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878A -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878A
KR20090068878A KR1020070136675A KR20070136675A KR20090068878A KR 20090068878 A KR20090068878 A KR 20090068878A KR 1020070136675 A KR1020070136675 A KR 1020070136675A KR 20070136675 A KR20070136675 A KR 20070136675A KR 20090068878 A KR20090068878 A KR 20090068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frame
installation
bri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617B1 (ko
Inventor
손재성
남기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3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6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Abstract

교각의 상면에 교량받침이 놓여진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받침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되 프레임의 상부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부측으로 상기 위치확인선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두 쌍의 지지봉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교각의 상부측에 교량받침을 올려놓은 후 교량받침의 미세 위치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교각의 상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단축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확률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교량받침, 탄성받침, 측량, 설치보조

Description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The installation assist device of the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교각의 상면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의 상면에 교량받침이 놓여진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교각(100)의 상부측으로 차량 및 사람이 통과하는 상판(200)이 설치되어지고, 이 교각(100)과 상판(200)의 사이에는 탄성변형력을 갖는 교량받침(300)을 설치하여 상판(200)이 교량받침(300)에 올려놓여지도록 하며 지진이나 차량의 통과에 의해 교량에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진동 흡수 효과가 극대화되면서 상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시에 설치 위치 및 방향의 정밀한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교각의 상면에 좌표 측량을 수행한 후, 임시로 교량의 상면에 설치위치를 표시한 후에 교량받침을 올려놓고, 최종적으로 고정 위치를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설치 방식은 표시된 설치위치의 상면에 교량받침이 올려놓여져 교량받침이 설치위치의 표식을 가리게 됨에 따라 교량받침의 정확하고 정밀한 설치가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확인이 어렵고 교량받침의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각의 상면에 교량받침이 놓여진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교각의 상면에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의 상면에 고정된 위치확인선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위치확인선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위치확인선의 수직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의 상부측에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를 고정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교량받침이 설치되는 홈의 크기에 관계 없이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의 상면에 교량받침이 놓여진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교량 받침의 상부측에 교차 배치된 위치확인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는; 교량받침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되 프레임의 상부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부측으로 상기 위치확인선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두 쌍의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선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하단이 결합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 두 쌍의 수평조절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위치확인선이 상기 지지봉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봉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과, 상기 나선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확인선의 끝단이 고정되는 상,하이동편(5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절곡 배치되어 상기 교량받침이 안착되는 교각의 상부 홈의 상단 모서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교차 배치된 위치확인선을 구비하여 교각의 상면에 교량받침이 놓여진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각의 상부측에 교량받침을 올려놓은 후 교량받침의 미세 위치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교각의 상단에 머무르는 시간이 단축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확률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가 프레임과 고정부 및 지지봉의 간단한 구조로 교각의 상면에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의 설치 및 철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부를 구비하여 교각의 상면에 고정된 위치확인선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위치확인선의 정밀한 위치 조절에 의해 교량받침의 설치 위치를 더욱 정확히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위치확인선의 수직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위치확인선이 기울어짐에 따른 부정확한 설치위치 확인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교량받침의 높이에 따라 위치확인선의 설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가 고정나사와 걸림편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교각의 상부측에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를 고정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교량받침이 설치되는 홈의 크기에 관계 없이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교량받침 설치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다 양한 규격과 형태의 교량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프레임을 교각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교량공사 과정에서 교각의 상단에 교량받침(1)을 설치할 때 교량받침(1)을 교각의 상면에 올려놓은 후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하면서 교량받침(1)을 정확한 위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교량받침(1)의 상부측에 교량받침(1)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지시하도록 교축방향과 교축 직각방향으로 교차 배치된 위치확인선(10)을 구비하고, 교량받침(1)을 설치할 때 교량받침(1)에 형성된 십자선(2)이 위치확인선(10)과 일치되도록 교량받침(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인 측량을 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량받침(1)의 설치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술한 위치확인선(10)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교량받침(1)의 설치 보조장치는 교량받침(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이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30)와,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면서 상술한 위치확인선(10)의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프 레임(20)의 상부측으로 십자형의 위치확인선(1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두 쌍의 지지봉(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교량받침(1)의 설치 보조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그 내측으로 교량받침(1)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교량받침(1)의 평면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는 프레임(20)이 교각의 상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못이나 앵커볼트 등에 의해 프레임(20)에 교각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통상적으로 교량받침(1)이 교각의 상면에 형성된 홈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고 있고, 프레임(20)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20)을 관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어 프레임(20)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되는 둘 이상의 고정나사(31)와, 상기 고정나사(31)에 결합되어 고정나사(31)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되고 프레임(20)의 하방으로 절곡 배치되어 상술한 교량받침(1)이 설치되는 교각의 상부 홈의 상단 모서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편(32)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봉(40)은 상술한 한 쌍의 위치확인선(10)이 십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프레임(2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20)의 네 측면에 하단이 각각 고정되면서 프레임(20)의 상부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지지봉(40)의 상부측에 상술한 위치확인선(10)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위치확인선(10)이 프레임(20)의 상부측에서 십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프레임(20)과 일체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교각의 상단에 교량받침(1)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올려놓은 후 그 외측에 교량받침(1)의 설치 보조장치를 고정하되, 위치확인선(10)이 측량을 통하여 교량받침(1)의 정확한 설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교량받침(1)을 이동시켜 교량받침(1)의 상면에 형성된 십자선(2)이 위치확인선(10)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한 위치 조절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교각의 상단에 프레임(20)을 고정할 때에는 교량받침(1)이 안착되는 홈의 상단 모서리에 상술한 고정부(30)의 걸림편(32)이 걸려지도록 한 후에, 고정나사(31)를 회전시켜 걸림편(32)이 홈의 외측방을 향해 지지되도록 조절하면 걸림편(32)이 홈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되게 되고, 이에 따라 못이나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프레임(20)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받침(1)의 설치가 끝난 후에 프레임(20)을 교각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교량받침(1)의 설치 보조장치에는 프레임(20)이 교각에 고정된 후에도 위치확인선(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부(50)를 구비하여 위치확인선(10)이 더욱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받침(1)의 설치 위치를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조절부(50)는 위치확인선(10)이 교량받침(1)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20)을 따라 지지봉(40)의 하단이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지지봉(40)의 체결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공으로 형성된 두 쌍 의 수평조절공(5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지지봉(40)을 수평조절공(51)을 따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프레임(20)을 교각에 고정시킨 후에 측량을 통해 위치확인선(10)의 수평방향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위치조절부(50)는 교량받침(1)의 높이 및 위치확인선(10)의 최초 기울기에 따라 위치확인선(10)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지지봉(40)의 외측면에 나선(52)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52)에 체결되어 지지봉(4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위치확인선(10)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상,하이동편(53)을 더 구비함으로써, 교량받침(1)의 높이에 따라 위치확인선(10)이 교량받침(1)과 가장 근접한 위치로 접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확인선(10)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됨에 따른 교량받침(1)의 부정확한 설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에 결합된 고정부(30)를 교각의 상단에 고정한 후에, 위치조절부(50)를 이용하여 위치확인선(10)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교량받침(1)의 정확한 설치 위치로 위치확인선(10)을 이동시킨 후에, 교량받침(1)의 위치를 이동시켜 교량받침(1)의 위치가 위치확인선(10)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교량받침(1)의 설치 과정에서 추가적인 측량을 하지 않고서도 육안으로 정확하고 정밀한 위치로의 유도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통상적인 교량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받침
10 : 위치확인선
20 : 프레임
30 : 고정부
31 : 고정나사 32 : 걸림편
40 : 지지봉
50 : 위치조절부
51 : 수평조절공 52 : 나선
53 : 상,하이동편

Claims (6)

  1. 교각의 상면에 교량받침(1)이 놓여진 상태에서 교량받침(1)의 설치 위치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교량받침(1)의 상부측에 교차 배치된 위치확인선(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받침(1)의 설치 보조장치는;
    교량받침(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이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30)와,
    하단이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되 프레임(20)의 상부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부측으로 상기 위치확인선(10)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두 쌍의 지지봉(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선(10)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는 위치조절부(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50)는,
    상기 지지봉(40)이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40)의 하단이 결합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 두 쌍의 수평조절공(51)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50)는,
    상기 위치확인선(10)이 상기 지지봉(4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봉(40)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52)과, 상기 나선(52)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확인선(10)의 끝단이 고정되는 상,하이동편(5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프레임(2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나사(31)와,
    상기 고정나사(31)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절곡 배치되어 상기 교량받침(1)이 안착되는 교각의 상부 홈의 상단 모서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편(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KR1020070136675A 2007-12-24 2007-12-24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KR10097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675A KR100975617B1 (ko) 2007-12-24 2007-12-24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675A KR100975617B1 (ko) 2007-12-24 2007-12-24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878A true KR20090068878A (ko) 2009-06-29
KR100975617B1 KR100975617B1 (ko) 2010-08-17

Family

ID=4099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675A KR100975617B1 (ko) 2007-12-24 2007-12-24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423A (zh) * 2020-06-17 2021-12-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梁支座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435B2 (ja) * 1992-06-29 2001-07-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支承材
KR19990011781U (ko) 1998-12-09 1999-03-25 성길제 높이조절식 철재거푸집
JP2003293315A (ja) 2002-03-29 2003-10-15 Bridgestone Corp 支承位置調整方法およびその調整治具
KR200330531Y1 (ko) 2003-07-11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교량의 교좌장치용 정밀 수평조절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423A (zh) * 2020-06-17 2021-12-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梁支座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617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4165B2 (ja) 溶接テーブルのための軌道システムの軌道、連結枠およびローラー脚
KR100975617B1 (ko) 교량받침의 설치 보조장치
CN209114889U (zh) 格构柱校正架
JP4945230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具
KR20120076927A (ko) 천공용 드릴 거치대
KR20160133151A (ko) 가변 앵커
JP2018040132A (ja) アンカー固定構造、およびアンカー固定方法
JP2008291438A (ja) アンカーフレーム
JP7080645B2 (ja) 柱部材及び柱脚構造
JP4313431B1 (ja) 箱抜用型枠支持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JP2021024651A (ja) 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の据付方法、および、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7341420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施工治具および基礎型枠構造物
JP2012141061A (ja) 自在固定装置
CN204940890U (zh) 预埋件固定装置
JP2000128457A (ja) 階段昇降機用レールの取付構造
JP576682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設置架台の施工方法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設置架台
CN217150340U (zh) 一种地脚螺栓预埋定位模具
JP6448328B2 (ja) 防護柵用横ビーム取付金具
JP2019105534A (ja) レーザー墨出し装置
JP6762749B2 (ja) 建物の部材支持構造
JP2009281766A (ja) 水中構造物位置の水上表示方法および計測方法
JP3236725U (ja) 保持具
CN216041784U (zh) 一种新型预埋件固定装置
CN212453710U (zh) 一种预埋锚栓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