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574A - 렌즈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574A
KR20090062574A KR1020070129918A KR20070129918A KR20090062574A KR 20090062574 A KR20090062574 A KR 20090062574A KR 1020070129918 A KR1020070129918 A KR 1020070129918A KR 20070129918 A KR20070129918 A KR 20070129918A KR 20090062574 A KR20090062574 A KR 2009006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lens
guide
lens mounting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604B1 (ko
Inventor
이경은
오상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604B1/ko
Priority to US12/315,226 priority patent/US7746581B2/en
Publication of KR2009006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 부재와, 상기 렌즈 장착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리드 스크류를 구비한 구동 수단과,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와 접촉하는 나사부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클립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장착핀과, 상기 장착핀에 끼워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부분 중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장착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사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렌즈 이동 장치를 개시한다.
Figure P1020070129918
렌즈 이동 장치

Description

렌즈 이동 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lens}
본 발명은 렌즈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캠코더와 같은 촬상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캠코더 등와 같은 촬상 장치에는 포커싱(focusing) 또는 줌(zoom) 작용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작용을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렌즈의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경우에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렌즈 이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렌즈가 끼워지는 렌즈 틀과, 렌즈 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과, 렌즈 틀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데, 렌즈 이동 장치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의 구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렌즈 이동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소형의 이동 촬상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 이동 촬상 장치의 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이동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촬상된 화상의 보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렌즈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 부재;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렌즈 장착 부재를 이동시키며, 리드 스크류를 구비한 구동 수단;과,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와 접촉하는 나사부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클립 부재;와, 상기 장착부와 결합하여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장착핀;과, 상기 장착핀에 끼워지고, 일단은 상기 클립 부재에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부분 중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장착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사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렌즈 이동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끼워져,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 부재의 장착부가 장착되는 클립 부재 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에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 부재 설치부에는 두 개의 설치 구멍이 마주보고 형성되며, 상기 장착핀의 양단이 상기 설치 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핀의 중간부는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수단은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이동 장치에 의하면, 촬상된 화상의 보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촬상시 품질이 뛰어난 화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렌즈 이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렌즈 이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렌즈 이동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이동 장치(100)는,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되며, 렌즈 장착 부재(110), 가이드 부재(120), 구동 모터(130), 리드 스크류(140), 클립 부재(150), 장착핀(160)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이동 장치(100)는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이동 장치(100)는, 캠 코더, 프로젝터, 영사기, 휴대전화의 내장형 카메라 등 이동이 가능한 렌즈가 필요한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렌즈 장착 부재(110)는 렌즈 장착부(111)와 클립 부재 설치부(112)를 포함한다.
렌즈 장착부(111)에는 렌즈(111a)(111b)(111c)와 마스크(111d)가 장착된다.
렌즈(111a)(111b)(111c)는 영상광을 통과시키는데, 렌즈(111a)(111b)(111c)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광축이라고 한다.
마스크(111d)는 렌즈 장착 부재(110)에 렌즈(111a)(111b)(111c)를 고정하는 동시에 렌즈(111a)(111b)(111c)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111a)(111b)(111c)가 3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장착부에 장착되는 렌즈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렌즈 장착부에는 1개의 렌즈가 장착될 수 있고, 4개 이상의 렌즈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장착부(111)에는 마스크(111d)가 장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장착부에는 마스크가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렌즈를 렌즈 장착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접착제 등의 별도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클립 부재 설치부(112)는 클립 부재(150)가 장착되는 곳으로서, 렌즈 장착 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클립 부재 설치부(112)는 힌지(hinge) 지지부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장착핀(160)과의 결합을 위해 클립 부재 설치부(112)에는 두 개의 설치 구멍(112a)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한편, 렌즈 장착 부재(110)에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113)들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113)은 가이드 부재(120)에 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렌즈 장착 부재(1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장착 부재(110)에 가이드 구멍(113)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구멍 대신에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렌즈 장착 부재(1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12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가이드 구멍(113)에 끼워져 렌즈 장착 부재(1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20)의 양단은 렌즈 이동 장치(100)가 적용되는 카메라의 케이스나 프레임에 고정되게 된다.
렌즈 장착 부재(110)는 가이드 부재(1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동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가이드 구멍(113)의 내면과 가이드 부재(120)의 외면 사이에는 간극(clearance)(C1)이 필요하게 된다.
즉, 가이드 구멍(113)의 크기가 가이드 부재(120)의 크기보다 커야 억지끼워맞춤이 되지 않게 되어, 렌즈 장착 부재(110)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가이드 구멍(113)의 크기가 가이드 부재(120)의 크기보다 지나치게 크게 되면, 렌즈 장착 부재(110)가 이동하면서 많이 흔들리게 되므로, 촬영되는 화상의 품질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설계자는 가이드 구멍(113)과 가이드 부재(120) 사이에 적절한 간극이 어느 정도인지 실험을 하고, 그에 맞추어 설계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2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게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의 형상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120) 및 가이드 구멍(113)이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구멍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구멍은 각각 3개씩 되어도 된다.
한편, 렌즈 장착 부재(110)를 이동시키는 주된 구동 수단으로는 구동 모터(130)와 리드 스크류(140)가 사용된다.
구동 모터(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 장착 부재(11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구동 모터(130)의 축은, 제어 신호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모터(130)로는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기어 내장 모 터(geared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40)는 구동 모터(130)의 축에 장착되므로, 구동 모터(130)의 작동에 따라 리드 스크류(140)도 회전하게 된다.
리드 스크류(140)의 외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나사는 클립 부재(150)의 나사부(151)와 접촉하여 리드 스크류(140)의 회전 운동을 클립 부재(15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클립 부재(150)는 리드 스크류(14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며, 렌즈 장착 부재(100)를 전체적으로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립 부재(150)는 나사부(151), 장착부(152), 고정 돌기(153)를 구비한다.
나사부(151)는 리드 스크류(14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와 접촉하는데, 리드 스크류(140)가 회전하게 되면, 나사부(151)는 리드 스크류(140)의 나사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된다.
장착부(152)는 클립 부재 설치부(112)에 장착되는 부분인데, 그 중앙에 장착 구멍(152a)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 장착 구멍(152a)에 장착핀(160)이 끼워지게 된다.
고정 돌기(15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일단이 접촉하는 부분이다.
한편, 장착핀(160)은 장착부(152)를 클립 부재 설치부(112)에 장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를 위해, 장착핀(160)의 양 단부는 설치 구멍(112a)에 끼워져 고정되고, 장착핀(160)의 중간부는 장착 구멍(152a)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장착 부(152)는 클립 부재 설치부(112)에 힌지 구조로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클립 부재(150)는 렌즈 장착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클립 부재(150)가 렌즈 장착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려면, 장착핀(160)의 외경이 장착 구멍(152a)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아야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52a)의 내면과 장착핀(160)의 외면 사이에는 간극(C2)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이 사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은 장착핀(160)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는데, 일단(171)은 고정 돌기(153)와 그 부근에 접촉하고, 타단(172)은 클립 부재 설치부(112)의 안쪽에 위치한 사면(112a)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은 비틀림 모멘트가 가해진 압축 상태에서 설치되므로, 최종 설치 후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은 탄성 위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그렇게 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탄성력은, 클립 부재(150)의 나사부(151)를 리드 스크류(140) 방향으로 밀어 나사부(151)를 리드 스크류(140)에 접촉시킨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은 클립 부재(150)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결국에는 렌즈 장착 부재(110)까지도 앞으로 기울어지게 하는데,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그러한 구성과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인데, 설 명의 편의를 위해 장착핀(160)과 장착 구멍(152a) 사이와, 가이드 부재(120)와 가이드 구멍(113) 사이의 기울어짐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실제 설치 모습은 도 3의 경우와 같이 장착핀(160)과 장착 구멍(152a) 사이와, 가이드 부재(120)와 가이드 구멍(113) 사이의 기울어짐이 존재한다.
또한,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인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타단과 클립 부재 설치부의 사면이 접촉하는 모습을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클립 부재에 작용하는 힘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시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일단(171)은 고정 돌기(153)에 걸리도록 설치되고, 타단(172)은 클립 부재 설치부(112)의 안쪽에 형성된 사면(112b)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사면(112b)은 장착핀(16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한 반력으로서 수직력 Fn을 정의할 수 있는데, 수직력 Fn은 사면(112b)으로부터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타단(172)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그러한, 수직력 Fn은 장착핀(160)의 길이 방향의 힘 Ft와 장착핀(16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힘 Fu의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힘 Ft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타단(172)에 작용하게 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일단(171)은 힘 Ft'으로 클립 부재(150)를 밀게 된다.
즉, 장착핀(160)에 끼워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에 상기 힘 Ft이 작용하게 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과 장착핀(16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은 장착핀(160)과의 접촉점(P)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힘 Ft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 Ft'가 클립 부재(150)를 밀게 되므로, 클립 부재(150)도 전체적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그 기울어지는 정도는 장착 구멍(152a)의 내면과 장착핀(160)의 외면 사이의 간극(C2)의 크기에 비례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xyz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일단(171)이 상기 힘 Ft'로 고정 돌기(153) 근방의 접촉면을 x축의 음의 방향으로 밀게 되면, 클립 부재(150)가 전체적으로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클립 부재(150)가 앞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일단(171)은 힘 Ft' 뿐만 아니라 힘 Fu'로 고정 돌기(153)를 밀게 되는데, 이 때 작용하는 힘 Fu'는 상기 힘 Fu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한 힘이다. 즉, 힘 Fu'가 고정 돌기(153)에 작용하게 되면, 클립 부재(150)가 x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클립 부재(150)의 나사부(151)는 리드 스크류(140)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클립 부재(150)가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클립 부재(150)의 나사부(151)가 리드 스크류(140)의 나사와 접촉하고 리드 스크류(140)가 회전하게 되면, 클립 부재(150)의 기울어짐에 의해 렌즈 장착 부재(110)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사면(112b)의 존재는 클립 부재(150)를 클립 부재 설치부(112)에 대하여 앞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더 나아가 렌즈 장착 부재(110)까지도 가이드 부재(120) 및 리드 스크류(140)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한다. 여기서, 렌즈 장착 부재(110)가 기울어지는 경우, 기울어지는 각도(θ)의 크기는 가이드 부재(120)와 가이드 구멍(113)사이의 간극(C1)의 크기에 비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이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반드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지 않더라도, 장착핀에 끼워져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 부재(150)의 기울어짐을 유도할 수 있다면, 다른 종류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로서 중앙에 구멍이 있는 판 스프링,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이동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면(112a)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70)의 타단(172)이 접촉하여 설치됨으로써, 클립 부재(150) 및 렌즈 장착 부재(110)가 리드 스크류(140) 및 가이드 부재(1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앞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렌즈 장착 부재(110)가 기울어지게 되는 현상은, 구동 모터(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던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아니면, 구동 모터(130)가 작동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렌즈 장착 부재(110)는 항상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렌즈(111)(112)(113)의 광축(S)과 렌즈의 이동 방향인 가이드 부재(120)의 연장 방향(W) 사이의 각도는 항상 거의 같은 각도(θ)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그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게 되면, 기울어진 렌즈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렌즈 이동 장치(100)의 구동에 관계없이 렌즈 장착 부재(110)가 항상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므로, 사용자가 촬상된 화상을 보정할 경우에, 항상 동일한 기준으로 기울어진 화상을 바로잡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촬상된 화상의 보정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촬상시 품질이 뛰어난 화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렌즈 이동 장치의 렌즈 장착 부재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렌즈 장착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렌즈 장착 부재(210)는 렌즈(211a) 및 마스크(211d)가 장착된 렌즈 장착부(211)와 클립 부재 설치부(212)를 구비하고, 렌즈 장착 부재(210)에는 두 개의 가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홈(213)에는 가이드 부재(220)가 끼워져 렌즈 장착 부재(2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홈(213)과 가이드 부재(220)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2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게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의 형상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렌즈 장착 부재 및 가이드 부재의 구성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장착 부재(110) 및 가이드 부재(1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렌즈 이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이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 이동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클립 부재에 작용하는 힘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렌즈 장착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렌즈 이동 장치 110, 210: 렌즈 장착 부재
111, 211: 렌즈 장착부 111a, 111b, 111c: 렌즈
111d: 마스크 112, 212: 클립 부재 설치부
112a: 사면 113: 가이드 구멍
120, 220: 가이드 부재 130: 구동 모터
140: 리드 스크류 150: 클립 부재
151: 나사부 152: 장착부
153: 고정 돌기 160: 장착핀
170: 비틀림 코일 스프링 213: 가이드 홈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 부재;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렌즈 장착 부재를 이동시키며, 리드 스크류를 구비한 구동 수단;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와 접촉하는 나사부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클립 부재;
    상기 장착부와 결합하여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장착핀; 및
    상기 장착핀에 끼워지고, 일단은 상기 클립 부재에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부분 중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장착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사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렌즈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끼워져,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렌즈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렌즈 이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 부재의 장착부가 장착되는 클립 부재 설치부가 형성되는 렌즈 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 부재 설치부에는 두 개의 설치 구멍이 마주보고 형성되며, 상기 장착핀의 양단이 상기 설치 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핀의 중간부는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워지는 렌즈 이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렌즈 이동 장치.
KR1020070129918A 2007-12-13 2007-12-13 렌즈 이동 장치 KR10144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918A KR101445604B1 (ko) 2007-12-13 2007-12-13 렌즈 이동 장치
US12/315,226 US7746581B2 (en) 2007-12-13 2008-12-01 Device for transferr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918A KR101445604B1 (ko) 2007-12-13 2007-12-13 렌즈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574A true KR20090062574A (ko) 2009-06-17
KR101445604B1 KR101445604B1 (ko) 2014-09-29

Family

ID=4075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918A KR101445604B1 (ko) 2007-12-13 2007-12-13 렌즈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46581B2 (ko)
KR (1) KR101445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862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KR20110096841A (ko) * 2010-02-23 201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9681B2 (en) * 2007-09-06 2013-04-23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disc apparatus which includes an optical pickup apparatus that includes an optical member driving apparatus
TWI459031B (zh) * 2012-02-07 2014-11-01 Altek Corp 鏡頭變焦結構及其影像擷取裝置
TWI471596B (zh) * 2012-02-09 2015-02-01 Altek Corp 變焦鏡頭結構及其攝像裝置
US20150098142A1 (en) * 2013-10-09 2015-04-09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TWI576631B (zh) * 2015-11-19 2017-04-01 晶睿通訊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及其影像監控設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99B2 (ja) * 1990-10-02 1995-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JP3301261B2 (ja) * 1995-03-01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H1164706A (ja) 1997-08-12 1999-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移動装置
US6134057A (en) * 1997-09-17 2000-10-17 Minolta Co., Ltd. Drive and guide mechanism and apparatus using the mechanism
JPH11264925A (ja)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1242369A (ja) 2000-02-25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6201593A (ja) 2005-01-21 2006-08-03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52152B2 (ja) 2005-06-30 2011-03-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063029B2 (ja) 2006-04-28 2012-10-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862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KR20110096841A (ko) * 2010-02-23 201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53981A1 (en) 2009-06-18
KR101445604B1 (ko) 2014-09-29
US7746581B2 (en)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816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US11719997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20090062574A (ko) 렌즈 이동 장치
JP6672696B2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ボディ
JP6814954B2 (ja) レンズ鏡筒
KR20150091017A (ko) 촬상 장치
US10082639B2 (en) Lens barrel
US8891176B2 (en) 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device
KR101720769B1 (ko) 렌즈 이동 장치
US9798158B2 (en) Optical apparatus capable of retracting optical element from optical path
CN113050340B (zh) 相机模块
JP4324885B2 (ja) ブレ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JPH1039351A (ja) レンズ支持機構及びブレ補正カメラ
CN113994247A (zh) 镜头组件驱动设备和包括该镜头组件驱动设备的相机模块
KR20210011269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00054707A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JP547110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974026B2 (en) Lens moving device and installation unit
WO2010021150A1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7469724B2 (ja) 光学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527321B1 (ko) 카메라 모듈
JP7401226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2010004689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2015227944A (ja)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KR20220039352A (ko)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