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201A -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 Google Patents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201A
KR20090066201A KR1020080089525A KR20080089525A KR20090066201A KR 20090066201 A KR20090066201 A KR 20090066201A KR 1020080089525 A KR1020080089525 A KR 1020080089525A KR 20080089525 A KR20080089525 A KR 20080089525A KR 20090066201 A KR20090066201 A KR 2009006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thread
bead
ornament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끼 가와이
후지 고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09006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Abstract

본 발명은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에 통과된 복수의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간단하게 제작하기 위한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를 제공한다.
받침대(2) 상에 수평인 상면을 갖는 긴 베이스(3)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를 제작하고, 또한 상기 긴 베이스(3)의 상면에 실을 걸기 위한 복수의 핀이 긴 베이스(3)의 긴 방향을 따라 2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고, 긴 베이스(3)의 상면 양 측모서리에는, 상기 측모서리 근방의 핀(4) 사이마다 비즈가 내측 삽입 가능한 오목부(5)를 각각 형성했다.
Figure P1020080089525
받침대, 긴 베이스,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오목부, 핀

Description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MANUFACTURING ASSIST EQUIPMENT FOR BEADS ORNAMENT}
본 발명은 비즈(beads) 장식물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비즈를 실에 통과시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즈 장식물은 수공예에 있어서 제작되는 경구가 많고, 목걸이나 팔찌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비즈 장식물의 제작을 보조하는 도구로서 비즈 통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비즈 장치를 이용하면, 복수의 비즈를 간단하게 염주처럼 엮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722755호 공보
그런데, 목걸이나 팔찌 등의 비즈 장식물은 염주처럼 엮은 비즈를 그대로 이용한 것이나, 염주처럼 엮은 비즈를 조합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들 비즈 장식물은 신축성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본 발명자는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된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고안했다. 이러한 비즈 장식물은,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고, 비즈(B) 사이에 존재하는 실(C)의 스티치(D)의 작용에 의해, 기존의 비즈 장식물에는 없는 편물 특유의 신축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비즈 장식물은 수작업으로의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비즈 장식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실을 소요 형상으로 엮는 작업을 행하면서, 수시로 실에 비즈를 통과시켜 가는 작업이 필요로 되나, 비즈 장식물의 실은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즈를 실에 통과시킬 때에 스티치가 흐트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실에 통과시킨 비즈가 움직여 스티치를 형성하는 작업의 방해로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재의 상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에 통과된 복수의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간단하게 제작하기 위한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된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이며, 수평인 상면을 갖는 전후로 기다란 긴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긴 베이스의 상면에는 실을 걸기 위한 복수의 핀이 긴 베이스의 긴 방향을 따라 2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또한 긴 베이스의 상면 양 측모서리에는, 상기 측모서리 근방의 핀 사이마다 비즈가 내측 삽입 가능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이다.
이러한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에서는, 긴 베이스의 상면에 있어서, 실을 핀에 걸면서 스티치를 형성하는 순서와, 상기 실에 비즈를 통과시켜 상기 긴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비즈를 내측 삽입시키는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긴 베이스를 따라 안쪽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스티치를 형성해 가고,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된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제작한다.
본 발명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에 따르면, 비즈 장식물의 제작 중에는 실의 스티치를 긴 베이스 상의 핀으로 보유 지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실이 가요성을 갖는 것이라도, 그 스티치를 흐트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엮어낼 수 있다.
또한, 실에 통과시킨 비즈를 긴 베이스의 오목부에 내측 삽입시키면, 당해 비즈가 스티치의 형성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오목부 내에 보유 지지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에 따르면, 제작 중에 실의 스티치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립된 비즈를 적정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실을 엮는 순서와, 비즈를 실에 통과시키는 순서를 간단하게 반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작 방법에 의해 얻어진 비즈 장식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의 스티치와 스티치 사이에 비즈가 조립된 것으로 된다. 이러한 비즈 장식물은 실의 스티치가 적절하게 변형됨으로써 편물 특유의 신축성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에 있어서, 긴 베이스의 전방측의 양측에 실을 임시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보유 지지 부재에 실 단부를 임시 보유 지지해 두면, 제작 중에 당해 실로부터 손을 떼어도 스티치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한쪽의 실로부터 손을 떼어 다른 쪽의 실에 비즈를 통과시키는 작업을 양손으로 행하는 등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유 지지 부재로서는, 실을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구성 전반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이나 자기력에 의해 실을 끼움 지지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긴 베이스의 안쪽의 단부의 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핀 사이에 실을 끼움 지지하는 끼움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제작 도중에 실이 핀으로부터 탈락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에 따르면, 비즈 장식물의 제작 중에, 실의 스티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립된 비즈를 적정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된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긴 베이스의 전방측의 양측에, 실을 임시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비즈 장식물의 제작을 더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긴 베이스의 안쪽의 단부의 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핀 사이에 실을 끼움 지지하는 끼움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작 중에 실이 핀으로부터 탈락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중에 실의 스티치를 더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는 받침대(2) 상에 전후로 기다란 긴 베이스(3)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받침대(2)는 두께 판 형상을 이루는 전후 방향으로 긴 부재이다. 긴 베이스(3)는 상기 받침대(2)의 상면에 전후에 걸쳐 배치된다. 받침대(2)의 상면의 전방측에는 실을 임시 보유 지지 가능한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6, 6)가 긴 베이스(3)의 양측에 배치된다.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성 수지나 목재, 금속 등의 일반적인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긴 베이스(3)는 전후 방향에 걸쳐 수평인 상면을 갖고 있다. 상기 상면에는 실을 걸기 위한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핀(4)이 24개 세워 설치된다. 이들 핀(4)은 긴 베이스(3)의 긴 방향을 따라 2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또한, 이 핀(4)의 개수나 간격 등은 제작하는 비즈 장식물에 맞추어 설정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긴 베이스(3)의 상면의 양 측모서리에는 절결 형상의 오목부(5)가 24군데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5)는 비즈를 내측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4반구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오목부(5)는 상기 오목부(5)와 상기 측모서리 근방의 핀(4)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반대측 모서리 근방의 핀(4)과 짧은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고, 핀(4)과 마찬가지로 긴 베이스(3)의 긴 방향을 따라 2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오목부(5)는 4반구 형상이나, 비즈를 내측 삽입할 수 있는 것이면 오목부(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목부(5)의 형성 위치는 제작하는 비즈 장식물에 맞추어 설정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6)는 각각 고무제의 소편(小片)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베이스(3)의 전방측 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받침대(2)의 상면의 전방측 단부에 장착된다. 각 보유 지지 부재(6)의 상부에는 절입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입부(11)에 삽입되는 실을 고무의 탄성력으로 사이에 끼워 보유 지지한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베이스(3)의 상면 안에는, 고무제 소편으로 이루어지는 끼움 지지 부재(7)가 배치된다. 이 끼움 지지 부재(7)는 안쪽의 단부의 핀(4)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핀(4)의 측면과 접하고 있고, 끼움 지지 부재(7)와 당해 핀(4) 사이에 삽입되는 실을, 핀(4)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또한 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끼움 지지한다.
이하에, 도6, 도7을 참조하여,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에 있어서는, 긴 베이스(3)의 상면 에 있어서, 실(C)을 핀(4)에 걸면서 상기 실(C)을 엮는 순서와, 상기 실(C)에 비즈(B)를 통과시켜 상기 긴 베이스(3)의 상면의 오목부(5)에 내측 삽입시키는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긴 베이스(3)의 안쪽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스티치(D)와 비즈(B)를 추가해 가고,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C)과 복수의 비즈(B)로 이루어지는 긴 비즈 장식물(A)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C)의 중앙부를, 안쪽 단부의 핀(4)과 끼움 지지 부재(7)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끼움 지지 부분의 양측의 실(C)을 전방측으로 잡아당긴다.
다음에,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C)의 우측 부분을 하나 앞의 핀(4)의 둘레로 감는 동시에, 실(C)의 우측 부분을 좌측 부분에 얽히게 함으로써 스티치(D)를 형성한다. 또한, 이 순서에 앞서, 실(C)의 좌측 부분을 보유 지지 부재(6)에 임시 보유 지지해 두면, 작업자는 상기 좌측 부분으로부터 손을 떼어 양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스티치(D)를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의 순서와 좌우를 반전시켜, 실(C)의 좌측 부분을 하나 앞의 핀(4)에 감는 동시에, 실(C)의 우측 부분에 얽히게 하여, 스티치(D)를 하나 추가한다. 이 순서에서는, 실(C)의 우측 부분을 보유 지지 부재(6)에 임시 보유 지지해 두면, 작업자는 상기 우측 부분으로부터 손을 떼어 양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스티치(D)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인, 도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C)의 좌측 부분에 비즈(B)를 1개 통과시키고, 앞의 순서에서 실(C)을 감은 핀(4)의 좌측 옆에 있는 오목부(5)에 당 해 비즈(B)를 내측 삽입시킨다.
다음에, 도7의 (e), 도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6의 (c), 도6의 (d)의 순서를 좌우 반전시켜 반복함으로써, 스티치(D)를 하나 추가하는 동시에, 실(C)의 우측 부분에 비즈(B)를 1개 조립한다. 또한, 이미 조립된 비즈(B)는 오목부(5)에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순서일 때에 당해 비즈(B)가 움직여 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실(C)의 좌측 부분을 핀(4)에 감아 스티치(D)를 하나 형성하는 순서와, 상기 좌측 부분에 비즈(B)를 1개 조립하는 순서(도7의 (g))와, 실(C)의 우측 부분을 핀(4)에 감아 스티치(D)를 하나 형성하는 순서와, 상기 우측 부분에 비즈(B)를 조립하는 순서(도7의 (h))를 반복함으로써 스티치(D)와 비즈(B)를 전방측으로 추가해 간다. 그리고, 소요 길이까지 신장시킨 결과 실(C)을 핀(4)으로부터 빼내면 긴 비즈 장식물(A)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순서에 의해 제작된 비즈 장식물(A)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열한 스티치(D)를 갖고, 또한 상기 스티치(D)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조립된 비즈(B)를 갖는다. 이 비즈 장식물(A)은 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루프 형상의 스티치(D)가 직경 축소되어 긴 방향으로 크게 신장하게 된다. 또한, 신장시킨 비즈 장식물(A)을 놓으면, 직경 축소한 스티치(D)가 실(C)의 가요성에 의해 복원되어, 원래의 길이로 복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비즈 장식물(A)은 편물 특유의 우수한 신축성을 갖고 있다. 이 비즈 장식물(A)은 그대로 목걸이나 팔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식품의 일부로 이용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즈 장식물(A)을 이용한 목걸이나 팔찌는 신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착탈되기 쉽고, 몸에 딱 맞기 쉽다.
또한, 이상에 서술한 사용예는 일례이며, 본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사용 방법은 상기 사용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C)의 엮는 방법은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비즈를 조립하는 타이밍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고, 한번에 복수의 비즈를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예에서는, 중앙 부분에서 되접어 꺽은 1개의 실로 비즈 장식물을 엮어내고 있었으나, 예를 들어 끼움 지지 부재(7)와 핀 사이에 2개의 실을 끼움 지지하면, 2개의 실을 이용하여 비즈 장식물을 엮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은 우수한 가요성을 갖는 나일론 실의 종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절한 가요성을 갖는 실이나 끈류 전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즈는 구멍이 개방된 장식 구(球)이면 그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는 긴 베이스(3)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핀(4)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핀(4)으로 스티치를 보유 지지하면서 실을 엮음으로써, 가요성을 갖는 실을 확실하게 소요 형상으로 엮어낼 수 있다.
또한,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전방측에는 보유 지지 부재(6)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작 중에 실 단부를 상기 보유 지지 부재(6)에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시킴으로써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긴 베이스(3)의 상면의 양 측모서리에는 절결 형상의 오목부(5)가 형 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실에 조립된 비즈를 상기 오목부(5)에 내측 삽입함으로써, 당해 비즈(B)가 스티치의 형성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유 지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이 오목부(5)는 스티치(D)를 형성할 때에 실의 단부를 다른 쪽의 실 아래로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도 도움이 된다.
또한, 긴 베이스(3)의 가장 안쪽의 핀(4)에는 끼움 지지 부재(7)가 인접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끼움 지지 부재(7)와 상기 핀(4) 사이에 실을 끼움 지지시킴으로써, 제작 도중에 실이 핀으로부터 탈락되거나, 실이 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는, 상기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는 받침대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나, 보유 지지 부재는 긴 기판의 측면에 고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의 설치 위치를 긴 기판의 긴 방향을 따라 조절 가능하게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는 고무 탄성에 의해 실을 보유 지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자석과 금속 사이에서 실을 사이에 끼워 보유 지지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사시도.
도2는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평면도.
도3은 실시예의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측면도.
도4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전방측의 확대 사시도.
도5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안쪽의 확대 사시도.
도6은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7은 도6으로부터 계속되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1)의 사용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8은 제작된 비즈 장식물(A)의 평면도.
[부호의 설명]
1 :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2 : 받침대
3 : 긴 베이스
4 : 핀
5 : 오목부
6 : 보유 지지 부재
7 : 끼움 지지 부재
11 : 절입부
A : 비즈 장식물
B : 비즈
C : 실
D : 스티치

Claims (3)

  1. 소요 형상으로 엮어진 실과 상기 실의 스티치 사이에 배치된 비즈로 이루어지는 비즈 장식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이며,
    수평인 상면을 갖는 전후로 기다란 긴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긴 베이스의 상면에는, 실을 걸기 위한 복수의 핀이 긴 베이스의 긴 방향을 따라 2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또한, 긴 베이스의 상면 양 측모서리에는, 상기 측모서리 근방의 핀 사이마다 비즈가 내측 삽입 가능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긴 베이스의 전방측의 양측에 실을 임시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긴 베이스의 안쪽의 단부의 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핀 사이에 실을 끼움 지지하는 끼움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KR1020080089525A 2007-12-18 2008-09-11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KR20090066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25488 2007-12-18
JP2007325488A JP4214168B1 (ja) 2007-12-18 2007-12-18 ビーズ装飾物作製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201A true KR20090066201A (ko) 2009-06-23

Family

ID=4036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525A KR20090066201A (ko) 2007-12-18 2008-09-11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14168B1 (ko)
KR (1) KR20090066201A (ko)
CN (1) CN101461594A (ko)
TW (1) TW200927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39Y1 (ko) * 2009-12-01 2011-09-16 (주)제이하우스 비즈 배열용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313U (ja) * 2010-01-13 2010-03-25 株式会社エポック社 ビーズ糸通し装置
CA2836989C (en) 2010-11-05 2015-02-17 Cheong Choon Ng Brunnian link making device and k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39Y1 (ko) * 2009-12-01 2011-09-16 (주)제이하우스 비즈 배열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44300A (ja) 2009-07-02
TW200927017A (en) 2009-07-01
JP4214168B1 (ja) 2009-01-28
CN101461594A (zh) 2009-06-24
TWI350149B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811B1 (en) Monster tail loom for forming Brunnian links
US8132596B2 (en) Bead weaving device
US8171639B2 (en) Decorative bracele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9750317B2 (en) Hand held link making device and kit
US20090293982A1 (en) Beading loom with removable warp thread cartridge
US8622441B1 (en) Hand held link making device and kit
KR20090066201A (ko) 비즈 장식물 제작 보조구
JPH0324611Y2 (ko)
KR20160000261U (ko) 라셀편기의 무늬사 가이드장치, 이를 포함한 라셀편기 및 이를 이용하여 편직된 원단
US11408101B2 (en) Continuous strand weaving hexagon pin looms and methods of use
US3959535A (en) Three-dimensional stitchery ornaments
CN109198810B (zh) 一种注塑拉链布带及其制造方法
KR101616521B1 (ko) 패턴환편직물 직조방법 및 패턴환편직물
US3781954A (en) Three-dimensional stitchery ornament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10285476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ornamental piece having intertwined rings
JP2008007866A (ja) ビーズ織物と製織法
US3833977A (en) Method for making three-dimensional stitchery ornaments
JP3130454U (ja) 装身具用編み物
US20050223960A1 (en) Production processes used for marking polyamide fiber woof
US741302A (en) Ornamented embroidery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same.
KR200197944Y1 (ko) 구슬식 장신구
JP2007217843A (ja) 手編み器
JP3160985U (ja) ビーズ織り帯締め
GB2514512A (en) Device For Forming Brunnian Links
WO2015009527A1 (en) Hand held link making device and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