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999A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999A
KR20090061999A KR1020070129061A KR20070129061A KR20090061999A KR 20090061999 A KR20090061999 A KR 20090061999A KR 1020070129061 A KR1020070129061 A KR 1020070129061A KR 20070129061 A KR20070129061 A KR 20070129061A KR 20090061999 A KR20090061999 A KR 2009006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ensitive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formula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939B1 (ko
Inventor
김노마
이재관
이안나
장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2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939B1/ko
Priority to EP08858808.2A priority patent/EP2201073B1/en
Priority to JP2010537858A priority patent/JP5484350B2/ja
Priority to US12/738,957 priority patent/US9505961B2/en
Priority to CN2008801131830A priority patent/CN101835858B/zh
Priority to PCT/KR2008/007279 priority patent/WO2009075512A2/en
Priority to TW097147986A priority patent/TWI402320B/zh
Publication of KR2009006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기능을 갖는 직쇄상의 카보네이트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저속 박리력과 고속 박리력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동시에 대전방지제의 함량을 기존의 방법보다 낮출 수 있으며, 젖음 성질을 만족하여 편광판의 표면 보호 및 재박리성이 우수하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카보네이트기, 대전방지 첨가제, 보호필름, 액정 표시 장치, 저속 박리력, 고속 박리력, 젖음성

Description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ER}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제의 대전방지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며, 첨가제로 인한 전사현상과 저속 박리력을 개선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제품이나 플라스틱 판 또는 전자 재료용 편광판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표면 보호필름용 점착제로서는 내후성이나 투명성 등의 이유로 아크릴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으로 가교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 보호필름의 피착체인 편광필름, 플라스틱판,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등은 먼지 등의 오물 방지의 목적뿐만 아니라 정전기로부터의 보호도 중요하다.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에서 일정한 점착력 이상의 박리력과 함께 대전 방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정전기는 두 개의 다른 물체를 마찰시킬 때 발생하는 마찰 대전, 서로 밀착된 물체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박리 대전 등이 있고, 발생한 정전기는 먼지 등의 이물 흡입, 디바이스의 정전파괴, 측정기기의 오작동, 화재 등을 야기 시킬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컴퓨터의 보급, 액정 TV, 휴대전화의 다기능에 의한 시장의 확대 등 액정 디스플레이의 수요는 현저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각 부속 장치가 집적화되어 정전기에 취약해져 정전기 발생 억제가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되면서 액정 표시 장치 제조시 사용되는 편광판의 크기 또한 확대되고 공정의 고속화가 진행되면서 편광판의 이형필름 박리시 정전기가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어 액정표시장치 내부의 액정 배향에 영향을 주어 화상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전기 발생을 막기 위하여 편광판의 외면 또는 보호필름 기재층의 외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고 정전기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정전기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에 대전방지기능이 필요하다.
종래 아크릴계 점착제 합성시에 대전 방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킬레이트 화합물과 금속염을 첨가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다량의 킬레이트 화합물이 첨가됨으로써 점착제 이용시에 피착제에 첨가제가 전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점착제에 대전방지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도전성 금속 분말이나 탄소 입자와 같은 전도성 성분을 갖는 물질을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 계면활성제 형태의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첨가제로 대전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다량의 첨가제가 들어가야 하므로 첨가제가 점착제 표면으로 이행되어 점착 물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3-140519호는 점착제 내부에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프탈산 디옥틸계 가소제를 첨가하여 유연성을 갖게 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편광판 표면으로의 전사 문제가 발생하며, 초기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억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30919호는 5 중량% 이상의 유기염을 첨가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나, 이 방법은 고가의 유기염을 다량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8659호는 금속이온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 및 금속염을 포함하여 내습열 조건에서 백화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다량의 첨가제로 인하여 저속 박리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 사용시 첨가제의 전사를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자체에 대전 방지 기능을 가지는 화합물을 도입하여 기존의 첨가제의 양을 줄이거나 혹은 첨가제를 넣지 않는 방식으로 대전 방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첨가제를 넣지 않거나 혹은 소량만 사용하면 되므로 기존의 첨가제로 인한 박리력 저하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값비싼 첨가제의 양을 줄임으로써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2
,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3
, 또는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4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4는 아릴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6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은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금속이온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 및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하는 대전방지제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이점을 제공하며, 이 점착제 조성물이 적용된 보호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의 저속 박리력 및 고속 박리력의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6
,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7
, 또는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8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4는 아릴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6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은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의 정의에서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이고;
알케닐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케닐,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케닐이며;
알키닐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키닐,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키닐이고;
알킬렌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이며;
알케닐렌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렌이고;
알키닐렌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렌이며;
사이클로알킬렌기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환의 사이클로알킬을 함유하는 탄소수 3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아릴은 5 내지 12환 방향족 고리화합물로서, 상기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비페닐, 또는 나프틸 고리 시스템 등을 의미하며;
알콕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이고;
알콕시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2 내지 4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R4는 페닐기, 벤질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이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R4는 페닐기, 벤질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이고,
m은 0 또는 1~6의 정수이며,
n은 1~100의 정수 (단, m이 0의 경우는 2~10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R3는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4는 탄소수가 1~10인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i)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0 내지 99.9 중량부; 및
ii)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의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의 탄소수가 1~12인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 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알킬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 이외면, 점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높아지거나, 점착성의 조절이 어렵다.
상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상기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90~99.9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90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99.9 중량부를 초과하면 각종 물성 밸런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구현하고자 하는 점착력을 얻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속박리력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점착력 및 응집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iii)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비닐계 또는 아크릴계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며, 구조 내에 산성기, 수산기 또는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성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승온시 점착제의 응집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상기 산성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 술폰산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 및 인산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 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또는 크로톤산이고;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의 무수물은 무수 말레산 또는 무수 이타곤산이며;
술폰산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는 스티렌 술폰산, 알릴 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 프로판 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드 프로판 술폰산, 술포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리로일 옥시 나프탈렌 술폰산이고;
인산기 함유 공중합성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리로일 인산염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 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용성이 감소되어 유동 특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기타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임의성분으로서 총 단량체 중량 대비 0 ~ 20 중량부의 하기 화학식 5의 기능성 단량체 iv)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2
상기 식에서,
R5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6은 시아노,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아세틸옥시, 또는 COR7를 나타내며, 여기서 R7은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또는 글리시딜옥시를 나타낸다.
상기식에서, R5 내지 R7의 정의 중 알킬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킬,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예로는 스티렌 또는 알파 메틸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카르본산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 아미드, (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 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부톡시 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또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질소 함유 비닐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노머들은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의 기능성 단량체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점착제 조성물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박리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전체 단량체 성분중의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 광 중합법, 벌크 중합법, 서스펜션 중합법, 또는 에멀젼 중합법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용액 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중합 온도는 50~120℃ 이고 단량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의 아조계 중합개시제와 과산화벤조일, 또는 과산화아세틸 등의 과산화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금속이온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 는 킬레이트제와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이온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와 금속염은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킬레이트제는 분자 구조 중에 금속 이온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상기 킬레이트제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된 금속염의 양이온과 결합하여 안정화된 킬레이트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점착제 내부에 금속염의 음이온 농도가 증가되며 이로부터 점착제 조성물 내에 이온 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이온 전도성은 점착제 조성물에 도전성을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의 박리시 및 피착체에 부착한 후 보호필름 박리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소시켜 박리 대전압을 낮추게 된다.
상기 킬레이트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의 유기 용매, 즉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또는 알코올류 등에 용해도가 높고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옥살레이트기, 디아민기, 다가카르복실기, 또는 케톤기 등을 가지는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옥살레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살레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3
상기 화학식 6의 식에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2∼20의 알케닐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옥시기, 또는 탄소수 5∼20의 시클로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에틸옥살레이트, 디메틸옥살레이트, 디부틸옥살레이트, 디-tert-부틸옥살레이트, 또는 비스(4-메틸벤질)옥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디아민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4
상기 화학식 7의 식에서,
R10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2∼10의 알킬렌기,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렌기이다.
상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디아민, 1,2-디아미노프로판, 또는 디아미노부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다가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폴리카르복시산 또는 카르복실 레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8a, 8b, 또는 8c로 표시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5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6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7
상기 화학식 8a 또는 8b로 표시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디아민-N,N,N',N'-테트라아세트산(EDTA), N,N,N',N'',N''-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TPA),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N,N',N'',N'''-테트라아세트산(DOTA),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N,N',N''-트리아세트산(DO3A), 트랜스(1,2)-사이클로헥사노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또는 N,N-비스카르복시메틸글리신 등이 있다.
상기 화학식 8c로 표시되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8ca 내지 8ce 등이 있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8
Figure 112007089351164-PAT00019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0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1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2
한편, 상기 β-케톤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3
상기 화학식 9의 식에서,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케닐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옥시기, 또는 탄소수 5∼2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R13은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케닐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옥시기, 또는 탄소수 5∼20의 시클로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4-펜타디온, 1-벤조일아세톤, 또는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금속염과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여 대전방지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응집력 저하로 인하여 내구신뢰성이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염은 킬레이트제와 결합할 수 있는 금속 양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염은 용매 또는 킬레이트제와 혼합시 금속 이온이 염으로부터 해리되기 쉬운 화합물일수록 바람직하며, 이 때 해리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 반경이 작고, 해리에너지가 작은 것일수록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염은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 및 세슘에서 선택되는 금속 양이온,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리류 금속 양이온과 Cl-, Br-, I-, BF4 -, PF6 -, AsF-, ClO4 -, NO2 -, CO3 -, N(CF3SO2)2 -, N(CF3CO)2 -, N(C2F5SO2)-, N(C2F5CO)2 -, N(C4F9SO2)2 -, C(CF3SO2)3 - 및 CF3SO3 -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킬레이트제와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여 대전방지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화가 발생하여 투명성이 저하되고 내구신뢰성이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사용량에 따라 점착제의 점착 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카르복실기 또는 수산기와 반응하여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또는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반응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메틸렌멜라민, 비스이소 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박리력 상승을 초래하여 보호필름을 피착체로부터 제거할 때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점착성분이 피착체에 전사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력이 하강하여 피착체 보호라는 보호필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밀도가 50~99 %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교밀도가 50 %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99 %를 초과할 경우에는 들뜸과 같은 내구 신뢰성이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점착부여수지, 아크릴계 저분자량 물질, 에폭시 레진,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발포제, 소포체 및 유기염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때 다관능성 가교제는 점착층의 형성을 위하여 실시하는 배합과정에서 가교제의 관능기 가교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야만 균일한 코팅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코팅작업이 끝나고 건조 및 숙성과 정을 거치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탄성이 있고 응집력이 있는 점착층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점착제의 강한 응집력에 의하여 점착제품의 내구신뢰성 등의 점착물성 및 절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은 광학필름, 바람직하게는 편광판의 최외각층을 보호하는 층으로써 기재와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필름 제조 시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이 기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투명성을 가지는 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과 같은 폴리에테르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 필름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적층이 될 수도 있으며, 그 두께 또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5~500 μ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0 μm 인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기재 필름에는 점착제와의 기재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면 또는 양면에 표면처리를 실시하거나 프라이머 처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대전방지층, 및 방오층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편광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기재 필름 또는 편광 필름 표면에 직접 바코터 등을 사용하여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키는 방법, 점착제를 박리성 기재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상기 박리성 기재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편광필름 표면에 전사하고 숙성시키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점착제의 적층되는 두께는 2~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μm인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필름 또는 편광 소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편광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시켜 연신하여 제조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편광필름의 두께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에는 트리아세탈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 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등의 보호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들 보호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또는 휘도향상필름 등의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층이 1종 이상 적층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상기 기능층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 및/또는 보호필름은 통상의 액정표시소자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그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 및/또는 보호필름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산업용 시트, 특히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층구조의 라미네이트 제품, 즉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 패치, 가열활성 점착제 등 작용 개념이 동일한 응용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EHA) 93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4 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HEMA) 3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과 상기 반응기에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c)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를 70oC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 개시제로서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Wako, V-59) 0.1 중량부를 투입하여 6 시간 반응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44 %, 중량 평균 분자량이 78만, 분자량 분포가 7.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1)를 제조하였다. 특수 모노머 (화학식 2)의 제조 방법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327986 의 제조 방법을 따랐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4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조건 및 조성에서 아크릴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반응완료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44 %,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만, 분자량 분포가 6.5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2)를 제조하였다. 특수 모노머 (화학식 3)의 제조 방법은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300444 의 제조 방법을 따랐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5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Methacryloyloxy)ethyl acetoacetate (화학식 4, Aldrich)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조건 및 조성에서 아크릴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반응완료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44%, 중량 평균 분자량이 75만, 분자량 분포가 6.2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3)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6
제조예 4
제조예 1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Acryloyloxy)ethyl acetoacetate (화학식 5, Aldrich)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조건 및 조성에서 아 크릴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반응완료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44 %, 중량 평균 분자량이 74만, 분자량 분포가 6.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4)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7
제조예 5 및 6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
구분 제조예
1 2 3 4 5 6
A-1 A-2 A-3 A-4 B-1 B-2
2-EHA 93 93 93 93 97 97
특수모노머 4 4 4 4 - 20
HEMA 3 3 3 3 3 3
V-59 0.1 0.1 0.1 0.1 0.1 0.1
EAc 100 100 100 100 100 100
고형분 함량 (중량%) 44 44 44 44 44 44
중량평균분자량 (만) 78 70 75 74 72 70
분자량 분포 7.0 6.5 6.2 6.0 5.7 6.0
[주] 2-EHA :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HEMA :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V-59 :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EAc : 에틸아세테이트
실시예 1
(배합과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1) 100 중량부,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 5.0 중량부 및 글리콜 에테르계 킬레이트제(Rhenosin RC-100, 독일 Rhein Chemie사) 1.0 중량부, 알칼리류 금속염으로 NaClO4 0.1 중량부를 투입하고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두께 38 μm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20 μm의 균일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합판과정)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코팅한 점착층에 이형필름을 합판하고, 충분한 숙성을 위하여 23 oC의 온도와 55 %의 습도조건에서 4일 동안 보관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호필름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편광판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면(TAC 필름, 일본 후지 필름사)과 눈부심 방지측면(AG TAC, 일본 DNP사)에 각각 부착하여 평가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12 및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2]
아크릴계 공중합체 금속염 NaClO4 킬레이트제 RC-100 가교제
실시예 1 A-1 0.1 0 5.0
실시예 2 A-1 0.1 1 5.0
실시예 3 A-1 0.1 2 5.0
실시예 4 A-2 0.1 0 5.0
실시예 5 A-2 0.1 1 5.0
실시예 6 A-2 0.1 2 5.0
실시예 7 A-3 0.1 0 5.0
실시예 8 A-3 0.1 1 5.0
실시예 9 A-3 0.1 2 5.0
실시예 10 A-4 0.1 0 5.0
실시예 11 A-4 0.1 1 5.0
실시예 12 A-4 0.1 2 5.0
비교예 1 B-1 0.1 2 5.0
비교예 2 B-2 0.1 2 5.0
NaClO4 - 소듐퍼클로레이트
상기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겔분율, 저속박리력, 고속박리력, 젖음성질, 박리대전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겔분율)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배합과정에서 건조된 점착제를 약 10 일간 항온항습(23 oC, 60 %RH)실에서 방치시켰다. 그 다음 상기 점착제를 각각 약 0.3 g씩 #200 스테인레스 철망에 넣고 100 mL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침적시킨 후 상온 암실에서 2 일간 보관하여 불용해분을 분리하였다. 상기 불용해분을 70 oC 오븐에서 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질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저속/고속 박리력)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보호필름 편광판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일본 후지 필름사 제조)면과 눈부심 방지층(AG, 일본 DNP사 제조)면에 JIS Z 0.27에 의거하여 2 Kg의 롤러로 부착한 후, 23 oC의 온도와 65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 180o각도 및 0.3 m/min(저속), 30 m/min(고속)의 박리 속도로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전압)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보호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각각 가로 25 cm, 세로 22 cm의 넓이로 재단하여 시료를 준비한 후 23 oC의 온도와 50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료를 40 m/min의 속도로 박리하는 동안 편광판의 표면으로부터 1 cm 높이에서 정전압 측정기 STATRION-M2를 이용하여 편광판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전압을 측정하였다.
(젖음 성질)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보호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각각 가로 2.5 cm, 세로 25 cm의 넓이로 재단하여 시료를 준비한 후 유리기판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재단된 시료를 부착시켰다. 그 다음, 보호필름을 박리시킨 후 세로를 3등분한 점을 손가락으로 일정 압력으로 누른 후, 보호필름이 편광판 표면에 완전히 젖어드는 시간을 측정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1 편광판 표면을 완전히 젖게 하는데 10초 미만 소요
2 편광판 표면을 완전히 젖게 하는데 15초 미만 소요
3 편광판 표면을 완전히 젖게 하는데 20초 미만 소요
4 편광판 표면을 완전히 젖게 하는데 30초 미만 소요
[표3]
겔분율(%) 저속박리력 고속박리력 정전압(kV) 젖음성
TAG AG TAG AG TAG AG
실시예 1 90 8.5 9.5 125 120 0.35 0.25 2
실시예 2 91 5.2 6.5 110 100 0.40 0.35 2
실시예 3 89 3.8 4.5 95 90 0.35 0.20 1
실시예 4 90 9.1 10.8 130 135 0.45 0.30 2
실시예 5 92 4.0 6.2 100 95 0.45 0.40 2
실시예 6 91 3.5 53 115 95 0.37 0.30 1
실시예 7 90 7.3 11.0 110 100 0.15 0.25 2
실시예 8 89 4.9 12.3 100 110 0.20 0.40 2
실시예 9 91 3.0 7.1 100 95 0.15 0.20 1
실시예 10 92 7.5 8.0 110 100 0.15 0.20 2
실시예 11 89 5.0 5.5 95 90 0.20 0.30 2
실시예 12 90 3.5 4.0 100 90 0.20 0.30 1
비교예 1 91 3.0 3.5 107 100 0.20 0.25 2
비교예 2 90 4.0 5.5 160 180 0.65 0.70 2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중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점착 수지로 사용한 실시예 1~12의 경우, 수지 자체에 킬레이트 첨가제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해 첨가제의 양을 적게 넣고도 동등 이상의 물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2보다 높은 저속박리력, 동등 이하 수준의 고속 박리력 등 점착 물성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중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고속박리력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Figure 112007089351164-PAT00029
    ,
    Figure 112007089351164-PAT00030
    , 또는
    Figure 112007089351164-PAT00031
    로 표시되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4는 아릴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0 또는 1~6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은 1~100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7089351164-PAT0003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R4는 페닐기, 벤질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07089351164-PAT0003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R4는 페닐기, 벤질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이고,
    m은 0 또는 1~6의 정수이며,
    n은 1~100의 정수 (단, m이 0의 경우는 2~100의 정수)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며,
    R3는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4는 탄소수가 1~10인 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i)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0 내지 99.9 중량부; 및
    ii)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 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iii)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구조 내에 산성기, 수산기, 또는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iv) 하기 화학식 5의 기능성 단량체 0 ~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112007089351164-PAT00035
    상기 식에서,
    R5는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6은 시아노,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아세틸옥시, 또는 COR7를 나타내며, 여기서 R7은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또는 글리시딜옥시를 나타낸다.
  10.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이온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킬레이트제 및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옥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민계 화합물, 다가카르복실계화합물, 및 케톤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 및 세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양이온과 Cl-, Br-, I-, BF4 -, PF6 -, AsF-, ClO4 -, NO2 -, CO3 -, N(CF3SO2)2 -, N(CF3CO)2 -, N(C2F5SO2)-, N(C2F5CO)2 -, N(C4F9SO2)2 -, C(CF3SO2)3 - 및 CF3SO3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금속염의 함량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가교제의 함량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밀도가 50 내지 9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9.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점착필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두께는 2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21.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는 편광판.
  22. 제 21 항에 있어서,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향상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3. 제 21 항에 따른 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070129061A 2007-12-12 2007-12-1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06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61A KR101061939B1 (ko) 2007-12-12 2007-12-1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P08858808.2A EP2201073B1 (en) 2007-12-12 2008-12-09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on film including the sam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0537858A JP5484350B2 (ja) 2007-12-12 2008-12-09 偏光板用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US12/738,957 US9505961B2 (en) 2007-12-12 2008-12-09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on film including the sam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2008801131830A CN101835858B (zh) 2007-12-12 2008-12-09 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保护膜、偏振片和液晶显示器
PCT/KR2008/007279 WO2009075512A2 (en) 2007-12-12 2008-12-09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on film including the sam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TW097147986A TWI402320B (zh) 2007-12-12 2008-12-10 丙烯酸壓感型黏著劑組成物,含其之保護膜,偏光板及液晶顯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061A KR101061939B1 (ko) 2007-12-12 2007-12-1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999A true KR20090061999A (ko) 2009-06-17
KR101061939B1 KR101061939B1 (ko) 2011-09-05

Family

ID=4075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061A KR101061939B1 (ko) 2007-12-12 2007-12-1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05961B2 (ko)
EP (1) EP2201073B1 (ko)
JP (1) JP5484350B2 (ko)
KR (1) KR101061939B1 (ko)
CN (1) CN101835858B (ko)
TW (1) TWI402320B (ko)
WO (1) WO20090755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6645B2 (ja) * 2009-08-07 2014-06-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および該光学用粘着剤を用いた光学用粘着シート
TWI512071B (zh) * 2009-11-27 2015-12-11 Lg Chemical Ltd 壓感性黏著劑組成物
JP2011168751A (ja) 2010-02-22 2011-09-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6124111B2 (ja) * 2010-02-26 2017-05-1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部材保護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5588361B2 (ja) * 2011-01-06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JP2012224803A (ja) *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2224804A (ja) *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2224802A (ja) *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2247574A (ja) *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834325B2 (ja) * 2011-12-22 2015-12-1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圧式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感圧式接着剤フィルム
JP2014012808A (ja) * 2012-04-27 2014-01-23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CN104428331B (zh) * 2012-07-11 2019-02-15 东洋油墨Sc控股株式会社 活性能量射线聚合性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树脂组合物的层叠体
EP2935495B1 (en) * 2012-12-19 2019-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repared from degradable monomers and polymers
CN103969723B (zh) * 2014-04-30 2016-08-24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漫反射性反射膜及其制备方法
JP6633923B2 (ja) * 2016-01-26 2020-01-22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保護フィルム
US10968369B2 (en) * 2017-07-26 2021-04-06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rosslinkable polymer composition
KR102434825B1 (ko) * 2018-09-28 2022-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9694677A (zh) * 2018-10-17 2019-04-30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胶粘材料、保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08382B1 (ko) * 2019-10-15 2022-06-1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403A (en) * 1986-05-02 1990-03-13 Union Oil Of California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of acetoacetoxy-alkyl acrylate polymers
US4759983A (en) * 1986-05-30 1988-07-26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adhesive articles
JP2955089B2 (ja) * 1991-11-19 1999-10-04 日東電工株式会社 静電気発生の少ない表面保護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5362816A (en) * 1992-06-04 1994-11-08 Rohm And Haas Company High cohesive strength pressure-sensitive adhesives incorporating acetoacetate
JP2775383B2 (ja) * 1993-09-07 1998-07-16 昭和高分子株式会社 熱硬化性粘着剤組成物
JP3637421B2 (ja) * 1994-05-02 2005-04-1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新規アクリルモノマーおよびその製造法
JP2983449B2 (ja) * 1995-05-31 1999-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JP2704139B2 (ja) 1995-07-10 1998-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の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
JPH11349910A (ja) 1998-05-28 1999-12-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導電性粘着剤及びそれを備えた粘着剤物品
DE10029553A1 (de) 2000-06-15 2002-01-03 Beiersdor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netzbarer Acrylathaftklebemassen
DE60202617T2 (de) * 2001-08-02 2006-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t. Paul Optisch klare und antistatische haftklebemittel
JP4498711B2 (ja) * 2003-09-26 2010-07-0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5290264A (ja) 2004-04-01 2005-10-20 Sekisui Chem Co Ltd 硬化性組成物、シーリング材及び接着剤、並びに目地構造体
JP2005314579A (ja) * 2004-04-30 2005-1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KR100694445B1 (ko) * 2004-08-24 2007-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7479514B2 (en) * 2004-10-05 2009-01-20 Basf Corporation Adhesion promoting composition and method
JP2006327986A (ja) * 2005-05-26 2006-12-07 Nitto Denko Corp カーボネート基含有(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モノマーとその製造方法
KR100838973B1 (ko) * 2005-06-08 2008-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N101208403B (zh) 2005-06-24 2011-06-29 东洋油墨制造株式会社 防静电丙烯酸系胶粘剂
WO2007029936A1 (en) * 2005-09-05 2007-03-15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JP4667195B2 (ja) * 2005-10-07 2011-04-06 日東電工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および接着部材
JP4953717B2 (ja) * 2006-05-19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2450B1 (ko) * 2008-01-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1073A2 (en) 2010-06-30
US20100209631A1 (en) 2010-08-19
TWI402320B (zh) 2013-07-21
EP2201073A4 (en) 2011-12-14
KR101061939B1 (ko) 2011-09-05
CN101835858B (zh) 2013-01-09
US9505961B2 (en) 2016-11-29
EP2201073B1 (en) 2014-01-15
WO2009075512A3 (en) 2009-09-03
TW200930780A (en) 2009-07-16
JP5484350B2 (ja) 2014-05-07
WO2009075512A2 (en) 2009-06-18
CN101835858A (zh) 2010-09-15
JP2011506670A (ja)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939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082450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48778B1 (ko)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EP2044162B1 (en)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0838973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412867B1 (ko) 광학부재, 점착제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
KR10117197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10093288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9469663B2 (en)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US9017778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s and LCDs utilizing the adhesive composition
KR101019062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202571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090075456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9550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770448B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