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085B1 -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085B1
KR101219085B1 KR1020110043391A KR20110043391A KR101219085B1 KR 101219085 B1 KR101219085 B1 KR 101219085B1 KR 1020110043391 A KR1020110043391 A KR 1020110043391A KR 20110043391 A KR20110043391 A KR 20110043391A KR 101219085 B1 KR101219085 B1 KR 10121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outer material
external
manufacturing
extern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763A (ko
Inventor
박현진
Original Assignee
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진 filed Critical 박현진
Priority to KR102011004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0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여 만지거나 접촉 시에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유연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좋아 액세서리 제품의 품질 및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를 반으로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와; 상기 관형으로 재봉된 외부소재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바뀌게 하기 위해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를 뒤집어 역전시키는 외부소재 역전 단계와;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METHOD OF MANUFACTURING SUBSIDIARY MATERIALS FOR ACCESSORIES AND SUBSIDIARY MATERIAL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액세서리의 제조에 사용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여 만지거나 접촉 시에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유연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좋아 액세서리 제품의 품질 및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용 부자재는 액세서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부속 자재로써, 주로 액세서리의 몸체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머리핀, 머리띠, 브로치, 뱃지 등의 액세서리는 제조공장에서 확보된 금형에 따라 특정 형상 패턴의 액세서리 몸체가 대량으로 제작되는데, 이와 같은 액세서리 몸체가 바로 액세서리용 부자재에 해당한다.
종래의 액세서리용 부자재는 특정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금형에 의해 대량으로 제조되고, 유통업자들이 제조된 부자재를 대량으로 구입하여 액세서리 몸체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이나 무늬의 인쇄나 2차 부착물을 부착하여 장식함과 동시에 그 일측면에 핀이나 줄 등을 용도에 맞게 부착하여 액세서리를 완성한 후에 이를 판매를 하게 된다.
물론 제품의 성형시 장식을 몸체와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일체형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의 제조 및 작업이 어려우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액세서리용 부자재는 유연성이 떨어져 쉽게 파손되고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떨어져 액세서리 자체의 품질 및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액세서리와 같이 사람이 직접 만지면서 사용하는 액세서리용 제품에 의류에 사용되는 직물과 같이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는 소재를 적용하는 추세이고, 그에 따라 의류용 직물이나 가죽과 같은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여 만지거나 접촉 시에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유연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좋아 액세서리 제품의 품질 및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소재에 내부소재를 삽입하여 제조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상기 외부소재의 볼륨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재의 문양부재의 하면에 접착하여 문양부재가 적절히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문양부재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액세서리의 제조 시에 부자재의 배면을 통한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에 보조부재를 구비하여 문양부재의 제작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문양부재 자체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문양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자재의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부자재의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양부재에 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자재의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고리부를 가진 부자재가 손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를 반으로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가 평평한 관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과 외면에 노출된 재봉선이 상기 외부소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형으로 재봉된 외부소재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바뀌게 하기 위해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를 뒤집어 역전시키는 외부소재 역전 단계와;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를 반으로 접은 후에,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의 밀착된 양측단을 내측으로 각각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가 평평한 관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의 하부측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와;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외부소재 재봉 단계의 다음으로, 평평한 관형으로 형성된 상기 외부소재의 중공된 내측에 선형의 내부소재를 삽입하는 내부소재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문양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얇고 유연한 받침부재를 상기 문양부재의 하면에 접착하는 받침부재 접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의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에서, 상기 외부소재는 경질이며 형상을 갖는 보조부재를 중심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접착되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의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에서, 하나의 상기 외부소재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상기 문양부재를 연이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의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에서, 하나의 상기 외부소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상기 문양부재를 형성한 후에 곡선형의 고리부를 연이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는, 상기한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여 만지거나 접촉 시에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고, 유연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좋아 액세서리 제품의 품질 및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소재에 내부소재를 삽입하여 제조자의 의도나 선택에 따라 상기 외부소재의 볼륨감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액세서리의 질감이나 볼륨감의 표현이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볼륨감의 증감이 간편하여 부자재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의 문양부재의 하면에 접착하여 문양부재가 적절히 지지되고, 상기 문양부재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며, 액세서리의 제조 시에 부자재의 배면을 통한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에 보조부재를 구비하여 문양부재의 제작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문양부재 자체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문양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자재의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되고, 부자재의 사용범위가 현저히 확대되고, 그에 따라 보다 다양한 문양의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문양부재에 고리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자재의 심미감이 향상되고, 고리부를 가진 부자재가 손쉽게 형성될 수 있어 액세서리의 제작 시에 별도의 고리 부분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액세서리의 제작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재의 여러 가지 예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재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리부를 가지는 부자재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리부를 가지는 부자재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에 따른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촬영한 사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액세서리를 촬영한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외부소재(10)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S1)와, 준비된 상기 외부소재(10)를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S2)와, 접은 상기 외부소재(10)를 재봉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S3)와, 재봉된 상기 외부소재(10)를 뒤집어 역전시키는 외부소재 역전 단계(S4)와, 뒤집힌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내부소재(30)를 삽입하는 내부소재 삽입 단계(S5)와, 상기 외부소재(1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S6)와, 상기 외부소재(10)를 감거나 겹치게 접착하여 문양부재(40)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S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여 만지거나 접촉 시에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유연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좋아 액세서리 제품의 품질 및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가 제조된다.
상기 외부소재 준비 단계(S1)는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를 가늘고 긴 띠형으로 절단하여 본 부자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외부소재(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도 2의 (a) 참조).
여기서, 상기 외부소재(10)의 재질은 천연직물, 합성직물, 천연가죽, 합성가죽, 천연고무, 합성고무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소재들이 의류로 제작되는 재질이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인체 부합형 액서서리 부자재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소재 절첩 단계(S2)는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10)를 반으로 접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를 접어서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도 2의 (b) 참조).
상기 외부소재 재봉 단계(S3)는 상기 외부소재(10)가 평평한 관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소재(10)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10)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반으로 접은 상기 외부소재(10)의 개방된 양측단을 재봉선(20)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박음질로 재봉하는 단계이다(도 3의 (c) 참조).
상기 외부소재 역전 단계(S4)는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과 외면에 노출된 재봉선(20)이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형으로 재봉된 외부소재(10)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바뀌게 하기 위해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10)를 뒤집어 역전시키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재봉되어 관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외부소재(10)를 뒤집어서 상기 재봉선(20)의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이다(도 3의 (d) 참조).
이때, 상기 외부소재(10)의 일단에는 상기 재봉선(20)의 연결부가 누출되고, 상기 재봉선(20)과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은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재봉선(20)과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상기 외부소재(10)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재봉선(20)과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적절히 가려져 상기 외부소재(10)의 외부면이 매끄럽고 깔끔한 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소재 삽입 단계(S5)는 뒤집힌 상태로 평평한 관형으로 형성된 상기 외부소재(10)의 중공된 내측에 선형의 내부소재(3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선형의 상기 내부소재(30)를 삽입하여 상기 외부소재(10) 자체가 볼륨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도 4의 (e) 참조).
여기서, 상기 내부소재(30)의 재질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천연고무, 합성고무, 금속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선행의 소재는 일예로 섬유사, 즉 실과 같은 소재이고,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선형의 소재는 일예로 고무줄과 같은 소재이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선형의 소재는 철사나 와이어와 같은 소재이다.
상기 내부소재(30)로 실이나 고무줄을 사용하면 유연성과 함께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어 촉감이 보다 좋아지고, 상기 내부소재(30)로 철사나 와이어를 사용하면 상기 외부소재(10)의 절곡이나 굽힘 시에 변형이 어느 정도 방지되어 상기 외부소재(10)로 사용자가 원하는 문양을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내부소재 삽입 단계(S5)는 상기 외부소재(10)가 다소 두꺼운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 즉 상기 외부소재(10) 자체로 충분한 볼륨을 가질 경우에 제외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소재 삽입 단계(S5)가 제외되는 경우,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매우 간편해져 본 부자재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S6)는 상기 내부소재(30)가 삽입된 관형의 외부소재(10)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가 감기거나 겹쳐지면서 그 자체가 서로 접착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도 4의 (f) 참조).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7)는 상기 외부소재(10)의 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외부소재(10)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10)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4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를 소용돌이 형태로 감거나 겹쳐서 상기 외부소재(10) 자체가 서로 접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도 5의 (g) 참조).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7)의 다음으로, 상기 문양부재(40)와 동일한 형상의 얇고 유연한 받침부재(50)를 상기 문양부재(40)의 하면에 접착하는 받침부재 접착 단계(S8)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상기 문양부재(40)의 하면에 상기 받침부재(50)를 부착하여 상기 문양부재(40)가 원활히 지지되면서 상기 문양부재(40) 자체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5의 (h) 참조).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받침부재(50)는 상기 외부소재(10)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재의 여러 가지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부재(4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도 다양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우선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외부소재(10)를 원형의 소용돌이 형태로 감아서 그 측면을 상호 접착시키면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원형의 소용돌이 형상을 가지는 액세서리용 부자재가 제작된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외부소재(10)를 사각형의 소용돌이 형태로 감아서 그 측면을 상호 접착시키면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소용돌이 형상을 가지는 액세서리용 부자재가 제작된다.
또한, 도 6의 (c)와 같이 상기 외부소재(10)를 삼각형의 소용돌이 형태로 감아서 그 측면을 상호 접착시키면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상에서 삼각형의 소용돌이 형상을 가지는 액세서리용 부자재가 제작된다.
한편, 도 6의 (d)와 같이 상기 외부소재(10)의 측면이 상호 겹쳐지게 평면상에서 수평으로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접착시키면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액세서리용 부자재가 제작된다.
이와 같이 본 액세서리 부자재는 중심의 둘레로 상기 외부소재(10)를 감거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외부소재(10)를 겹쳐서 상기 외부소재(10)의 측면과 인접한 측면을 상호 접착시키면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재(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액세서리 부자재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외부소재(10)와 내부소재(30) 자체가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절곡되거나 굽혀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재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조 방법의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7)에서 상기 외부소재(10)는 경질이며 형상을 갖는 보조부재(60)를 중심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부재(6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접착되게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질, 즉 딱딱한 재질이며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보조부재(6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부소재(10)를 감아서 상기 문양부재(4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소재(10)에 의한 상기 문양부재(40)의 형성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보조부재(60) 자체가 심미감을 가져 상기 문양부재(40)의 심미감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부재(60)는 귀금속이나 보석, 원석, 합성석, 모조석 등과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보조부재(60)가 귀금속이나 보석과 같은 고가의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본 액세서리 부자재의 품질이나 품위가 보다 높아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자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조 방법의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7)에서 하나의 상기 외부소재(10)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상기 문양부재(40)를 연이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 줄의 상기 외부소재(10)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소용돌이 형상의 문양부재(40)를 하나 제조한 후에 남은 상기 외부소재(10)로 다른 하나의 원형의 소용돌이 형상의 문양부재(40)를 하나 더 제조함으로써 2개의 상기 문양부재(40)를 연이어 형성하여 본 액세서리 부자재의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사용범위가 보다 넓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개의 상기 문양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문양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소용돌이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문양부재(4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문양부재(40)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지만, 3개 혹은 4개와 같이 2개 이상의 상기 문양부재(40)가 연이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리부를 가지는 부자재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리부를 가지는 부자재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조 방법의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7)에서 하나의 상기 외부소재(10)를 이용하여 하나의 상기 문양부재(40)를 형성한 후에 곡선형의 고리부(70)를 연이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 줄의 상기 외부소재(10)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소용돌이 형상의 문양부재(40)를 하나 제조한 후에 남은 상기 외부소재(10)로 다른 하나의 원형의 소용돌이 형상의 문양부재(40)를 하나 더 제조하기 전에 밀폐된 곡선형의 고리부(70)를 형성함으로써, 본 액세서리 부자재에 걸고리를 손쉽게 형성하면서 본 부자재의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고리부(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문양부재(40)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문양부재(40)를 형성한 후에 남은 상기 외부소재(1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리부(70)가 형성됨에 따라 본 액세서리 부자재는 목걸이, 핸드폰 줄 또는 열쇠고리 줄과 연결할 수 있는 부재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에 따른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외부소재(10)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S10)와, 준비된 상기 외부소재(10)를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S20)와, 접은 상기 외부소재(10)를 재봉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S30)와, 재봉된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내부소재(30)를 삽입하는 내부소재 삽입 단계(S40)와, 상기 외부소재(1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S50)와, 상기 외부소재(10)를 감거나 겹치게 접착하여 문양부재(40)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인체 부합형 소재를 이용하여 만지거나 접촉 시에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유연성을 가져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표면의 색감이나 질감이 좋아 액세서리 제품의 품질 및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가 제조된다.
상기 외부소재 준비 단계(S10)는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를 가늘고 긴 띠형으로 절단하여 본 부자재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외부소재(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도 12의 (a) 참조).
여기서, 상기 외부소재(10)의 재질은 천연직물, 합성직물, 천연가죽, 합성가죽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소재들이 의류로 제작되는 재질이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인체 부합형 액서서리 부자재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소재 절첩 단계(S20)는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10)를 반으로 접은 후에,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10)의 밀착된 양측단을 내측으로 각각 접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띠형의 상기 외부소재(10)를 반으로 접은 후에 그 양측단을 내측으로 다시 접어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외부소재(10)를 관형으로 형성시키는 단계이다(도 12의 (b) 참조).
상기 외부소재 재봉 단계(S30)는 상기 외부소재(10)가 평평한 관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소재(10)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10)의 하부측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를 총 3번을 접어서 상기 외부소재(10)의 양측단이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양측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외부소재(10)의 접혀진 양측단의 외면을 따라 개방된 단부를 재봉선(20)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박음질로 재봉하는 단계이다(도 13의 (c) 참조).
상기 내부소재 삽입 단계(S40)는 평평한 관형으로 형성된 상기 외부소재(10)의 중공된 내측에 선형의 내부소재(3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의 내측에 선형의 상기 내부소재(30)를 삽입하여 상기 외부소재(10) 자체가 볼륨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도 13의 (d) 참조).
여기서, 상기 내부소재(30)의 재질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천연고무, 합성고무, 금속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선행의 소재는 일예로 섬유사, 즉 실과 같은 소재이고,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선형의 소재는 일예로 고무줄과 같은 소재이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선형의 소재는 철사나 와이어와 같은 소재이다.
상기 내부소재 삽입 단계(S40)는 상기 외부소재(10)가 다소 두꺼운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 즉 상기 외부소재(10) 자체로 충분한 볼륨을 가질 경우에 제외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소재 삽입 단계(S40)가 제외되는 경우,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매우 간편해져 본 부자재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 단계(S50)는 상기 내부소재(30)가 삽입된 관형의 외부소재(10)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가 감기거나 겹쳐지면서 그 자체가 서로 접착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도 14의 (e) 참조).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60)는 상기 외부소재(10)의 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외부소재(10)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10)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4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외부소재(10)를 소용돌이 형태로 감거나 겹쳐서 상기 외부소재(10) 자체가 서로 접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문양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도 14의 (f) 참조).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S60)의 다음으로, 상기 문양부재(40)와 동일한 형상의 얇고 유연한 받침부재(50)를 상기 문양부재(40)의 하면에 접착하는 받침부재 접착 단계(S70)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상기 문양부재(40)의 하면에 상기 받침부재(50)를 부착하여 상기 문양부재(40)가 원활히 지지되면서 상기 문양부재(40) 자체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15의 (g) 참조).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받침부재(50)는 상기 외부소재(10)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는 처음에 기재된 첫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상기 문양부재(40)가 연이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조부재(60)와 고리부(70)도 가질 수 있음은 손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액세서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소재가 원형의 소용돌이 형태로 감기면서 상호 접착되어 제조된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사진이다. 이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는 직물을 소재로 하여 접촉 시 감촉이 좋으며 직물 고유의 색감이 드러나 따뜻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게 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를 다수개 접착시켜 액세서리를 제작한 상태의 사진이다. 이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부자재는 다수개가 서로 겹쳐지게 부착되어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액세서리용 부자재는 후방에 핀 등의 결속수단을 구비하여 헤어핀, 브로치, 뱃지, 모자핀 등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줄을 연결하여 목걸이, 귀걸이, 가방걸이, 핸드폰 장식, 열쇠고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커튼, 이불, 인형, 카 액세사리 등에 부착하여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본 부자재의 상면에 귀금속이나 보석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물을 별도로 장착하여 심미감이 높은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외부소재
20 : 재봉선
30 : 내부소재
40 : 문양부재
50 : 받침부재
60 : 보조부재
70 : 고리부

Claims (8)

  1.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를 반으로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가 평평한 관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과 외면에 노출된 재봉선이 상기 외부소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형으로 재봉된 외부소재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바뀌게 하기 위해 상기 관형의 외부소재를 뒤집어 역전시키는 외부소재 역전 단계와;
    상기 평평한 관형의 외부소재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2. 두께가 얇고 유연한 띠형의 외부소재를 준비하는 외부소재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밀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를 반으로 접은 후에, 상기 외부소재의 양측단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소재의 밀착된 양측단을 내측으로 각각 접는 외부소재 절첩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가 평평한 관형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접힌 상태로 밀착된 양측단을 박음질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소재의 하부측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을 하는 외부소재 재봉 단계와;
    상기 평평한 관형의 외부소재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와;
    상기 외부소재의 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상기 외부소재의 끝단을 중심으로 감거나 상기 외부소재가 측방으로 적층되게 겹쳐서 평면상에서 볼 때 문양을 갖는 문양부재를 형성하는 문양부재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재 재봉 단계의 다음으로, 평평한 관형으로 형성된 상기 외부소재의 중공된 내측에 선형의 내부소재를 삽입하는 내부소재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의 다음으로, 상기 문양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얇고 유연한 받침부재를 상기 문양부재의 하면에 접착하는 받침부재 접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에서, 상기 외부소재는 경질이며 형상을 갖는 보조부재를 중심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접착되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에서, 하나의 상기 외부소재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상기 문양부재를 연이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재 형성 단계에서, 하나의 상기 외부소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상기 문양부재를 형성한 후에 곡선형의 고리부를 연이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8. 상기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부자재.
KR1020110043391A 2011-05-09 2011-05-09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KR10121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91A KR101219085B1 (ko) 2011-05-09 2011-05-09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91A KR101219085B1 (ko) 2011-05-09 2011-05-09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763A KR20120125763A (ko) 2012-11-19
KR101219085B1 true KR101219085B1 (ko) 2013-01-11

Family

ID=4751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391A KR101219085B1 (ko) 2011-05-09 2011-05-09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0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11U (ko) * 1993-10-18 1995-05-15 함종대 악세서리용 부품
KR200199955Y1 (ko) 2000-04-24 2000-10-16 김용태 장식용 통통이
KR200231790Y1 (ko) 2001-02-28 2001-07-03 삼양모피 주식회사 다양한 색의 무늬가 형성되는 모피소재
KR20090020859A (ko) * 2007-08-24 2009-02-27 오규헌 가구장식용 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11U (ko) * 1993-10-18 1995-05-15 함종대 악세서리용 부품
KR200199955Y1 (ko) 2000-04-24 2000-10-16 김용태 장식용 통통이
KR200231790Y1 (ko) 2001-02-28 2001-07-03 삼양모피 주식회사 다양한 색의 무늬가 형성되는 모피소재
KR20090020859A (ko) * 2007-08-24 2009-02-27 오규헌 가구장식용 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763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28827A1 (en) Placemat having an integrated napkin ring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219085B1 (ko) 액세서리용 부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부자재
KR101852872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US9546030B2 (en) Hat making kit and packaging method therefore
JP2009125424A (ja) 装身具
KR101524613B1 (ko) 리본 장식을 갖는 헤어핀의 제조방법
CN205337890U (zh) 一种可佩戴的装饰品
CN216427567U (zh) 一种家具用手工编织条
JP6111357B1 (ja) かつら、かつらのベース部材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JP3231560U (ja) 飾り紐、アクセサリーおよび装飾品
JP2019044310A (ja) リボン飾り
JP3034272U (ja) 装飾用手芸品
JP3200161U (ja) ボトル用装飾体
KR20150007014A (ko) 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JP3213576U (ja) リボン飾り
KR100266070B1 (ko) 장신구 제조방법
JP3143520U (ja) 簡易装着可能な帯本体および付け帯セット
CN205251021U (zh) 沙发套
TWM615014U (zh) 髮飾品結構
JP4683755B2 (ja) 水引編み飾り輪の編成方法
JP3054304U (ja) 装飾バンド
JPH0440486Y2 (ko)
JPH0632153Y2 (ja) 着せ替え人形
JPS6226135Y2 (ko)
JP3187081U (ja) 装飾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