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523A -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523A
KR20200086523A KR1020190002831A KR20190002831A KR20200086523A KR 20200086523 A KR20200086523 A KR 20200086523A KR 1020190002831 A KR1020190002831 A KR 1020190002831A KR 20190002831 A KR20190002831 A KR 20190002831A KR 20200086523 A KR20200086523 A KR 2020008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base material
wire
win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내춘
Original Assignee
(주)삼성금거래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금거래소 filed Critical (주)삼성금거래소
Priority to KR102019000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523A/ko
Publication of KR2020008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 등 연성이 좋은 재질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와;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에 감겨 상기 장신구 모재(10)와 함께 장신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장신구 와이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ewel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 등 연성이 좋은 재질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목걸이, 팔찌, 반지 등 몸치장을 위해 금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장식적 물건을 말한다.
그리고 독특한 예술 장르로 자리잡은 장신구의 재료는, 조개껍질과 동물의 뼈에서 나무·보석·준보석·진주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가장 전통적으로 많이 쓰이는 재료로는 장신구 제작에 적합한 특성을 지닌 금·은·백금을 들 수 있다.
특히 금은 BC 3000년경에 발견되면서 계속적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찬란한 황색빛에 공기나 물 속에서 산화되지 않는 특성까지 있어서 권위나 신분표시를 하는 데 최적의 재료로 인정되었다.
또한 금의 연성(延性)과 전성(展性)으로 인해 1g의 순금으로 3km의 금선을 뽑을 수 있으며 가장 얇게 0.0025㎜까지의 금박으로 늘일 수 있어 더욱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신구 모재에 다수의 권선요홈이 형성하고 권선요홈에 장신구 와이어를 감아 장신구 모재 및 그에 감긴 장신구 와이어를 하나의 장신구로 제조함으로써 장신구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와;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에 감겨 상기 장신구 모재(10)와 함께 장신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장신구 와이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개시한다.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권선요홈(1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복수의 부재들이 재단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상기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장신구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장신구 모재(10) 및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신구 모재(10) 및 상기 장신구 와이어(20) 중 적어도 하나는, 금 또는 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신구 모재(10) 및 상기 장신구 와이어(20) 중 적어도 하나는, 24K 금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신구의 제조방법으로서,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를 준비하는 모재준비단계와; 상기 장신구 모재(10)의 권선요홈(11)에 장신구 와이어(20)를 감는 권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모재준비단계는,
미리 설정된 플레이트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틀(50)이 형성된 금형(40)으로 상기 장신구 모재(10)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모재준비단계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를 재단하여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장신구 모재(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형상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은, 상기 권선단계 후에 상기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상기 장신구 모재(10)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은, 장신구 모재에 다수의 권선요홈이 형성하고 권선요홈에 장신구 와이어를 감아 장신구 모재 및 그에 감긴 장신구 와이어를 하나의 장신구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장신구를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심미감 또한 다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장신구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2a는, 도 1의 장신구의 장신구 모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장신구 모재에 장신구 와이어를 감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은, 도 2a의 장신구 모재의 형성을 위한 금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Ⅳ-Ⅳ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도 1 내지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와; 다수의 권선요홈(11)에 감겨 장신구 모재(10)와 함께 장신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장신구 와이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하나 이상의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길 수 있도록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부재로서, 최종적으로 제조될 장신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권선요홈(1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찌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팔찌의 기본형상을 이루도록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심미감 형성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중앙 부분에서의 폭이 장 크고 양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단계적으로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장신구의 최종 형성을 위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절단되어 제거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도 2a 및 도 2b의 과정을 거친 후 도 1에 도시된 팔찌의 형상을 가지도록 측면 형상이 곡선 형상으로 휠 수 있으며 양단 부분은 연결부재(32)와의 연결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리고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플레이트 형상에서 후술하는 금형(40)에 결합된 상태로 또는 장신구 연결부재(32)와의 결합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끝단 부분에서 장식효과를 고려하여 반원형 등 다양항 형상으로 재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2)는,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겨진 장신구 모재(10)와 함께 장신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목걸이, 팔찌 등 용도에 부합되도록 타 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연결구성에 따라서 다양?h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연결부재(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재(31)의 결합을 위한 체인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장신구는, 도 1에 도시된 팔찌 이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트 형상의 펜던트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장신구의 형상으로 형성을 위하여 장신구 모재(10)가 굽힘 등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일부가 절단되는 등 재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하트 모양의 펜던트를 형성하는 과정의 도면으로서 펜던트고리(18)가 형성된 장신구 모재(10)에 장신구 와이어(20)의 일부를 감은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또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 이외에 복수의 부재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각 부재들은, 후술하는 금형(40)에 의하여 각각 제조된 후 결합되거나, 상호 결합을 위한 형상으로 가위 등으로 재단된 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변형 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하는 장신구 와이어(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장신구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장신구 와이어(20)와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금 또는 은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24K 금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은,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길 수 있도록 장신구 모재(10)에 형성되는 홈으로써 장신구 와이어(20)의 권선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은, 감기는 장신구 와이어(20)의 외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은, 삼각형 형상, 반구형, 반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은, 장신구 와이어(2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 반구형, 반타원형 등의 형상의 돌기 형성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장신구 와이어(20)는, 다수의 권선요홈(11)에 감겨 장신구 모재(10)와 함께 장신구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장식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외주면에 요홈 또는 돌기가 없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장식효과를 고려하여 요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와이어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선이 꼬인 것처럼 보이도록 나선형으로 돌기로 형성된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요홈 및 돌기 중 적어도 하나가 규칙적으로 형성된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 모재(10)에 대한 다양한 감김 형상을 주기 위하여 권선요홈(11)을 하나 이상씩 건너 뛰어 감긴 후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기지 않은 권선요홈(11)에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장신구 모재(10)의 길이방향과 사선을 이루어 감기는 등 다양항 방식에 의하여 감기 수 있다.
한편 성가 장신구 와이어(20)는, 장신구 모재(10)와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금 또는 은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24K 금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앞서 설명한 장신구의 제조방법으로서,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를 준비하는 모재준비단계와; 장신구 모재(10)의 권선요홈(11)에 장신구 와이어(20)를 감는 권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재준비단계는, 미리 설정된 플레이트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틀(50)이 형성된 금형(40)으로 장신구 모재(10)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금형(40)은, 장신구 모재(10)를 성형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플레이트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틀(50)이 형성된 부재로서 장신구 모재(10)의 성형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금형(40)은, 용융 상태의 장신구 모재(10) 재질을 부어 앞서 설명한 장신구 모재(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40)은, 장신구 모재(10)의 성형을 위한 부재를 성형틀(50)에 가압하여 망치 등을 이용한 두드림과정을 거쳐 앞서 설명한 형상의 장신구 모재(1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틀(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신구 모재(10)의 평면형상 및 두께로 금형(4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장신구 모재(10)의 형상 및 두께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금형(4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 모재(10) 중 권선요홈(11)의 형성을 위한 돌기(51)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형(40)은, 장신구 모재(10)의 성형 후 장신구 와이어(20)의 권선적업이 용이하도록 장신구 모재(10)에 형성된 연결홀(11)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1)은, 장신구 모재(10)의 성형 후 장신구 와이어(20)의 권선적업이 용이하도록 장신구 모재(10)에 형성된 연결홀(1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로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재준비단계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를 재단하여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장신구 모재(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형상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다수의 권선요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은, 권선단계 후에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장신구 모재(10)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단계는, 권선단계 후에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상기 장신구 모재(10)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변형단계는,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장신구 모재(10)를 굽힘, 재단, 결합, 그 조합 등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장신구 모재 11 : 권선요홈
20 : 장신구 와이어

Claims (10)

  1.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와;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에 감겨 상기 장신구 모재(10)와 함께 장신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장신구 와이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권선요홈(1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재(10)는, 상기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장신구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재(10) 및 상기 장신구 와이어(20)는, 동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장신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재(10) 및 상기 장신구 와이어(20) 중 적어도 하나는, 금 또는 은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모재(10) 및 상기 장신구 와이어(20) 중 적어도 하나는, 24K 금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장신구의 제조방법으로서,
    다수의 권선요홈(11)들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신구 모재(10)를 준비하는 모재준비단계와;
    상기 장신구 모재(10)의 권선요홈(11)에 장신구 와이어(20)를 감는 권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재준비단계는,
    미리 설정된 플레이트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틀(50)이 형성된 금형(40)으로 상기 장신구 모재(10)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형상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다수의 권선요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권선단계 후에는, 상기 장신구 와이어(20)가 감긴 상기 장신구 모재(10)를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KR1020190002831A 2019-01-09 2019-01-09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6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831A KR20200086523A (ko) 2019-01-09 2019-01-09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831A KR20200086523A (ko) 2019-01-09 2019-01-09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523A true KR20200086523A (ko) 2020-07-17

Family

ID=7183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831A KR20200086523A (ko) 2019-01-09 2019-01-09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5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852923A (en) Jewelry chain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ostume jewelry therefrom
US11617425B1 (en) Jewelry pie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4520996B2 (ja) 宝飾品のための可撓性連結具及び製造方法
JPH0646712A (ja) 模様入り真珠の製造方法
US366709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namental element
KR20200086523A (ko)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1286313A (ja) 装飾具用ワイヤ
US2789380A (en) Jewelry construction
WO2015055078A1 (zh) 一种云形首饰
KR20070080368A (ko) 세관(細管)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작방법 및 그에 따른장신구
US3783081A (en) Ornamental element
KR200469408Y1 (ko)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US4317264A (en) Means and method for making jewelry
JPS61259849A (ja) 装飾用品の製造方法
JP3072328U (ja) 装飾具用ワイヤ
RU2217029C1 (ru) Составной набор ювелирных украшений (геленки)
US5581884A (en) Method of attaching an ornamental setting to an ornament
JP4273451B2 (ja) 装身用パーツの製造方法
Prévalet Bronze Age Syrian Gold Jewellery-Technological Innovation
KR200409084Y1 (ko) 장신구용 주얼리
CN115522150B (zh) 18k金空心管的制备方法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CN209788709U (zh) 一种首饰配件
KR102272027B1 (ko) 다층 구조 장신구의 결합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구조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