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00B1 -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 Google Patents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00B1
KR101447000B1 KR1020130055508A KR20130055508A KR101447000B1 KR 101447000 B1 KR101447000 B1 KR 101447000B1 KR 1020130055508 A KR1020130055508 A KR 1020130055508A KR 20130055508 A KR20130055508 A KR 20130055508A KR 101447000 B1 KR101447000 B1 KR 10144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plate
sewed
hol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주)대흥돌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돌핀 filed Critical (주)대흥돌핀
Priority to KR102013005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판 및 제1하부판과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하고 난 다음에 제1봉제성형공을 갖는 상부판과 제2봉제성형공을 갖는 제1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2차봉제하여 2차봉제물을 봉제하고 1,2차봉제물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의 1차봉제물을 별로구비된 지그로 봉제한 다음에 또 다른 별도의 지그로 1차봉제물에 2차봉제물을 결합하여 봉제되는 불편함과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1차봉제물 및 1,2차봉제물의 결합봉제를 하나의 봉제용 지그로 이루도록하여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도록한,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Jig for sewing}
본 발명은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판 및 제1하부판과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하고 난 다음에 제1봉제성형공을 갖는 상부판과 제2봉제성형공을 갖는 제1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2차봉제하여 2차봉제물을 봉제하고 1,2차봉제물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의 1차봉제물을 별로구비된 지그로 봉제한 다음에 또 다른 별도의 지그로 1차봉제물에 2차봉제물을 결합하여 봉제되는 불편함과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1차봉제물 및 1,2차봉제물의 결합봉제를 하나의 봉제용 지그로 이루도록하여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도록한,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1차봉제물 및 1,2봉제물의 봉제방법은 봉제성형공을 갖는 상,하부판으로 구성된 1차봉제용 지그와, 상기 상,하부판사이에 복수개의 1차봉제물을 위치하여 상기 상,하부판의 상기 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1차봉제물을 1차로 봉제하여 복수개의 봉제물을 1차로 봉제되게 결합하고 난 다음에 봉제성형공을 갖는 상,하부판으로 구성된 2차봉제용 지그를 별도로 준비하여 준비된 상기 2차봉제용 지그의 상,하부판사이에 1차봉제된 봉제물과, 2차로 봉제될 복수개의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상기 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2차봉제하여 1차봉제물과 2차봉제물이 결합되도록 봉제하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1차봉제물 및 1,2차봉제물을 1,2차봉제방법은 1차봉제작업을 1차봉제용지그로 한 다음에 다시 1차봉제물과 2차봉제물을 별도의 2차봉제용지그로 2차봉제하여 1,2차봉제물을 봉제하는 봉제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1차봉제용지그로 1차봉제물을 봉제하고 다시 별도의 2차봉제용지그로 2차봉제하는 번거움과 불편함이 발생하여 1차봉제물 및 1,2차봉제물의 1차 내지 2차 봉제공정과정이 신속하지 못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판 및 제1하부판과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하고 난 다음에 제1봉제성형공을 갖는 상부판과 제2봉제성형공을 갖는 제1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2차봉제하여 2차봉제물을 봉제하고 1,2차봉제물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의 1차봉제물을 별로구비된 지그로 봉제한 다음에 또 다른 별도의 지그로 1차봉제물에 2차봉제물을 결합하여 봉제되는 불편함과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1차봉제물 및 1,2차봉제물의 결합봉제를 하나의 봉제용 지그로 이루도록하여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도록한, 새로운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봉제방법은 제1봉제성형공(21)을 갖는 상부판(20)과 제2봉제성형공(31)을 갖는 제1하부판(30)을 제2경첩부(12)를 갖는 회동연결부(10)로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40)의 상부에서 1차회동시키고, 상기 제2하부판(40)상에 1차봉제물(A)을 안착시키며,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을 상기 제2경첩부(12)로 2차회동결합시키고 난 다음에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의 내측둘레에 따라 미싱바늘(B)로 1차봉제물(A)을 1차로 봉제하는 1차봉제물 1차봉제하는 단계(S100)와;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한후, 상기 제1하부판(30)상에서 상기 상부판(20)을 제1경첩부(11)를 갖는 회동연결부(10)로 3차회동시키고, 상기 제1하부판(30)상에 2차봉제물(A')을 안착시키며, 상기 2차봉제물(A')상에 상기 상부판(20)을 상기 제1경첩부(11)로 4차회동결합되어 일치되는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의 내측둘레를 따라 미싱바늘(B)로 1,2봉제물(A,A')을 결합시키도록 2차봉제하는 1,2차봉제물이 결합되도록 2차봉제하는 단계(S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봉제성형공(31)의 상부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구(50)와, 상기 결합구(5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봉제성형공(21)의 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공(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 지그는 제1경첩부(11)를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1경첩부(11)의 전방상부에 제2경첩부(12)의 전방하부면이 설치된 회동연결부(10)와; 상기 제1경첩부(11)의 상부에 후방이 연결되어 회동되고 제1봉제성형공(21)을 갖는 상부판(20)과; 상기 제1경첩부(11)의 하부면에 후방상부면이 설치되고 제2봉제성형공(31)을 갖는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하부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2경첩부(12)의 후방하부면에 후방상부면이 설치되고 제1,2봉제성형공(21,31)과 일치되는 제3봉제성형공(41)을 갖는 제2하부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2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된 제1부재(60a)와, 상기 제1부재(60a)의 상부면에 전방하부면이 연결설치된 지지대(70)와, 상기 지지대(70)의 후방하부면이 상기 제1경첩부(11)의 상부면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경첩부(12)의 전방의 하부면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되는 제2부재(6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경첩부(12)의 후방하부면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되는 제3부재(6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판 및 제1하부판과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하고 난 다음에 제1봉제성형공을 갖는 상부판과 제2봉제성형공을 갖는 제1하부판에 2차봉제물을 위치하여 결합되어 일치되는 제1,2,3봉제성형공에 미싱바늘로 2차봉제하여 2차봉제물을 봉제하고 1,2차봉제물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의 1차봉제물을 별로구비된 지그로 봉제한 다음에 또 다른 별도의 지그로 1차봉제물에 2차봉제물을 결합하여 봉제되는 불편함과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1차봉제물 및 1,2차봉제물의 결합봉제를 하나의 봉제용 지그로 이루도록하여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차봉제물의 1차봉제선과 2차봉제물의 2차봉제선의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1,2차봉제선을 구별하여 봉제하여 1차봉제물의 봉제 및 1,2차봉제물의 봉제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봉제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명에 따른 봉제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의 측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본 발명의 봉제방법에 따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명에 따른 봉제방법에 따른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것을 참고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차봉제물 1차봉제하는 단계(S100)]
본 발명에 따른 1차봉제물(A) 및 2차봉제물(A')은 복수개의 봉제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차봉제물(A,A')은 에어백의 제조봉제에 해당되나, 에어백이외 다른 봉제물에도 해당될 수 있다.
제1봉제성형공(21)을 갖는 상부판(20)과 제2봉제성형공(31)을 갖는 제1하부판(30)을, 제2경첩부(12)를 갖는 회동연결부(10)로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40)의 상부에서 1차회동시켜준다.
즉, 상기 제2하부판(40)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을 상부로 회동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하게 상기 제2하부판(40)과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이 서로 벌어졌을때, 상기 제2하부판(40)의 상부에 1차봉제물(A)을 안착시켜준다.
상기 1차봉제물(A)은 복수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을 상기 제2경첩부(12)로 2차회동결합시켜준다.
이러하게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에 상기 1차봉제물(A)이 위치하게 해주면, 상기 상부판(20)의 제1봉제성형공(21)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제2봉제성형공(31)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제3봉제성형공(41)이 서로 일치하게된다.
이러하게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의 내측둘레를 따라 미싱바늘(B)로 1차봉제물(A)을 1차 봉제하여 1차봉제선을 형성하여 준다.
한편,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은 봉제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차봉제물이 결합되도록 2차봉제하는 단계(S200)]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한후, 상기 제1하부판(30)상에서 상기 상부판(20)을 제1경첩부(11)를 갖는 회동연결부(10)로 3차회동시켜준다.
즉, 상기 제2하부판(40)상에 결합된 1차봉제물(A)과, 상기 1차봉제물(A)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제1하부판(30)상에서 상기 상부판(20)이 상부로 회동되어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판(20)의 상부에 2차봉제물(A')을 안착시켜준다.
상기 2차봉제물(A')은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20)의 상부에 상기 2차봉제물(A')상에 상기 제1하부판(30)을 상기 제1경첩부(11)로 4차회동결합시켜준다.
즉,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사이에는 2차봉제물(A')이 위치하고,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사이에는 1차봉제물(A)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판(20), 상기 제1하부판(30), 상기 제2하부판(40)이 회동결합되어지면,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이 일치된다.
이와 같이 일치되어진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의 내측둘레에 따라 미싱바늘(B)로 1,2차봉제물(A,A')을 봉제하여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2차봉제물(A')도 또한, 봉제결합되도록 2차봉제하여 2차봉제선을 형성하여 준다.
한편, 상기 제2봉제성형공(31)의 상부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구(50)와, 상기 결합구(5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봉제성형공(21)의 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공(51)으로 구성하여준다.
상기 결합구(50) 및 상기 결합공(51)이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은 상기 제2하부판(40)상에서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이 회동될시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1차봉제물(A)의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은 봉제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판(20), 제1하부판(30), 제2하부판(40)으로 3개로 구성하여 1,2차봉제물(A.A')을 1,2차봉제하도록 본 발명은 구성하나, 본 발명의 상기 상부판(20), 제1하부판(30), 제2하부판(40)이외에 또 다른 부가 구성을 추가하여 3개이상 다수개로 구성하여서, 봉제물을 1,2차이상으로 봉제물을 봉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봉제방법으로 인해 종래의 1차봉제물을 별도로 구비된 1차지그로 봉제한 다음에 또 다른 별도의 2차지그로 1차봉제물에 2차봉제물을 결합하여 봉제되는 불편함을 극복하고, 1,2차봉제물 봉제공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1차봉제물(A) 및 1,2차봉제물(A,A')의 결합봉제를 하나의 봉제용 지그로 이루도록하여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1차봉제물(A)의 1차봉제선과 상기 2차봉제물(A')의 2차봉제선의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1,2차봉제선을 구별하여 봉제하여 상기 1차봉제물(A)의 봉제 및 상기 1,2차봉제물(A,A')의 봉제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지그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 지그는 회동연결부(10)와, 상부판(20)과, 제1하부판(30)과, 제2하부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부(10)는 제1경첩부(11)를 상부에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회동연결부(1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1경첩부(11)의 전방상부에 제2경첩부(12)의 전방하부면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연결부(10)는 제1,2경첩부(11,1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20)은 상기 제1경첩부(11)의 상부에 후방이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20)에는 제1봉제성형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판(30)은 상기 제1경첩부(11)의 하부면에 후방상부면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판(30)에는 제2봉제성형공(3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2봉제성형공(21,31)은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이 서로 회동결합시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사이에 상기 2차봉제물(A')이 위치하여 회동결합되어 일치되는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의 내측둘레에 따라 미싱바늘(b)로 상기 2차봉제물(A')을 2차 봉제하여 2차봉제선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1차봉제되어진 1차봉제물(A)과 상기 2차봉제물(A')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하부판(40)은 상기 제1하부판(30)의 하부에서 회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하부판(40)의 후방상부면이 상기 제2경첩부(12)의 후방하부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하부판(40)에는 제3봉제성형공(4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20), 제1상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이 결합시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이 서로 일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20), 제1상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사이에 1차봉제된 1차봉제물(A)을 위치되게 회동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30)의 회동결합으로 일치된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의 내측둘레에 따라 미싱바늘(B)로 상기 1차봉제물(A)을 1차봉제하여 1차봉제선을 형성하여 준다.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은 봉제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봉제성형공(31)의 상부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구(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구(5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봉제성형공(21)의 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공(51)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구(50) 및 상기 결합공(51)이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은 상기 제2하부판(40)상에서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이 회동될시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1차봉제물(A)의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2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된 제1부재(60a)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60a)의 상부면에 전방하부면이 연결설치된 지지대(7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70)의 후방하부면이 상기 제1경첩부(11)의 상부면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판(20)에 제1부재(60a) 및 상기 지지대(70)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상부판(20)이 상기 제1경첩부(11)에서 원할하고 용이하게 회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경첩부(12)의 전방의 하부면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되는 제2부재(60b)로 구성된다.
상기 제2부재(60b)는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사이에 상기 1차봉제물(A)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상기 1차봉제물(A)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상부판(2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상부판(20)이 상기 제1하부판(30)상에서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경첩부(11)의 후방하부면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되는 제3부재(60c)로 구성된다.
상기 제3부재(60c)는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사이에 상기 2차봉제물(A')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상기 2차봉제물(A')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1하부판(30)의 상부에서 상기 제2하부판(40)이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판(20), 제1하부판(30), 제2하부판(40)으로 3개로 구성하여 1,2차봉제물(A.A')을 1,2차봉제하도록 본 발명은 구성하나, 본 발명의 상기 상부판(20), 제1하부판(30), 제2하부판(40)이외에 또 다른 부가 구성을 추가하여 3개이상 다수개로 구성하여 봉제물을 1,2차이상으로 봉제물을 봉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봉제용지그는 종래의 1차봉제물을 별도로 구비된 1차지그로 봉제한 다음에 또 다른 별도의 2차 지그로 1차봉제물에 2차봉제물을 결합하여 봉제되는 불편함과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1차봉제물(A) 및 1,2차봉제물(A,A')의 결합봉제를 하나의 봉제용 지그로 이루도록하여 1,2차봉제물의 봉제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원할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1차봉제물(A)의 1차봉제선과 상기 2차봉제물(A')의 2차봉제선의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1,2차봉제선을 구별하여 봉제하여 상기 1차봉제물(A)의 봉제 및 상기 1,2차봉제물(A,A')의 봉제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회동연결부 11: 제1경첩부
12: 제2경첩부 20: 상부판
21: 제1봉제성형공 30: 제1하부판
31: 제2봉제성형공 40: 제2하부판
41: 제3봉제성형공 50: 결합구
51: 결합공 60a: 제1부재
60b: 제2부재 60c: 제3부재
70: 지지대
S100: 1차봉제물 1차봉제하는단계
S200: 1,2차봉제물이 결합되도록 2차봉제하는단계

Claims (7)

  1. 제1봉제성형공(21)을 갖는 상부판(20)과 제2봉제성형공(31)을 갖는 제1하부판(30)을, 제2경첩부(12)를 갖는 회동연결부(10)로 제3봉제성형공을 갖는 제2하부판(40)의 상부에서 1차회동시키고, 상기 제2하부판(40)상에 1차봉제물(A)을 안착시키며, 상기 상부판(20) 및 상기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2하부판(40)을 상기 제2경첩부(12)로 2차회동결합시키고 난 다음에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41)의 내측둘레에 따라 미싱바늘(B)로 1차봉제물(A)을 1차로 봉제하는 1차봉제물 1차봉제하는 단계(S100)와;
    1차봉제물을 1차봉제한후, 상기 제1하부판(30)상에서 상기 상부판(20)을 제1경첩부(11)를 갖는 회동연결부(10)로 3차회동시키고, 상기 제1하부판(30)상에 2차봉제물(A')을 안착시키며, 상기 2차봉제물(A')상에 상기 상부판(20)을 상기 제1경첩부(11)로 4차회동결합되어 일치되는 상기 제1,2,3봉제성형공(21,31)의 내측둘레를 따라 미싱바늘(B)로 1,2봉제물(A,A')을 결합시키도록 2차봉제하는 1,2차봉제물이 결합되도록 2차봉제하는 단계(S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제성형공(31)의 상부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구(50)와, 상기 결합구(5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봉제성형공(21)의 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공(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3. 제1경첩부(11)를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1경첩부(11)의 전방상부에 제2경첩부(12)의 전방하부면이 설치된 회동연결부(10)와;
    상기 제1경첩부(11)의 상부에 후방이 연결되어 회동되고 제1봉제성형공(21)을 갖는 상부판(20)과;
    상기 제1경첩부(11)의 하부면에 후방상부면이 설치되고 제2봉제성형공(31)을 갖는 제1하부판(30)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하부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2경첩부(12)의 후방하부면에 후방상부면이 설치되고 제1,2봉제성형공(21,31)과 일치되는 제3봉제성형공(41)을 갖는 제2하부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제성형공(31)의 상부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구(50)와, 상기 결합구(50)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봉제성형공(21)의 둘레에 다수개로 형성된 결합공(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된 제1부재(60a)와, 상기 제1부재(60a)의 상부면에 전방하부면이 연결설치된 지지대(70)와, 상기 지지대(70)의 후방하부면이 상기 제1경첩부(11)의 상부면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첩부(12)의 전방의 하부면과, 상기 제1하부판(3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되는 제2부재(6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첩부(12)의 후방하부면과, 상기 제2하부판(40)의 후방상부면에 설치되는 제3부재(6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지그.
KR1020130055508A 2013-05-16 2013-05-16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KR10144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508A KR101447000B1 (ko) 2013-05-16 2013-05-16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508A KR101447000B1 (ko) 2013-05-16 2013-05-16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000B1 true KR101447000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508A KR101447000B1 (ko) 2013-05-16 2013-05-16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36B1 (ko) * 2016-09-08 2016-11-09 김남홍 에어백 재봉용 지그
CN107366096A (zh) * 2017-09-01 2017-11-21 际华三五三四运城工业物流园有限公司 扎布圈用带簧包边嘴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91U (ko) * 1988-11-22 1991-02-20
KR20090120968A (ko) * 2008-05-21 2009-11-25 이보일 비겹침 봉제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옷감
KR20110012615A (ko) * 2009-07-31 2011-02-09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
KR101078870B1 (ko) 2008-01-14 2011-11-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91U (ko) * 1988-11-22 1991-02-20
KR101078870B1 (ko) 2008-01-14 2011-11-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KR20090120968A (ko) * 2008-05-21 2009-11-25 이보일 비겹침 봉제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공되는 옷감
KR20110012615A (ko) * 2009-07-31 2011-02-09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36B1 (ko) * 2016-09-08 2016-11-09 김남홍 에어백 재봉용 지그
CN107366096A (zh) * 2017-09-01 2017-11-21 际华三五三四运城工业物流园有限公司 扎布圈用带簧包边嘴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536B1 (ko) 신발 구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101447000B1 (ko) 봉제용지그로 봉제물을 봉제하는 방법 및 봉제용 지그
JP6755604B2 (ja) 芯材入り衣類の製造方法および芯材入り衣類
US4073299A (en) Three-dimensional embroidered article and th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TW201922469A (zh) 製造系統、利用柔韌性材料來製造物品的方法及製造多種產品的方法
CN201915231U (zh) 衣服大领车缝模板
CN112176544B (zh) 一种无缝文胸缝制模具及其缝制方法
US4674131A (en) Dress insert
KR200177739Y1 (ko) 가방의 재봉구조
CN108517624B (zh) 一种西装勾袋盖模具及其缝纫方法
CN205934351U (zh) 一种绱隐形拉链缝纫模板
CN102605566A (zh) 缝制西装袋盖的专用服装模板
CN206836347U (zh) 一种绗缝款男夹克前片拼块的组合式缝制模板夹具
CN210596529U (zh) 用于缝制书包带的特种压脚
CN208980900U (zh) 袋盖嵌条拼接模具
CN209383932U (zh) 一种衬衫后片腰省的成型模具
JPH03161565A (ja) 刺しゅう方法
CN205839332U (zh) 西服门襟收缩模具
CN207552636U (zh) 一种鞋面装饰皮的双线缝纫模板
CN213866740U (zh) 一种缝纫机缝合模板及模板缝纫机
CN109554835A (zh) 一种衬衫领座与领面一体成型缝合模板
KR101909935B1 (ko) 청바지용 백포켓 및 청바지와의 부착 방법
CN106637719A (zh) 一种鞋类中底布快速缝制的模板及其使用方法
CN109468762A (zh) 一种衬衫后片腰省的成型模具及相关的成型方法
US5193470A (en) Cording and workpiece holder for automatic stitch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