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230A -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 Google Patents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230A
KR20090078230A KR1020080004076A KR20080004076A KR20090078230A KR 20090078230 A KR20090078230 A KR 20090078230A KR 1020080004076 A KR1020080004076 A KR 1020080004076A KR 20080004076 A KR20080004076 A KR 20080004076A KR 20090078230 A KR20090078230 A KR 2009007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wing
connection member
seam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870B1 (ko
Inventor
이수은
Original Assignee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filed Critical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to KR102008000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8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2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 D05B3/24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med by general-purpose sewing machines modified by attachments, e.g. by detachable devices for dar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00Sewing machines for temporarily connecting articles, e.g. pairs of s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과 원단을 봉제하여 결합하고자 할 경우 연결하는 부위에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원단과 원단 사이에 봉제하여 봉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진 망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망지의 구성으로 연결부재가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며, 특히 연결부재에 쿠션재를 구비하여 연결부재가 입체척인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쿠션재의 구성으로 연결부재가 더욱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구비된 연결부재 및 망지를 원단에 봉제하여 결합하되 봉제선이 외부로 노축되지 않고 견고히 봉제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단a와 원단b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원단a와 원단b의 일단부가 연결부재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구비되는 봉제선, 상기 봉제선이 형성된 원단a와 원단b가 연결부재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구비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원단과 원단을 연결하여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봉제부를 형성하되, 외관상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우며 봉제부가 형성된 상태로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원단의 봉제부가 단순히 원단을 연결하는 구성이 아닌 원단에 장식의 효과를 부여하여 외적으로 봉제부가 아닌 수작업에 의해 장식무늬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며, 원단을 연결하는 목적이 아니더라도 옷감에 장식문양을 형성하여 의복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에 장식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식문양이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원단, 봉제, 망지, 쿠션재, 연결

Description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sewing for cloth and sew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단과 원단을 봉제하여 결합하고자 할 경우 연결하는 부위에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원단과 원단 사이에 봉제하여 봉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망사형 직물로 이루어진 망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망지의 구성으로 연결부재가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며, 특히 연결부재에 쿠션재를 구비하여 연결부재가 입체척인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쿠션재의 구성으로 연결부재가 더욱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구비된 연결부재 및 망지를 원단에 봉제하여 결합하되 봉제선이 외부로 노축되지 않고 견고히 봉제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각종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과 원단을 봉제하여 제작되었고 상기 원단을 연결하는 방법은 단순히 원단끼리 겹쳐놓고 봉제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본 출원인은 1원단과 제2원단을 연결하는 봉제방법에 있어서, 제1원단의 일측 상단에 보충원단을 일측이 겹치도록 봉합하여 제1봉제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충원단의 자유단부를 제1원단의 타측 하단으로 절곡하여 제1원단과 보충단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부에 제 2원단의 일단부를 위치하여 상기 제1원단과 제2원단과 보충원단이 겹치는 부분을 봉합하여 제2봉제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원단의 자유단부를 제2봉제선을 기준으로 제1원단의 반대편으로 절곡하는 단계와 제1봉제선과 제2봉제선이 보이는 일측면에 제1원단과 제2원단과 보충원단 및 제1봉제선과 제2봉제선을 커버하는 커버원단을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으로 접착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제1원단과 제2원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직물지 봉제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구성을 갖는 직물지의 연결방법을 선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제시된 원단과 원단의 봉제방법은 단순히 원단을 겹치는 방법을 비롯하여 원단과 원단을 겹쳐놓고 상기 원단을 결합하기 위한 봉제방법만 제시되어 원단과 원단이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봉제되고, 봉제선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원단의 봉제부가 단순히 원단을 연결하는 구성이 아닌 장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봉제부 및 봉제방법의 제공이 요구되어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은 원단과 원단을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봉제부를 형성하되, 외관상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우며 봉제부가 형성된 상태로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원단의 봉제부에 연결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단순히 원단을 연결하는 구성이 아닌 원단에 장식의 효과를 부여하여 외적으로 봉제부가 아닌 수작업에 의해 장식무늬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며, 원단의 봉제부가 아니더라도 옷감에 장식문양을 형성하여 의복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에 장식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식문양이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은 원단a와 원단b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원단a와 원단b의 일단부가 연결부재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구비되는 봉제선, 상기 봉제선이 형성된 원단a와 원단b가 연결부재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구비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원단의 봉제부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원단a와 원단b의 일단부가 연결부재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선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봉제선이 형성된 원단a와 원단b가 연결부재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를 구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원단의 봉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은 원단과 원단을 연결하여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봉제부를 형성하되, 외관상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우며 봉제부가 형성된 상태로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원단의 봉제부가 단순히 원단을 연결하는 구성이 아닌 원단에 장식의 효과를 부여하여 외적으로 봉제부가 아닌 수작업에 의해 장식무늬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며, 원단을 연결하는 목적이 아니더라도 옷감에 장식문양을 형성하여 의복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에 장식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식문양이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망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봉제선'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다수의 망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는 원단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봉제선''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쿠션재와 망지가 동시에 구비된 모습을 도 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다수개의 쿠션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연결부재가 모피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는 상기 원단a(100)와 원단b(200)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구비되는 봉제선(400), 상기 봉제선(400)이 형성된 원단a(100)와 원단b(200)가 연결부재(3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구비되는 절곡부(500, 5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연결부재(300)는 원단a(100)와 원단b(200) 사이에 구비되어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소재는 의류를 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원단a(100)와 원단b(200)가 구비되도록 한다.
봉제선(400)은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재(300)의 일단부에는 원단a(100)의 일단부가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원단a(100)가 적층되지 않은 연결부재(300)의 타단부에는 원단b(200)의 일단부가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적층이 완료되면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즉, 연결부재(300)의 일단부에 겹쳐진 원단a(100)를 봉제하고, 연결부재(300)의 타단부에 겹쳐진 원단 b(200)를 봉제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봉제선(400)은 재봉틀 또는 수작업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봉제할 수 있다.
절곡부(500, 500')는 봉제선(400)이 형성된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연결부재(3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구비되는 구성이며, 상기 절곡부(500, 500')를 형성함에 따라 원단a(100)와 원단b(200)와 연결부재(300)는 평면을 형성하여 연결부재(3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사이에 자연스럽게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300)가 일반 직물로 구비될 경우 원단a(100)와 원단b(200)보다 한층 아래 형성되며, 연결부재(300)가 모피(340)와 같이 기모된 형상의 원단으로 구비될 경우 원단a(100)와 원단b(200)와 평면을 이루거나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상단에 기모된 부분이 돌출되어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자유단부를 절곡할 경우 봉제선(400)이 원단a(100)와 원단b(200)는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운 봉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모피(340)는 털이 붙은 채로 벗긴 짐승의 가죽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래 케라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조직과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체조직으로 구성되는 포유동물의 피부를 벗긴 그대로의 것을 가리키나, 일반적으로는 털이 붙어 있는 채로 무두질하여 의복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모피(340)라고 한다. 상기 모피(340)는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선별된 의류용 모피(340)의 경우 털과 가죽으로 구비되어 털 부분이 기모된 형 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연결부재가 더욱 고급스럽고 입체적이며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망지(600)는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망지(網地)는 그믈감을 의미하는 말로서, 밋밋한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연결부재(300)를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봉제부(400)의 구성을 더욱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봉제부(400)가 원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아닌 장식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구비될 수 있다.
망지(600)는 일반적으로 두줄을 서로 꼬이게 하여 종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수직한 횡방향으로 두줄을 한번은 상기 경사부의 꼬임에 모이게 통과시키면서 다음번은 상기 경사부의 꼬임에 벌어지게 통과되도록 반복해서 연장시키는 위사부로 이루어진 포장용 망지를 비롯하여, 천연섬유 및 화학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화학섬유의 혼방의 재료를 경편기를 이용하여 세로사로 다수열의 쇄편조직이 형성되고, 상기 쇄편조직에 가로사가 규칙적으로 지그재그방식으로 엮여 직조된 통상의 망지와 같이 종래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 망지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된 다양한 무늬의 망지(6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패턴으로 구비된 망사형 직물(600a, 600b)을 다수개 적층하여 망지(600)를 형성함에 따라 보다 미려하고 신비스러우며 기하학적인 망지(6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망지(600)가 구비될 경우, 봉제선(400)은 연결부재(300)와 망지(600)의 상단에 각각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부재(300)와 망지(6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즉, 연결부재(300)와 망지(600)의 일단부에 겹쳐진 원단a(100)를 봉제하고, 연결부재(300)와 망지(600)의 타단부에 겹쳐진 원단b(200)를 봉제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봉제선(400)은 재봉틀 또는 수작업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봉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봉제선(400)을 구비한 원단a(100), 원단b(200)는 연결부재(300) 및 망지(6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와 망지(6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500, 500')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고, 상기 망지(600)는 연결부재(30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00)와 겹치는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봉제선'(400')은 망지(600)가 연결부재(300)에서 들뜨거나 분리되어 망지(600)가 연결부재(300)로 부터 분리되어 망지(600)와 연결부재(300) 사이에 공간에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망지(600)와 연결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되었다는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특히 상기 봉제선'(400')는 낚시줄과 같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그 구성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하며, 꼭 투명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봉제선'(4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300)와 원단a(100)와 원단b(200)의 하단에는 봉제선(400)이 노출되고 봉제선(400)이 노출된 부분은 일반적으로 의복을 제작하였을 경우 의복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봉제선(40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봉제선(400)에 의한 원단a(100)와 원단b(200)의 부착력을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의복의 외부뿐아니라 내부의 미려함을 위해 원단부재(700)를 부착한다.
상기 원단부재(700)는 접착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봉제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봉제와 접착을 동시에 시행하여 원단부재(7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 또는 연결부재(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구비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봉제선''(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단부재(7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 또는 연결부재(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통상의 봉제방법을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할 수 있지만 봉제선''(400'')이 원단a(100)와 원단b(200)의 미려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스티치 방법으로 봉제하여 봉제선''(400'')이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 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바탕원단(310)은 띄 형상으로 의류를 구성하는 직물지를 비롯하여 가죽 및 모피 또는 다양한 천연 및 인조원단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의복의 종류에 따라 두께와 색상 및 종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겹 또는 두 겹의 직물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 소재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재(320)는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연결부재(300)가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신축적이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00)는 쿠션재(320)의 구성으로 입체적인 형상이 유지되는 것이며, 쿠션재(320)는 부드러운 재질의 털실 또는 섬유조각 및 다양한 탄성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재(320)는 직물지를 말아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외측에 탄성체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고, 쿠션재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연결부재(3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쿠션재(320)가 구비되어진 바탕원단(310)은 쿠션재(320)를 바탕원단(3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쿠션재(320)와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커버원단(330)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원단(330)은 바탕원단(310)과 같은 재질 또는 같은 색상으로 구비 될 수 있지만 전혀 다른 재질과 색상으로 구비되어 연결부재(300)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원단(330)이 바탕원단(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원단(330)과 바탕원단(310)을 접착하거나 봉제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구비되고,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원단부재(700)는 연결부재(300)가 바탕원단(310), 쿠션재(320), 커버원단(330)으로 구비되더라도, 구비될 수 잇으며 접착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봉제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봉제와 접착을 동시에 시행하여 원단부재(7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 또는 연결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원단의 봉제방법은 연결부재(30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선(40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봉제선(400)이 형성된 원단a(100)와 원단b(200)가 연결부재(3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500, 500')를 구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원단a(100)와 원단b(200) 사이에 구비되어 원단a(100) 와 원단b(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소재는 의류를 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원단a(100)와 원단b(20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300)가 구비되면,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선(400)을 구비한다.
봉제선(400)은 연결부재(300)의 일단부에는 원단a(100)의 일단부가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원단a(100)가 적층되지 않은 연결부재(300)의 타단부에는 원단b(200)의 일단부가 일치하도록 적층시킨 후 적층이 완료되면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즉, 연결부재(300)의 일단부에 겹쳐진 원단a(100)를 봉제하고, 연결부재(300)의 타단부에 겹쳐진 원단b(200)를 봉제하여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봉제선(400)은 재봉틀 또는 수작업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제선(400)이 완료된 원단a(100)와 원단b(200)는 연결부재(3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500, 500')를 구비한다.
상기 절곡부(500, 500')를 형성함에 따라 원단a(100)와 원단b(200)와 연결부재(300)는 평면을 형성하여 연결부재(3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사이에 자연스럽게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300)가 일반 직물로 구비될 경우 원단a(100)와 원단b(200)보다 한층 아래 형성되며, 연결부재(300)가 모피(340)와 같이 기모된 형상의 원단으로 구비될 경우 원단a(100)와 원단b(200)와 평면을 이루거나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상단에 기모된 부분이 돌출되어 입체적인 장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자유단부를 절곡할 경우 봉제선(400)이 원단a(100)와 원단b(200)는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운 봉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망지(600)는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망지(網地)는 그믈감을 의미하는 말로서, 밋밋한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연결부재(300)를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봉제부(400)의 구성을 더욱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봉제부(400)가 원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아닌 장식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구비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패턴으로 구비된 망사형 직물(600a, 600b)을 다수개 적층하여 망지(600)를 형성함에 따라 보다 미려하고 신비스러우며 기하학적인 망지(6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고, 상기 망지(600)는 연결부재(30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00)와 겹치는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봉제선'(400')은 망지(600)가 연결부재(300)에서 들뜨거나 분리되어 망지(600)가 연결부재(300)로 부터 분리되어 망지(600)와 연결부재(300) 사이에 공간에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망지(600)와 연결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되었다는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특히 상기 봉제선'(400')는 낚시줄과 같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그 구성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하며, 꼭 투명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봉제선'(4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재(300)와 원단a(100)와 원단b(200)의 하단에는 봉제선(400)이 노출되고 봉제선(400)이 노출된 부분은 일반적으로 의복을 제작하였을 경우 의복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구비되어지며 상기 봉제선(40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봉제선(400)에 의한 원단a(100)와 원단b(200)의 부착력을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의복의 외부뿐아니라 내부의 미려함을 위해 원단부재(700)를 부착한다.
상기 원단부재(700)는 접착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봉제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봉제와 접착을 동시에 시행하여 원단부재(7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 또는 연결부재(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구비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봉제선''(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단부재(7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 또는 연결부재(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 적으로 통상의 봉제방법을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할 수 있지만 봉제선''(400'')이 원단a(100)와 원단b(200)의 미려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스티치 방법으로 봉제하여 봉제선''(400'')이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바탕원단(310)은 띄 형상으로 의류를 구성하는 직물지를 비롯하여 가죽 및 모피 또는 다양한 천연 및 인조원단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의복의 종류에 따라 두께와 색상 및 종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겹 또는 두 겹의 직물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 소재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재(320)는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연결부재(300)가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신축적이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00)는 쿠션재(320)의 구성으로 입체적인 형상이 유지되는 것이며, 쿠션재(320)는 부드러운 재질의 털실 또는 섬유조각 및 다양한 탄성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재(320)는 직물지를 말아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외측에 탄성체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고, 쿠션재 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연결부재(30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쿠션재(320)가 구비되어진 바탕원단(310)은 쿠션재(320)를 바탕원단(3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쿠션재(320)와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커버원단(330)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원단(330)은 바탕원단(310)과 같은 재질 또는 같은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전혀 다른 재질과 색상으로 구비되어 연결부재(300)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원단(330)이 바탕원단(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원단(330)과 바탕원단(310)을 접착하거나 봉제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구비되고,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원단부재(700)는 연결부재(300)가 바탕원단(310), 쿠션재(320), 커버원단(330)으로 구비되더라도, 구비될 수 있으며 접착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봉제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봉제와 접착을 동시에 시행하여 원단부재(700)가 원단a(100)와 원단b(200) 또는 연결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영역 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망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봉제선'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다수의 망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원단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b는 봉제선''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쿠션재와 망지가 동시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원단의 봉제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다수개의 쿠션재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연결부재가 모피로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단a
200 : 원단b
300 : 연결부재
310 : 바탕원단
320 : 쿠션재
330 : 커버원단
340 : 모피
400 : 봉제선
400' : 봉제선'
400'' : 봉제선''
500, 500' : 절곡부
600 : 망지
600a, 600b : 망사형 직물
700 : 원단부재

Claims (14)

  1.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연결하기 위한 원단의 봉제부에 있어서,
    상기 원단a(100)와 원단b(200)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300);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구비되는 봉제선(400);
    상기 봉제선(400)이 형성된 원단a(100)와 원단b(200)가 연결부재(3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구비되는 절곡부(500, 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고, 상기 망지(600)는 연결부재(30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00)와 겹치는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구비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구비되고,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부.
  8.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연결하기 위한 원단의 봉제방법에 있어서,
    연결부재(30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 원단a(100)와 원단b(200)의 일단부가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일치하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을 봉제하여 봉제선(40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봉제선(400)이 형성된 원단a(100)와 원단b(200)가 연결부재(300)와 평면을 형성하도록 봉제되지 않은 각각의 자유단부를 연결부재(300)의 양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500, 500')를 구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의 상단에는 일개 이상의 망지(600)를 구비하고, 상기 망지(600)는 연결부재(30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300)와 겹치는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구비하고, 각각의 겹쳐진 부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13. 제 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14. 제 8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띄 형상의 바탕원단(310)과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바탕원단(310)의 상단에 일개이상 구비되는 쿠션재(320)와, 상기 쿠션재(320)의 상단에 쿠션재(3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원단(330)으로 구비되고, 봉제선(400)이 보이는 일측면에 연결부재(300)와 봉제선(400) 및 원단a(100)와 원단b(200)를 커버하는 원단부재(70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봉제방법.
KR1020080004076A 2008-01-14 2008-01-14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KR10107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76A KR101078870B1 (ko) 2008-01-14 2008-01-14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76A KR101078870B1 (ko) 2008-01-14 2008-01-14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30A true KR20090078230A (ko) 2009-07-17
KR101078870B1 KR101078870B1 (ko) 2011-11-01

Family

ID=4133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76A KR101078870B1 (ko) 2008-01-14 2008-01-14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09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용산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00B1 (ko) 2013-05-16 2014-10-07 (주)대흥돌핀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KR101489919B1 (ko) 2014-02-11 2015-02-12 김재봉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KR102088052B1 (ko) 2019-09-02 2020-03-11 (주)동주피엔씨 개폐부의 초음파 융착이 이루어진 보관용 백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2863C1 (de) 1993-09-27 1995-01-12 Texpa Arbter Masch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toffhülle mit Biese
JP2001212388A (ja) 2000-02-07 2001-08-07 Mitsuru Ito 伸縮性糸布地を用いた「パイピングテープ」とミシン機による布地の縫付方法
KR100768543B1 (ko) 2007-02-16 2007-10-1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09A1 (ko) * 2020-07-31 2022-02-03 주식회사 용산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870B1 (ko)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054B2 (en) Unitary woven fabric construct of multiple zones
US5974997A (en) Clothing article having a trimmed appliqu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078870B1 (ko)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JP2006299442A (ja) 多重ガーゼのデザイン織成方法
KR101071673B1 (ko) 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식무늬가 형성된원단
ES2228849T3 (es) Materiales y productos que utilizan cintas de piel o piel artificial.
CN204644590U (zh) 一种立体3d凹凸三明治布
RU2225697C1 (ru) Материалы и изделия из полос натурального или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еха
CN206170794U (zh) 一种无绗缝羽绒制品
KR100843669B1 (ko) 원단의 이음부 및 이음방법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CN204625941U (zh) 一种具有毛面的三层网布
KR101047864B1 (ko) 원단의 연결부 및 연결방법
JP6814125B2 (ja) 編紐地
KR200395696Y1 (ko) 합성피혁 복합끈
CN201445236U (zh) 一种麻将席
CN207544457U (zh) 一种飞织与绳绣的连接结构及鞋面
JP3124940U (ja) 装飾布製品、及び羽織服
KR100938494B1 (ko) 원단의 연결무늬 및 이의 형성방법
CN204825247U (zh) 一种具有毛面的三层网布
KR100866972B1 (ko)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200254201Y1 (ko) 모피니트원단
CN107811352A (zh) 一种飞织与绳绣的连接结构及鞋面
CN211868812U (zh) 一种复合型布料
JP3105977U (ja) 保温衿付き毛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