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632A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632A
KR20090069632A KR1020070137357A KR20070137357A KR20090069632A KR 20090069632 A KR20090069632 A KR 20090069632A KR 1020070137357 A KR1020070137357 A KR 1020070137357A KR 20070137357 A KR20070137357 A KR 20070137357A KR 20090069632 A KR20090069632 A KR 20090069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ester
group
phosphoru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833B1 (ko
Inventor
박지용
백배현
김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7013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8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인계 난연제 및 정전 피닝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열에 안정할 뿐만 아니라 피닝(pinning)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난연성, 피닝성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TION}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난연성 필름 제조방법 및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난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전기절연성 및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원사, 필름 및 플라스틱 성형품 등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공업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기 기록 매체용 베이스 필름, 각종 포장용 소재 및 기타 산업용 용도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래픽용 소재 및 각종 후가공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압출시키고, 이어서 이축 연신함으로써 수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를 고온에서 압출시킨 후에, 냉각시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sheet)를 제조한 다음, 이를 상하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롤을 사용하여 시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상기 연신된 시트를 다시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고온에서 압출과정은 사출성형기에 칩(chip)형태의 고체 폴리에스테르를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 르 칩은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올 성분을 중합한 폴리에스테르를 냉각수에 토출하고, 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팰렛(pellet) 형상을 갖는 칩으로 제조한 후, 상기 칩을 다시 고상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는 난연성에 있어서 착화 후에는 급속히 연소하기 쉬운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화재예방 등의 관점에서 난연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단점인 난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중합시에 원료와 함께 반응형 난연제를 투입하여 난연성을 개선하거나, 성형시에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첨가형 난연제를 혼합하여 난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크게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할로겐 난연제와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지 아니하는 비할로겐 난연제, 대표적으로 인계난연제 등이 있다. 상기 할로겐 난연제는 주로 보조난연제로 금속화합물과 함께 사용된다. 상기 할로겐 난연제는 제품 물성 및 제조공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고, 상기 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 할로겐함유화합물과 금속화합물의 혼합물을 과량으로 첨가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유독가스도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으므로, 주로 착색이 적고, 내광성이 우수하며 연소시에 유해성 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인계난연제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인계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순수한 폴리에스테르에 비하여 중합반응성이 다소 저하되고, 융점(Melting Temperature)이 낮아지는 문제점과 함께, 용융비저항이 증가하여 필름 제조시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 서, 인계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용융비저항 및 착색정도를 낮출 수 있는 대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인계 난연제 및 정전피닝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스테르와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정전피닝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한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인계 난연제 및 정전피닝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와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정전피닝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한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인계 난연제 및 정전피닝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 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고유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난연성능이 개설될 뿐만 아니라 정전 피닝성을 향상시켜 인화합물의 영향으로 용융비저항이 높아 필름제조시 불량품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복실산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와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의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일 예로 용융 중축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한 통상적인 단독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는 일 예로,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5-나트륨술폰이소프탈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일 수 있다.
상기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인(P)원자를 기준으로 1,000 내지 40,000 ppm,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10,000 ppm일 수 있다. 즉,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의 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인(P)원자를 기준으로 1,000 ppm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고유의 기계적, 열적 특성 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인(P)원자를 기준으로 인원자 함량이 40,0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피닝제는 수지 조성물의 정전 피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첨가제로, 바람직하게는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NaOH 일 수 있다. 상기 정전피닝제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 내지 5,000 pp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0 ppm일 수 있다. 상기 정전피닝제의 함량은 정전 피닝 개선 효과 및 폴리에스테르 중합 시, 색상 변화 즉, 황변을 줄이기 위하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 p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차 가공시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차단하기 위하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전피닝제는 추가로 초산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산마그네슘은 피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스테르화 반응 시 촉매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안정제인 트리 메틸 포스페이트 및 연신성 향상제인 무기 입자로서의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열안정효과에 추가로 피닝성 향상 효과도 부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조난연제, 안료 또는 염료, 유리섬유등의 강화제, 충진제, 내열제, 충격보조제 및 색도 개선을 위한 형광증백제 및 게르마늄 옥사이드를 포함한 게르마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색상 개선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 예를 들어 종래 공지된 T 다이법으로 용융압출시켜 미연신 시트(sheet)를 수득하고, 수득한 미연식 시트를 기계방향으로 2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배로 연신시킨 다음, 기계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2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배 연신시켜 제조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디카복실산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와 상기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직접 에스테르 반응을 진행시켜 저분자 물질(저분자량 올리고머)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저분자 물질에 상기 화학식 1의 인계 난연제 및 NaOH를 포함하 는 정전피닝제를 첨가하고, 추가 첨가제를 첨가한 후에, 중축합반응을 수행하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압출시키고, 연신시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전피닝제, 바람직하게는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NaOH는 상기 화학식 1의 인계 난연제와 함께 첨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축합반응 수행 후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촉매 존재하에 중합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압축 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 수지를 용융 압출시키고, 이축연신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압출은 280 ℃ 이상의 고온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이축 연신은 상기 압출 과정을 수행한 후, 내부에서 냉각수가 순환되고 있는 캐스팅 드럼을 사용하여 상온으로 냉각시켜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시트(sheet)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시트를 상하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롤을 사용하여 시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2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배 연신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신된 시이트를 열풍으로 예열할 수 있는 텐더 속에서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2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배 연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난연성 필름 을 제조하는 경우,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NaO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인계 난연제를 이용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에 비하여 필름제조시 불량품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피닝성이 대폭 개선되어, 폴리에스테르 고유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황변을 차단하여 우수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와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정전피닝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필름은 폴리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상기 수지 매트릭스는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피닝제인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NaOH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인계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름은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기 정전피닝제 즉,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NaOH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인 함량을 기준으로 4,000 ppm 내지 10,000 ppm 이고, 상기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NaOH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ppm 내지 5,000 ppm, 바람직하게는 100 ppm 내지 3,000 pp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은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난연성 필름에는 NaO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피닝성을 개선할 수 있어, 기존의 난연성 필름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이 뛰어나 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황변을 차단하여 우수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여, 열에 약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단점을 개선하여 내열성을 부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전피닝제로를 첨가하여 종래의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단점인 피닝성을 대폭 개선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고유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황변을 차단하여 우수한 색상을 유지하며, 필름제조시 불량품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므로, 그 산업적 가치가 매우 크다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실시예 1의 제조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상기 테레프탈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45 중량부를 에스테르화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 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물을 반응기 외로 유출시키면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BHET(bis-β-hydroxyethyl terephthalate)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BHET에 인계 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 카르본산, NaOH, 초산마그네슘 및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조된 BHET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인계 난연제인 3-히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판 카르본산 4.6 중량%(인 함량 기준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0중량부 당 6,400ppm), 상기 NaOH 0.05중량, 상기 초산마그네슘 0.08 중량% 및 상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038 중량%을 첨가하고, 고온 및 고진공의 통상적인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반응조건하에서 삼산화안티몬의 존재 하에 중축합반응을 수행하여, 팰렛(Pellet)형상으로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산적인 T 다이법으로 용융압출시키고, 정전기인가 피닝법을 이용하여 캐스팅다이를 통해 미연신 시트(sheet)를 수득하고, 수득한 미연식 시트를 기계방향으로 3 배로 연신시킨 다음, 기계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3 배로 연신시켜 제조하는 방법으로 난연성 폴리에스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제조
상기 NaOH함량을 상기 BHET에 대하여 NaOH를 0.1 중량%로 조정한 것을 제외 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제조
상기 NaOH함량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NaOH를 0.35 중량%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제조
상기 NaOH와 인계난연제를 첨가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의 제조
상기 NaOH 를 첨가하지 않고, 트리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를 상기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의 제조
상기 NaOH를 첨가하지 않고, 트리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난연성; 한계산소지수( Limit Oxygen Index , LOI )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산소지수 측정기(Fire Testing Technology)에서 토치로 시료의 표면에 불꽃을 가하여 발화의 지속 및 확대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를 5초 간격으로 5회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불이 붙지 않거나, 자기 소화시에는 공기 중에 산소분율(Vo2)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시료를 측정기에 Setting한 후, 상기의 난연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료에 불이 붙어 발화가 지속되거나 확대되는 시점까지 공기 중 산소의 분율을 증가시키며, 동일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료에 불이 붙어 유지되거나 확대되는 시점에서의 전체 기체에 대한 산소의 분율을 확인하여 하기 수학식 1로 한계산소지수를 구하였다.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3
2) 용융비저항(Ω· cm )
시험관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장입시키고, 실리콘 오일욕에 침지시켜 완전히 용융시킨 다음, 질소 기체를 계속 통과시켜 분해를 방지하면서 기포를 제거하고, 용융된 수지에 백금 전극을 삽입하여 10분 동안 유지시킨 다음, 120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였다. 인가 직후의 전류값을 판독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비저항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4
상기 수학식에서, i는 전류값(A)이고, A는 전극의 단면적(cm2)이며, 전극사이의 거리의 단위는 cm이다.
3) 캐스팅 쉬트 표면 상태
미연신 시트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면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4) 수지 색상(b 값)
수지 색상은 제조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b치를 색차계(Nippon Denshoku사, Model No. SE-2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DEG 및 - COOH 함량
DEG 및 -COOH 함량 측정은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분석 시 사용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각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5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계난연제를 첨가하지 아니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LOI가 월등히 우수하여, 난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계난연제와 TEAH만을 포함한 비교예 3에 비하여 용융비저항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아니한 비교예 2와 거의 대등한 수준인 것이 확인되었고, 캐스팅 쉬트표면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피닝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NaOH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COOH 함량이 다소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NaOH를 포함하지 아니한 비교예에 비하여, 난연성이 현저하게 우수하고, 외관 및 피닝성이 개선되어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난연성이 뛰어나고 외관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폴리에스테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및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초산 마그네슘 및 트리메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인 함량을 기준으로 4,000 ppm 내지 10,000 ppm 이고,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 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ppm 내지 5,000 ppm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 및 게르마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제조방법은
    디카복실산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 상기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유도체, 하기 화학식 1의 인계 난연제 및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첨가하고 중축합반응을 수행하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압출시키고, 연신시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7. 폴리에스테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NaOH, KOH, Ca(OH)2 및 Ba(O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07093153158-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초산 마그네슘 및 트리메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 및 게르마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70137357A 2007-12-26 2007-12-26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26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57A KR101262833B1 (ko) 2007-12-26 2007-12-26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57A KR101262833B1 (ko) 2007-12-26 2007-12-26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32A true KR20090069632A (ko) 2009-07-01
KR101262833B1 KR101262833B1 (ko) 2013-05-09

Family

ID=4132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57A KR101262833B1 (ko) 2007-12-26 2007-12-26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03A1 (en) * 2011-09-30 2013-04-04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polyester film using the same
CN103842437A (zh) * 2011-09-30 2014-06-04 可隆工业株式会社 聚酯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聚酯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03A1 (en) * 2011-09-30 2013-04-04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polyester film using the same
CN103842437A (zh) * 2011-09-30 2014-06-04 可隆工业株式会社 聚酯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聚酯膜
US9213126B2 (en) 2011-09-30 2015-12-15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polyester fil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833B1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2007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415556B (zh) 耐水解性聚酯膜
JP5972406B2 (ja) 耐加水分解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862620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62833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0181687B1 (ko) 난연성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2360899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52602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26716A (ja) 一軸又は二軸配向され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S6345410B2 (ko)
KR100205201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저올리고머성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785067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90024901A (ko) 난연성이 우수한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딩 시트, 그의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성형제품
JPS5815515B2 (ja) ジユシソセイブツ
US3865780A (en) Flame resistant thermoplastic polyesters
KR19990065120A (ko) 난연성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S58210958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7118511A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KR980009315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2007177114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7115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78940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060098121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20070102156A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