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944Y1 - 구슬식 장신구 - Google Patents

구슬식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944Y1
KR200197944Y1 KR2020000010924U KR20000010924U KR200197944Y1 KR 200197944 Y1 KR200197944 Y1 KR 200197944Y1 KR 2020000010924 U KR2020000010924 U KR 2020000010924U KR 20000010924 U KR20000010924 U KR 20000010924U KR 200197944 Y1 KR200197944 Y1 KR 200197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holes
ornaments
connection
connect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장
Original Assignee
허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장 filed Critical 허장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6Gems provided with a cavity, e.g. for containing another gem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44C11/002Ornamental chains composed of pear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슬을 꿰어서 목걸이, 팔찌 등으로 하는 구슬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슬식 장신구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2 연결공(12a,12b)과, 이 제1 연결공(12a,12b)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열십자(+)형으로 관통되는 제3,4 연결공(14a,14b) 및 제5,6 연결공(16a,16b)을 형성하여서 표면에서 6개의 구멍이 보이도록 된 다수의 구슬(10)이 갖추어지고, 상기 각 구슬(10)들의 제1 내지 제6 연결공(12a,12b)(14a,14b)(16a,16b)들중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연결공을 꿰어서 구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슬에 6개의 연결공을 마련하면서, 이 연결공들을 미적 감각에 맞추어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 및 변형가능한 구조를 채용한 것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미감을 갖춘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슬식 장신구{Ornament Using A Number Of Bead}
본 고안은 구슬식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적 구조를 보다 다양하게 구현한 구슬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슬식 장신구는 연결공이 천공된 다수의 구슬을 마련하고, 이 구슬들의 연결공을 적당한 연결줄이나 연결고리로 엮음으로써 목걸이, 팔찌, 또는 장식용으로 적합하게 구성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슬식 장신구의 전형적인 예를 첨부도면 도 6에 예시하였는 바, 종래에는 구슬(2)에 하나의 연결공(4)이 천공되며, 이의 연결공(4)들을 연결줄(6)로 꿰어 소정 길이의 장신구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장신구에 있어서는 특히, 구슬에 하나의 연결공을 천공한 형태를 벗어나지 못한 실정이어서 장신구의 연결형태가 매우 단조로와 다양한 미적변화를 주기 어렵다. 즉, 하나의 줄로써 연결공을 꿰어 구슬들을 일렬로 정렬하는 형태 이외에는 생각할 수가 없게 마련이어서, 장신구의 형태가 매우 단조롭게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대부분의 장신구가 구슬을 일렬로 꿴 획일적인 형태를 갖게 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구슬을 꿰는 방법에 변화를 준다고 하더라도 구슬의 형태가 갖는 제한적요소 때문에 그 변화의 폭이 매우 좁고, 변화를 주면 줄수록 장신구 전체가 오히려 복잡하고 조잡한 형태로 되어, 소망하는 장신구적인 미를 부여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구조로 변형가능함으로써 그 미적구조를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구슬식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구슬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구슬의 평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구슬의 종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3a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5a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구슬식 장신구의 전형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구슬 12a : 제 1연결공
12b : 제2 연결공 14a : 제3 연결공
14b : 제4 연결공 16a : 제5 연결공
16b : 제6 연결공 20 : 연결고리
30 : 연결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슬식 장신구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2 연결공과, 이 제1 연결공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열십자(+)형으로 관통되는 제3,4 연결공 및 제5,6 연결공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에서 6개의 구멍이 보이도록 된 다수의 구슬이 갖추어지고, 상기 각 구슬들의 제1 내지 제6 연결공들중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연결공을 꿰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신구는, 상기 각 구슬들이 측방으로 일렬로 배치되면서, 배치된 각 구슬의 제3,4,5,6 연결공들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로써 꿰어 정렬하고 나머지 제1,2 연결공은 그대로 방치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각 구슬들이 하나의 구슬을 중심으로 전,후방 및 양측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면서 각 구슬들의 제3,4,5,6 연결공들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로써 꿰어 정렬하고 나머지 제1,2 연결공은 그대로 방치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구슬들이 측방으로 일렬로 배치되면서, 배치된 각 구슬의 제3,4,5,6 연결공들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로써 꿰어 정렬하고, 정렬된 구슬중 적어도 하나의 구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연속적으로 구슬을 배치하여 이들의 제1,2 연결공을 연결줄로써 꿰어 정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구슬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구슬(10)은 상,하 방향으로 제1,2 연결공(12a,12b)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제1 연결공(12a,12b)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열십자(+)형태로 제3,4 연결공(14a,14b) 및 제5,6 연결공(16a,16b)이 관통형성되어서, 구슬(10)의 표면에서 모두 6개의 구멍이 보이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한 구슬(10)의 기본적인 형태는 특히, 연결공이 6개로 형성된 형태로서, 이들 6개의 연결공을 적절히 조합연결함으로써 보다 다양하면서 심미감있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첨부도면 도 3a는 상기한 구슬(10)을 이용하여 형성된 장신구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된 구슬(10)들중 하나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면을 취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장신구는 각각 6개의 구멍을 갖는 다수의 구슬(10)을 마련하고, 각 구슬(10)들을 측방으로 일렬로 배치하여서, 배치된 각 구슬(10)의 제3,4,5,6 연결공(14a,14b,16a,16b)들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20)로써 꿰어 정렬한 형태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나타낸 구슬(10)의 경우, 그의 제3 연결공(14a)과 제6 연결공(16b)을 우측의 구슬(10)에 연결고리(20)로써 연결하고, 제4 연결공(14b)과 제5 연결공(16a)을 좌측의 구슬(10)에 연결고리(20)로써 연결한 형태이다. 이와는 반대로, 도면을 통하여 잘 알수 있겠지만, 제3 연결공(14a)과 제6 연결공(16b)을 좌측의 구슬(10)에 연결하고, 제4 연결공(14b)과 제5 연결공(16a)을 우측의 구슬(10)에 연결하여도 동일한 형태의 장신구가 얻어지며, 제3 연결공(14a)과 제5 연결공(16a)을 좌측 또는 우측 구슬에 연결하고, 제4 연결공(14b)과 제6 연결공(16a)을 나머지 한 쪽의 구슬에 연결하여도 모두 동일한 형태의 장신구가 얻어짐은 당연하다.
이 경우, 나머지 제1,2 연결공(12a,12b)은 어디에도 연결됨이 없이 그대로 유지되어 나름대로 장신구에 독특한 미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3b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대로 유지되는 제1,2 연결공(12a,12b)이 그의 직경크기가 확대된 제1,2 연결공(12c,12d)으로 변형되어 또 다른 미감을 주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슬(10)에 6개의 구멍은 기본적으로 유지하면서 각 구멍의 크기를 소망하는 미적표현방법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연결고리(20)는 일측이 절단되어 있어, 그 절단된 부분을 벌려서 연결공에 삽입시키고, 연결이 끝난 다음에는 다시 오므려서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통상의 연결고리와 동일하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구슬(10)의 연결공들중 예를들어 제1,2 연결공(12a,12b)만을 연결줄로 연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 처럼하여 일렬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3,4 연결공(14a,14b) 만을 또는 제5,6 연결공(16a,16b)만을 연결줄로 일렬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들의 경우 꿰어지지 않은 나머지의 연결공들은 그 자체로써 미적인 연출을 맡게 된다.
첨부도면 도 4a는 본 고안 장신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구슬(10)을 중심으로 그 전,후방 및 양측방으로 또 다른 구슬(10)들을 연속적으로 배치한 다음, 상기 구슬(10)들의 제3,4,5,6 연결공(14a,14b,16a,16b)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20)로써 연결하고 나머지 제1,2 연결공(12a,12b)은 그대로 방치한 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연결공에 두 개의 연결고리(20)가 통과하게 된다.
도 4b는, 도 3a의 변형례로서의 도 3b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4a에서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1,2 연결공(12a,12b)이 그의 직경크기가 확대된 제1,2 연결공(12c,12d)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도면 도 5a는 본 고안 장신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구슬(10)들을 측방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각 구슬(10)의 제3,4,5,6 연결공(14a,14b,16a,16b)들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20)로써 꿰어 정렬하고(도 3a의 방법과 동일함), 정렬된 구슬(10)들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슬(10)의 상측 및/또는 하측(상측 또는 하측, 또는 상,하측 모두)에 다시 연속적으로 구슬(10)을 배치하여 이들의 제1,2 연결공(12a,12b)을 연결 와이어(30)로써 꿰어 정렬한 형태이다.
상기 연결 와이어(30)는 합사 등의 실 또는 체인식으로 연결된 장식용 연결줄이나, 핀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식용 금속 철사등이 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장신구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에서 설명한 상,하의 구슬(10)과 구슬(10) 사이에 또 다른 구슬(40)을 개재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구슬(40)은 주된 구슬(10)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 도 5a에 예시한 장신구로부터 또 다른 미감을 줄 수 있는 장식적 부가수단으로 채용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구슬(10)과 구슬(10)의 간격을 유지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구슬(10)의 표면 또는 표면 도금층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슬에 6개의 연결공을 마련하면서, 이 연결공들을 미적 감각에 맞추어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 및 변형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미감을 갖춘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2 연결공(12a,12b)과 이의 제1 연결공(12a,12b)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열십자(+)형으로 관통되는 제3,4 연결공(14a,14b) 및 제5,6 연결공(16a,16b)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에서 6개의 구멍이 보이도록 된 다수의 구슬(10)이 갖추어지고, 상기 각 구슬(10)들의 제1 내지 제6 연결공(12a,12b)(14a,14b)(16a,16b)들중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연결공을 꿰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식 장신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상기 각 구슬(10)들이 측방으로 일렬로 배치되면서, 배치된 각 구슬(10)의 제3,4,5,6 연결공(14a,14b,16a,16b)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20)로써 꿰어 정렬하고 나머지 제1,2 연결공(12a,12b)은 그대로 방치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식 장신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상기 각 구슬(10)들이 하나의 구슬(10)을 중심으로 전,후방 및 양측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면서 각 구슬(10)들의 제3,4,5,6 연결공(14a,14b,16a,16b)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20)로써 꿰어 정렬하고 나머지 제1,2 연결공(12a,12b)은 그대로 방치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식 장신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상기 각 구슬(10)들이 측방으로 일렬로 배치되면서, 배치된 각 구슬(10)의 제3,4,5,6 연결공(14a,14b,16a,16b)중 인접한 두개의 연결공들을 연결고리(20)로써 꿰어 정렬하고, 정렬된 구슬(10)중 적어도 하나의 구슬(10) 상측 및/또는 하측에 연속적으로 구슬(10)을 배치하여 이들의 제1,2 연결공(12a,12b)을 연결줄(30)로써 꿰어 정렬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슬식 장신구.
KR2020000010924U 2000-04-18 2000-04-18 구슬식 장신구 KR2001979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255A KR100349025B1 (ko) 2000-04-18 2000-04-18 구슬식 장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255A Division KR100349025B1 (ko) 2000-04-18 2000-04-18 구슬식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944Y1 true KR200197944Y1 (ko) 2000-10-02

Family

ID=196650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255A KR100349025B1 (ko) 2000-04-18 2000-04-18 구슬식 장신구
KR2020000010924U KR200197944Y1 (ko) 2000-04-18 2000-04-18 구슬식 장신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255A KR100349025B1 (ko) 2000-04-18 2000-04-18 구슬식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9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9515B (zh) * 2008-01-23 2012-05-30 浙江新光饰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发夹的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464B2 (ko) * 1973-08-17 1975-11-08
KR970000465Y1 (ko) * 1994-12-26 1997-01-24 김신호 진주목걸이의 구조
KR0170313B1 (ko) * 1995-06-30 1999-02-18 김광호 수직 다관절 로보트의 원점 복귀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9515B (zh) * 2008-01-23 2012-05-30 浙江新光饰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发夹的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025B1 (ko) 2002-08-14
KR20010096240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12285T2 (de) Halsketten und armbänder mit platzhaltern
US7254962B2 (en) Jewelry system
US6560955B1 (en) Jewelry rope chain link element
JPH0416164B2 (ko)
KR200197944Y1 (ko) 구슬식 장신구
ITVI20000014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strutture reticolari orafe e strutturereticolari orafe ottenute con tale metodo
US20040134229A1 (en) Interconnected strings of beads
US6378334B1 (en) Jewelry articles including small beads arranged in designs in decorative framework
US2789380A (en) Jewelry construction
JP4214168B1 (ja) ビーズ装飾物作製補助具
KR20170011430A (ko) 보석의 반사율을 높여주는 빛 유입구와 보석 조립이 용이하도록 역마름모꼴 형태로 보석물림 홈을 구성한 보석체인용 난집
KR200283608Y1 (ko) 목걸이 장식용 기판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RU2217029C1 (ru) Составной набор ювелирных украшений (геленки)
KR100556819B1 (ko) 가요성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악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악세서리
KR200284021Y1 (ko) 장신구용 팔지
KR890001299Y1 (ko) 장신용 악세사리
KR960003438Y1 (ko) 악세서리용 부품
KR102325960B1 (ko) 매듭 목걸이 줄의 제조방법
KR200372671Y1 (ko) 장신구
JP3234818U (ja) 装飾具
Shamsuddin Textile technique in jewellery making–‘Soumak’technique
JP3100500U (ja) 紐状首飾りの止め金具
US20050076507A1 (en) Method of making jewelry including stones and rings
TWI437144B (zh) 繩飾之編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