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168B1 -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168B1
KR101159168B1 KR1020110000098A KR20110000098A KR101159168B1 KR 101159168 B1 KR101159168 B1 KR 101159168B1 KR 1020110000098 A KR1020110000098 A KR 1020110000098A KR 20110000098 A KR20110000098 A KR 20110000098A KR 101159168 B1 KR101159168 B1 KR 10115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uto focusing
housing
module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모듈에서 광학계의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보빈의 구조를 특화시킨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토 포커싱 모듈의 보빈 구조가 외주연에 코일 권취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삽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며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수단 수용부가 형성된 렌즈 고정용 단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고정용 단턱에 접착수단 수용부를 형성하여 에폭시 등의 접착수단이 접착수단 수용부에 진입하여 고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착 후 렌즈 고정용 단턱과 에폭시 고착물이 톱니 물림 형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에폭시 깨짐에 의한 렌즈 풀림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having auto focusing module}
본 발명은 오토 포커싱 모듈의 보빈 구조가 특화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폭시 접합부를 톱니 물림 형상으로 하여 에폭시 깨짐에 의한 렌즈 풀림을 방지한 새로운 구조의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유행과 더불어 저가형 휴대폰 등에도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카메라 모듈은 점차 경박단소화 되면서 고기능이 집적된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의 해상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줌(zoom) 및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AF(Auto Focusing) 모듈은 통상 VCM(Vocie Coil Motor)을 포함한다. VCM은 스피커 코일에 흐르는 보이스 전류와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진동판을 진동하는 모터로서, 단거리 직선 왕복 운동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AF 모듈의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보빈을 구성하는 하우징(1)의 외주연은 코일이 권취되는 코일 권취부(2)를 형성하며, 중공의 개구부(3)에는 렌즈가 수용된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이 AF 모듈 내부를 직선 왕복하면서 오토 포커싱을 실시한다.
하우징(1) 내부에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의 상부에는 에폭시 접합을 위한 돌출턱(4)이 형성된다. 도 2에서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보인 바와 같이 돌출턱(4)의 내측면과 상측면에 에폭시가 도포된다.
그런데, 도 3에서 보인 평면도에서 확대 도시하여 보인 바와 같이 에폭시가 고착되면 돌출턱(4)의 내측면에 면접촉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접합구조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고착된 에폭시가 쉽게 깨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 풀림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한편,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5는 AF 모듈 혹은 VCM의 외장 케이스이다.
본 발명은 오토 포커싱 모듈 보빈의 하우징 상부에 형성된 돌출턱을 특화된 구조로 개량하여 에폭시가 고착된 후에 톱니 물림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에폭시가 쉽게 깨지지 않도록 하고 그에 기인한 렌즈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 모듈의 보빈은, 외주연에 코일 권취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으로 접착수단을 수용하는 접착수단 수용부가 형성된 렌즈 고정용 단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고정용 단턱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접착수단 수용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고정용 단턱의 외측에는 접착수단의 오버 플로우를 방지하는 방지턱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고정용 단턱이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접착수단 수용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 포커싱 모듈 보빈의 하우징 상단부에 구비된 렌즈 고정용 단턱에 접착수단 수용부를 형성하여 에폭시 등의 접착수단이 상기 수용부에 흘러 들어 고착되도록 함으로써, 에폭시가 고착 후에 렌즈 고정용 단턱과 톱니 물림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이에 따라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에폭시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렌즈 풀림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오토 포커싱 모듈의 보빈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빈을 부분 절개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오토 포커싱 모듈의 보빈의 설치 상태를 묘사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모듈 보빈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에폭시 고착의 예를 묘사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모듈 보빈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보빈의 상부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빈은 통상의 오토 포커싱 모듈에 적용되는 보빈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0)의 외주연에 코일 권취부(12)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중앙에는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삽입구(14)가 형성된다.
렌즈 삽입구(14)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렌즈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이 사용된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에폭시를 도포하기 위한 렌즈 고정용 단턱(16a, 16b)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렌즈 고정용 단턱(16a, 16b)은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4방위에 돌출 형성되었으나, 이보다 적게 또는 많은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단턱(16a, 16b)은 내측으로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수용하는 접착수단 수용부(18)를 구비한다. 접착수단 수용부(18)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렌즈 고정용 단턱(16a, 16b)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접착수단 수용부(18)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렌즈 고정용 단턱은 제1단턱(16a)과 제2단턱(16b)으로 분할된다.
만약, 에폭시의 도포량을 잘 조절한다면, 에폭시가 접착수단 수용부(18)를 지나서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공정 조건이 까다로워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착수단 수용부(18)에는 에폭시의 오버 플로우를 방지하는 방지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접착수단 수용부(18)가 개구된 상태로 예시하였지만, 접착수단 수용부(18)의 후방, 즉 하우징(10)의 외주면 쪽에는 에폭시의 오버 플로우를 방지하는 방지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일실시예일 뿐이며, 각각의 렌즈 고정용 단턱은 복수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고정용 단턱 각각에는 복수개의 접착수단 수용부(18)가 형성될 것이다.
다른 예로서, 렌즈 고정용 단턱을 절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접착수단 수용부(1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오목하게 파인 접착수단 수용부(18) 내부로 에폭시가 유입되지만, 렌즈 고정용 단턱 자체로서 에폭시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5는 에폭시 고착의 예를 묘사한 평면도이다. 도 5에서 보빈의 외측에 도시된 도면부호 20은 AF(Auto Focusing) 모듈 혹은 VCM(Voice Coil Motor)의 외장 케이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고정용 단턱의 제1단턱(16a)과 제2단턱(16b) 사이로 에폭시가 유입된다. 즉, 에폭시가 단턱의 내측면에만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수단 수용부(18)측으로 흘러 들어 고착된다.
따라서 에폭시 고착물과 렌즈 고정용 단턱(16a, 16b)이 마치 톱니바퀴가 맞물린 것과 같은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풀리지 않는다. 즉,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렌즈 풀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2 : 코일 권취부
14 : 렌즈 삽입구 16a, 16b : 렌즈 고정용 단턱
18 : 접착수단 수용부

Claims (4)

  1.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 모듈의 보빈은,
    외주연에 코일 권취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삽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으로 접착수단을 수용하는 접착수단 수용부가 형성된 렌즈 고정용 단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용 단턱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접착수단 수용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용 단턱의 외측에는 접착수단의 오버 플로우를 방지하는 방지턱이 더 형성된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고정용 단턱이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접착수단 수용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00098A 2011-01-03 2011-01-03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15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98A KR101159168B1 (ko) 2011-01-03 2011-01-03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98A KR101159168B1 (ko) 2011-01-03 2011-01-03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168B1 true KR101159168B1 (ko) 2012-06-22

Family

ID=4668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098A KR101159168B1 (ko) 2011-01-03 2011-01-03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1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892A (ko) * 2008-10-28 2010-05-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00052083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892A (ko) * 2008-10-28 2010-05-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00052083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012B2 (en) Lens driving device
KR102370739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JP603896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6103697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6006239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TWI492493B (zh) 音圈馬達
JP606773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WO2010055718A1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5040917A (ja) レンズ駆動装置
US20160187612A1 (en) Lens Driving Module and Spring Plate Thereof
JP2014206591A (ja) レンズ保持装置
JP20092443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70302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10024871A (ko) 카메라 모듈
KR101159168B1 (ko) 오토 포커싱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77916A (ko) 하우징,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07310276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10065051A (ko) 카메라 모듈
JP2017227695A (ja) レンズ駆動装置
TW201809847A (zh) 鏡頭驅動裝置
KR20110024878A (ko) 카메라 모듈
KR2022014380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0013910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1128454A (ja) レンズ保持装置
JP2008233298A (ja) 八角形マイクロレンズのピント合わせ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