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204A - 휠 가이드 암을 구비한 안정화기 장치 - Google Patents

휠 가이드 암을 구비한 안정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204A
KR20090082204A KR1020097008806A KR20097008806A KR20090082204A KR 20090082204 A KR20090082204 A KR 20090082204A KR 1020097008806 A KR1020097008806 A KR 1020097008806A KR 20097008806 A KR20097008806 A KR 20097008806A KR 20090082204 A KR20090082204 A KR 2009008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guide arm
wheel guide
wheel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호프만
벤자민 배우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8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차축의 안정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축은 하나의 롤링 안정화기(2) 및 각각의 휠에 대해 하나 이상의 휠 가이드 암(1)을 포함한다.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연결부(6)는, 휠 가이드 암(1)의 편향 운동에 의해 롤링 안정화기(2)의 비틀림 작동이 일어나도록, 롤링 안정화기(2)의 단부 영역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기 장치는, 롤링 안정화기(2)가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영역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기 장치는 휠 가이드 암이 직접 롤링 안정화기 및 섀시 또는 차축 지지체에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정화기와 차축의 장착과 관련한 간소화, 및 필요한 설치 공간과 관련한 그리고 중량 및 비용과 관련한 개선이 달성된다.
휠 가이드 암, 롤링 안정화기, 섀시, 차축 지지체, 연결부.

Description

휠 가이드 암을 구비한 안정화기 장치{STABILIZER DEVICE WITH WHEELED GUIDE ARM}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롤링 안정화기를 구비한 차축의 안정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링 안정화기의 작동이 상기 롤링 안정화기와 연결된 휠 가이드 암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는 -예컨대 휠 서스펜션의 인장 스트럿 또는 압축 스트럿에 의해- 상기와 같은 차축은 1:1 의 안정화기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휠의 편향 운동이 -진자 지지체가 연결된 통상의 횡방향 안정화기에서와 같이- 일정한 비율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범위에서 안정화기의 상응하는 비틀림 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 작동되는 안정화기 장치에서는 예컨대 상응하게 더 얇고 더 가벼운 안정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화기를 휠 가이드 암에 직접 연결하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안정화기 단부를 고유의 진자 지지체를 통해 각각 2개의 볼-앤드-소켓 조인트에 통상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생략되고, 통상의 구부러진 안정화기 레그가 생략됨으로써, 중량이 절감되며, 추가로 휠 서스펜션의 영역에 유용한 공간이 남게 된다.
이러한 안정화기 장치는 예컨대 DE 10 2004 020 073 A1 또는 EP 1 564 041 A2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안정화기 장치에서는, 휠 서스펜션의, 인장 스트럿으로 형성된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가 롤링 안정화기의 단부에 직접 연결된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1:1 의 안정화기 변속비가 얻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진자 지지체에 의한 안정화기의 통상의 복잡한, 별도의 연결이 생략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안정화기 장치에서,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를 안정화기 단부에 연결하는 것은 비교적 복잡하다. 또한, 선행 기술에 공지된 안정화기 장치에서는, 휠 가이드 암을 통해 전달되는 휠 가이드 힘이 안정화기 및 안정화기 베어링을 통해 차축 지지체 또는 차량 섀시 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안정화기 및 안정화기 베어링이 상기 휠 가이드 힘을 차량 섀시 내로 흡수 및 도입시키도록 설계되지 않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 공지된 해결책에서는 힘의 도입 및 진동 감쇠와 관련해서 일반적으로 많은 절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휠 가이드 암을 안정화기 단부에 연결하는 것과 관련해서, 안정화기의 회전 축이 차량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휠 가이드 암들의 회전 축들, 예컨대 문제가 되는 인장 스트럿 또는 압축 스트럿의 회전 축들이 일반적으로 차량 횡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는 것이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를 롤링 안정화기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 차량 횡축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는 휠 가이드 암의 회전 축이 차량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으로 변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서는 휠 가이드 암과 롤링 안정화기의 연결 영역에서의 구조가 훨씬 더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서 나타나는 상기 단점들을 갖지 않는 휠 가이드 안정화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안정화기 장치에서는 특히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가 롤링 안정화기 및 섀시 또는 차축 지지체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안정화기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설치 공간과 관련해서 선행 기술에 비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안정화기 및 차축 조립시 간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안정화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기 장치는 공지된 방식으로 롤링 안정화기를 구비한 차축에 사용된다. 차축은 각각의 휠에 대해 하나 이상의 휠 가이드 암을 갖는다. 공지된 방식으로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을 롤링 안정화기의 관련 단부 영역에 연결하는 것은, 휠 가이드 암의 편향 운동에 의해 직접 롤링 안정화기의 비틀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안정화기 장치는 롤링 안정화기가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 영역과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정화기 단부와 암 단부의 견고한 -즉 조인트 없는- 연결은, 이로 인해 안정화기 단부와 휠 가이드 암의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고장이 잦은 피벗식 연결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로 인해 암의 편향 운동이 안정화기의 상응하는 회전 운동으로 완전히 유격 없이 직접 변환될 수 있어서, 안정화기의 바람직한 직접적인 응답이 더 개선된다.
진자 지지체를 통한 롤링 안정화기의 종래 연결에 비해, 상기 구성은 진자 지지체 및 그것의 비교적 복잡한 조립이 생략된다는 장점, 및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 및 안정화기의 별도의 베어링 대신에, 차량 측면마다 암과 안정화기에 대한 하나의 공통 베어링만이 필요하다는 장점, 및 구부러진 안정화기 단부가 생략될 수 있고, 이는 안정화기의 제조를 간소화시키며 그 질량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안정화기가 차량에 간단히 조립되고, 그에 따라 비용이 절감된다는 다른 장점이 얻어진다.
여기서는, 특히 서로 평행하지 않고 예각으로 연장하는, 휠 가이드 암과 안정화기의 회전 축들로 인해, 휠 가이드 암과 안정화기의 견고한 연결시 유도되는 안정화기의 휨이 비교적 적고, 따라서 대부분의 안정화기 구성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는 사실이 기초가 된다.
휠 가이드 암의 편향 운동과 관련된, 차량 횡방향으로 롤링 안정화기의 휨으로 인해, 이 구성은 예컨대 더 가벼운 차량 또는 후차축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더 얇은 안정화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연결부는 볼-앤드-소켓 조인트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안정화기의 휨에 의해 생기는 2차 모멘트 및 힘의 흡수가 개선되고, 휠 가이드 암의 편향 운동이 안정화기, 그에 따라 대향 배치된 차량 측면의 휠 가이드 암으로 직접 전달된다.
휠 가이드 암을 차량 섀시에 연결하기 위해 탄성 중합체 베어링 대신 볼-앤드-소켓 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휠 가이드 암과 상기 휠 가이드 암의 2개의 베어링 점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전체 강성이 증가하기는 한다. 그러나, 휠 가이드 암의 휠 측 피벗 점의 상응하는 변형에 의해, 휠 가이드 암의 전체 강성이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능해지는, 휠 측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훨씬 더 부드러운 설정에 의해, 한편으로는 더 개선된 음향적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휠 측 피벗 점에 대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부드러운 고무 베어링이 특히 중간 파이프 없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휠 가이드 암이 섀시 측에서 연결되는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볼 핀은,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의, 휠을 향한 측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토션 바아 단부가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에 매우 간단히 직접 직선으로 연결되는데, 그 이유는 이 실시예에서 볼 핀과 토션 바아 단부는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직경으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조인트 하우징은 휠 가이드 암 자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 휠 가이드 암에 대한 매우 컴팩트하고, 장소 및 중량 절감되며 높은 비틀림 강성을 갖는 디자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조인트 하우징은 휠 가이드 암 내로 압입된다. 이 실시예는 예컨대 박판 딥 드로잉 부품으로 구성된 휠 가이드 암과 같은 휠 가이드 암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인트 하우징의 단부면이 볼 핀 측에서 외부로 및/또는 내부로 플랜지된다.
외부로의 플랜징에 의해, 특히 제조된 또는 딥 드로잉된 휠 가이드 암의 사용시, 조인트 하우징의 간단하고 유격 없고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방사방향 외부로 및 내부로 조인트 하우징의 볼 핀 측 단부면의 동시 플랜징은 암에 조인트 하우징의 고정을 위한 그리고 조인트 하우징에 볼 핀 측 조인트 하우징 커버와 밀봉 벨로우즈의 고정을 위한 바람직한 2 중 기능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전달할 토크 및 힘이 휠 가이드 암과 롤링 안정화기 사이의 연결부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면, 롤링 안정화기와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 영역의 견고한 연결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형성되는지와는 관계없이 본 발명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롤링 안정화기의 단부와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 영역 사이의 견고한 연결이 롤링 안정화기와 휠 가이드 암의 프리즘 연결 영역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이로 인해 안정화기의 길이 공차(및 자동차의 좌측 차량 측면과 우측 차량 측면 사이의 다른 공차 체인의 효과)가 안정화기의 장착시 롤링 안정화기와 휠 가이드 암의 서로 형태 상보적인 프리즘 연결 영역의 상응하는 변위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롤링 안정화기와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단부 영역 사이의 연결부는 예컨대 링형 연결 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클램프는 롤링 안정화기와 휠 가이드 암의 형태 상보적인 연결 영역들을 링형으로 둘러싸고 서로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클램프가 스크루 터미널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 터미널에 의해 롤링 안정화기와 휠 가이드 암의 2개의 연결 영역들이 상기 연결 클램프 내에 포함된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정화기의 장착이 더욱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안정화기는 하나 이상의 S형으로 휘어진 길이 보상 영역을 갖는다. 안정화기 내에 배치된 길이 보상 영역으로 인해, 좌측 차량 측면과 우측 차량 측면의 휠 서스펜션 사이의 응력이 방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안정화기와 견고하게 결합된 휠 가이드 암의 편향시 발생하는, 휘어짐과 그에 수반되는 안정화기의 효과적인 길이 변화가 길이 보상 영역에 의해 흡수되어 손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휠 가이드 암은 휠 서스펜션의 인장 스트럿 또는 압축 스트럿이다. 본 발명은 원칙적으로 컨트롤 암, 세미 트레일링 암 또는 종방향 암과 같은 다양한 암 형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인장 또는 압축 스트럿에서 스트럿의 선회 축과 안정화기의 회전 축 사이의 예각이 매우 작다는 점에서, 인장 스트럿 또는 압축 스트럿과 관련한 본 발명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휠 가이드 암의 편향 운동시 안정화기의 매우 작은 휘어짐 및 특히 직접적인 변속 및 작동이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롤링 안정화기는 설치 공간의 문제점 없이 -인장 또는 압축 스트럿도 연결되는- 차축 지지체의 전방 또는 후방 영역에 장소 절감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기 장치의 실시예에서 휠 가이드 암과 안정화기 단부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저면도.
도 1은 차량 하부 면으로부터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기 장치의 실시예에서 롤링 안정화기(2)의 단부(3)와 휠 가이드 암(1)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1에는 주행 방향과 관련한 좌측의 안정화기 단부(3) 및 좌측 휠의 관련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단부 영역이 도시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은 파선 화살표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면과 관련해서 하부를 향해 연장한다.
도 1에는 차량의, 여기서는 중실로 형성된 롤링 안정화기(2)의, 차량과 관련해서 좌측의 단부 영역(3)이 도시되고, 또한, 여기서는 자동차의 좌측 휠들 중 하나의 휠의 휠 서스펜션의 인장 스트럿인,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단부영역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롤링 안정화기(1)의 단부(3)는 가압된 또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된 연결 클램프(4)에 의해, 휠 가이드 암(1)의 단부 영역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결 돌출부(5)와 견고하게 그리고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연결부는 볼-앤드-소켓 조인트(6)의 형태이다.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단부는 동시에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조인트 하우징이고, 볼-앤드-소켓 조인트(6)의 볼 핀(7)은 섀시 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차축 지지체(8)와 연결된다.
조인트 볼(9)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연결선(10')의 화살표 방향은 도면에 따라 휠 가이드 암(1)의 휠 측 연결 점의 방향이고, 상기 연결 점에서 휠 가이드 암(1)은 자동차의 관련 휠의 (장소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휠 캐리어와 연결된다.
즉, 휠 가이드 암(1)은 관련 휠의 편향 운동시 -도 1에 도시된 그의 위치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회전 축(10)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따라서, 휠 가이드 암(1)의 회전 축(10)은 롤링 안정화기(2)의, 볼-앤드-소켓 조인트(6)(그리고 다른 차량 측면에 있는 그 대응부)에 의해 고정된 롤링 안정화기(2)의 회전 축(11)과 일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휠 가이드 암(1)과 롤링 안정화기(2)의 회전 축(10, 11)은 예각 α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롤링 안정화기(2)는 휠 가이드 암(1)의 편향 운동시 그 자신의 축(11)을 중심으로 선회되거나 비틀려질 뿐만 아니라, 휠 가이드 암(1)의 편향 운동 방향과는 반대로 휘어지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롤링 안정화기(2)는 자동차 휠이 안으로 -즉 차량과 관련해서 상부로- 편향될 때, 차량과 관련해서 하부로 휘어지게 된다. 그러나, 롤링 안정화기의 이러한 휘어짐은 작은 각도 범위로 주어지며 이와 관련된 안정화기의 휨 하중의 관점 하에서도 실제로 무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화기(2)의 휨과 관련된, 안정화기(2)의 유효 길이 변화 -안정화기 단부(3) 사이의 간격 변화- 는 안정화기(2)에서 하중 경감 곡선(12)에 의해 중화됨으로써, 안정화기의 휨으로 인해 좌측 휠 서스펜션과 우측 휠 서스펜션 사이의 상당한 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롤링 안정화기의 작동이 롤링 안정화기와 피벗식으로 연결된 휠 가이드 암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는 선행 기술과는 달리, 안정화기 단부(3)와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단부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견고한 연결에 의해, 차축 구성이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간단한 조립 및 비용 절감의 면에서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진자 지지체를 통한 롤링 안정화기의 통상적인 연결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해 진자 지지체 및 그 조립의 생략과 관련한 많은 장점이 추가로 얻어지고, 또한 휠 가이드 암의 섀시 측 탄성 중합체 베어링의 생략에 의해 그리고 안정화기의 추가 베어링의 생략에 의해, 휠 가이드 암의, 휠 측 탄성 중합체 베어링이 부드럽고 저렴하게 실시 가능하고, 결국 안정화기가 짧고 간단한 형상을 가지며 저렴하고 쉽게 실시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휠 가이드 암이 롤링 안정화기 및 차량 섀시에 간단히 그리고 작동 동안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과 관련해서 선행 기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 안정화기 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선행 기술에 비해, 필요한 설치 공간과 관련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안정화기 및 차축의 장착과 관련한 간소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주행 역학적 요구가 많은 차축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휠 가이드 안정화기 장치의 생산과 조립시 구조적 개선 및 비용 절감에 많이 기여한다.

Claims (12)

  1. 자동차 차축의 안정화기 장치로서, 차축은 하나의 롤링 안정화기(2) 및 각각의 휠에 대해 하나 이상의 휠 가이드 암(1)을 포함하고,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섀시 측 연결부(6)는,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편향 운동에 의해 상기 롤링 안정화기(2)의 비틀림 작동이 일어나도록, 상기 롤링 안정화기(2)의 단부(3)와 연결되고, 상기 롤링 안정화기(2)는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상기 섀시 측 단부 영역과 견고하게 연결되는, 안정화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상기 섀시 측 연결부는 볼-앤드-소켓 조인트(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휠 측 연결부는 중간 파이프 없이 고무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앤드-소켓 조인트(6)의 볼 핀(7)은 휠을 향한,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앤드-소켓 조인트(6)의 조인트 하우징은 상기 휠 가이드 암(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 화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앤드-소켓 조인트(6)의 상기 조인트 하우징은 상기 휠 가이드 암(1) 내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의 단부면은 볼 핀 측에서 외부로 플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의 상기 단부면은 볼 핀 측에서 내부로 플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안정화기(2)와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상기 섀시 측 단부 영역과의 견고한 연결은 상기 롤링 안정화기(2)와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프리즘 연결 영역(5)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안정화기(2)와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상기 섀시 측 단부 영역과의 연결부는 상기 롤링 안정화기(2)와 상기 휠 가이드 암(1)의 상기 연결 영역(5)을 링형으로 둘러싸는 연결 클램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클램프(4)는 스크루 터미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안정화기(2)는 S형으로 휘어진 하나 이상의 길이 보상 영역(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가이드 암(1)은 휠 서스펜션의 인장 스트럿 또는 압축 스트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기 장치.
KR1020097008806A 2006-11-20 2007-10-25 휠 가이드 암을 구비한 안정화기 장치 KR20090082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4874A DE102006054874A1 (de) 2006-11-20 2006-11-20 Stabilisatoreinrichtung mit Radführungslenker
DE102006054874.4 2006-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204A true KR20090082204A (ko) 2009-07-29

Family

ID=3898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806A KR20090082204A (ko) 2006-11-20 2007-10-25 휠 가이드 암을 구비한 안정화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52282A1 (ko)
JP (1) JP2010510123A (ko)
KR (1) KR20090082204A (ko)
CN (1) CN101541570A (ko)
AU (1) AU2007324191B2 (ko)
BR (1) BRPI0719062A2 (ko)
DE (1) DE102006054874A1 (ko)
RU (1) RU2009123232A (ko)
WO (1) WO2008061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4821A1 (ja) * 2010-02-23 2011-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システム
EP2502764B1 (en) * 2011-03-22 2014-01-15 Edai Technical Unit, A.I.E. Stabilizer link for a vehicle suspension and method for obtaining it
DE102011088178A1 (de) * 2011-12-09 2013-06-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hse eines zweispurigen Fahrzeugs mit einem Längslenker
DE102011088179A1 (de) * 2011-12-09 2013-06-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hse eines zweispurigen Fahrzeugs mit einem Drehstabstabilisator
DE102012201512A1 (de) * 2012-02-02 2013-08-08 Zf Friedrichshafen Ag Querlenkerrohteil, Querlenk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Querlenkers
DE202012101878U1 (de) 2012-05-23 2013-08-26 Asturia Automotive Systems Ag Anordnung/Lagerung eines aktiven Radführungslenkers
DE102017109063B4 (de) * 2017-04-27 2021-01-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Radlenker mit einem Drehlag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5738A (en) * 1935-10-11 1937-07-06 Stephen L C Coleman Vehicle suspension
DE954031C (de) * 1955-02-08 1956-12-13 Volkswagenwerk G M B H Stabilisator-Anordnung an Kraftfahrzeugen, deren Raeder mit Laengslenkern gefuehrt sind
US2944831A (en) * 1957-08-07 1960-07-12 American Metal Prod Control arm mounting for vehicle wheel suspension
US3037762A (en) * 1960-08-29 1962-06-05 Gen Motors Corp Trailing arm torsion bar suspension
US3218053A (en) * 1962-10-26 1965-11-16 Russell L Shreve Vehicle suspension including anti-roll bar assembly
DE1276463B (de) * 1963-11-22 1968-08-29 Daimler Benz Ag Elastische Lagerung eines Radfuehrungslenkers
FR1425504A (fr) * 1964-12-10 1966-01-24 Publicite Francaise Suspension pour train arrière de véhicules
US3337236A (en) * 1965-09-13 1967-08-22 Roy H Peterson Variable load torsion bar suspension system
DE2322785A1 (de) * 1973-05-05 1974-11-21 Porsche Ag Radaufhaengung fuer kraftfahrzeuge
JPS5493517A (en) * 1977-12-29 1979-07-24 Nissan Motor Co Ltd Car height adjusting mechanism of torsion bar system suspension
DE2934295A1 (de) * 1979-08-24 1981-03-1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chsaufhaengung, insbesondere hinterachsaufhaengung, mit stabilisator
DE4011179A1 (de) * 1990-04-06 1991-10-10 Audi Ag Gelenkverbindung
DE4017210C1 (ko) * 1990-05-29 1991-10-31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496055A (en) * 1992-04-28 1996-03-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uspension system for steered wheel
SE511764C2 (sv) * 1997-04-23 1999-11-22 Volvo Ab Fästanordning
SE509102C2 (sv) * 1997-04-23 1998-12-07 Volvo Ab Arrangemang vid hjulupphängning samt fordon försett med samma arrangemang
FR2770456B1 (fr) * 1997-11-06 2000-02-25 Peugeot Train arriere comportant un dispositif d'articulation d'un bras oscillant tire sur une structure d'un vehicule automobile
US6308972B1 (en) * 2000-05-22 2001-10-30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Self-locking plug-in stabilizer bar link mechanism
JP4087765B2 (ja) * 2003-08-26 2008-05-21 三菱製鋼株式会社 車両用高応力スタビライザー
DE102004005811A1 (de) * 2004-02-06 2005-09-01 Audi Ag Stabilisatorvor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04020073B4 (de) * 2004-04-24 2013-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Vorderachse mit aufgelöster unterer Lenkereb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24191B2 (en) 2011-05-19
WO2008061488A1 (de) 2008-05-29
JP2010510123A (ja) 2010-04-02
US20100052282A1 (en) 2010-03-04
DE102006054874A1 (de) 2008-05-21
RU2009123232A (ru) 2010-12-27
CN101541570A (zh) 2009-09-23
BRPI0719062A2 (pt) 2013-11-26
AU2007324191A1 (en)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9154B2 (en) Spring device for a motor-vehicle wheel suspension
US7651106B2 (en) Wheel-guiding stabilizer device
KR20090082204A (ko) 휠 가이드 암을 구비한 안정화기 장치
RU2617243C2 (ru) Резинометаллический шарнир для подвески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трапециевидный рычаг подвески и подвеска колес
CN102216096A (zh) 车辆悬架
US8573618B2 (en)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KR101163695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520579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0085330A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7140721U (zh) 横向稳定杆总成及车辆
KR100660272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JP2015123952A (ja) トラニオンブラケット
KR200162029Y1 (ko) 필로우 볼(Pillow ball) 부시
JPS6235601Y2 (ko)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JP2001041234A (ja) ピローボールブッシュ
KR10079509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마운팅브라켓
KR100199763B1 (ko) 토션바아식 현가장치
KR100699483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S6013683Y2 (ja)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200274546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볼 조인트 구조
KR20010108275A (ko) 자동차용 후방 액슬
KR100231177B1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구조
JPH0627220U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