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594A - 가역식 코일 압연기 - Google Patents

가역식 코일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594A
KR20090069594A KR1020070137306A KR20070137306A KR20090069594A KR 20090069594 A KR20090069594 A KR 20090069594A KR 1020070137306 A KR1020070137306 A KR 1020070137306A KR 20070137306 A KR20070137306 A KR 20070137306A KR 20090069594 A KR20090069594 A KR 2009006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uide plate
tiltable
rol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269B1 (ko
Inventor
성환진
이재윤
방원규
현 김
김일남
김인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2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64Un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의 통판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가역식 코일 압연기는 코일이 취입되고 코일의 상부로부터 스트립을 푸는 맨드랠, 두 개의 홈이 형성되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안내판, 두 개의 홈에 각각 경동식 안내판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안내판롤, 경동식 안내판과 이동축을 공유하고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 및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에 설치되어 두 개의 안내판롤들에 인근시 두 개의 안내판롤들 사이공간의 위쪽에 위치되어 두 개의 안내판롤들과 함께 곡율진 스트립의 선단부를 펴주는 스누브롤을 포함한다.
압연기, 코일, 스트립, 통판, 곡율, 선단부

Description

가역식 코일 압연기{Reversing Mill}
본 발명은 가역식 코일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코일로부터 제공된 스트립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연하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압연 공정은 압연 강괴 또는 강편과 같은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끼우고 롤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성형하는 소성가공으로서 단조, 압출, 인발 등의 가공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형상의 제품을 능률적으로 만들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방법이다
압연 공정 기술의 발달로 코일로부터 제공된 스트립을 정방향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연하는 가역식 압연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압연 공정의 사용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압연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일로부터 제공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효과적으로 통판시킬 수 있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역식 코일 압연기는 코일이 취입되고 상기 코일의 상부로부터 스트립을 푸는 맨드랠, 두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안내판, 두 개의 상기 홈에 각각 상기 경동식 안내판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안내판롤, 상기 경동식 안내판과 이동축을 공유하고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 및 상기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안내판롤들에 인근시 상기 두 개의 안내판롤들 사이공간의 위쪽에 위치되어 두 개의 안내판롤들과 함께 곡율진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를 펴주는 스누브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역식 코일 압연기는 경동식 안내판을 거친 상기 스트립의 상기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 상기 디플렉트롤의 상부에 인근하여 상기 디플렉트롤과 함께 상기 스트립을 이동시키는 핀치롤 및 상기 디플렉트롤 및 상기 핀치롤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스트립을 압연하는 한쌍의 압연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되는 상기 경동식 안내판 및 상기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의 상기 이동축은 상기 디플렉트롤의 중심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은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역식 코일 압연기는 코일이 취입되고 상기 코일의 하부로부터 스트립을 푸는 맨드랠, 한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안내판, 상기 홈에 상기 경동식 안내판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안내판롤, 상기 경동식 안내판과 이동축을 공유하고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 및 상기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에 설치되는 두 개의 스누브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스누브롤은 상기 안내판롤에 인근시 상기 안내판롤이 상기 두 개의 스누브롤들 사이공간의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판롤과 함께 곡률진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를 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트립을 통판시킬 때 스트립의 선단부가 상대적으로 곧게 펴져 압연기의 각종 유틸리티 설비에 간섭되지 않고 쉽게 통판시켜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코일 압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역식 코일 압연기(100)는 압연롤(10), 맨드랠(20), 핀치롤(30), 디플렉트롤(40), 경동식 안내판(50), 안내판롤(60),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 및 경동식 스누브롤(80)을 포함한다.
가역식 코일 압연기(100)는 코일(C)에서 풀려진 스트립(S)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역식 압연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가역식 압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코일(C)에서 풀려진 스트립(S)을 워크롤(10a)과 백업롤(10b)로 이루어지고 스트립(S)의 압연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압연롤(10)들까지 통판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스트립(S)의 통판 작업은 코일(C)을 감거나 풀기 위한 맨드랠(20)에 코일(C)을 취입한 후 맨드랠(20)을 회전시켜 코일(C)로부터 풀려진 스트립(S)의 선단부를 핀치롤(30)과 디플렉트롤(40)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서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역식 코일 압연기(100)는 상부 권취식(over winding type)으로서 맨드랠(20)에 취입된 코일(C)의 상부에서 스트립(S)이 풀리거나 감기게 된다.
핀치롤(30) 및 디플렉트롤(40)은 압연롤(10)과 맨드랠(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스트립(S)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핀치롤(30)은 디플렉트롤(40)에 대하여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선단부 통판 작업이 수행될 때에 핀치롤(30)은 디플렉트롤(4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치롤(30)과 디플렉트롤(40)의 사이에 스트립(S)의 선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소정 간격의 틈을 형성한다. 그리고 스트립(S)의 선단부가 핀치롤(30)과 디플렉트롤(40) 사이를 통과한 후에는 핀치롤(30)이 회전하면서 디플렉트롤(40) 쪽으로 하강하여 스트립(S)을 압연롤(10) 쪽으로 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플렉트롤(40) 및 맨드랠(20)의 사이에는 맨드랠(20)에 취입된 코일(C)로부터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스트립(S)을 안내하도록 스트립(S) 이동 경로의 하부에 경동식 안내판(50)이 형성된다.
경동식 안내판(50)에는 두 개의 홈이 형성되며 각 홈에는 맨드랠(20)과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안내판롤(60)이 경동식 안내판(50)의 하부에서부터 삽입된다. 경동식 안내판(50)과 홈에 삽입된 안내판롤(60) 사이의 틈은 미세하여 통판될 스트립(S)이 틈에 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에는 경동식 스누브롤(80)이 설치된다.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의 이동에 의해서 경동식 스누브롤(80)이 이동되게 되며 경동식 스누브롤(80)이 두 안내판롤(60)들에 인근하는 경우 경동식 스누브롤(80)은 두 안내판롤(60)들 사이공간의 위쪽에 위치된다.
경동식 안내판(50) 및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의 이동에 무관하게 경동 식 스누브롤(80)이 두 안내판롤(60)들에 인근시 경동식 스누브롤(80)이 두 안내판롤(60)들 사이공간의 위쪽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동식 안내판(50) 및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은 동일한 이동축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동식 안내판(50) 및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은 디플렉트롤(40)의 중심축을 동일한 이동축으로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을 경동식 스누브롤(80)이 설치되는 부재로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70)은 맨드랠(20)에 취입된 코일(C)로부터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스트립(S)을 이동 경로의 상부에서 스트립(S)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맨드랠(20)에 권취된 코일(C)에서 풀려진 스트립(S)의 선단부가 경동식 안내판(50)에 설치된 두 안내판롤(60)들을 지나면 스누브롤(80)을 하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동식 스누브롤(80)이 두 안내판롤(60)들에 인근하는 경우 경동식 스누브롤(80)은 두 안내판롤(60)들 사이공간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두 안내판롤(60)들 및 스누브롤(80)이 함께 곡율진 스트립(S)의 선단을 펴주는 3 밴더(bender)로서 역할을 한다.
이 때 스누브롤(80)이 두 안내판롤(60)들에 인근하는 정도는 코일(C)의 직경, 스트립(S)의 탄성 계수, 항복 강도, 두께 등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스누브롤(80)이 하강된 상태에서 스트립(S)을 전진시킬 때 스트립(S)의 선단부가 위로 들리면 스누브롤(80)을 다소 상승시키고 반대로 아래로 쳐지면 스누브롤(80) 을 다소 하강시켜서 스트립(S)의 전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권취된 코일을 풀게 되면 스트립이 곡율을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어 초기 통판시 스트립의 선단부가 코일의 곡율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전진하게 되며 스트립의 두께가 약 2mm만 넘어도 작업자의 힘으로는 펼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휘어진 스트립의 선단부는 이 후 압연롤까지 이송되게 되는데 디플렉트롤을 통과한 스트립의 선단부는 점차 초기 곡율로 복원되는 탄성력이 생겨 휘어져 디플렉트롤과 압연롤 사이에 설치되는 주위 보조 설비인 X선 장비, 압연유 분무 장치, 스퀴즈롤 등에 간섭되어 통판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코일 상태로 열처리를 거친 스트립의 통판시에는 이러한 현상이 심각해져 통판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코일이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존 구조용 금속 재료로 형성된 코일보다 초기 통판이 더욱 어려운데 이는 마그네슘이 비강도 및 강성이 크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하여도 치수 변화가 적으며 상온에서 소성 변형이 어렵다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안내판롤(60)들 및 스누브롤(80)이 함께 곡율진 스트립(S)의 선단을 펴주는 3 밴더(bender)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존 구조용 금속 재료뿐만 아니라 열처리된 코일 및 마그네슘 코일의 경우에도 초기 통판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100)가 상부 권취식(over winding type)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역식 코일 압연기 는 맨드랠에 취입된 코일의 하부에서 스트립이 풀리거나 감기게 되는 하부 권취식(under winding type)일 수 있다.
가역식 코일 압연기(100)가 상부 권취식인 경우 두 개의 안내판롤(60)들과 하나의 스누브롤(80)을 채용하였으나 가역식 코일 압연기가 하부 권취식인 경우 두 개의 스누브롤들과 하나의 안내판롤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권취식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하부 권취식의 경우 상부 권취식과 반대 방향으로 스트립의 선단부가 휘어지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역식 코일 압연기가 하부 권치식인 경우, 맨드랠에 취입된 코일의 하부로부터 스트립이 풀리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안내판에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며 하나의 홈에는 하나의 안내판롤이 경동식 안내판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된다. 경동식 안내판과 이동축을 공유하고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에는 두 개의 스누브롤이 설치되게 되는데 두 개의 스누브롤은 안내판롤에 인근시 안내판롤이 두 개의 스누브롤들 사이공간의 아래에 위치되어 안내판롤과 함께 곡률진 스트립의 선단부를 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역식 코일 압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Claims (5)

  1. 코일이 취입되고 상기 코일의 상부로부터 스트립을 푸는 맨드랠;
    두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안내판;
    두 개의 상기 홈에 각각 상기 경동식 안내판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안내판롤;
    상기 경동식 안내판과 이동축을 공유하고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 및
    상기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두 개의 안내판롤들에 인근시 상기 두 개의 안내판롤들 사이공간의 위쪽에 위치되어 두 개의 안내판롤들과 함께 곡율진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를 펴주는 스누브롤을 포함하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식 안내판을 거친 상기 스트립의 상기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디플렉트롤;
    상기 디플렉트롤의 상부에 인근하여 상기 디플렉트롤과 함께 상기 스트립을 이동시키는 핀치롤; 및
    상기 디플렉트롤 및 상기 핀치롤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스트립을 압연하는 한쌍의 압연롤을 더 포함하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공유되는 상기 경동식 안내판 및 상기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의 상기 이동축은 상기 디플렉트롤의 중심축인 가역식 코일 압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
  5. 코일이 취입되고 상기 코일의 하부로부터 스트립을 푸는 맨드랠;
    한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안내판;
    상기 홈에 상기 경동식 안내판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안내판롤;
    상기 경동식 안내판과 이동축을 공유하고 상기 맨드랠로부터 풀려진 상기 스트립의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안내하는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 및
    상기 경동식 스누브롤 지지판에 설치되는 두 개의 스누브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스누브롤은 상기 안내판롤에 인근시 상기 안내판롤이 상기 두 개의 스누브롤들 사이공간의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판롤과 함께 곡률진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를 펴주는 가역식 코일 압연기.
KR1020070137306A 2007-12-26 2007-12-26 가역식 코일 압연기 KR10093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06A KR100939269B1 (ko) 2007-12-26 2007-12-26 가역식 코일 압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06A KR100939269B1 (ko) 2007-12-26 2007-12-26 가역식 코일 압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594A true KR20090069594A (ko) 2009-07-01
KR100939269B1 KR100939269B1 (ko) 2010-01-29

Family

ID=4132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06A KR100939269B1 (ko) 2007-12-26 2007-12-26 가역식 코일 압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2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257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멘드렐에 권취되는 스트립의 벤딩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35694A1 (ko) * 2017-08-18 2019-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35B1 (ko) 2017-08-29 2019-01-28 주식회사 포스코 롤 커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257A (ko) *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멘드렐에 권취되는 스트립의 벤딩 형상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35694A1 (ko) * 2017-08-18 2019-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링 장치
CN111032241A (zh) * 2017-08-18 2020-04-17 Posco公司 卷取装置
CN111032241B (zh) * 2017-08-18 2022-03-22 Posco公司 卷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269B1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0286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прав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прав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US37775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tending and reducing thickness of a metallic band
CN211386316U (zh) 一种辊压成型机的喂料装置
US10022760B2 (en) Cut-to-length steel coil processing line with stretcher leveler and temper mill
CN105290110B (zh) 冷硬带钢复合矫直机
KR100939269B1 (ko) 가역식 코일 압연기
JP2013504431A (ja) ストリップ圧延設備用の案内装置
AU20023507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ed straightening and cooling of a wide metal strip, especially a steel strip or sheet metal, running out of a hot rolled strip rolling mill
JP2018532598A (ja) 曲げ方法
CN104525629A (zh) 一种热轧非标薄规格花纹板的平整方法
US3328990A (en) Coiler for strip-like material
EP3816307A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flat steel plates
JP5488080B2 (ja) 粗度転写効率に優れた調質圧延機および調質圧延方法
JP6451703B2 (ja) 調質圧延方法及び調質圧延装置
JP2021194688A (ja) 圧延板の搬送方法及びゼロピンチロール装置
JP6825599B2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65653A (ko) Sts 냉연코일의 선단 안내장치
Ona Cold roll forming for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proposition on forming of thin spring steel sheet pipe
JPH04294813A (ja) 通板中の極薄金属帯に発生する座屈波やしわ等の防止ロールとその使用方法
CN211889848U (zh) 一种改善热轧卷板形的连续平整机组
JP2859582B2 (ja) ストリップコイルの鼻曲げ装置およびストリップ処理ライン
CN111300073A (zh) 一种改善热轧卷板形的连续平整机组
JP4506149B2 (ja) 金属板の形状矯正方法
JP2009208100A (ja) 冷延鋼板の製造方法
CN2524863Y (zh) 热轧带肋钢筋盘卷开卷矫直机压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