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39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390A
KR20090082390A KR1020097009614A KR20097009614A KR20090082390A KR 20090082390 A KR20090082390 A KR 20090082390A KR 1020097009614 A KR1020097009614 A KR 1020097009614A KR 20097009614 A KR20097009614 A KR 20097009614A KR 20090082390 A KR20090082390 A KR 2009008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terminal
housin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231B1 (ko
Inventor
신이치 마츠자키
히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착 가능한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러그(2)와 끼워맞춤가능하게 형성된 소켓(1)과, 플러그(2)를 소켓(1)에 끼워맞췄을 때에 플러그(2)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소켓 단자(30)와, 소켓(1)의 전면부(11) 및 배면부(12)를 각각 덮도록 형성된 평판 형상의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와,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폭방향 양단부에 삽입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1 장착 홈(16a)을 구비하였으므로 게지편 등을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형성하는 일 없이 소켓(1)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커넥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기판 등에 장착되고, 복수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어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접속대상물과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접속대상물을 하우징에 끼워맞춰을 때에 접속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외주면을 덮는 것과 동시에 하우징에 장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쉴드(shield)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커넥터에서는 장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편을 쉴드부재에 설치하고, 걸어맞춤편을 하우징에 마련한 걸어맞춤부를 삽입함으로써 쉴드부재를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쉴드부재 및 하우징의 각각을 가공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제조 비용이 커질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허공개공보 2005-25146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우징에 장착 가능한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쪽의 접속대상물과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접속대상물을 하우징에 끼워맞춰을 때에 접속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두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평판형상의 한쌍의 쉴드부재와, 상기 두개의 면을 소정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쉴드부재의 단부를 삽입하여 홀딩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장착홈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평판형상의 각 쉴드부재의 단부가 각 장착홈에 홀딩되므로 걸어맞춤편 등을 쉴드부재에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어맞춤편(계지편, 係止片) 등을 쉴드부재에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커넥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소켓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쉴드용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소켓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9는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맞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맞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소켓 2: 플러그
11: 전면부(前面部) 12: 배면부(背面部)
13: 폭방향 양측면부 16a: 한쌍의 제 1 장착홈
17a: 한쌍의 제 2 장착홈 30: 복수의 소켓단자
40: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 50: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
51: 한쌍의 접촉편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소켓의 평면도, 도 3은 소켓 단자의 측면도, 도 4는 쉴드용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소켓의 측면단면도, 도 6은 플러그의 사시도, 도 7은 플러그의 평면도, 도 8은 플러그의 측면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소켓과 플러그를 끼워맞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이 커넥터는 제 1 기판(100)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으로서의 소켓(1)으로 이루 어지고, 제 2 기판(200)측에 배치되는 접속대상물로서의 플러그(2)와 끼워맞춤됨으로써 각 기판(100, 200)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소켓(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측에 배치되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과,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폭방향(도면 중 X방향) 및 전후방향(도면 중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하우징(20)과, 일단측이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홀딩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가동 하우징(20)에 홀딩되고,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대한 가동 하우징(20)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소켓 단자(30)와,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외주면 중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 즉 폭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쉴드부재로서의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와,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외주면 중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른 다른 2개의 면을 덮도록 설치된 제 2 쉴드부재로서의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와,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그라운드 도통부재로서의 한쌍의 쉴드용 단자(6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및 하면을 개구한 각기둥(角筒)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면부(11) 및 배면부(12)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방향 양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하단측에는 각 소켓 단자(30)의 일단측을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14)이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단자 구멍(14)의 배열방향(도면 중 X방향) 양단측에는 각 쉴드용 단 자(60)를 각각 홀딩하는 한쌍의 쉴드용 단자 구멍(1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폭방향 양단측에는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를 장착하기 위한 한쌍의 제 1 장착부(16)가 설치되어 있고, 각 제 1 장착부(16)의 상부에는, 위쪽으로부터 삽입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폭방향 단부를 홀딩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장착홈(16a)이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폭방향 양측면부(13)의 하단측에는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를 장착하기 위한 제 2 장착부(17a)가 소켓측 고정하우징(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 2 장착부(17)의 상부에는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하단부를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제 2 장착홈(17a)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20)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가동 하우징(20)은 전면부(21), 배면부(22), 폭방향 양측면부(23) 및 저면부(底面部)(24)로 이루어지며, 저면부(24)의 중앙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끼워맞춤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25)의 전면측 및 후면측의 측벽부에는 각 소켓 단자(30)의 타단측을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26)이 저면부(24)를 상항방향(도면 중 Z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4)의 전후방향 양단측에는 각 쉴드용 단자(60)의 타단측을 상하방향으로 삽입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삽입 통과 구멍(27)이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 양단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소켓 단자(30)는 탄성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소켓(1)의 전후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일렬씩 배열되어 있다. 소켓 단자(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에 접속되는 접속부(3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소켓 단자(30)에는 접속부(31)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진직부(眞直部)(32)와, 제 1 진직부(3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하는 굴곡부(33)와, 굴곡부(33)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진직부(34)와, 제 2 진직부(34)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3 진직부(35)와, 제 3 진직부(35)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4 진직부(36)와, 제 4 진직부(36)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굴곡하면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7)가 설치되어 있고, 소켓 단자(30)는 굴곡부(33)를 기점으로 하여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외주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그 폭방향 양단측이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각 장착홈(16)에 위쪽에서 삽입됨으로써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의 외주면을 덮도록 장착된다. 또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그 상단측이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전면부(11) 또는 배면부(12)의 상면을 덮는 동시에 가동 하우징(20)의 전면부(21) 또는 배면부(22)까지 연장되도록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상단측은 각 하우징(10,20) 사이에 있어서의 각 소켓 단자(30)의 노출부분을 위쪽에서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 금속평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용 이하게 형성되므로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의 치수에 따라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용의 금형을 제조할 필요가 없다.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는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양측면부(13)의 외주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전후방향 양단측에는 전면부(11) 및 배면부(12)에 설치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편(51)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접촉편(51)은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전후방향 양단측이 폭방향으로 굴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는 단자수에 의해서 치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형성된다.
각 쉴드용 단자(60)는 탄성변형 가능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에 설치된 그라운드부(도시 생략)에 도통 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6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쉴드단자(60)에는 그라운드 접속부(61)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진직부(62)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진직부(62)의 폭방향 양단측에는 제 1 진직부(62)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진직부(6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진직부(63)의 전단(前端)에는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하는 제 1 쉴드 도통부(6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쉴드용 단자(60)에는 제 1 진직부(6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하는 제 1 굴곡부(65)와, 제 1 굴곡부(65)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3 진직부(66)와, 제 3 진직부(66)의 하단 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는 제 2 굴곡부(67)와, 제 2 굴곡부(67)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 4 진직부(68)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쉴드용 단자(60)는 제 1 및 제 2 굴곡부(65, 67)를 기점으로 하여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4 진직부(68)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플러그측 쉴드부재(90)에 접촉하는 제 2 쉴드 도통부(6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소켓 단자(30)를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자 구멍(14)에 소켓 단자(30)를 아래쪽으로부터 압입(壓入)한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단자(30)의 일단측, 즉 접속부(31)의 상단측이 단자 구멍(14)에 홀딩된다. 또 각 소켓 단자(30)의 타단측에 대해서 가동 하우징(20)을 위쪽에서부터 압입하면 소켓 단자(30)의 제 4 진직부(36) 및 접촉부(37)가 가동 하우징(20)의 저면부(24)를 관통하여 단자 구멍(26)에 홀딩된다.
또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를 소켓(1)에 장착할 경우에는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폭방향 양단측을 전면부(11) 및 배면부(12) 각각의 각 장착홈(16a)에 위쪽에서 삽입한다. 또한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를 소켓(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각 접촉편(51)을 각 장착홈(16a)에 위쪽에서 삽입한다. 이 경우 각 접촉편(51)은 전면부(11) 및 배면부(12)에 각각 장착된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한다. 또한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는 그 하단측이 폭방향 양측면부(13)의 장착홈(17a)에 삽입됨으로써 홀딩된다.
또 쉴드용 단자(60)를 소켓(1)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쉴드용 단자 구멍(15)에 쉴드용 단자(60)를 아래쪽으로부터 압입한다. 이 때 그라운드 접속부(61)의 상단 측 및 각 제 2 진직부(63)의 상단측이 쉴드용 단자 구멍(15)에 홀딩되는 동시에, 제 1 쉴드 도통부(64)가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한다. 또 쉴드용 단자(60)는 제 4 진직부(68) 및 제 2 쉴드 도통부(69)가 가동 하우징(20)의 삽입 통과 구멍(27)을 위쪽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홀딩되어 있다. 이 경우,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의 외주면은 각 쉴드부재(40, 50)에 의해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각 소켓 단자(3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쉴드용 단자(60)의 제 1 및 제 2 쉴드 도통부(64, 69)는 각 소켓 단자(30)의 배열방향 양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소켓 단자(30)의 탄성변형이 쉴드접촉부(64, 69)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2)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200)측에 배치되는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과,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에 홀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80)와,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의 외주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측 쉴드부재(90)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은 전면부(71), 배면부(72), 폭방향 양측면부(73) 및 저면부(74)로 이루어지고, 소켓(1)의 소켓측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가동 하우징(20)에 끼워맞출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전면부(71) 및 배 면부(72) 각각의 하단측 및 내벽부에는 각 플러그 단자(80)를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 구멍(75)이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전면부(71) 및 배면부(72) 각각의 상단측에는 플러그측 쉴드부재(9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76)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 홈(76)은 플러그측 쉴드부재(90)의 상단 중앙부를 아래쪽에서 삽입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장착 홈(76a)과 플러그측 쉴드부재(90)의 상부의 폭방향 양단측을 각각 아래쪽에서 삽이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2 장착 홈(76b)로 이루어지고, 제 1 장착 홈(76a)이 각 제 2 장착 홈(76b)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단자(8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2)의 전후방향 양측에 각각 일렬씩 배열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8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200)에 접속되는 접속부(8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접속부(81)의 일단측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접촉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측 쉴드부재(90)는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장착 홈(76)에 아래쪽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의 외주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각 플러그측 쉴드부재(90)의 폭방향 양단측의 하단에는 제 2 기판(200)에 설치된 그라운드부(도시 생략)에 도통 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9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플러그 단자(80)를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자 구멍(75)에 플러그 단자(80)를 아래쪽으로부터 압입한다. 이 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80)의 접속부(81) 및 접촉부(82)가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단자 구멍(75)에 홀딩된다. 또 각 플러그측 쉴드부재(90)를 플러그측 고정하우징(7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각 플러그측 쉴드부재(90)의 상단측을 전면부(71) 및 배면부(72)의 각 장착 홈(76a, 76b)에 아래쪽에서 삽입한다. 이 경우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폭방향, 즉 전면부(71) 및 배면부(72)의 외주면은 플러그측 쉴드부재(90)에 의해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각 플러그 단자(8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한쌍의 기판(100, 2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00)에 접속된 소켓(1)의 위쪽에 제 2 기판(200)에 접속된 플러그(2)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플러그(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을 소켓(1)의 가동 하우징의 끼워맞춤부(25)에 끼워맞추면 각 플러그 단자(80)의 접촉부(82)가 각 소켓 단자(30)의 접촉부(37)에 각각 접촉한다. 이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쉴드용 단자(60)의 제 1 쉴드 도통부(64)가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쉴드 도통부(69)가 플러그측 쉴드부재(90)에 접촉한다. 여기에서 소켓측 고정 하우징(10) 및 플러그측 고정 하우징(70)의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소켓 단자(30) 및 쉴드용 단자(60)가 상기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하고, 각 고정 하우징(10, 70)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또 각 단자(30, 80) 각각의 간격을 바꾸는 일 없이 각 단자(30, 80)의 수를 증가시킨 경우에는 각 하우징(10, 20 및 70)의 폭방향, 즉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그 치수에 따른 제 1 쉴드부재(40) 및 플러그측 쉴드부재(90)를 각 하우징(10, 70)에 장착함으로써 각 단자(30, 80)의 각각을 각 쉴드부재(40, 90)로 덮을 수 있고, 각 단자(30, 8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플러그(2)와 끼워맞춤가능하게 형성된 소켓(1)과, 플러그(2)를 소켓(1)에 끼워맞추었을 때에 플러그(2)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소켓단자(30)와, 소켓(1)의 전면부(11) 및 배면부(12)를 각각 덮도록 형성된 평판 형상의 한쌍의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와,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의 폭방향 양단부를 삽입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1 장착 홈(16a)을 구비하였으므로 계지편 등을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형성하지 않고 소켓(1)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커넥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소켓(1)의 폭방향 양측면부(13)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와 폭방향 양측면부(13)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제 2 장착 홈(17a)을 구비하였으므로 예를 들어 단자수에 의해 단자배열방향의 치수가 다른 경우에는 단자 배열방향의 치수에 따른 각 제 1 쉴드부재(40)를 전면부(11) 및 배면부(12)의 각각에 장착함과 동시에 각 제 2 쉴드부재(50)의 치수를 바꾸는 일 없이 폭방향 양측면부(13)의 각각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수에 의해서 소켓(1)의 단자 배 열방향의 치수가 다른 경우라도 1개의 쉴드부재에 의해서 소켓(1)의 외주면을 덮는 경우에 비하여 쉴드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쉴드부재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 및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를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각 쉴드부재(40, 50)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쉴드부재(40, 50)를 소켓(1)의 위쪽에서 삽입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플러그(2)의 각 장착 홈(76a, 76b)을 소켓측 고정하우징(10)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접촉편(51)을 각 제 2 소켓측 쉴드부재(50)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각 제 1 소켓측 쉴드부재(4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접속대상물과 끼워맞춤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과,
    접속대상물을 하우징에 끼워맞췄을 때에 접속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을 따른 2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평판 형상의 한쌍의 쉴드부재와,
    상기 두개의 면의 소정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쉴드부재의 단부를 삽입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장착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중 각 단자의 배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다른 두개의 면을 각각 덮도록 형성된 한쌍의 다른 쉴드부재와,
    상기 다른 두개의 면의 소정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다른 쉴드부재의 단부를 삽입하여 홀딩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다른 장착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쉴드부재 및 각 다른 쉴드부재를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넥터.
KR1020097009614A 2006-10-25 2007-10-18 커넥터 KR101364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89978 2006-10-25
JP2006289978A JP5006618B2 (ja) 2006-10-25 2006-10-25 コネクタ
PCT/JP2007/070320 WO2008050665A1 (en) 2006-10-25 2007-10-18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390A true KR20090082390A (ko) 2009-07-30
KR101364231B1 KR101364231B1 (ko) 2014-02-14

Family

ID=393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614A KR101364231B1 (ko) 2006-10-25 2007-10-1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13884B2 (ko)
JP (1) JP5006618B2 (ko)
KR (1) KR101364231B1 (ko)
TW (1) TWI399888B (ko)
WO (1) WO2008050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7661B2 (en) 2008-12-02 2012-05-01 Panduit Corp.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rosstalk attenuation within a plug/jack connection and between nearby plug/jack combinations
JP5499191B1 (ja) * 2013-01-28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DE112015001539T5 (de) 2014-06-23 2016-12-22 Iriso Electronics Co., Ltd. Verbindungsstruktur eines Verbinders und Verbinder
US9832876B2 (en) * 2014-12-18 2017-11-28 Intel Corporation CPU package substrates with removable memory mechanical interfaces
JP6128702B2 (ja) * 2015-06-23 2017-05-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
KR101777840B1 (ko) * 2015-08-21 2017-09-13 성호륜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US20170149155A1 (en) * 2015-11-25 2017-05-25 Mercury Systems, Inc. Soldered interconnec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angular radial feature
US10998655B2 (en) 2016-04-28 2021-05-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CN109314330B (zh) * 2016-06-06 2020-11-20 日本端子株式会社 表面安装型连接器
US10566742B2 (en) 2016-09-19 2020-02-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82082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09216973B (zh) * 2018-08-30 2020-12-18 昆山雷匠通信科技有限公司 板对板式高频插座及移动设备
CN109216972B (zh) * 2018-08-30 2020-12-18 昆山雷匠通信科技有限公司 板对板式高频插座及移动设备
JP7207975B2 (ja) * 2018-11-29 2023-01-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60918B2 (ja) * 2019-12-06 2023-10-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84A (en) * 1987-03-09 1989-04-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4971565A (en) * 1989-11-28 1990-11-20 Fox Jr Roy W Surface mount stacking connector
US5181855A (en) * 1991-10-03 1993-01-26 Itt Corporation Simplified contact connector system
JP3007812U (ja) * 1994-05-25 1995-02-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US5575690A (en) * 1994-10-28 1996-11-19 Tvm, Inc. Hybri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516303A (en) * 1995-01-11 1996-05-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oating panel-mounted coaxial connector for use with stripline circuit boards
JPH10208816A (ja) * 1997-01-24 1998-08-0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金属シェル付きコネクタ
EP0908977A3 (en) * 1997-10-09 2000-06-21 Molex Incorporated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terminal
JP3264647B2 (ja) * 1998-02-16 2002-03-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3263361B2 (ja) * 1998-05-06 2002-03-04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6402566B1 (en) * 1998-09-15 2002-06-11 Tvm Group, Inc. Low profile connector assembly and pin and socket connectors for use therewith
JP2002246119A (ja) 2001-02-14 2002-08-30 Taiko Denki Co Ltd 電気コネクタ
US6927974B2 (en) * 2001-10-30 2005-08-09 Egenera, Inc. Simplified power and data connector for use with chassis system that houses multiple processors
JP2003173847A (ja) * 2001-12-06 2003-06-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コネクタ
JP2003217746A (ja) * 2002-01-18 2003-07-31 Taiko Denki Co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TWM249279U (en) * 2003-09-26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5251461A (ja) 2004-03-02 2005-09-15 Smk Corp レセプタクル
JP4190019B2 (ja) * 2006-09-12 2008-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3884B2 (en) 2012-02-14
TW200832829A (en) 2008-08-01
WO2008050665A1 (en) 2008-05-02
US20100029134A1 (en) 2010-02-04
JP2008108559A (ja) 2008-05-08
TWI399888B (zh) 2013-06-21
KR101364231B1 (ko) 2014-02-14
JP5006618B2 (ja)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231B1 (ko) 커넥터
KR101244431B1 (ko) 커넥터
CN111755910B (zh) 连接器
JP5946804B2 (ja) コネクタ
US8864524B2 (en) Connector
US7670150B2 (en) Low profile board-mounted connector
KR101514373B1 (ko) 커넥터
CN107851941B (zh) 连接器及连接器的制造方法
JP2007220542A (ja) コネクタ
KR101514372B1 (ko) 커넥터
JP6292201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825244B1 (ko)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TWI399889B (zh) 連接器
KR20040103766A (ko) 전기 커넥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07483B1 (ko) 커넥터
JP6069541B2 (ja) コネクタ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KR20110063737A (ko) 커넥터
JP200711557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806396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