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68A -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68A
KR20090062268A KR1020070129410A KR20070129410A KR20090062268A KR 20090062268 A KR20090062268 A KR 20090062268A KR 1020070129410 A KR1020070129410 A KR 1020070129410A KR 20070129410 A KR20070129410 A KR 20070129410A KR 20090062268 A KR20090062268 A KR 20090062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il
oil temperature
modeling
engin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268A/ko
Publication of KR2009006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5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오일온도를 모델링을 통해 추정하고, 이를 통해 오일압력을 추정하여 경고등 점등조건이면 엔진 회전수를 상승 제어하여 엔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방법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 온 상태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온도 플래그를 설정한 다음 엔진회전수, 부하, 차속,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엔진회전수 및 부하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기본 맵에서 냉각수온에 따른 오일온도 모델링 값을 추출하고, 가중치 맵에서 차속과 외기온도에 따른 가중펙터값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냉각수온에 따른 값과 차속 및 외기온도에 따른 가중펙터 값을 적용하여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여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는 과정, 오일온도 모델링으로 추정되는 오일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이면 엔진회전수 상승제어를 실행하여 오일온도를 기준온도 이하로 하강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냉각수온, 오일온도, 오일압력, 모델링,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

Description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SYSTEM FOR MODELING OIL TEMPERATUR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오일온도를 모델링을 통해 추정하고, 이를 통해 오일압력을 추정하여 경고등 점등조건이면 엔진 회전수를 상승 제어하여 엔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엔진의 오일압력을 검출하여 설정된 기준압력(0.3bar) 이하로 판단되는 경우 클러스터에 설치된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오일압력 검출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엔진의 오일압력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엔진 본체에 오일압력센서 및 오일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Wire)를 장착하고, 엔진제어장치인 ECU는 오일압력센서에서 계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오일압력이 기준압력인 0.3bar 이하로 계측되면 오일 경고등을 점등시킨다.
이와 같이 엔진본체에 오일압력센서 및 와이어 결선 등을 적용하는 경우 차량의 실질적인 제작원가를 상승시켜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생산력을 저하시키 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오일압력센서 및 와이어 결선의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엔진의 운전조건에 따라 오일온도를 모델링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오일온도 모델링은 오일온도와 냉각수온의 차이로 결정되는 맵 값에 시동 후 누적 공기량 적분치의 맵 값(MAP Data)을 오프셋(Offset)으로 적용하고, 이로부터 추출되는 값에 현재의 냉각수온 값을 더하며, 여기에 엔진회전수별 시상수를 적용하여 단순 적용하여 오일온도를 추정한다.
상기한 방법의 오일온도 모델링은 고속 및 정속 주행시에는 오일온도 센서를 통해 실측되는 오일온도에 따라 냉각수온과 오일온도 차이를 오프셋 조건으로 적용하여 운전조건에 맞도록 매핑(Mapping)할 수 있다.
그러나, 감가속조건과 주행도중 정차 및 장기 방치 등의 조건에서 엔진 오일 온도가 감소 할 경우에는 오일온도 모델링을 제어 할 수 있는 인자가 없어 정상적인 오일온도 모델링이 제공되지 못한다.
따라서, 차량을 고속으로 주행한 다음 정차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오일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므로 오일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예를 들어 130℃이상이고 이에 따라 오일압력이 저하되어 설정된 기준압력, 예를 들어 0.3bar 이하가 되면 오일 경고등 점등조건이 만족되어 오일 경고등이 점등된다.
종래의 차량에는 오일 경고등 점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오일압력을 상승시키는 방법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운전에 따라 오일압력 저하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오일온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는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엔진의 불안전 연소를 발생시키고 윤활 시스템에 문제를 발생시켜 엔진 본체에 큰 악영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외에 오일압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일본공개특허 제2002-147214호에는 두개의 유압검출수단을 구비하고, 흡기관의 내부압력과 엔진회전수에 대응하여 오일압력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며, 유압의 복귀 가능성이 있는 경우 소정시간 동안 출력을 유지한 다음 오일압력의 이상여부를 재확인하여 오일 경고등이 오점등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152826호에는 엔진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상태에서 유압이 기준압력 이하로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검출되면 오일의 유량부족으로 판단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일온도 모델링을 통해 운전조건에 따른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정확하게 추정하고, 필요한 조건에서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여 엔진 불안전 연소에 의한 연비 및 출력 저하와 윤활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고속 주행도중 정차로 인하여 오일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모델링되고,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이하로 추정되어 오일 경고등 점등조건을 만족하면 히스테리시스 특정을 적용한 엔진회전수의 상승 제어를 실행하여 오일압력을 기준압력 이하로 저하시켜 오일 경고등이 오점등되는 현상과 불필요한 연료 소비가 발 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는,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에 배치되어, 엔진 본체 및 실린더 블록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검출수단;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검출수단;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로부터 주행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 차량이 운행되는 지역의 대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검출수단; 차량의 운전정보를 검출하여 냉각수온의 조건에 따라 오일온도 모델링을 통해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고, 오일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추정되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시켜 오일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수단; 엔진회전수와 부하의 조건을 설정되는 기본 맵과 차속 조건으로 설정되는 가중 펙터값, 외기온도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가중 펙터값, 감가속 조건에 따른 엔진회전수별 시상수 맵이 스테이드 스테이트 조건으로 설정되는 메모리수단;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의 개폐가 제어되어 연산된 연료를 연소실에 분사하는 연료분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 방법은, 엔진의 시동 온 상태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온도 플래그를 설정한 다음 엔진회전수, 부하, 차속,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엔진회전수 및 부하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기본 맵에서 냉각수온에 따른 오일온도 모델링 값을 추출하고, 가중치 맵에서 차속과 외 기온도에 따른 가중펙터값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냉각수온에 따른 값과 차속 및 외기온도에 따른 가중펙터 값을 적용하여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여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는 과정; 오일온도 모델링으로 추정되는 오일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이면 엔진회전수 상승제어를 실행하여 오일온도를 기준온도 이하로 하강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서 엔진 본체에 오일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와이어링이 배치되어 않아 제작원가의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오일 경고등이 점등되는 조건을 정확히 모델링함으로써, 필요한 조건에서만 엔진회전수를 증가시켜 오일온도의 지속 상승으로 인한 엔진 불안전 연소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연비향상을 제공하며, 윤활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에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오일압력이 오일 경고등 점등 조건을 만족하지 않도록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는 과정에서 오일온도가 130℃ 이상이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하고 126℃ 이하이면 엔진회전수를 정상으로 복귀하는 히스테리시스를 적용하여 연비향상의 효과가 기대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오일압력 모델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온검출부(101)와 엔진회전수 검출부(102), 차속검출부(103), 외기온검출부(104), 제어부(105), 메모리부(106) 및 인젝터(107)를 포함한다.
이외에 차량에서 더 많은 다양한 검출수단이 제공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요소들은 통상의 구성 및 기능이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수온검출부(101)는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에 배치되어, 엔진 본체 및 실린더 블록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105)에 제공한다.
엔진회전수 검출부(102)는 엔진의 출력축인 크랭크 샤프트(Crank Shift)의 각도 변화를 검출하는 크랭크 각 센서 혹은 흡배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캠 샤프트(Cam Shift)의 각도 변화를 검출하는 캠 각 센서로 이루어지며, 현재의 엔진회전수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105)에 제공한다.
차속검출부(103)는 변속기의 출력축에 배치되어 출력축의 회전수로부터 주행 차속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105)에 제공한다.
외기온 검출부(104)는 차량이 운행되는 지역의 대기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105)에 제공한다.
제어부(105)는 상기의 구성요소로부터 차량의 제반 운전정보를 검출하고,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서 오일온도 모델링을 통해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고, 오일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추정되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시켜 오일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냉각수온의 온도조건을 냉간(Cold)운전과 난기(Warm) 운전의 조건으로 구분하여 냉각수온이 80℃ 이하를 유지하는 조건에서는 오일온도를 추정하는 모델링을 냉각수온에 따라 실행하며, 가속 및 감속 조건에서 온도 기울기를 계산하고 이를 시상수로 적용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냉각수온이 80℃ 이상을 유지하는 조건에서는 메모리부(106)에 설정된 엔진회전수(RPM)와 부하의 조건으로 설정된 기본 맵(Map)을 적용하고, 스테이드 스테이트(Steady state) 조건으로 각 엔진회전수와 부하별로 실제오일온도가 측정되어 설정된 맵 데이터를 오일온도 모델링에 스테이 스테이트 조건으로 적용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스테이드 스테이드 조건에서 차속별 및 외기온도별 조건에 따른 가중 펙터(Weighting Factor)를 적용하여 고온조건(여름철 조건)의 기본 맵으로 적용한다.
상기 고온조건에서의 오일온도 모델링 값을 toelk_w(오일온도 모델링 값) = 기본 맵값(엔진회전수, 부하별) X 차속 조건 가중 펙터값 X 외기온 조건 가중 펙터값으로 결정되며, 상기의 식에 가속 및 감속조건에 따른 각 엔진 회전수별 시상수를 계산한 오일온도 모델링으로 실측치와 유사한 거동을 갖는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이 추정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오일온도가 경고등의 점등 조건인 설정된 기준온도, 예를 들어 130℃ 이상으로 추정되면 오일압력을 상승을 위해 오일온도별로 정차시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여 오일 경고등이 점등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는 과정에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적용하여, 예를 들어 오일온도가 130℃ 이상이면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여 오일압력이 0.3bar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오일온도가 126℃ 이하로 검출되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종료하고 정상적인 엔진회전수의 제어로 복귀하여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메모리부(106)는 엔진회전수와 부하의 조건을 설정되는 기본 맵과 차속 조건으로 설정되는 가중 펙터값 및 외기온도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가중 펙터값이 맵 데이터로 설정되며, 스테이드 스테이트 조건으로 설정된다.
인젝터(107)는 상기 제어부(105)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의 개폐가 제어되어 연산된 연료가 엔진의 각 연소실에 분사하여 준다.
전술한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오일온도를 모델링하여 오일압력을 추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시동이 온을 유지하는 상태에서(S101) 제어부(105)는 수온검출 부(101)에서 인가되는 냉각수의 정보를 분석하여(S102) 설정된 기준온도, 예를 들어 80℃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S103의 판단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예를 들어 80℃ 이상으로 검출되면 제어부(105)는 기준온도 이상을 지시하는 플레그를 설정한 다음 스테이드 스테이트 조건의 오일온도 모델링이 설정되도록 한다(S104).
이후, 엔진회전수와 부하, 차속, 외기온을 검출한 다음(S105) 메모리부(106)에 엔진회전수와 부하 조건으로 설정되는 기본 맵을 적용하여(S106) 기본 맵으로부터 오일온도를 모델링하기 위한 맵 값을 추출한다(S107).
그리고, 현재의 주행차속과 외기온을 검출하여 메모리부(106)에 설정된 차속 및 외기온의 가중펙터 맵으로부터 차속조건 및 외기온의 조건에 따른 가중펙터 값을 결정한다(S108).
이후,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값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한다(S109).
toelk_w(오일온도 모델링 값) = 기본 맵값(엔진회전수, 부하별) X 차속 조건 가중 펙터값 X 외기온 조건 가중 펙터값
상기한 오일온도 모델링으로 추정되는 오일온도가 경고등의 점등 조건인 설정된 기준온도, 예를 들어 130℃ 이상으로 추정되고, 오일온도의 추정으로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예를 들어 0.3bar 이하로 추정되면 제어부(105)는 오일온도에 따른 연료 보정량을 결정한 다음 인젝터(107)를 통해 연소실에 분사하여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한다(S110).
따라서, 오일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예를들어 0.3bar 이상으로 상승되어 오일 경고등이 점등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S110의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에 의해 오일온도가 하강되어 설정된 일정온도 이하로 되며, 이에 따라 오일압력이 설정된 기준압력, 예를 들어 0.3bar 이상으로 복귀되었는지 판단한다(S111)(S112).
오일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하강되고,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되었으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종료한 다음 운전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정상 제어로 복귀한다(S113).
상기 오일온도의 추정에 따라 엔진회전수의 상승을 제어함에 있어 히스테리스시스를 적용하여, 예를 들어 오일온도가 130℃ 이상이면 엔진회전수를 상승제어하고, 이에 따라 오일온도가 126℃ 이하로 검출되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종료한 다음 정상적인 엔진회전수의 제어로 복귀하여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S103의 판단에서 냉각수온 설정된 기준온도, 예를 들어 80℃ 이하의 상태로 검출되면 수온변화 조건이 적용되는 오일온도 모델링의 플래그를 설정한다(S120).
이후, 엔진회전수와 부하 및 차속을 검출한 다음(S121) 감속이나 가속 혹은 장치방치 등의 적용조건을 판단하고(S122), 감가속 조건에 따른 엔진 회전수 시상수 맵을 적용하여(S123)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며(S124) 추정되는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의 조건에 따라 엔진회전수의 상승 여부를 제어한다(S125).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서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수온검출부 102 : 엔진회전수 검출부
103 : 차속검출부 104 : 외기온 검출부
105 : 제어부 106 : 메모리부

Claims (14)

  1.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에 배치되어, 엔진 본체 및 실린더 블록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검출수단;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검출수단;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로부터 주행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
    차량이 운행되는 지역의 대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검출수단;
    차량의 운전정보를 검출하여 냉각수온의 조건에 따라 오일온도 모델링을 통해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고, 오일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추정되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시켜 오일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수단;
    엔진회전수와 부하의 조건을 설정되는 기본 맵과 차속 조건으로 설정되는 가중 펙터값, 외기온도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가중 펙터값, 감가속 조건에 따른 엔진회전수별 시상수 맵이 스테이드 스테이트 조건으로 설정되는 메모리수단;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의 개폐가 제어되어 연산된 연료를 연소실에 분사하는 연료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회전수검출수단은 엔진의 출력축인 크랭크 샤프트의 각도 변화를 검출하는 크랭크 각 센서 혹은 흡배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캠 샤프트의 각도 변화를 검출하는 캠 각 센서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냉각수온의 온도조건을 냉간 운전과 난기 운전의 조건으로 구분하여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냉각수온이 기준온도 이하이면 냉각수온에 가속 및 감속 조건에 따른 엔진회전수별 시상수를 적용하여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냉각수온이 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된 엔진회전수와 부하의 조건으로 설정된 기본 맵과 차속별, 외기온도별 조건에 따른 가중 펙터를 적용하여 스테이드 스테이 조건으로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오일온도 모델링으로 추정되는 오일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기준온도 이하이면 오일온도의 조건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 어하여 오일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히스테리시스를 적용하여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오일온도가 130℃ 이상이면 엔진회전수를 상승 제어하고, 이에 따라 오일온도가 126℃ 이하로 검출되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종료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오일온도 모델링을 위한 냉각수온의 기준온도를 80℃로 설정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10. 엔진의 시동 온 상태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면 온도 플래그를 설정한 다음 엔진회전수, 부하, 차속,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과정;
    엔진회전수 및 부하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기본 맵에서 냉각수온에 따른 오일 온도 모델링 값을 추출하고, 가중치 맵에서 차속과 외기온도에 따른 가중펙터값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냉각수온에 따른 값과 차속 및 외기온도에 따른 가중펙터 값을 적용하여 오일온도 모델링을 실행하여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는 과정;
    오일온도 모델링으로 추정되는 오일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이면 엔진회전수 상승제어를 실행하여 오일온도를 기준온도 이하로 하강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온이 기준온도 이하이면 수온변화 조건에 따른 오일온도 모델링 플래그를 설정한 다음 엔진회전수, 부하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기본 맵에서 오일온도 모델링 값을 추출하는 과정;
    감가속의 조건을 판단하여 감가속에 따른 엔진회전수별 시상수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엔진회전수, 부하의 조건에서 추출되는 값과 엔진회전수별 시상수를 적용하여 오일온도를 모델링하여 오일온도 및 오일압력을 추정하는 과정;
    상기 추정되는 오일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기준압력 이하이면 엔진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여 오일온도를 기준온도 이하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온도 모델링의 기준을 설정하는 냉각수온의 기준온도를 80℃로 설정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되는 오일온도에 따른 엔진회전수의 상승 제어는 오일온도가 130℃ 이상이고, 오일압력이 0.3bar 이하의 조건으로 설정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되는 오일온도에 따른 엔진회전수의 상승 제어는 히스테리시스를 적용하는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방법.
KR1020070129410A 2007-12-12 2007-12-12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KR20090062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10A KR20090062268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10A KR20090062268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68A true KR20090062268A (ko) 2009-06-17

Family

ID=4099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410A KR20090062268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2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70A (ko) * 2014-06-02 2015-12-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01097A1 (zh) * 2021-07-22 2023-01-2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变速器油用冷却液循环系统、控制方法、车辆及存储介质
KR20230043498A (ko) * 2021-09-24 2023-03-3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디스커넥터 장치용 제어기, 및 온도 기반 차량 디스커넥터 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70A (ko) * 2014-06-02 2015-12-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186957A1 (ko) * 2014-06-02 2015-12-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100766B2 (en) 2014-06-02 2018-10-16 Doosan Infracor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WO2023001097A1 (zh) * 2021-07-22 2023-01-2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变速器油用冷却液循环系统、控制方法、车辆及存储介质
KR20230043498A (ko) * 2021-09-24 2023-03-3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디스커넥터 장치용 제어기, 및 온도 기반 차량 디스커넥터 장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5086A1 (en) Diagnosis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20109498A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895859B2 (ja) 内燃機関
US8181628B2 (en) Throttle valve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056722A (ja) 内燃機関冷却装置の故障検出システム
US6665608B2 (en) Coolant temperature estimation system for estimating temperature of coola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489503B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421021A (zh) 基于发动机机油黏度用于发动机控制的系统和方法
KR20190028087A (ko) 피스톤 쿨링 장치 고장 진단 방법 및 진단 시스템
JP2009257279A (ja) 吸入空気量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201700278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90062268A (ko) 차량의 오일온도 모델링장치 및 방법
JP557901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092760A (ja) 内燃機関の冷却水温推定装置
JP201114090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6488007B2 (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emergency driving
JP200909734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007114A (ja) 内燃機関の油温推定装置
JP5549398B2 (ja) セタン価推定装置
JP2009167911A (ja) 内燃機関のオイル消費量低減装置
JP6682997B2 (ja) 内燃機関の油温制御装置
JP5212055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089636B2 (ja) エンジンの冷却水温推定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装置
JP5146372B2 (ja) 暖機判定装置
JP5206606B2 (ja) ピストンリング・シリンダボア間隙腐食進行度推定方法、ピストンリング・シリンダボア間隙腐食進行度推定装置及び内燃機関運転制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