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921A -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921A
KR20090068921A KR1020070136729A KR20070136729A KR20090068921A KR 20090068921 A KR20090068921 A KR 20090068921A KR 1020070136729 A KR1020070136729 A KR 1020070136729A KR 20070136729 A KR20070136729 A KR 20070136729A KR 20090068921 A KR20090068921 A KR 2009006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warn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권
박종호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3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8921A/ko
Publication of KR2009006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8Traffic signalling mi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서 재해 및 사고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 부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해 및 사고 다발 지역에 설치되는 재해 및 사고 감지를 위한 센서; 재해 및 사고 발생시에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상황 수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황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발생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재난 상황을 판단하고 경고 메세지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처리부; 및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경고 메세지 정보를 해당 위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출하는 경고 메시지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36729
재해, 재난, 사고, 신호등, 안내판

Description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transfer the information of disaster and acciden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서 재해 및 사고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 부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한 기상이변으로 발생하는 재해에 대한 예측이 갈수록 어려워지며 그 피해 또한 급증하고 있으며, 도로망의 발달로 지역간의 이동에 대한 시간 단축과 접근성은 향상되었으나 도로망의 침수와 화재나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의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 또한 급증하고 있다.
특히, 재해 및 사고의 경우 재해 및 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1차적 피해뿐 아니라 후속해서 발생 가능한 2차적 피해가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므로, 재해 및 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접근중인 사람들이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즉각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피해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재해 방 지 시스템이 요구된다.
최근 각종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의 발전에 따라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로망의 특정 지점에 전자 상황판을 설치하여 도로망의 소통상태와 공사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전자 상황판이 설치된 장소가 고속도로나 특정도로에 국한되어 있으어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로망에서 발생하는 교통 혼잡 상황의 경우에는 현장에 도착해서 다시 돌아가거나 혼잡 상황이 종료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터널 내의 화재, 지하차도의 침수, 도로상에서의 산사태 등과 같은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서는 운전자들이 상황판을 확인하지 못하고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현장에 도달하는 경우사고차량 또는 재해의 확산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후속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35025에서는 관광지의 다수 지역에 기상 관측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지역의 기상상태를 관측한 후 상기 기상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원 관리 센터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공원 관리 센터는 개인용 단말기, 인터넷 홈페이지, 및 전광판 등으로 상기 정보를 재전송하여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재해 및 사고 발생시에 발생 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지역 부근을 지나는 운전자들이 재해 및 사고 발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인 전광판이 고속도로나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위치하므로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파악과 능동적인 대처가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해 및 사고 발생시 재해 및 사고 발생 지역으로 이동중인 운전자가 쉽게 확인 가능한 수단을 통하여 재해 및 사고 발생에 따른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해 및 사고 전송 시스템은 재해 및 사고 다발 지역에 설치되는 재해 및 사고 감지를 위한 센서; 재해 및 사고 발생시에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상황 수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황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발생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재난 상황을 판단하고 경고 메세지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처리부; 및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경고 메세지 정보를 해당 위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출하는 경고 메시지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해 및 사고 전송 방법은 a) 센서에서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이 감지되는 단계; b)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발생 정보가 상황 수신부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상황 수신부에 전송된 상기 발생 정보가 분석 처리부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상기 발생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고 메세지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e)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발생정보를 연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상기 발생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따른 대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g)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와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가 경고 메시지 송출부로 전송되는 단계; 및 h) 상기 경고 메시지 송출부에서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해 및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재해 및 사고의 발생 위치 및 종류에 대한 정보가 인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므로 재해 및 사고 발생 지역으로 이동중인 운전자들이 용이하게 재해 및 사고 상황을 파악 후 신속한 대처를 통하여 후속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센서(20), 상황 수신부(30),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 분석 처리부(50), 및 경고 메시지 송출부(60)를 포함한다.
센서(20)는 재해 발생 예상 지역 및 사고 다발 지역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재해 및 사고 상황 발생 상황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20)는 침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침수센서, 수위가 지정된 수위 이상 상승하는 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화재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센서를 포함하며, 지하차도, 터널, 하천 주변의 도로, 산사태 위험지역, 및 교량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황 수신부(30)는 센서(20)에서 감지되는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발생 정보 및 재해 및 사고 상황을 신고를 통하여 확인하는 외부기관 서버(25)로부터 전송되는 재해 및 사고 정보에 대한 외부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부분이다.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등(70), 전광판(72), 안내판(7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대피 시설에 대한 지역별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처리부(50)는 상황 수신부(30)로부터 전송되는 발생 정보 및 외부 발생 정보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의 발생 위치와 종류를 판단한 후 경고 메세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발생 정보와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경고 메세지 송출부(60)는 분석 처리부(50)에서 생성되는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경고 메세지를 해당 위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한다.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센서(20)가 설치되어 있는 지하 차도, 터널, 하천 주변의 도로, 산사태 위험지역, 교량등에서 재해 및 사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재해 및 사고 상황이 감지된센서(20)에서 상기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발생 정보가 상황 수신부(30)로 전송되며, 외부 서버(25)로 부터 자체적으로 신고 받은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외부 발생 정보가 상황 수신부(30)로 전송된다.
상황 수신부(30)는 상기 발생 정보 및 상기 외부 발생 정보를 분석 처리부(50)로 전송한다.
분석 처리부(50)에서는 상황 수신부(30)에서 전송된 상기 발생 정보 및 상기 외부 발생 정보에 따라 경고 메세지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지역별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와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경고 메시지 송출부(60)로 전송한다.
경고 메세지 송출부(60)는 분석 처리부(50)에서 전송된 경고 메세지 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10)은 재해 및 사고 다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20)나 자체적으로 재해 및 사고 정보를 획득하는 외부 기관 서버(25)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 발생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황 수신부(30), 분석 처리부(50), 및 경고 메세지 송출부(60)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 발생 정보에 따른 경고 메세지 정보를 해당 위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출하여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지역으로 이동중인 다수의 운전자들이 상기 경고 메세지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여 후속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및 사고 메세지 전송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해 및 사고 메세지 전송 방법은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1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S100에서 센서(20)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 재해 및 사고가 발생하면 센서(20)는 상기 재해 및 사고에 대한 발생 상황을 감지한다.
S110에서 센서(20)가 감지한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발생 정보 가 상황 수신부(30)로 전송된다.
S120에서 상황 수신부(30)로 전송된 상기 발생 정보가 분석 처리부(50)로 전송된다.
S130에서 분석 처리부(50)로 전송된 상기 발생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경고 메세지가 생성된다.
S140에서 분석 처리부(50)로부터 상기 발생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 정보가 검색된다.
S150에서 분석 처리부(50)로부터 상기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신호등(70)의 위치 정보가 검색되면 S160으로 진행된다. 상기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등(70)의 위치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S155에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전광판(72) 및 알림판(73)에 대한 지역별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전광판(72) 및 알림판(73)의 위치 정보가 추출된다.
S160에서 분석 처리부(50)로부터 상기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대피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대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S170으로 진행된다. 대피가 필요한 경우 S165에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대피 시설에 대한 지역별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대피시설의 위치 정보가 추출된다.
S170에서 상기 경고 메세지와 상기 경고 메세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대피 시설의 위치 정보가 경고 메세지 송출부(60)로 전송된다.
S180에서 경고 메세지 송출부(60)로부터 상기 경고 메세지 및 대피 시설의 위치 정보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면 종료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신호등에서 경고 메세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대한 참고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형 신호등에서 경고 메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형 신호등(70a)을 통하여 경고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전구형 신호등(70a)의 동작 회로를 변경하여 3개의 등이 동시에 점멸하도록 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 발생을 알리며, 별도로 구비되는 경고 알림판(75)을 통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 및 대피장소에 대해 설명하는 문자가 한 글자씩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데, 경고 알림판(75)은 LED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형 신호등(70b)을 통하여 경고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LED 형 신호등(70b)의 동작 회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글자와 기호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측 등에는 U턴 표시와 같은 차량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중앙 등에는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1개의 문자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문자가 점멸하게 되면 다음 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을 설명하고, 우측 등에는 상황 대처에 관련된 기호나 대피 장소에 대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재해 및 사고 발생 관련 메세지를 최소한의 문자와 기호를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전구형 신호등(70a) 및 LED 형 신호등(70b)은 재해 및 사고 발생 관련 경고메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부(미도시)가 결합 되어 재해 및 사고로 인하여 전구형 신호등(70a)과 LED형 신호등(70b)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지역에서 재해 및 사고가 발생되었을 시에 발생 정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신호등, 알림판, 및 전광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신속한 확인이 요구되는 재난 관리 시스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구형 신호등에서 경고 메세지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대한 참고도,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형 신호등에서 경고 메세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20) : 센서
(25) : 외부 서버 (30) : 상황 수신부
(40) :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50) : 분석 처리부
(60) : 경고 메세지 송출부 (70) : 신호등
(70a) : 전구형 신호등 (70b) : LED형 신호등
(72) : 전광판 (73) : 알림판
(75) : 경고 알림판

Claims (11)

  1. 재해 및 사고 다발 지역에 설치되는 재해 및 사고 감지를 위한 센서;
    재해 및 사고 발생시에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상황 수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황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발생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역별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재난 상황을 판단하고 경고 메세지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처리부; 및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경고 메세지 정보를 해당 위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출하는 경고 메시지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침수 센서, 수위 센서, 및 화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을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수신부는,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외부 발생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대피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등, 전광판,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경고 알림판을 더 포함하며,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LED(Light Emitted Diode)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를 상기 각 LED를 이용하여 기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8. a) 센서에서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이 감지되는 단계;
    b)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발생 정보가 상황 수신부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상황 수신부에 전송된 상기 발생 정보가 분석 처리부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상기 발생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고 메세지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e)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발생정보를 연계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분석 처리부에서 상기 발생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따른 대피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g)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와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가 경고 메시지 송출부로 전송되는 단계; 및
    h) 상기 경고 메시지 송출부에서 상기 경고 메세지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 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발생 정보는,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발생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신호등, 전광판, 안내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에 이어,
    e1) 상기 발생 정보에 연계되는 상기 신호등의 위치 정보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생 정보에 연계되는 상기 전광판 및 안내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대피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 이어,
    f1) 상기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대피가 필요한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대피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f2) 상기 대피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경고 메세지 송출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방법.
KR1020070136729A 2007-12-24 2007-12-24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8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29A KR20090068921A (ko) 2007-12-24 2007-12-24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29A KR20090068921A (ko) 2007-12-24 2007-12-24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921A true KR20090068921A (ko) 2009-06-29

Family

ID=4099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729A KR20090068921A (ko) 2007-12-24 2007-12-24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892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71B1 (ko) * 2010-11-16 2012-05-17 윤성호 종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8025B1 (ko) * 2011-11-23 2013-07-18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재난 알림 전광판
CN109377725A (zh) * 2018-12-06 2019-02-22 合肥海诺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道路内涝应急响应与调度系统
KR101995796B1 (ko) 2018-03-20 2019-07-03 나종열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한 통합 사고 관리 방법
CN111791997A (zh) * 2020-07-15 2020-10-20 广东海洋大学 一种面向船舶的智能海上船舶遇险预警系统
KR20220090932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KR20220090943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71B1 (ko) * 2010-11-16 2012-05-17 윤성호 종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8025B1 (ko) * 2011-11-23 2013-07-18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재난 알림 전광판
KR101995796B1 (ko) 2018-03-20 2019-07-03 나종열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한 통합 사고 관리 방법
CN109377725A (zh) * 2018-12-06 2019-02-22 合肥海诺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道路内涝应急响应与调度系统
CN111791997A (zh) * 2020-07-15 2020-10-20 广东海洋大学 一种面向船舶的智能海上船舶遇险预警系统
CN111791997B (zh) * 2020-07-15 2024-05-03 广东海洋大学 一种面向船舶的智能海上船舶遇险预警系统
KR20220090932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KR20220090943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아보네 스마트 이동형 가로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8921A (ko)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212160931U (zh) 一种用于车路协同的etc-x系统
Chowdhury Priority based and secured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vehicle using IoT
JP4942567B2 (ja) 危険度通知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危険度通知方法
CN103646539A (zh) 警报和报警系统
KR102138493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US20170316685A1 (en) Vehicle accid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679675B (zh) 一种用于无人车的燃气巡检方法和无人车
CN104916151A (zh) 基于互联网的交通报警系统和方法
KR20060056370A (ko) 이동 경로를 따른 물품들의 이동성을 판정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16183498A (ja) 土砂災害予測システム、及び土砂災害予測方法
JP2013196090A (ja) 豪雨警報システム
KR20160038596A (ko) 도로상 또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비하는 방법
KR20060083357A (ko) 긴급차선 확보용 긴급신호등장치
US101489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marked hazard areas and/or construction areas in the region of lanes
KR102204145B1 (ko) 램프 역주행 방지시스템
US10109192B2 (en) Wrong way indication beacon and related methods
EP2253937A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in a navigation system
Megalingam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vehicle speed monitoring and traffic routing system
KR102458852B1 (ko) 휴게소의 역주행 방지시스템
JP2016110378A (ja) 道路監視システム
JP2018165695A (ja) 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出力方法。
EP1496487A2 (en) Warning system for road and/or motorway accidents using signal interruption
CN101950487B (zh) 高速公路运行环境评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