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042A - 과속방지턱 장치 - Google Patents

과속방지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042A
KR20090069042A KR1020070136882A KR20070136882A KR20090069042A KR 20090069042 A KR20090069042 A KR 20090069042A KR 1020070136882 A KR1020070136882 A KR 1020070136882A KR 20070136882 A KR20070136882 A KR 20070136882A KR 20090069042 A KR20090069042 A KR 20090069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support frame
speed bump
vehic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676B1 (ko
Inventor
변문기
Original Assignee
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문기 filed Critical 변문기
Priority to KR102007013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6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과속방지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 등의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차량 정지선 위치의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계 작동하여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이 상방으로 돌출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과속방지턱 전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통과를 금지하도록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속방지턱, 횡단보도, 상판, 돌출작동

Description

과속방지턱 장치{OVERSPEED PREVENTING HUMP SYSTEM}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 보호구역 등의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차량 정지선 위치의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계 작동하여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이 상방으로 돌출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과속방지턱 전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통과를 금지하도록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는 정해진 위치에 차량 과속을 방지할 목적으로 많은 수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고 있다.
특히 도로상에서도 인적이 많은 주택가 도로나 아파트 단지 내 도로,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과 같이 주행 차속을 반드시 규정 차속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 도로, 국도나 농촌의 마을 앞 도로와 같이 별도의 인도를 두지 않은 도로, 기타 횡단보도 앞 차량 정지선 위치 등 차량의 일단 정지가 필요한 도로 위치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과속방지턱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의 표면을 소정 높이로 돌출시켜 차량이 속도를 줄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도로의 소정 폭 구간의 표면을 상방으로 돌출시켜 시공하며, 최근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조립식 구조의 과속방지턱이 개발되어 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속방지턱은 주행 차량의 과속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로상에 일종의 장애물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보행자 보호도 중요하지만 운전자 안전 및 차체 보호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과속방지턱은 과속방지 효과는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차량 운전자가 운전 중에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예컨대, 주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눈에 쉽게 띄는 색으로 페인트 도색을 하거나, 야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표면에 반사지를 부착하기도 하며, 조립식 구조인 경우에는 과속방지턱 자체를 차량 조명을 반사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반사체로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과속방지턱의 돌출 높이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데, 돌출된 높이가 너무 낮을 경우 차량이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과속방지 효과가 적게 나타날 수 있으며, 돌출된 높이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차체 손상이나 탑승자 안전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실제로는 운전자로 하여금 차속을 낮추고 규정된 차속을 지키도록 주의를 끄는 수준으로 과속방지턱의 높이를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에서는 반드시 일단 정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과속 방지턱으로 인해 운전자가 차속을 줄이지 않고 그냥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이 청색을 표시한 경우에는 반드시 차량을 정지선 위치에 정지시켜야 하고, 또한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을 표시한 후에만 차량이 통과할 수 있음에도 이를 지키지 않는 운전자가 많아 사고 발생이 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과속방지턱의 본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신호등이 지시하는 바에 따라 차량의 통행을 정확히 제어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차량 과속방지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차량 정지선 위치의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로 바닥면에 매설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위에 사각 구조로 배치되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과 함께 과속방지턱을 형성하도록 지지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서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면서 차량 통과가 금지될 수 있도록 상방 돌출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과; 신호등과 연계하여 차량 정지신호시에 상기 상판을 상방 돌출작동시키고 반대로 차량 주행신호시에는 하강시켜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틀과 상판은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에서 차량 과속방지를 위하여 주변 도로 바닥면에서 돌출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은 후단부가 상기 지지틀과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방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상판과; 상기 제1상판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상판과 제2상판의 힌지결합부가 상승하면서 돌출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틀과 상기 제2상판의 전단부 사이에는 돌출작동시에 제2상판의 전단부가 지지틀 측면부 내측면을 따르도록 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2상판의 전단부 양 측면에 가이드 핀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지지틀 측면부 내측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2상판의 전단부에 연결된 와이어와; 회전축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감겨지는 권취롤러가 설치되고 구동시에 회전축 및 권취롤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를 감아주어 상기 제2상판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전동모터와; 상기 제1상판과 제2상판의 하측으로 양측 두 상판 사이에 전후로 길게 설치되고 와이어가 권취롤러로부터 풀리게 되면 제1상판과 제2상판을 탄성에 의해 서로 당겨주어 상방 돌출작동시키는 스프링과; 신호등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모터가 바닥판 전단부 측단에 형성된 모터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안내롤러에 의해 측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권취롤러에 감겨지며, 상기 안내롤러와 권취롤러가 지지틀 전면부의 내부공간 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상판 및 제2상판의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에서 바닥판에 형성된 스프링 홈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기는 신호등 제어기로부터 차량 정지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와이어를 풀어주도록 전동모터를 정회전시키고, 신호등 제어기로부터 차량 주행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와이어를 감아주도록 전동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과속방지턱 장치에 의하면, 어린이 보호구역 등의 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차량 정지선 위치의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신호등과 연계 작동하여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이 상방으로 돌출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과속방지턱 전에서 정확히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등의 차량 정지신호상태에서는 차량의 통과를 확실히 금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과속방지턱의 본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신호등이 지시하는 바에 따라 차량의 통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바, 교통사고의 발생을 확실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장치가 설치된 도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과속방지턱 장치에서 상판이 돌출작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과속방지턱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6 ~ 도 8은 도 3의 과속방지턱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은 상판의 작동 전 상태를, 도 7은 상판이 돌출작동 중인 상태를, 도 8은 상판의 돌출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턱 장치에서 신호등 제어기와 모터 제어기, 전동모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장치(100)는 어린이 보호구역 등의 신호등(1)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차량 정지선 위치의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신호등과 연계 작동하여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121,122)이 상방으로 돌출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신호등의 차량 정지신호 상태, 즉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1)이 청색신호 상태가 되고 차량 신호등(미도시됨)이 적색신호 상태가 되면, 상기 상판(121,122)이 상방으로 돌출작동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과속방지턱 전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통과를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장치(100)는 도로 바닥면에 매설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 위에 사각 구조로 배치되는 지지틀(112)과, 상기 지지틀(112)과 함께 과속방지턱을 형성하도록 지지틀(112)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110)의 상측에서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면서 돌출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121,122)과, 신호등(1)과 연계하여 차량 정지신호시에 상기 상판(121,122)을 돌출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10)은 도로 바닥면에 매설되는 장치 바닥 구성부로서, 직사각형 판재로 제작되어 설치되며, 그 가장자리부 상면에 사각 구조의 지지틀(112)이 볼트(113)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틀(112)은 주변 도로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소정 높이의 상판(121,122)이 사각 구조의 지지틀(112) 내측으로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면서도 차량 정지신호시에만 상방 돌출작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신호등(1)의 차량 주행신호상태에서는 상기 지지틀(112)과 상판(121,122)이 상판의 돌출작동 전 상태에서 차량 통과는 가능하나 과속을 방지할 수 있는 과속방지턱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가 지지틀(112)과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방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상판(121)과, 상기 제1상판(121)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상판(12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틀(112)과 상판(121,122)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작동 전 상태에서 주변 도로 바닥면에 비해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작동 전 상태에서는 차량이 차속을 줄여 통과할 수 있는 통상의 과속방지턱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판의 작동 전 상태에서 주변 도로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틀(112)과 상판(121,122)의 높이는 약간의 감속만으로도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적정의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상판(121,122)은 강화플라스틱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EP)과 같은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1,122)과 지지틀(112)은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페인트로 도색을 하거나, 야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표면에 반사지를 부착할 수 있으며, 상판 자체를 차량 조명을 반사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반사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상판(122)의 전단부와 지지틀(112) 사이에는 제2상판(122)의 전단부가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을 따르도록 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안내수단은 제2상판(122)의 전단부를 지지틀(112)과 결합하는 역할을 하면서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을 따르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수단은 제2상판(122)의 전단부 양 측면에 가이드 핀(123)을 돌출 형성하고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 핀(123)이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는 가이드 홈(114)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4)은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을 따라 일정 구간 길게 형성된 홈으로서, 제2상판(122)의 가이드 핀(123)이 지지틀(112)의 가이드 홈(114)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판의 돌출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122)의 전단부에는 와이어(135)가 연결되는데, 이 와이어(135)는 상판 구동을 위한 동력원이 되는 전동모터(131)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모터(131)는 상판 전방으로, 바람직하게는 바닥판(110) 전단부의 측단에 형성된 모터실(111a)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동모터(131)와 와이어(135)는 상판(121,122)을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동모터(131)의 회전축(132)에는 권취롤러(133)가 장착되고, 제2상판(122)의 전단부로부터 와이어(135)가 바닥판(110) 전단부 또는 지지틀(112)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내롤러(134)에 의해 안내되어서 전동모터(131)의 권취롤러(133)에 감겨져 설치되는데, 이로써 와이어(135)의 일단은 제2상판(122)의 전단부에, 그 타단은 권취롤러(133)에 감겨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131)의 권취롤러(133)와 안내롤러(134)는 지지틀(112) 전면부의 내부공간(112a)에 내장되어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는데, 지지틀(112) 전면부의 내부공간(112a)은 권취롤러(133)와 안내롤러(134)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공간이면서 제2상판(122)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결된 와이어(135)가 측방의 전동모터(131)로 안내 및 이동되는 공간이 된다.
즉, 지지틀(112) 전면부의 내부공간(112a)에서 권취롤러(133)와 안내롤러(134)에 의해 제2상판(122)의 전단부로부터 연결된 와이어(135)가 이동하도록 되 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전동모터(131)와 와이어(135), 안내롤러(134)는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양 측단으로 설치된 두 개의 전동모터(131)와, 제2상판(122)의 전단부에서 각 전동모터(131)의 권취롤러(133) 사이에 연결된 두 개의 와이어(135), 각 와이어(135)를 안내하기 위한 두 개의 안내롤러(134)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전동모터(131)가 구동하여 회전축(132)이 회전하게 되면, 권취롤러(133)가 회전하면서 와이어(135)를 감아주게 되고, 와이어(135)가 전방 이동 후 안내롤러(134)에 의해 측방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제2상판(122)을 앞에서 당겨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하면에는 양측의 상판(121,122)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스프링(124)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124)의 탄성에 의해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이 탄력적으로 돌출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은 와이어(135)가 전동모터(131)의 권취롤러(133)에 감겨진 상태로 있게 되면서 와이어(135)가 전방에서 당겨주는 힘에 의해 도 2, 도 3 및 도 6과 같은 돌출작동 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전동모터(131)가 정회전하여 권취롤러(133)에 감겨진 와이어(135)를 풀어주게 되면, 인장된 상태에서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124)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1상판(121)은 지지틀(112)과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방 회 동을 하고, 이때 가이드 핀(123)과 가이드 홈(114)에 의해 제2상판(122)의 전단부가 지지틀(112) 측면부를 따라 후방으로 안내되면서 도 4와 도 7, 도 8에서와 같이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돌출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돌출작동시에는 제2상판(122)의 전단부가 지지틀(112) 측면부를 따라 후방으로 안내되면서 제2상판(122) 역시 전단부의 가이드 핀(123)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힌지결합부가 위로 올라가면서 돌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동모터(131)가 역회전하여 권취롤러(133)가 와이어(135)를 감아주게 되면, 안내롤러(134)를 경유해 제2상판(122)의 전단부에 연결된 와이어(135)가 이동하여 제2상판(122)을 전방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에 스프링(124)의 인장과 동시에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이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로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판 하강작동시에 제2상판(122)의 가이드 핀(123)은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의 가이드 홈(11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124)은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두 개의 스프링(124)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돌출작동된 상태의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최대 돌출높이는 차량 바퀴의 반지름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장치(10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 호등과 연계하여 작동하며, 이를 위해 도로상 소정 위치에 상기 전동모터(131)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101)가 설치되고, 모터 제어기(101)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등 제어기(2)가 출력하는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때 차량 신호등(1)이 적색신호 상태로 보행자 신호등(1)이 청색신호 상태로 전환될 때 신호등 제어기(2)는 차량 정지신호를 모터 제어기(101)에 인가하고, 차량 신호등이 청색신호 상태로 보행자 신호등(1)이 적색신호 상태로 전환될 때 신호등 제어기(2)는 차량 주행신호를 모터 제어기(101)에 인가한다.
여기서 모터 제어기(101)가 차량 정지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전동모터(131)를 정회전시켜 와이어(135)가 권취롤러(133)로부터 풀리도록 하고, 이에 스프링(124)의 탄성에 의해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이 서로 당겨지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돌출작동하게 된다.
반면, 모터 제어기(101)가 차량 주행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전동모터(131)를 역회전시켜 와이어(135)가 권취롤러(133)에 감겨지도록 하고, 이에 와이어(135)가 제2상판(122)을 당겨줌과 동시에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은 스프링(124)을 다시 인장시키면서 지지틀(112) 내측으로 하강하여 안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은 주변 도로 바닥면에 비해 소정 높이로 돌출된 통상의 과속방지턱 역할을 하면서 차량을 통과시키는 도로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21a와 122a는 스프링(124)의 양단이 고정되는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스프링 고정단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111b는 제1상 판(121)과 제2상판(122)이 하강한 상태에서 스프링(124)으로 인해 상판이 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 바닥판(110)에 홈을 파서 스프링(124)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만든 스프링 홈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125는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축을, 도면부호 121b는 지지틀(112)의 힌지홀(112b)에 결합되는 제1상판(121)의 힌지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장치(100)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되어 전동모터(131) 및 이 전동모터(131)로 작동하는 와이어(135),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 사이의 스프링(124)에 의해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이 접히거나 펴지면서 상방 돌출작동 또는 하강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신호등(1)의 차량 주행신호상태에서 본래의 목적인 과속방지턱 역할을 하면서 신호등(1)의 차량 정지신호상태에서는 상판(121,122)이 상방 돌출작동하면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과속방지턱 전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통과를 금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장치가 설치된 도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과속방지턱 장치에서 상판이 돌출작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과속방지턱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 ~ 도 8은 도 3의 과속방지턱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은 상판의 작동 전 상태를, 도 7은 상판이 돌출작동 중인 상태를, 도 8은 상판의 돌출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턱 장치에서 신호등 제어기와 모터 제어기, 전동모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호등 2 : 신호등 제어기
100 : 과속방지턱 장치 101 : 모터 제어기
110 : 바닥판 112 : 지지틀
114 : 가이드 홈 121 : 제1상판
122 : 제2상판 123 : 가이드 핀
124 : 스프링 131 : 전동모터
133 : 권취롤러 134 : 안내롤러
135 : 와이어

Claims (8)

  1. 신호등(1)이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차량 정지선 위치의 도로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로 바닥면에 매설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 위에 사각 구조로 배치되는 지지틀(112)과;
    상기 지지틀(112)과 함께 과속방지턱을 형성하도록 지지틀(112)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110)의 상측에서 과속방지턱의 상면을 이루면서 차량 통과가 금지될 수 있도록 상방 돌출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과;
    신호등(1)과 연계하여 차량 정지신호시에 상기 상판을 상방 돌출작동시키고 반대로 차량 주행신호시에는 하강시켜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틀(112)과 상판은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에서 차량 과속방지를 위하여 주변 도로 바닥면에서 돌출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후단부가 상기 지지틀(112)과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방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상판(121)과;
    상기 제1상판(121)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상판(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힌지결합부가 상승하면서 돌출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틀(112)과 상기 제2상판(122)의 전단부 사이에는 돌출작동시에 제2상판(122)의 전단부가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을 따르도록 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2상판(122)의 전단부 양 측면에 가이드 핀(123)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지지틀(112) 측면부 내측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 핀(123)이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는 가이드 홈(114)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2상판(122)의 전단부에 연결된 와이어(135)와;
    회전축(132)에 상기 와이어(135)의 타단이 감겨지는 권취롤러(133)가 설치되 고 구동시에 회전축(132) 및 권취롤러(133)가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135)를 감아주어 상기 제2상판(122)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전동모터(131)와;
    상기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의 하측으로 양측 두 상판(121,122) 사이에 전후로 길게 설치되고 와이어(135)가 권취롤러(133)로부터 풀리게 되면 제1상판(121)과 제2상판(122)을 탄성에 의해 서로 당겨주어 상방 돌출작동시키는 스프링(124)과;
    신호등 제어기(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31)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10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131)가 바닥판(110) 전단부 측단에 형성된 모터실(111a)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35)가 안내롤러(134)에 의해 측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전동모터(131)의 권취롤러(133)에 감겨지며, 상기 안내롤러(134)와 권취롤러(133)가 지지틀(112) 전면부의 내부공간(112a)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24)은 상기 제1상판(121) 및 제2상판(122)의 돌출작동 전 초기 위치에서 바닥판(110)에 형성된 스프링 홈(111b)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기(101)는 신호등 제어기(2)로부터 차량 정지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와이어(135)를 풀어주도록 전동모터(131)를 정회전시키고, 신호등 제어기(2)로부터 차량 주행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와이어(135)를 감아주도록 전동모터(131)를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장치.
KR1020070136882A 2007-12-24 2007-12-24 과속방지턱 장치 KR100945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82A KR100945676B1 (ko) 2007-12-24 2007-12-24 과속방지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82A KR100945676B1 (ko) 2007-12-24 2007-12-24 과속방지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42A true KR20090069042A (ko) 2009-06-29
KR100945676B1 KR100945676B1 (ko) 2010-03-08

Family

ID=4099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882A KR100945676B1 (ko) 2007-12-24 2007-12-24 과속방지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180B1 (ko) * 2015-10-27 2017-01-23 정웅선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KR102209138B1 (ko) * 2020-07-20 2021-01-27 김덕기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114Y1 (ko) * 1987-04-21 1990-09-29 김상봉 자동차의 서행유도장치
FR2705979B1 (fr) * 1993-06-04 1995-08-18 Innovatron Ind Sa Dispositif support d'élément de mobilier urbain escamotable à actionneur électrique.
KR100917102B1 (ko) * 2007-07-09 2009-09-15 공철규 자동식 과속방지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180B1 (ko) * 2015-10-27 2017-01-23 정웅선 차단벽 겸용 과속 방지턱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KR102209138B1 (ko) * 2020-07-20 2021-01-27 김덕기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676B1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9004B (zh) 干线公路与地方公路接入口交通疏导系统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US7467909B2 (en) Arres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345534B1 (ko)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US20200263372A1 (en) Device with electrical or pneumatic actuation of a folding mechanism for encouragement of reduction of vehicle speed
KR101223285B1 (ko) 원격조종 안전 삼각대
KR950000877B1 (ko) 전륜구동자동차의 자체동력원과 일반운전방식을 이용한 방향전환장치 장착 자동차
KR100945676B1 (ko) 과속방지턱 장치
KR20190061602A (ko) 차량 통제용 스마트 안내 시스템
KR200423551Y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CN101503917B (zh) 车辆泊车装置
KR20100127899A (ko) 보행자 안전용 차량통제장치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CN102444091A (zh) 一种交通自动管制方法
KR200435429Y1 (ko)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KR20120135659A (ko) 높이 확장형 경광등
KR101854155B1 (ko) 차단바 낙하방지용 주차차단기
KR102209138B1 (ko)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KR100700064B1 (ko) 보도를 갖는 도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0396001Y1 (ko) 교통안전 차단기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10077509A (ko)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101131933B1 (ko) 높이조절용 주차장 진출입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