장비 고유 번호, 장비명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데이터 제공부(350)로 이루어진다.
상태정보 수신부(310)는 장비에 설치되거나 해당 장비의 주변에 위치하는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200)로부터 측정되어 수집된 장비별 상태정보를 해당 장비의 고유정보와 함께 수신한다. 이때 상태정보 수신부(310)는 장비 상태정보 수집 장치(200)로부터 측정된 해당 장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판단부(320)는 수신된 장비별의 상태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장비별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장비별 기준치는 장비의 고유번호에 대응시켜 저장되어 있다.
경고정보 제공부(330)는 비교판단부(320)의 판단결과,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 경우 기준치 대비 초과된 초과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초과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조건에 근거하여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및 위험단계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를 결정하여 결정된 단계에 설정되어 있는 상세 경고정보를 관리자에게 팝업(Pop-up)창 또는 미리 설정된 이메일 주소(e-mail address)로 제공한다. 관리자는 상세 경고 내용을 확인하고 필요사항에 대해 현장에서 선 조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상 발생 장비에 대한 로그 정보는 자동으로 장비 수리업체 서버(400)에 송출한다.
모든 장비는 세부 제원창이 있고, 경고정보 제공부(330)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장비의 선택 또는 클릭하면 선택 또는 클릭된 특정 장비의 세부 제원창에 업데이트된 장비의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업데이트된 장비의 상태정보는 장비 상태정보 수집 장치(200)로부터 측정된 장비의 상태정보이다.
이미지 제공부(340)는 시스템 구성에 따라 부유식 구조물 전체를 대구역으로 분류시키고, 대구역을 각 데크 레벨별로 분류시켜 제공되는 이미지의 클릭을 통해 장비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활성화된 장비에 대해서 관련 야드(yard) 도면, 원리공정(P&ID) 도면, 업체 도면, 3D 모델링 이미지들을 복수개로 분할된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데이터 제공부(350)는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는 장비들 또는 시스템들의 데이터들을 기존 도면과 연동시켜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특히,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는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성하여 해당 장비에 대해서 미리 점검공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정비종류는 CBM(Condition Based Management), UBM(Usage Based Management)등이 있다.
먼저 CBM 관점에서는 각 장비 센서 등에서 수집된 상태정보(예를 들면, 온도, 압력, 진동, 도색, 마모 정도 등)를 유지보수 관리서버(300)에서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해당 상태정보를 각 장비 제조사 등에서 권고하는 이상적인 범위, 경계범위, 위험범위 등과 비교하여 초기 구성 설정값을 변경 또는 조정하기도 하고 혹은 부품들의 교체주기를 조율할 수도 있다.
같은 제조사에서 같은 날, 같은 사람이 제작했지만, 어디에서 누가 사용하느냐에 따라 오일, 미션 등의 교체주기는 모두 다르듯이, 장비 상태 제어 모니터링은 IAS(150)에서 이루어지고, 정비 점검에 대한 정보성 데이터는 장비 점검 관리 서버(900)에서 관리된다. IAS(150)와 장비 점검 관리 서버(900), 혹은 각 장비별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과 통합하고 분석하는 환경(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UBM 관점에서는 각 장비의 운영시간(Running Hour)에 따라 정비 점검의 주기 및 부품 등의 교체주기가 다르게 조율될 수 있다.
통합 분석 환경에서는 각 장비의 운영시간을 점검할 필요없이, 각 장비와 연계되어 실 운영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받아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장비 수리업체 서버(400)는 중앙서버(100)로부터 장비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고, 장비를 수리하는 경우 수리이력정보를 중앙서버(100)로 제공한다.
엔지니어 정보 제공 서버(500)는 엔지니어 인력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유지보수 기술인력정보를 중앙 서버(100) 및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로 제공한다.
조달 시스템(700)은 중앙서버(100)와 연동하며, 장비의 부품들의 재고가 적정 수량 유지되도록 관리하고, 부품들의 재고가 적정 수량보다 작은 경우 자재 발주정보를 생성시켜 부품조달 업체 서버(600)로 전송한다.
부품조달 업체 서버(600)는 조달 시스템(700)의 자재 발주정보를 제공받아 부품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부품 발주 정보를 생산라인으로 전달한다.
각 장비의 적정 부품재고관리가 중요하므로,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중앙 서버(100)를 거쳐 각 장비의 최대수량/최소수량/권장수량/발주상태/입고상태/본사(육상) 보유수량/장비 기술자 정보 등을 조달 시스템(700), 부품조달 업체 서버(600), 엔지니어 정보 제공 서버(500) 및 장비 점검 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재고현황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해상(Offshore), 육상(Onshore), 부품물류센터(Supplier) 등과 실시간 연동되어 서로의 상태를 실시간 공유하고, 이에 따라 적정재고량을 판단할 수 있다. 외부 기술 지원의 경우, 문제 현상 등을 해양현지운영자가 음성이나 자연어 형태로 입력하면, 이의 사례를 자체 DB 및 보유하고 있는 외부 엔지니어 풀(Pool)과 공유해 답변을 받기도 하고, 기술지원을 위한 배정을 하거나, 다시 최적의 사람이나 기관, 업체를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보유경력, 기술료, 자격증 등의 조건에 따라 엔지니어 검색기능을 지원하고, 문제에 대한 과거 답변을 기반 점수화해 등급 등을 관리할 수도 있다.
자산 및 문서 통합 관리서버(800)는 도면, 모델링, 선급자료, 업체 정보 등 부유식 구조물의 설계정보를 관리하며, 중앙 서버(100)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지보수 관리 서버(300)는 IAS(150)와 연계된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200)를 통해 수집된 장비별 실시간 상태정보와 해당 장비의 고유정보(예를 들면, 태그번호)를 저장하는 중앙서버(100)로부터 장비별 상태정보 및 해당 장비의 고유정보를 수신한다(S11).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 중 임의의 장비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여기서는 특정 장비가 선택된 경우에 후술하는 S15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비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중앙 서버(100)로부터 업데이트된 장비의 상태정보가 있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S15 단계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업데이트된 장비의 상태정보가 없는 경우는 상술된 S11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한다.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장비가 선택되지 않거나 또는 업데이트된 장비의 상태정보가 없는 경우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상술된 S11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한다.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장비가 선택된 경우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장비별 상태정보 중 선택된 장비의 제원정보를 표시하는 세부 제원창에 해당 장비의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S15). 세부 제원창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해당 장비의 제원정보와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가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의 세부 제원창에는 Equipment(장비명), Tag No(장비고유번호), Quantity(수량), Capacity(용량), Equipment size Length(장비사이즈_길이), Equipment size Width(장비사이즈_너비), Equipment size Height(장비사이즈_높이), Weight of equipment_Dry(장비무게_Dry), Weight of Equipment_Wet(장비무게_Wet), Location_Deck Level(장비설치위치_Deck Level), Location_Room Name(장비설치위치_공간명), Location_Comp.NO(장비설치위치_구획명), Location_Block No.(장비설치위치_블록명), Reference Drawing No.(장비관련참고도면) 및 Supplier(장비공급업체)를 포함하는 장비의 제원정보와, Temperature(온도), Pressure(압력), Running Hour(시간), Viscosity(점도) 및 Flow rate(유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비의 상태정보가 표시된다.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화면상에 표시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사전에 설정된 해당 장비의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장비의 상태정보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값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상기 S17 단계의 판단결과, 장비의 상태정보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상술된 S15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화면상에 세부 제원창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S17 단계의 판단결과, 장비의 상태정보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값의 비율과 미리 설정된 규칙에 근거하여 해당 장비의 상태를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및 위험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결정한다(S19).
이후 유지보수 관리서버(300)는 결정된 단계를 알리기 위하여 팝업창, 미리 설정된 이메일주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해당 장비의 경고정보를 제공한다(S21).
이렇게 함으로써, 관리자는 해당 장비의 경고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필요사항에 대해 현장에서 선 조치 가능하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중앙서버 150 : IAS
200 :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 300 : 유지보수 관리 서버
310 : 상태정보 수신부 320 : 비교판단부
330 : 경고정보 제공부 340 : 이미지 제공부
350 : 데이터 제공부 400 : 장비 수리업체 서버
500 : 엔지니어 정보제공 서버 600 : 부품조달 업체 서버
700 : 조달 시스템 800 : 자산 및 문서 통합관리서버
900 : 장비 점검관리 서버

Claims (5)

  1.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 각각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해당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집받아 외부로 제공하는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
    상기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와 연계되며, 상기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는 IAS;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장비들의 제원정보 및 상기 IAS로부터 제공된 장비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며,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요청된 장비의 제원정보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서버; 및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사전 설정된 장비별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이상 발생 장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이상 발생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비율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장비의 상태를 사전경고단계, 경고 단계, 또는 위험단계로 결정하여 결정된 단계를 알리기 위한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상기 IAS와 연계된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장비별 상태정보를 장비의 고유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태정보와 장비의 고유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판단결과,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 경우 초과된 초과비율에 따라 정해지는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경고정보 제공부와, 비주얼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장비유지보수에 필요한 정보 및 장비이력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이미지 제공부; 및 배관 리스트, 케이블 리스트, 업체 도면, 완성 도면, 장비 이력 및 로그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해진 장비 고유 번호, 장비명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판단된 상기 이상발생 장비에 대해서 도면, 자료, 원리공정(P&ID) 도면을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점검결과 이상발생 장비가 확인되면 관련 장비 수리업체 서버로 해당 장비의 상태정보와 로그 정보 및 수리요청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상기 장비의 제원정보를 표시하는 세부 제원창에 상기 장비의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
  4.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된 장비별 상태정보와 해당 장비의 제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임의의 장비가 선택되면 선택된 장비의 상태정보와 사전 설정된 해당 장비의 기준치를 상호 비교하여 이상 발생 장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판단결과 이상 발생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초과비율에 따라 상기 이상 발생 장비의 상태를 사전경고단계, 경고단계, 위험단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상기 결정된 사전경고단계, 경고 단계, 또는 위험단계를 알리기 위한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장비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는 IAS와 연계된 장비 상태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장비별 상태정보를 장비의 고유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태정보와 장비의 고유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판단결과, 기준치 대비 초과값이 있는 경우 초과된 초과비율에 따라 정해지는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경고정보 제공부와, 비주얼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장비유지보수에 필요한 정보 및 장비이력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이미지 제공부; 및 배관 리스트, 케이블 리스트, 업체 도면, 완성 도면, 장비 이력 및 로그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해진 장비 고유 번호, 장비명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 발생 장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는 판단된 상기 이상발생 장비에 대해서 도면, 자료, 원리공정(P&ID) 도면을 유기적으로 연동시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점검결과 이상발생 장비가 확인되면 관련 장비 수리업체 서버로 해당 장비의 상태정보와 로그 정보 및 수리요청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지보수 관리서버가, 상기 장비의 제원정보를 표시하는 세부 제원창에 상기 장비의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방법.
KR1020170047891A 2017-04-13 2017-04-13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91A KR102408232B1 (ko) 2017-04-13 2017-04-13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91A KR102408232B1 (ko) 2017-04-13 2017-04-13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00A KR20180115500A (ko) 2018-10-23
KR102408232B1 true KR102408232B1 (ko) 2022-06-13

Family

ID=6410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891A KR102408232B1 (ko) 2017-04-13 2017-04-13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03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오에스정보통신 블록체인을 이용한 통합배선반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저장 처리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181B1 (ko) * 2018-12-27 2024-01-17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14253244B (zh) * 2022-01-17 2024-04-05 粤芯半导体技术股份有限公司 自动识别产品制造设备警报级别的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278A (ko) * 2010-05-25 2011-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1210918B1 (ko) * 2010-05-25 2012-12-11 주식회사 이메인텍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2146365B1 (ko) * 2014-01-17 2020-08-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와 육상에서 선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276호(2011.12.01.)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278호(2011.12.01.)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6417호(2015.07.28.)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03B1 (ko) * 2023-05-02 2023-11-07 주식회사 오에스정보통신 블록체인을 이용한 통합배선반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저장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00A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3875B (zh) 加油站集成控制系统
KR101518720B1 (ko) 해양자원 생산장비의 예지보전을 위한 고장유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32861B1 (ko) 해저 제어 서브시스템 컴포넌트들에 대한 컴포넌트 건강상태 및 예방정비 요구들을 시각화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7496475B2 (en) Maintenance management of a machine
KR102408228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10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comprehensive pipeline integrity business risk score
KR102408232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6428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replacement of at least one part for vehicle fault analysis
WO2016164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roduct life cycle
EP3705966A1 (en) Machine learning (ml)-based auto-visualization of plant assets
CA2661083A1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Perez et al. Structural health management in the NAVY
US20160328411A1 (en) Asset Intelligence Network
Raposo et al. An integrated model for dimensioning the reserve fleet based on the maintenance policy
KR10240452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Ozguc A new risk-based inspection methodology for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Boutrot Reliable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life extension for offshore units
KR20230041345A (ko) 디지털 트윈 정보를 활용한 장비 관리 시스템
Patiño-Rodriguez et al. Maintenance and asset life cycle for reliability systems
Gullo et al. Condition‐based Maintenance and Design for Reduced Staffing
Milje Engineering methodology for selecting condition based maintenance
Ratendra et al. Application of Structured Maintenance Reliability Programme in Oil and Gas Industry—A Case Study
LaGrange Building a Low-Manned Production Installation: Considerations for Rotating Equipment, Electrical & Automation Systems, and Digitalization
KR20180076934A (ko)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rps Maintenance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