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38Y1 - 악세서리용 부품 - Google Patents

악세서리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38Y1
KR960003438Y1 KR2019930021407U KR930021407U KR960003438Y1 KR 960003438 Y1 KR960003438 Y1 KR 960003438Y1 KR 2019930021407 U KR2019930021407 U KR 2019930021407U KR 930021407 U KR930021407 U KR 930021407U KR 960003438 Y1 KR960003438 Y1 KR 960003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ire material
accessory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711U (ko
Inventor
함종대
Original Assignee
함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종대 filed Critical 함종대
Priority to KR2019930021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38Y1/ko
Publication of KR950010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3/00Connectibl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악세서리용 부품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와이어 소재의 제조를 위한 와이어의 권취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와이어 소재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와이어 소재에 볼부재를 올려 놓은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및 제3도의 와이어 소재를 구형으로 제조하는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악세서리용 부품의 완성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a도는 볼이 없는 상태이고, b도는 볼이 들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종래 악세서리용 부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와이어 소재 5 : 부품
7 : 볼부재 53 : 연결공
본 고안은 악세서리용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이웃하는 부품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한 악세서리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목걸이, 귀걸이, 팔찌등의 악세서리는 여러형상으로 형성된 부품들을 소정의 길이로 상호 연결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악세서리용 부품은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제조된다.
그 일예로서, 본 고안은 연성의 와이어를 제1도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드(1)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돌기(2)(3)의 외측에 평면상으로 권취하여 와이어 소재(4)를 형성하고, 이의 와이어 소재(4)를 구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다단으로 겹쳐지는 와이어에 의하여 외관의 문양이 나타나도록 하는 부품(5)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악세서리용 부품은 단품으로 사용하지 않고 대개는 다수의 부품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의 연결수단으로 종래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부품(5)의 상하부에 연결고리(50)(51)을 형성하여 서로 이웃하는 부품(5)을 연결고리(50)(51) 들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품에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크기가 작은 부품에 연결고리를 용접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야 하는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정위치에 고착시키지 못하여 불량품이 생산율이 높으며, 작업인원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악세서리는 미려함이 그의 생명이라 할수 있는데, 연결고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이웃하는 부품들의 연결용 용이하게 하고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한 악세서리용 부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결됨으로써, 목걸리, 팔찌등과 같은 악세서리를 형성하는 악세서리용 부품을 형섬함에 있어서, 와이어를 평면상으로 감아 와이어 소재를 형성하고, 이의 와이어 소재를 구형으로 형성하여 이에 실 또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연결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악세서리용 부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구형으로 형성된 와이어 소재는 그 내부로 볼부재를 매몰시키고 이의 볼부재에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연결공을 형성한 악세서리용 부품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초기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부품(5)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연성의 와이어를 베이스 플레이트(1)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돌기(2)(3)의 외측에 평면상으로 권취하여 평면상으로 와이어 소재(4)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와이어 소재(4)는 중앙부에 장공 형태의 내경부(40)가 형성되고, 그의 길이방향 양단부(41)(42)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 소재(4)의 중간부를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구부리고, 중간부가 구부러진 와이어 소재(4)를 제4도에서와 같은 지그(6)의 하측(60)에 넣고 이의 상측에서 구형의 캐비티(61)를 갖는 상형을 하강시키면, 상기 와이어 소재(4)는 캐비티(60)(61)의 형상에 의하여 구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앙부에 아무런 부재를 넣지 않으면 제5a도에서와 같이 와이어 소재(4)로만 형성되는 부품이 제조되며, 중앙부에 볼부재(7)를 놓으면 제5b도와 같은 부품(5)이 제조되어진다.
이러한 악세서리용 부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지그(6)의 상하 캐비티(60)(61)의 중앙으로 선단에 첨예부를 갖는 돌기(62)(63)를 상하로 입설하여 와이어 소재(4)의 압압시 와이어 소재(4)가 구형으로 제조됨과 동시에 돌기(62)(63)에 의하여 연결공(53)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제5a, b도의 완성품에서와 같이 부품(5)의 중앙으로 연결공(53)이 형성됨으로써, 이들 부품을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결공(53)을 통해 실 또는 와이어등의 연결부재로서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악세서리용 부품은 종래와 같은 연결고리가 생략되고 이 대신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연결공이 제조 공정의 일부에서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작업공정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연결고리의 고정을 위한 인력의 소요가 생략되는등의 제조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악세서리의 완성시 이웃하는 부품들이 매끄럽게 연결되는바, 외관이 미려하여 악세서리로서의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다양한 형성과 모양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결됨으로써, 목걸이, 팔찌등과 같은 악세서리를 형성하는 악세서리용 부품(5)을 형성함에 있어서, 와이어를 평면상으로 감아 와이어 소재(4)를 형성하고, 이의 와이어 소재(4)를 구형으로 형성하여 이에 실 또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연결공(53)을 형성하여 아루어지는 악세서리용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 소재(4)는 그 내부로 볼부재(7)를 매몰시키고 이의 볼부재(7)에 연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연결공(5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용 부품.
KR2019930021407U 1993-10-18 1993-10-18 악세서리용 부품 KR960003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407U KR960003438Y1 (ko) 1993-10-18 1993-10-18 악세서리용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407U KR960003438Y1 (ko) 1993-10-18 1993-10-18 악세서리용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11U KR950010711U (ko) 1995-05-15
KR960003438Y1 true KR960003438Y1 (ko) 1996-04-24

Family

ID=1936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407U KR960003438Y1 (ko) 1993-10-18 1993-10-18 악세서리용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085B1 (ko) * 2011-05-09 2013-01-11 박현진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11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2923A (en) Jewelry chain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ostume jewelry therefrom
US4821533A (en) Method of setting precious stones, as well as jewelry made by this method
US5819409A (en) Method of making a ring
EP0381831B1 (en) Method of composition of manufactured articles suited to realize necklaces, bracelets and similar items and items obtained with said method
JP3170053B2 (ja) 模様入り真珠の製造方法
US1927038A (en) Mounting for ornamental articles
KR960003438Y1 (ko) 악세서리용 부품
US2789380A (en) Jewelry construction
JP2691959B2 (ja) 金と白金との組合せボールチェーン状装飾品の製法
RU2217029C1 (ru) Составной набор ювелирных украшений (геленки)
KR102272027B1 (ko) 다층 구조 장신구의 결합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장신구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US5581884A (en) Method of attaching an ornamental setting to an ornament
US1653260A (en) Mounting for articles of jewelry
TWI683976B (zh) 立體裝飾物及其製作方法、部件的連接方法
KR100288485B1 (ko) 장신구용 장식구
KR200284021Y1 (ko) 장신구용 팔지
KR20200086523A (ko)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3004902U (ja) 装身具用チェーン
KR100349025B1 (ko) 구슬식 장신구
KR200274201Y1 (ko) 장식보석 고정구
KR100596710B1 (ko) 장신구용 부품과 그 용도
JP3058121U (ja) 装身用鎖の自在留具とこれを用いた装身具
KR19990033431U (ko) 목걸이 장식용 기판
KR950005010Y1 (ko) 장신용 악세사리연결소자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