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892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892A
KR20100046892A KR1020080105926A KR20080105926A KR20100046892A KR 20100046892 A KR20100046892 A KR 20100046892A KR 1020080105926 A KR1020080105926 A KR 1020080105926A KR 20080105926 A KR20080105926 A KR 20080105926A KR 20100046892 A KR20100046892 A KR 2010004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mera module
lens barrel
hous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운수
박진용
박규택
김태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892A/ko
Publication of KR2010004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배럴과 캐리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고정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캐리어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Camera modul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회로기판 위에 실장된 촬상 소자에 의하여 받아들이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는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하여 영상이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이 촬상 소자에 맺히고, 촬상 소자에 연결된 회로 구조에 의하여 그 영상을 획득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촬상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상적으 로 렌즈 모듈을 돌려서 나사 결합에 의하여 하우징에 결합한다. 이 경우, 렌즈 모듈과 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화상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배럴과 캐리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고정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캐리어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캐리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에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체결 홈이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에 상기 체결 홈과 끼워 맞추어질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이, 빛이 입사되는 외부를 향하는 외측면과, 상기 캐리어와 면접촉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상기 체결 홈이 마련되는 측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의 내부에 상기 렌즈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홈이 상기 측면부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에 상기 캐리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초점 또는 기울어짐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에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가, 상기 결합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체결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캐리어 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본체의 상기 결합면과 접촉되는 면에, 상기 결합면의 형상에 맞추어 마련되는 접착 홈, 및 상기 고정 리브가 삽입되는 고정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홈 및 상기 고정 홈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캐리어 본체의 상기 체결 돌출부 외측에 마련되는 코일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 코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양측면이 각각 상기 캐리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코일 설치부와 부딪치는 내측 요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 면, 렌즈 배럴과 캐리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카메라 모듈(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렌즈 배럴(100)이 생략된 카메라 모듈(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100); 캐리어(200); 및 하우징(300)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에는 렌즈가 고정될 수 있다. 캐리어(200)에는 렌즈 배럴(100)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그 내부에 캐리어(200)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렌즈 배럴(100)이 캐리어(20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의하면, 렌즈 배럴(100)이 캐리어(20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됨으로써, 캐리어(200)에 렌즈 배럴(100)을 조립 시에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리어(200)는 하우징(300)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3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10)은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구동부는 캐리어(200)가 하우징(300)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가 캐리어(200)와 하우징(300) 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300)과 결합되어 하우징(300)과의 사이에 캐리어(200)를 수납하는 케이스(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우징(300)과 케이스(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캐리어(200)가 수납되고, 렌즈 배럴(100)이 캐리어(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렌즈 배럴(100)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렌즈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캐리어(20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는 도 3 및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00)에 캐리어(200)와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체결 홈(110)이 마련되고, 캐리어(200)에 체결 홈(110)과 끼워 맞추어질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출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100)이 캐리어(200)에 체결 돌출부(220)와 체결 홈(110) 사이의 끼워 맞춤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캐리어에 렌즈 배럴을 조립 시에, 렌즈 배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캐리어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에 의하여 캐리어에 렌즈 배럴이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가 렌즈 배럴 보다 직경이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나사 결합에 의한 조립 시에 토크의 관리가 어려워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조립 정밀도에 의하여 기울어짐(tilting)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는, 캐리어(200)의 외경과 렌즈 배럴(100)의 외경이 거의 동일하게 되므로, 외경이 큰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 시의 별도의 토크 관리 등이 필요 없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카메라 모듈(10)에서 상호 결합되는 렌즈 배럴(100)과 캐리어(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카메라 모듈(10)에서 렌즈(105)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00)은 외측면(120)과, 결합면(130), 및 측면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면(120)은 빛이 입사되는 외부를 향하는 면이다. 결합면(130)은 캐리어(200)와 면접촉에 의하여 결합되는 면이다. 측면부(140)에는 결합면(130)과 외측면(120) 사이에 체결 홈(110)이 마련된다.
측면부(140)는 렌즈 배럴(100)의 몸통이 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렌즈(105)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렌즈(105)는 측면부(140)의 내부에 복수 장이 필요에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면부(140)의 내면에 렌즈(105)가 장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부(140)의 체결 홈(110)이 마련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렌즈 고정을 위한 렌즈 고정 홈(1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렌즈 고정 홈(131)에 해당하는 만큼 직경이 큰 렌즈(105)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렌즈 배럴(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렌즈 배럴(100)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 기둥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체결 홈(110)은 측면부(14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면(120)으로부터 결합면(1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200)의 체결 돌출부(220)가 체결 홈(110)을 따라 삽입되어, 렌즈 배럴(100)과 캐리어(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홈(110)은 조립성을 위하여 복수개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측면부(140)의 중심에 대하여 4개의 체결 홈(110)이 마련되었다.
또한, 결합면(130)에는 캐리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리브(131)는 복수개가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체결 홈(110) 사이에 각각 2개의 고정 리브(131)가 구비된다.
결합면(130)은 캐리어(200)에 마련되는 접착 홈(230)에 위치되어 렌즈 배럴(100)과 캐리어(200)가 결합된다. 또한, 고정 리브(131)는 캐리어(200)에 마련되는 고정 홈(240)에 삽입되어, 렌즈 배럴(100)과 캐리어(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캐리어(200)는 캐리어 본체(2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캐리어 본체(210)는 캐리어(200)와 렌즈 배럴(100)의 결합 시에 결합면(130)과 면접촉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체결 돌출부(220)가 캐리어 본체(210)로부터 렌즈 배럴(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 돌출부(220)는 체결 홈(1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체결 홈(110)의 개수만큼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리어 본체(210)의 결합면(130)과 접촉되는 면에는 접착 홈(230) 및 고정 홈(240)이 마련될 수 있다. 접착 홈(230)은 결합면(130)의 형상에 맞추어 홈이 마련되어 이루어져, 캐리어(200)와 렌즈 배럴(100)의 결합 시에 결합면(130)이 접착 홈(230)에 삽입된다.
고정 홈(240)은 고정 리브(131)가 삽입되는 홈이다. 즉, 캐리어(200)와 렌즈 배럴(100)의 결합 시에 고정 리브(131)가 고정 홈(240)에 삽입된다. 캐리어(200)와 렌즈 배럴(100)의 결합 시에는 접착 홈(230) 및 고정 홈(240)에 접착제(25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100)을 캐리어(200)에 조립 시에, 접착 홈(230) 및 고정 홈(240)에 접착제(250)를 도포하고, 접착 홈(230) 및 고정 홈(240)에 각각 고절 리브(131)를 포함한 결합면(1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접착제(250)를 경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배럴(100)의 외측면(120)에 캐리어(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렌즈 배럴(100)에 정착되는 렌즈(105)의 초점 또는 기울어짐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홈(121)이 마련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0)을 캐리어(200)에 끼워 맞추면, 렌즈 배럴(100)의 접촉면(130)에 있는 고정 리브(131)가 고정 홈(240)에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조정 홈(121)에 의하여 렌즈 배럴(100)을 움직여 포커스와 렌즈의 캐리어(200) 또는 촬 상 소자(미도시)에 대한 기울어짐(tilting)을 조정할 수 있다. 포커스 및/또는 기울어짐의 조정이 완료되면, 접착제를 경화시켜 렌즈 배럴(100)을 캐리어(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0)에서 하우징(300)의 내측 요크(310)에 의한 캐리어의 회전 방지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캐리어(200)는 하우징(300)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코일부(320), 및 제2 코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코일부(320)는 하우징(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부(320)는 하우징(300)의 내부에 캐리어(2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부는 캐리어 본체(210)의 체결 돌출부(220) 외측에 마련되는 코일 설치부(2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코일 설치부(211)가 체결 돌출부(220) 외측에 캐리어(2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부(320)는 하우징(3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제2 코일부는 캐리어(2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부(320)와 제2 코일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전기의 인가에 따른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캐리어(200)가 하우징(300)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에 의하여 렌즈(105)의 자동 초점 조절 또는 줌(zoom) 등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스텝 모터(step motor) 또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피에조 구동기(piezo actua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는 캐리어(200)의 하우징(300)에 대한 회전 방지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구동부가 설치되는 캐리어(200)의 하우징(300)에 대한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300)은 내측 요크(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내측 요크(310)의 양측면은 각각 캐리어(200)의 회전에 의하여 캐리어(200)에 설치되는 코일 설치부(211)와 부딪치게 된다. 이때, 내측 요크(310)는 조립성을 고려하여 캐리어(200)의 회전을 일정 정도의 유격을 가지고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도 1 의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카메라 폰(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 폰(1)의 휴대폰 본체(20)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렌즈 배럴(도 2의 100)이 캐리어(도 2의 20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의하면, 렌즈 배럴(100)이 캐리어(20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됨으로써, 캐리어(200)에 렌즈 배럴(100)을 조립 시에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하는 카메라 폰(1)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작 시에도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배럴이 생략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호 결합되는 렌즈 배럴과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의 내측 요크에 의한 캐리어의 회전 방지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폰, 10: 카메라 모듈,
100: 렌즈 배럴, 200: 캐리어,
300: 하우징, 400: 케이스.

Claims (16)

  1.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고정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캐리어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캐리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에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체결 홈이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에 상기 체결 홈과 끼워 맞추어질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돌출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이,
    빛이 입사되는 외부를 향하는 외측면과,
    상기 캐리어와 면접촉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상기 체결 홈이 마련되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부에 상기 렌즈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이 상기 측면부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에 상기 캐리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초점 또는 기울어짐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홈이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결합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체결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캐리어 본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의 상기 결합면과 접촉되는 면에, 상기 결합면의 형상에 맞추어 마련되는 접착 홈, 및 상기 고정 리브가 삽입되는 고정 홈이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홈 및 상기 고정 홈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캐리어 본체의 상기 체결 돌출부 외측에 마련되는 코일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 코일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양측면이 각각 상기 캐리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코일 설치부와 부딪치는 내측 요크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메라 모듈; 및 본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80105926A 2008-10-28 2008-10-2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00046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26A KR20100046892A (ko) 2008-10-28 2008-10-2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26A KR20100046892A (ko) 2008-10-28 2008-10-2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92A true KR20100046892A (ko) 2010-05-07

Family

ID=4227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926A KR20100046892A (ko) 2008-10-28 2008-10-28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8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68B1 (ko) * 2011-01-03 2012-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09866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68B1 (ko) * 2011-01-03 2012-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09866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834B2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KR100649638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렌즈 이송장치
US7602439B2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582553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4493046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KR20160103437A (ko)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070127325A1 (en) Lens driving unit
WO2016152160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201751792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TWM509915U (zh) 具有自動對焦機構的鏡頭模組及電子裝置
KR102569642B1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05276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1983767A (zh) 潜望式镜头模组及移动终端
US7446963B2 (en) Lens actuating device
US7417805B2 (en) Camera device
JP20092443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20224274A1 (en) Lens barrel and camera
JP2010068635A (ja) アクチュエータ、該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撮像機器および電子機器
US20090251807A1 (en) Lens module
KR102145831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62574A (ko) 렌즈 이동 장치
US20150015954A1 (en) Camera module
KR2010004689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N215297913U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电子装置
KR2011002487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