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172A -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172A
KR20090081172A KR1020080007112A KR20080007112A KR20090081172A KR 20090081172 A KR20090081172 A KR 20090081172A KR 1020080007112 A KR1020080007112 A KR 1020080007112A KR 20080007112 A KR20080007112 A KR 20080007112A KR 20090081172 A KR20090081172 A KR 2009008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vehicle
input device
moun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172A/ko
Publication of KR2009008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정확히 취출한 후, 차량의 선루프 장착위치로 이동 및 안착시키도록 이동유닛과 선루프 흡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선루프 장착 작업 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다차종에 대응하도록 공용화하여 라인 가동률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선루프, 이동유닛, 선루프 흡착유닛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SUNROOF FEED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정확히 취출한 후, 차량의 선루프 장착위치로 이동 및 안착시키도록 하여 선루프 장착 작업 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다차종에 대응하도록 공용화하여 라인 가동률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공장 내에서 2만 내지 3만여 개의 부품을 수많은 용접 및 조립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양산공장에서 의장공장은 차체 내에 엔진, 변속기, 현가장치 및 기타 구성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으로, 각 공정라인으로 투입되는 차체에 컨베이어 또는 파렛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부품들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다른 창유리가 운전시계를 확보할 필요에 의해 설치된 것과는 달리 루프 패널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차내를 밝게 해주고 심리적으로 공간을 크게 하여 탑승자에게 해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환기가 잘되게 하여 차내의 쾌적성 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선루프를 장착하게 되고, 이러한 선루프의 장착은 상기한 의장공장 중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선루프의 장착작업은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작업장의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직접 취출한 후, 해당 차량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후, 작업자는 상기 선루프를 해당 차량에 투입하고, 보조 작업자와 함께 차량의 루프 패널에 형성된 선루프 홀에 장착하도록 상기 선루프를 상승시켜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선루프의 장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다시 상기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파렛트 상에 적재된 상기 선루프를 해당 차량에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루프를 차량에 설치하는 방법은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차량 투입 시 차량에 긁힘 등이 발생하고, 중량화된 선루프를 작업자가 직접 핸들링(Handling)하여 차량에 투입함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방지가 불가능하고,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해 선루프의 장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선루프의 이동 시 손상이 발생하여 선루프에 품질문제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정확히 취출한 후, 차량의 선루프 장착위치로 이동 및 안착시키도록 이동유닛과 선루프 흡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선루프 장착 작업 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다차종에 대응하도록 공용화하여 라인 가동률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는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 도록 구성되는 이동빔과, 상기 이동빔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 하우징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취출 및 해당 차량에 투입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로 구성되는 선루프 흡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롤러수단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포스트를 중심에 두고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은 각각의 지지프레임 사이의 내측면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포스트의 상부 일측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및 이동빔은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빔을 상기 포스트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포스트 내부의 상면에 하향 설치되고, 작동로드 선단이 상기 이동빔에 연결되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빔의 하단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하우징은 작업자가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을 핸들링하여 이동시키도록 그 양측에 손잡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양측 손잡이는 상기 선루프를 취출하기 위하여 파렛트 투입 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각 손잡이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후단이 장착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각 연장 샤프트의 선단에 장착되는 파렛트 가이더와, 상기 각 파렛트 가이더의 일면에 장착되고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더 블록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장착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회전봉에 장착되는 장착블록; 상기 장착 블록에 장착되는 메인 진공컵; 상기 장착블록에 장착 샤프트를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메인 진공컵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서브 진공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은 차량 투입 시, 상기 선루프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의 일면에 장착되는 우레탄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의하면,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정확히 취출한 후, 차량의 선루프 장착위치로 이동 및 안착시킴 이동유닛과 선루프 흡착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루프 장착 작업 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의 메인 진공컵과 서브 진공컵이 선루프를 손상 없이 핸들링할 수 있어 품질문제 발생을 방지하고, 다차종에 대응하도록 공용화하여 라인 가동률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적용되는 이동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적용되는 선루프 흡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흡착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100)는 선루프 장착라인에서 파렛트(400) 상에 적재된 선루프(500)를 취출 및 이송하여 해당 차량(600)에 투입하기 위한 것이며, 종래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던 선루프의 취출 및 이송 작업을 상기한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며, 취출 및 이송에 따른 선루프의 품질 문제 발생을 방지하고, 다차종에 대응하도록 공용화하여 라인 가동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 레일(101), 이동유닛(200), 및 선루프 흡착유닛(30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01)은 작업장의 상부에서 선루프의 이동경로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20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210), 포스트(220), 이동빔(230), 및 장착 플레이트(2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동 프레임(210)은 상기 가이드 레일(101) 상에서 롤러수단(211)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이동 프레임(210)은 상기 포스트(220)를 중심에 두고 그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13)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수단(211)은 상기 각 이동 프레임(210)의 상면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상기 각 이동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포스트(220)는 상기 이동 프레임(210)에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211) 사이의 내측면에 장착 브라켓(221)을 통하여 그 상부 일측이 장착된다.
이러한 포스트(220)에는 그 내부로 상기 이동빔(230)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 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빔(230)의 하단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24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240)는 상기 이동빔(230)의 하단에 베어링(24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스트(220) 및 이동빔(230)은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220)는 상기 이동빔(230)이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그 내측 둘레의 크기가 상기 이동빔(230)의 외측 둘레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유닛(200)은 상기 이동빔(230)을 상기 포스트(22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이동수단(250)은 상기 포스트(220) 내부의 상면에 하향 설치되고, 작동로드(251) 선단이 상기 이동빔(230)의 내부 일측에 연결되는 작동실린더(253)로 이루어진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이동유닛(200)은 상기 롤러수단(211)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작동 실린더(253)의 미작동 시에는, 도 4의 (S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작동실린더(253)의 전진 작동 시에는, 도 4의 (S2)와 같이, 상기 포스트(220)에서 상기 이동빔(230)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240)에 장착 하우징(301)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파렛 트(400) 상에 적재된 선루프(500)를 취출 및 해당 차량에 투입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수단(320), 및 상기 회전수단(320)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하우징(301)은, 작업자가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핸들링하면서, 상기 장착 하우징(301)과 연결되는 상기 이동유닛(200)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그 양측에 손잡이(303)가 장착된다.
상기 양측 손잡이(303)는 상기 선루프(500)를 취출하기 위하여 파렛트(400) 투입 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각 손잡이(303)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후단이 장착되는 연장 샤프트(305)와, 상기 각 연장 샤프트(305)의 선단에 장착되는 파렛트 가이더(30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파렛트 가이더(307)의 일면에는 가이더 블록(309)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더 블록(309)은 상기 파렛트(400)와의 접촉 시,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320)은, 상기 장착 하우징(301)의 외부에서 상기 장착 하우징(30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봉(3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21)는 그 회전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 조절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봉(323)을 상기 장착 하우징(301)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180°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봉(323)은 상기 장착 하우징(301)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 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321)의 회전축에 그 후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봉(323)에는 상기 선루프(500)를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어태치먼트(330)가 장착되며, 상기 어태치먼트(330)는 장착블록(331), 메인 진공컵(333), 및 서브 진공컵(33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착블록(331)은 상기 메인 진공컵(333)과 서브 진공컵(335)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봉(323)의 선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블록(331)의 선단 중앙에는 상기 메인 진공컵(333)이 장착되며, 상기 서브 진공컵(335)은 상기 메인 진공컵(33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블록(331)의 선단에 장착 샤프트(337)를 통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샤프트(337)는 상기 메인 진공컵(333)을 중심으로 상기 각 서브 진공컵(335)이 일정거리 떨어져서 양측에 배치되도록 그 양측이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은 상기 어태치먼트(330)의 메인 진공컵(333)과 서브 진공컵(335)에 상기 선루프(500)를 흡착한 상태로 차량(600) 투입 시, 상기 차량(600)의 루프패널에 대하여 상기 선루프(500)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340)는 상기 회전봉(323)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이더(341)와, 상기 가이더(341)의 일면에 장착되는 우레탄 블록(34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루프 흡착유닛(300)은 상기 회전수단(320)의 구동모터(321)의 회전에 의해, 도 6의 (S10)과 (S20)에서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 트(330)의 메인 진공컵(333)과 서브 진공컵(335)을 상기 장착 하우징(301)을 중심으로 180°각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위치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변경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의 (S100)과 같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303)를 통해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핸들링하여 작업장의 파렛트(400)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하이동수단(250)의 작동 실린더(253)를 전진 작동시켜 상기 이동빔(23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빔(230)과 연결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이 하강되고, 상기 어태치먼트(330)의 메인 진공컵(333)과 서브 진공컵(335)을 통하여 상기 파렛트(400) 상에 적재된 선루프(500)를 흡착시켜 취출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양측 손잡이(303)에 장착된 상기 각 파렛트 가이더(307)를 통하여 상기 파렛트(400) 상에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어태치먼트(330)가 상기 파렛트(400) 상에 적재된 선루프(500)를 정확한 위치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가이드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렛트 가이더(307)의 각 가이더 블록(309)은 상기 파렛 트(400)와의 접촉 시,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어태치먼트(330)에 의해 상기 선루프(500)의 흡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상하이동수단(250)의 작동 실린더(253)를 후진작동 시켜 상기 이동빔(230)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은 상기 선루프(500)를 흡착한 상태로 상기 이동빔(230)과 함께 상승된다.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의 상승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선루프(500)의 차량 투입을 위해 상기 구동모터(321)를 정방향으로 회전 작동시켜 상기 회전봉(323)을 180°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봉(323)과 연결된 상기 어태치먼트(330)는 흡착된 상기 선루프(500)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321)의 회전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303)를 통해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핸들링하여 상기 선루프(500)가 장착 될 해당 차량(600) 측으로 상기 선루프 투입장치(100)를 상기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선루프 투입장치(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7의 (S200)과 같이, 작업자는 상기 선루프(500)가 투입위치에 정위치 하도록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상기 장착 플레이트(24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차량(600)에 투입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스톱퍼(340)는 상기 차량(600)의 루프패널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340)의 우레탄 블록(343)은 상기 차량(600)의 루프패널 과 접촉 시,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찰에 의한 루프패널의 품질문제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상기 선루프 투입장치(100)를 통하여 선루프(500)의 투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선루프(500)를 상기 차량(600)의 선루프 홀에 장착시켜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선루프(500)의 장착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차량(600)의 반대측으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봉(323)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330)의 메인 진공컵(333)과 서브 진공컵(335)이 하부를 향하여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21)를 역방향으로 180°각도로 회전 작동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선루프 투입장치(100)는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선루프 투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상기 파렛트(400) 상에 적재된 상기 선루프(500)를 정확하게 취출하고, 해당 차량(600)으로 이동 및 투입시켜 상기 선루프(500)를 상기 차량(600)에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100)를 적용하면, 상기 파렛트(400) 상에 적재된 선루프(500)를 정확히 취출한 후, 차량의 선루프 장착위치로 이동 및 안착시키도록 이동유닛(200)과 선루프 흡착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선루프 장착 작업 시,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300)의 메인 진공컵(333)과 서브 진공컵(335)이 상기 선루프(500)를 손상 없이 핸들링할 수 있어 품질문제 발생을 방지하고, 다차종에 대응하도록 공용화하여 라인 가동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적용되는 이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에 적용되는 선루프 흡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흡착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12)

  1.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빔과, 상기 이동빔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 하우징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파렛트 상에 적재된 선루프를 취출 및 해당 차량에 투입하도록 회전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로 구성되는 선루프 흡착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롤러수단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포스트를 중심에 두고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은
    각각의 지지프레임 사이의 내측면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포스트의 상부 일측이 장착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및 이동빔은 사각형상으로 중공 형성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빔을 상기 포스트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포스트 내부의 상면에 하향 설치되고, 작동로드 선단이 상기 이동빔에 연결되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빔의 하단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하우징은
    작업자가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을 핸들링하여 이동시키도록 그 양측에 손잡 이가 장착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손잡이는 상기 선루프를 취출하기 위하여 파렛트 투입 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각 손잡이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후단이 장착되는 연장 샤프트와, 상기 각 연장 샤프트의 선단에 장착되는 파렛트 가이더와, 상기 각 파렛트 가이더의 일면에 장착되고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더 블록을 더욱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장착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봉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회전봉에 장착되는 장착블록;
    상기 장착 블록에 장착되는 메인 진공컵;
    상기 장착블록에 장착 샤프트를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메인 진공컵의 양측 에 각각 배치되는 서브 진공컵;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흡착유닛은
    차량 투입 시, 상기 선루프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장착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장착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의 일면에 장착되는 우레탄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KR1020080007112A 2008-01-23 2008-01-23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KR20090081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112A KR20090081172A (ko) 2008-01-23 2008-01-23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112A KR20090081172A (ko) 2008-01-23 2008-01-23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72A true KR20090081172A (ko) 2009-07-28

Family

ID=4129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112A KR20090081172A (ko) 2008-01-23 2008-01-23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1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1073A (zh) * 2018-07-05 2018-11-06 恩坦华汽车零部件(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的马达安装操作台
CN110843964A (zh) * 2019-12-13 2020-02-28 湖北大冶汉龙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装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1073A (zh) * 2018-07-05 2018-11-06 恩坦华汽车零部件(天津)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的马达安装操作台
CN110843964A (zh) * 2019-12-13 2020-02-28 湖北大冶汉龙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天窗装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70376B (zh) 清洗机以及清洗方法
CN109202356A (zh) H型钢翻转对中机构
CN111151992A (zh) 一种地铁屏蔽门全自动转运、辅助定位装配设备
CN110385702A (zh) 门梁式冶金锯片自动翻转机械手
KR20090081172A (ko)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KR100828844B1 (ko) 다차종 대응 선루프 조립 시스템
KR20090048866A (ko) 차량의 루프패널용 지그장치
KR101317141B1 (ko) 차량용 시트 투입장치
KR20090109003A (ko)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KR102631132B1 (ko) 작업용 지그의 승강 틸팅 모션장치
CN208775769U (zh) 省空间气动翻转机
CN113617601B (zh) 风挡玻璃涂胶工作台
JP4298046B2 (ja) 物品搬送組立装置及び物品搬送組立方法
KR20070041820A (ko) 차량용 샤시 모듈 안착 위치 조절 타입 스키드장치
CN207547348U (zh) 侧围轮弧辊边胎模系统
CN112173707A (zh) 一种两孔摄像头头圈整形模具用搬运装置
CN219427756U (zh) 一种移动式打标装置
KR100984161B1 (ko) 자동차 몰딩용 클립 장착장치
KR20090089110A (ko) 자동차 몰딩용 클립 장착장치
CN113911699B (zh) 加工设备
KR101118956B1 (ko)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20050120995A (ko) 차량용 타이어 자동 공급 장치
KR100903332B1 (ko) 차량용 선루프 투입장치
KR100892705B1 (ko) 파렛트 이송용 행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