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364A -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 Google Patents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364A
KR20090062364A KR1020070129562A KR20070129562A KR20090062364A KR 20090062364 A KR20090062364 A KR 20090062364A KR 1020070129562 A KR1020070129562 A KR 1020070129562A KR 20070129562 A KR20070129562 A KR 20070129562A KR 20090062364 A KR20090062364 A KR 2009006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stocker
work
vehicl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364A/ko
Publication of KR2009006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 가공설비에서 가공된 워크가 자동으로 회전 적재된 다음, 열처리 바에 바로 적재되어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됨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제작비를 절감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어 가공설비에서 가공된 워크를 열처리 공정을 위한 열처리 트래이로 이송적재하기 위한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있어서,
자동화 로더에 의해 워크가 놓이는 언로딩부; 상기 언로딩부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진 동작하는 복수의 푸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 상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언로딩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를 제공한다.
가공, 기어, 워크, 열처리, 스토커

Description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Out-stocker of gear manufactu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 가공설비에서 가공된 워크가 자동으로 회전 적재된 다음, 열처리 바에 바로 적재되어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됨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제작비를 절감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기어를 가공하는 라인에는 공정마다 가공된 워크(work)를 적재하는 아웃 스토커가 설치된다.
그 중 아웃 스토커에 적재된 워크를 열처리 공정으로 이동적재하기 위하여 열처리 트래이(tray)에 적재한 다음, 열처리 라인으로 이송한다.
첨부한 도 1은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레이아웃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수평적재방식 아웃 스토커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종래 인덱스방식 아웃 스토커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개략적 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종래 V블록 수직적재방식 아웃 스토커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종래 수평적재방식 아웃 스토커를 도시한 동작도이다.
종래 아웃 스토커의 적재 방식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수평적재방식은 가공된 워크를 자동화 로더가 언로딩부에 내려놓으면 체인의 구동으로 워크가 이동되어 수평으로 적재하고, 작업자가 상기 워크의 자세를 90°반전하여 대차에 수동으로 적재한 다음, 열처리 바(bar)에 8개씩 적재하여 열처리 트래이로 이송한다.
이는 가공된 워크를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시, 작업자가 워크를 1개씩 세워서 수동으로 적재한 다음,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해야 하므로 이중 핸들링이 발생하여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재가능수량이 3열 기준 60개로 아웃 스토커의 워크 적재수량이 감소하여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덱스 방식은 가공된 워크를 자동화 로더가 컨베이어의 바에 적재한 다음, 열처리 바에 8개씩 적재하여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컨베이어 바에 적재된 워크를 다시 열처리 바로 적재하므로 이중 작업이 발생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작업중 작업자가 과도하게 허리를 굽혀야 하기 때문에 근골격계에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V블록 수직 적재 방식의 경우, V블록에 자동화 로더가 워크를 90°반전하여 적재한 다음, 열처리 바에 8개씩 적재하여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한다.
이 방식은 V블록 상에 놓인 워크에 열처리 바를 꽂을 여유공간이 없고, 워크가 밀착한 상태로 적재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없는 문제가 있어 자동화 로더에 반전장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종래 아웃 스토커는 대차에 이동적재한 다음 열처리 트래이로 이동적재하는 이중 작업이 필요하거나, 언로딩 자동화 장치나 반전장치가 요구되어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에서 가공된 워크를 자동으로 90°회전 적재한 다음, 열처리 트래이의 열처리 바에 적재되는 워크 수량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적재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어 가공설비에서 가공된 워크를 열처리 공정을 위한 열처리 트래이로 이송적재하기 위한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있어서,
자동화 로더에 의해 워크가 놓이는 언로딩부; 상기 언로딩부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진 동작하는 복수의 푸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 상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언로딩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은 상기 평판에서 상기 푸셔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열로 장착되고, 각 열은 열처리 트래이의 열처리 바에 적재되는 워크의 개수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켓은 상단부와 측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워크가 안착삽입되는 포켓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는 가공된 워크를 바로 열처리 바에 적재 가능하여 이중 핸들링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후공정인 열처리 라인에 이동적재시 작업이 편리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화 로더에 반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설비비용이 절감되고, 포켓 사용으로 워크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스토커의 포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스토커를 이용하는 작업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워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되는 아웃 스토커는 가공된 워크(400)가 적재되어 자동으로 반전(90°회전)되되, 열처리 트래이(500)의 열처리 바(510)에 적재되는 수량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적재되어, 바로 열처리 바(510)에 적재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 로더에 의해 워크(400)가 놓이게 되는 언로딩부(200)의 전단부에 전후진 동작하는 푸셔(pusher)(300)가 3개 장착되고, 상기 언로딩부(200)의 후방에 포켓(140)이 장착된 컨베이어(100)가 설치된다.
상기 푸셔(300)는 워크(400)를 안정적으로 밀어 전진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 기 위하여, 워크(400)의 형상에 일부 대응되도록 측부가 반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구동수단(110)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120) 상에 평판(130)이 장착되고, 상기 평판(130)의 상단에는 다수의 포켓(140)이 장착되되, 상기 푸셔(300)의 간격에 맞춰 3열로 구성되고, 각 열은 열처리 바(510)의 워크적재 수량에 맞춰 8개의 포켓(140)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상기 포켓(140)은 상기 푸셔(300)가 작동하여 워크(400)가 삽입되고, 상기 체인(120)에 의해 회전하는 평판(130)을 따라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워크(400)를 자동으로 90° 회전시키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140)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되, 워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어 포켓홈(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홈(141)에 삽입된 워크(400)에 열처리 바를 직접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포켓(140)의 측면부를 개구한다.
이때, 상기 워크(400)가 포켓홈(141)에 삽입되어 이탈하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일부만 개구하도록 한다.
상기 포켓(140)은 워크(4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회전 및 워크(400)의 수직 적재가 가능하고, 상이한 워크에 적용이 가능하여 공용화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 로더가 가공된 워크(400)를 수평으로 언로 딩부(200)에 놓으면 푸셔(300)가 전진하여 워크(4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대기중인 포켓(140)의 포켓홈(141)으로 삽입시킨다.
다음, 구동수단(110)에 의해 컨베이어(100)의 체인(120)이 회전하면, 동시에 평판(130)이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포켓(140)이 회전이동하게 되어, 포켓홈(141)에 워크(400)가 자동으로 90°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적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워크(400)를 포켓홈(141)에 적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바(510)를 상기 워크(400) 중앙에 직접 끼워 바로 열처리 트래이(500)로 이동적재한다.
이때, 상기 포켓(14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처리 바(510)에는 8개의 워크(400)가 적재된다.
하나의 열처리 트래이에는 160개의 워크가 적재된다. 기존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하는데 걸린 시간은 대차에 이동적재하는 시간 18분과 열처리 트래이에 이동적재하는 시간 3분으로 총 21분이 소요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트래이로 바로 이동적재하는데 총 3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열처리 트래이당 18분이 절감되고, 1일 생산수량인 800개의 워크를 이동적재하는 시간은 90분이 절감되어 가동율이 106.7%로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워크 자세를 반전하기 위한 별도의 반전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에 반전 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레이아웃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수평적재방식 아웃 스토커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종래 인덱스방식 아웃 스토커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종래 V블록 수직적재방식 아웃 스토커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종래 수평적재방식 아웃 스토커를 도시한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스토커의 포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스토커를 이용하는 작업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워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베이어 110 : 구동수단
120 : 체인 130 : 평판
140 : 포켓 141 : 포켓홈
200 : 언로딩부 300 : 푸셔
400 : 워크 500 : 열처리 트래이
510 : 열처리 바

Claims (3)

  1. 기어 가공설비에서 가공된 워크를 열처리 공정을 위한 열처리 트래이로 이송적재하기 위한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에 있어서,
    자동화 로더에 의해 워크가 놓이는 언로딩부;
    상기 언로딩부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진 동작하는 복수의 푸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 상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언로딩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평판에서 상기 푸셔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열로 장착되고, 각 열은 열처리 트래이의 열처리 바에 적재되는 워크의 개수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단부와 측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워크가 안착삽입되는 포켓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KR1020070129562A 2007-12-13 2007-12-13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KR20090062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62A KR20090062364A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62A KR20090062364A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364A true KR20090062364A (ko) 2009-06-17

Family

ID=4099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562A KR20090062364A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3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940A (zh) * 2016-12-25 2017-05-24 重庆润跃机械有限公司 一种齿轮转移设备
CN109733910A (zh) * 2019-01-17 2019-05-10 嘉兴学院 一种模块化料箱智能装卸实验台与方法
CN110065771A (zh) * 2019-06-01 2019-07-30 邯郸市复兴区耀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理瓶功能的氧气瓶输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940A (zh) * 2016-12-25 2017-05-24 重庆润跃机械有限公司 一种齿轮转移设备
CN109733910A (zh) * 2019-01-17 2019-05-10 嘉兴学院 一种模块化料箱智能装卸实验台与方法
CN110065771A (zh) * 2019-06-01 2019-07-30 邯郸市复兴区耀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理瓶功能的氧气瓶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1762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or unloading machine tools or the like
US85901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machining machine for machining boards
EP0225858A1 (en) Material storing and supplying system
KR101727365B1 (ko) 자동 공구 수납 기구
CN208616867U (zh) 物品取放装置
KR101232007B1 (ko) 자동공구 수납기구
JP2001162465A (ja) 組立加工装置
CN111038958A (zh) 物料托盘转移装置及物料托盘转移方法
TW201637750A (zh) 具有自動搬運器的鍛造機
CN104759935A (zh) 板料多工位输送装置
JP2008272855A (ja) パレット受け渡しシステム
KR20090062364A (ko) 차량용 기어 가공설비의 아웃 스토커
US10882151B2 (en) Automatic pallet changer in machine tool
CN103826797B (zh) 机床
KR20160034402A (ko) 기판 처리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기록 매체
JP6822801B2 (ja) ワーク搬出入装置及び平面加工システム
US20090294249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Workpiece Holders
JP2001253530A (ja) 搬送コンベア
JP2018005986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
CN210029184U (zh) 一种加工中心自动料仓
CN104723109A (zh) 一种全自动数控镗铣床加工单元
CN210360140U (zh) 电脑主机箱组装设备
CN109250425B (zh) 一种电动机盖双向输送加工方法
KR20160101514A (ko) 그리퍼가 구비된 로봇을 이용한 부품 이송 시스템
CN112437977A (zh) 基板处理装置以及基板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