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592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592A
KR20090066592A KR1020070134199A KR20070134199A KR20090066592A KR 20090066592 A KR20090066592 A KR 20090066592A KR 1020070134199 A KR1020070134199 A KR 1020070134199A KR 20070134199 A KR20070134199 A KR 20070134199A KR 20090066592 A KR20090066592 A KR 2009006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cover
air volum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592A/ko
Publication of KR2009006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표시부가 드러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전 상태(풍량)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 정지시에는 전면커버를 폐쇄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마련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공기조화기의 운전 여부 및 풍량에 따라 상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면커버, 표시부, 풍량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구조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마련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별도로 분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되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다시 설치방식에 따라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로 나뉜다.
통상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냉방 용량이 커서비교적 큰 거실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고,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에 걸어서 설치하며 비교적 냉방 용량이 작아 공부방 등 작은 방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도록 된 것이 보통인데, 이하에서 공기조화기라 함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가리켜 설명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가 실내기 본체(이하 '본체'라 한다)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다시 실내공간 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운전모드, 희망온도, 실내온도, 설정풍량, 켜짐예약 및 꺼짐예약에 따른 시간 등)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등이 본체 외부에 마련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표시부에 복수의 LED를 구비하고 현재의 운전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LED 표시소자를 발광시키는 제어를 수행하였다. 운전 상태 중에서 특히 풍량의 경우(풍량의 크기가 강풍, 약풍, 미풍의 세 가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전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강풍, 약풍, 미풍 모드의 운전 중에는 각각 강풍 LED, 약풍 LED, 미풍 LED를 점등시키는 방법으로 공기조화기의 풍량에 따른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흡입구, 토출구 및 표시부 등이 본체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풍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LED를 점등시키는 방법으로 풍량에 따른 표시 제어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LED)에 접근하지 않으면 풍량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표시부가 드러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전 상태(풍량)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 정지시에는 전면커버를 폐쇄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마련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공기조화기의 운전 여부 및 풍량에 따라 상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풍량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풍량 또는 부하에 맞춰 자동 조절되는 풍량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상기 표시부가 개방되도 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운전 정지시에는 상기 표시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량에 따라 상기 풍량 표시를 위한 표시 소자의 노출 정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설정풍량에 따라 커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실내팬 모터를 구동하여 공조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풍량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풍량의 변화가 있으면 변화된 풍량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방 정도를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풍량의 변화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부하에 따른 풍량 제어에 의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표시부가 드러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전 상태(풍량)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에는 전면커버를 폐쇄하여 본체의 전면부(흡입구 등) 및 표시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전면커버 개방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운전 정지시(전면커버 폐쇄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본체(10, 이하 '본체'라 한다)와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커버(20)를 포함하며, 본체(10) 내부에는 본체(10) 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한 후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실내팬 모터(도 2의 92) 및 실내팬(도 2의 94), 전면커버(20)를 본체(10)의 전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면커버 구동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커버(20)는 본체(10)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위쪽 방향으로(상향) 이동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운전모드, 희망온도, 실내온도, 설정풍량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40)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40)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량(강풍, 약풍, 미풍)에 대응하는 각각의 풍량 표시 LED(42a, 42b, 42c)로 구성된 풍량 표시 LED 모듈(42)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저면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0a)와, 토출구(30a)를 개폐함과 동시에 토출구(30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30)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커버(20)의 이동시 본체(10)와 전면커버(20)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실내공기는 본체(10)와 전면커버(20) 사이의 공간 및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열교환한 후 본체(10)의 저면에 마련된 토출구(30a)를 통해 본체(10)의 하측과 전방을 향하여 토출된다.
반면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가 아래쪽 방향으로(하향) 이동(원위치로 복귀)하여 본체(10)의 전면부(흡입구 등) 및 표시부(40)를 폐쇄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갖추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커버(20), 전원부(50), 입력부(60), 실내 열교환기 온도 감지부(70), 제어부(80), 실내팬 모터 구동부(90), 기어드 모터 구동부(100),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커버(20)는 표시부(40)를 개방하거나 흡입구(미도시) 및 표시부(40)를 폐쇄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원부(50)는 교류전원단(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실내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희망온도, 토출공기의 설정풍량(강풍, 약풍, 미 풍 등) 및 설정풍향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리모컨에 다수의 키를 포함한다.
실내 열교환기 온도 감지부(7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 열교환기의 배관온도 즉,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 정보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제어부(80)는 전원부(5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실내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된 운전모드 및 운전 시작/정지 신호에 따라 실내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여부 및 풍량(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풍량 또는 부하에 맞춰 자동 조절되는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20)의 개폐 및 개방 정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면커버(20)가 상향 이동시 열리는 것(개방)으로, 전면커버(20)가 하향 이동(원위치로 복귀)시 닫히는 것(폐쇄)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8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는 풍량에 대응하는 전면커버(20)의 개방정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풍량(강풍, 약풍, 미풍 등)에 따라 각각 전면커버(20)를 구동시키는 기어드 모터(102)의 회전수(RPM)나 회전 시간(초, s) 등이 저장된다.
실내팬 모터 구동부(90)는 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된 풍량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냉풍,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기 위해 제어부(8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팬 모터(92) 및 실내팬(94)을 구동시킨다.
기어드 모터 구동부(100)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어드 모터(10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전면커버(20)를 (본체(10)의 전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기어드 모터(102)를 이용하였으나, 이외에도 스테핑 모터 등 전면커버(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동력장치라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표시부(40)는 사용자가 입력부(60)를 통해 입력한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 희망온도, 실내온도, 설정풍량 등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본체(10)에 전원이 투입된다(105). 이후 제어부(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60)를 통해 운전 명령 신호(운전 시작 신호, 운전 모드 선택 신호, 설정풍량 선택 신호 등)를 입력받게 되면(110) 기어드 모터 구동부(10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전면커버(20)가 최대 열림 상태로 개방되도록 제어한다(115). 이 때,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20)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부(40)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된 풍량(설정풍량)을 확인하고, 기어드 모터 구동부(10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설정풍량에 따라 전면커버(20)의 개방정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풍량을 강풍, 약풍 미풍으로 선택함에 따라 그 풍량에 대응하는 풍량 표시 LED(42a, 42b, 42c)가 나타나도록 전면커버(2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80)는 사용자가 '강풍' 선택시에는 도 1a의 A선까지, '약풍' 선택시에는 도 1a의 B선까지, '미풍' 선택시에는 도 1a의 C선까지 전면커버(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80)는 실내팬 모터 구동부(9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실내팬 모터(92)를 구동시킴으로써(125) 실내기가 정상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130).
다음으로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부하에 따른 풍량 제어에 의한 풍량 변화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35).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설정풍량의 변화는 입력부(60)를 통해 설정풍량 선택 신호가 (재)입력되는지 여부로 판단하고, 부하에 따른 풍량 제어에 의한 풍량 변화는 실내 열교환기 온도 감지부(70)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판단하게 된다. 판단결과 풍량 변화가 없으면(단계 135에서의 '아니오') 제어부(80)는 단계 135로 돌아가 풍량 변화가 있는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반면 판단결과 풍량 변화가 있으면(단계 135에서의 '예') 제어부(80)는 기어드 모터 구동부(10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변화된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20)의 개방정도를 재조절한다(140).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풍량 또는 부하(실내 열교환기 배관온도)에 맞춰 자동 조절되는 풍량에 따라 전면커버(2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그 풍량에 대응하는 풍량 표시 LED(42a, 42b, 42c)가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풍량-강풍, 약풍, 미풍 등)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80)는 입력부(60)로부터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45). 판단결과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단계 145에서의 '아니오') 제어부(80)는 단계 135로 돌아가 풍량 변화가 있는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 한다.
반면 판단결과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145에서의 '예') 제어부(80)는 실내팬 모터 구동부(9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실내팬 모터(9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150).
이후 제어부(80)는 기어드 모터 구동부(10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전면커버(20)가 아래쪽 방향으로(하향) 이동(원위치로 복귀)하는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155), 전면커버(20)가 완전히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공조 운전을 종료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전면커버 개방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운전 정지시(전면커버 폐쇄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실내기) 본체 20 : 전면커버
30 : 블레이드 40 : 표시부
42 : 풍량 표시 LED 모듈 50 : 전원부
60 : 입력부 70 : 실내 열교환기 온도 감지부
80 : 제어부 90 : 실내팬 모터 구동부
92 : 실내팬 모터 94 : 실내팬
100 : 기어드 모터 구동부 102 : 기어드 모터

Claims (7)

  1. 본체에 마련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공기조화기의 운전 여부 및 풍량에 따라 상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풍량 또는 부하에 맞춰 자동 조절되는 풍량인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상기 표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운전 정지시에는 상기 표시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량에 따라 상기 풍량 표시를 위한 표시 소자의 노출 정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5. 설정풍량에 따라 커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실내팬 모터를 구동하여 공조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풍량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풍량의 변화가 있으면 변화된 풍량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개방 정도를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의 변화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부하에 따른 풍량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70134199A 2007-12-20 2007-12-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99A KR20090066592A (ko) 2007-12-20 2007-12-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99A KR20090066592A (ko) 2007-12-20 2007-12-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92A true KR20090066592A (ko) 2009-06-24

Family

ID=4099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199A KR20090066592A (ko) 2007-12-20 2007-12-20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5339A1 (ja) * 2019-03-22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気ファン及びルーバー
CN115406046A (zh) * 2022-08-26 2022-1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及系统和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5339A1 (ja) * 2019-03-22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気ファン及びルーバー
CN115406046A (zh) * 2022-08-26 2022-1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及系统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1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an and a compressor
US83643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H0755230A (ja) 空気調和器の吐出口開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2633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JP607256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7120730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4698726B2 (ja) 床置き形空気調和機
KR2010000925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9009152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659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550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493486B1 (ja) 空気調和機
JPH1073300A (ja) 空気調和機
KR10164519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83121A (ja) 空気調和機
JP2953457B2 (ja) 空気調和機
JPH05296548A (ja) 空気調和装置
KR20090042523A (ko) 공기조화기
KR200501166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7534A (ko) 공조장치 및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3416471B2 (ja) 空気調和機
KR200901163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0756483B1 (ko) 공기조화기의 베인제어방법
KR100484928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908646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