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285A -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Google Patents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0285A KR20090060285A KR1020097004567A KR20097004567A KR20090060285A KR 20090060285 A KR20090060285 A KR 20090060285A KR 1020097004567 A KR1020097004567 A KR 1020097004567A KR 20097004567 A KR20097004567 A KR 20097004567A KR 20090060285 A KR20090060285 A KR 200900602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base portion
- appliance
- point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구는 서로에 대한 공통의 회전 축(D, d) 주위를 이동하도록 배열되며, 또한 제 1 및 제 2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베이스부(15 및 16)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위치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들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7)에 의해 제공되며 또한 수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부분적이고 자동적으로 선회되며, 상기 스프링은 한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를 갖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기 스프링 요소가 상기 정착 포인트들 사이의 공간에서 자유 경간을 가지며, 따라서 스프링 요소 또는 제어 유닛을 위한 가이드와 같은 어떠한 중간 성분들도 필요없게 된다.
어플라이언스, 이동 전화기, 베이스부, 스프링, 정착 포인트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 또는 휴대용 디지탈 보조물과 같은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구는 서로에 대해 공통의 회전 축 둘레를 이동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들의 2 위치들 사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동 발생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자동 선회되며, 상기 스프링은 한 단부가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그리고 다른 단부가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증가된 범위의 기능성과 결합된, 예를 들면, 이동 전화기, 미니 컴퓨터, 및 유사 장치들과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의 소형화에 관한 욕구는 폭넓은 의미에서 분할되는 하우징을 갖는 어플라이언스 타입에 대해 지금까지 대두되어 왔다. 어플라이언스가 사용되지 않을 때마다, 양쪽 하우징 부분들은 가장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특히 서로 포개지거나 또는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위치되었다.
작동을 목적으로, 제어 요소들을 접근 가능하게 하고 편리한 작동을 제공하도록, 상기 2개의 하우징 부분이 예를 들면 접혀지지 않은 상태로 또는 슬라이딩 개방 상태로 분리된다. 상기 이질적인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된 일예로서 접기구(folding mechanism)를 갖는 EP 0 961 459 [US 6,209,173]가 있다.
이동 어플라이언스의 단순한 조작을 제공하기 위해, 근접 이동시키는 경향을 가지며, 이 경우 개구 및 밀폐 동작 중 하나의 부분이 스프링들에 의해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출원자의 EP 05 023 836은, 상기 하우징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선회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일반 종류의 기구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때 양쪽 하우징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제 1 및 제 2의 안정된 단부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제어 기구는 상기 하우징 부분들을 어떠한 중간 위치로부터 단부 위치와 관련된 하나 또는 다른 것 안에 토글링시키는 (toggling) 제어 요소를 구비한 스프링 바아들로 구성된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해,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생성된 스프링 장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운동으로부터 힘 반전 포인트(force-reversal point)까지 수동 선회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US 2004/0203523 A1은, 선회 운동이 수동적으로 생성된 스프링 장력의 결과로서 제 1의 안정된 단부 위치로부터 제 2의 안정된 단부 위치까지 영향을 받는, 일반적인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관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의 반대 운동은 제공된 스프링 장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이동 전화기 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장력은 상기 전화기가 밀폐되는 동안 발생되는 반면, 개방은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이 갖는 특히 부정적인 양태는 상기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그 안에 내재된 기구, 특히 다중 부품들과 스프링용 공간-차지 가이드로 구성된 부피가 큰 선회 조인트의 설계 비용에 있으며, 그와 같은 구조적 설계는 이동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소형화 욕구와 상충된다.
EP 05 023 836에 공개된 선회 기구가 상술된 다른 것들과 비교하여 크게 단순화되었으나, 이 기구조차도 그의 구조적 크기에 관한 한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도달되어야 할 목적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훨씬 단순하고 훨씬 작은 구조를 갖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스프링이 정착 포인트(anchor point)들 사이의 공간에 자유롭게 위치하며, 따라서 예를 들면 가이드들 또는 제어 요소들과 같은 어떠한 중간 성분들에 대한 필요성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개시된 기구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기구는 오직 반드시 요구되는 성분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어플라이언스 부분들로 구성되며, 그들의 공통 회전 축 및 하나의 스프링은 각각 제 1 및 제 2 어플라이언스 부분상에 장착된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은 베이스부들의 단부 위치에서 예비 응력을 받으며,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2개의 어플라이언스 부분들에 의해 요구되는 스프링 장력이 양쪽 부분들의 수동 운동에 의해서만 형성될 필요가 없도록, 동일한 이동 경로 위로 연장한다.
다른 장점적인 양태는 하나의 베이스부가, 다른 베이스부의 회전 정지부가 서로에 대해 베이스부들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단순히 결합되는, 차단부(cutout)를 갖는 점에 있으며, 적합하게도 상기 회전 정지부는 스프링에 대한 고정 수단으로서 설계된다.
C-형 스프링, 또는 구불구불한 타입의 스프링으로서 설계된 스프링들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타출 가공된 부품으로서 비용 절감 효과를 갖도록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특히 공간-절약적인 기하학적 배열을 장점으로 갖는다. 이와 같은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구가 매우 편평하게 설계될 수 있다.
원형 아크 내에 위치한 베이스부들의 회전 축을 가짐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을 위한 정착 포인트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의 정착 포인트를 통해 형성되는 반경인 중심은 특히 스프링이 인장 하중하에서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 축의 영역에 공간-절약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목적이 예비 응력으로서 압축 하중을 갖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가능한 해결 방법으로서, 회전 축이 상기 원형 아크 외측에 위치되며, 중심이 상기 제 1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을 위한 정착 포인트이며, 반경이 상기 제 2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의 정착 포인트를 통해 형성되는 기구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경로가 부분적 원형 경로에 대응하며, 힘 반전 포인트를 선회시킨 후 관련 운동이 상기 스프링 장력의 이완에 의해 자동적으로 완료된 결과, 서로에 대한 베이스부들의 수동으로 수행된 운동이 상기 스프링 장력을 힘 반전 포인트까지 증가시키며, 상기 힘 반전 포인트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의 정착 포인트와 상기 회전 축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의 교차점에 대응하며, 또한 상기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는 설비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경로는 약 90°의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며, 상기 2개의 단부 위치들은 각각 상기 제 1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의 정착 포인트와 상기 회전 축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의 교차점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설정되는 설비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최종 실시예들은 2개의 안정된 단부 위치를 갖는 기구를 형성한다. 그러나, 수행될 상기 부분들의 독립 운동을 위하여는, 먼저 힘 반전 포인트가 극복되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운동 부분은 수동으로 수행되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장력은 상기 베이스부들을 어떠한 중간 위치로부터 안정된 단부 위치들 중 하나로 추진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부 위치 내의 운동이 오직 상기 스프링 장력에 의해서만 완료된 반면 상기 제 2 단부 위치 내의 운동이 수동으로 수행된 결과, 양쪽 단부 위치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상의 스프링의 정착 포인트와 상기 회전 축을 통해 형성되는 동일 직선 라인을 따라 위치되는 설비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만약 2개의 베이스부가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 가능하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상술된 2개의 실시예들은 오직 하나의 단부 위치 - 적합하게는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개방 위치 -가 안정적인 반면, 상기 제 2 단부 위치 - 적합하게는 어플라이언스의 폐쇄 위치 -에서의 기구가 장점적으로 체결되는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그들에 의해,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어플라이언스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는 기술이 성취된다.
마지막으로, 만약 정지 수단들 사이의 자유 장력 스프링이 상기 기구의 크기를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 안내되지 않는다면 특히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대부분 단순히, 개략적으로 설명된 이동 전화기를 사용하여 예시적 방법으로 기술된, 다음의 도면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도 1은 폐쇄된 하우징을 갖는 이동 전화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개방 위치에서의 도 1의 이동 전화기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갖는 이동 전화기의 하부 하우징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에 장착된 도 3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스프링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개방 위치에서의 도 3과 같은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스프링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스프링과 이동 전화기의 하부 하우징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들이 제 1 (하부) 하우징 부분(12)과 제 2 (상부) 하우징 부분(13)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개략적으로 설명된 이동 전화기(11)에 기초하여 도시되었다. 이후, 상기 하부 하우징 부분(12)은 하부 셸(12)과 동일시 하였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13)은 상부 셸(13)과 동일시 하였다.
도 1은 상기 하우징 부분들(12 및 13) 또는 하부 셸(12) 및 상부 셸(13)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합동으로 배열되는 폐쇄 위치의 이동 전화기(11)를 도시한다.
상기 상부 셸(13)과 마주하는 하부 셸(12)의 표면(14)상에 장착되는 추가의 제어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양쪽 하우징 부분들(12 및 13)은 기하학적 회전 축(D)에 대해 서로에 대해 선회된다.
도 2에서, 상기 상부 셸(13)은 2개의 하우징 부분들(12 및 13)의 중심 수직 회전 축(d)에 대해 90° 선회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도시된 평면에 기준하여, 상기 상부 셸(13)과 마주하는 표면(14)의 상부 섹션은 작업자에 의해 접근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예를 들면 키보드와 같은 추가의 제어 요소들이 여기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이전의 도면들에서 상부 셸(13)을 갖지 않는 이동 전화기(11)를 도시하며, 또한 도 1의 폐쇄 위치에 있는 이동 전화기(11)를 개방 및 밀폐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제공한다.
기구(10)는 제 1 베이스부(15)와 제 2 베이스부(1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또는 하부 베이스부(15)는 상기 하부 셸(12)에 대응하며, 반면 상기 제 2 또는 상부 베이스부(16)는 회전판으로서 설계되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셸(13)과 연결되는 별도의 중간 성분을 형성한다. 그러나, 자체가 상부 베이스부(16)로서 기능하는 상부 셸(13)을 갖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 1 베이스부(15)와 제 2 베이스부(16) 각각을 별도의 회전판으로 설계하는 것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 하부 베이스부(15)와 상부 베이스부(16)는 서로에 대해 선회되는 상기 상부 셸 및 하부 셸(13, 12)에 대해 (물리적) 회전 축(d)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3에 있어서, 스프링(17)은 오직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었으며, 한 단부에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15) 또는 하부 셸(12)에 정착되며 또한 다른 단부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부(16)에 정착된다.
다음에 기술된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기억해야 할 것은 모든 도면들에서 상기 이동 전화기(11)의 하부 셸(12)은 도면 평면에서 그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오직 도 3 내지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은 상부 셸(13) 또는 상부 베이스부(16)만이 상기 하부 셸(12)에 대해 선회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상부 셸(13)이 2개의 안정된 단부 위치를 가지며, 또 한 스프링(17)에 의해 중간 위치로부터 하나의 또는 다른 단부 위치로, 다시 말해서 상기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힘이 가해지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부 셸 및 상부 셸(12 및 13)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합동으로 위치되는 도 3에서 시작하여,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또는 상부 베이스부(16)를 생략한 하부 셸(12)에 대한 도면이다.
양쪽 하우징 부분들(12 및 13)을 선회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회전 축(d)이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스프링(17)은 상기 양쪽 하우징 부분들(12 및 13)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17)은 제 1 정착 포인트(18)를 갖는 한 단부에서 상기 하부 베이스부(15)상에 제공되며, 또한 제 2 정착 포인트(19)를 갖는 다른 단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16, 도시되지 않음)상에 제공된다.
상기 정착 포인트는 스프링(17)의 후크들이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에 형성된 스크류, 핀형 정지부, 드릴 구멍와 같은 고정 수단 또는 다른 수단일 수 있다.
도면부호 20에서, 상기 베이스부(15)는 핀형 정지부(19)로서 설계된 정착 포인트(19)가 결합되는 게이트 형태로 설계된 가이드를 가지며, 그에 의해 회전 정지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하부 셸(12)과 상부 셸(13)에 대한 최대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정착 포인트(19) 및 가이드(20)는 상기 하우징 부분들(12 및 13)의 안정된 제 1 및 제 2 단부 위치들 또는 회전 운동의 2개의 단부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상호 작용한다.
도 4에서 구불구불한 타입의 스프링으로서 설계된 스프링(17)은 예비 응력하에 있게 되며, 만약 상기 제 1 정착 포인트(18)가 고정 포인트로서 규정될 때, 회전 정지부가 허용하는 한, 스프링력 방향(F)의 중심으로서 회전 축(D)을 갖는 원형 이동 경로(21)를 따라 상기 제 2 정착 포인트(19)를 잡아당긴다.
고정 포인트로서 규정된 상기 제 1 정착 포인트(18)가 상기 원형 이동 경로(21)의 중심 외부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정착 포인트들(18 및 19)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 셸(12)과 상부 셸(13)이 화살표(22)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선회될 때 처음부터 최대까지 증가하며, 상기 스프링(17)은 추가의 장력을 받는다.
힘 반전 포인트(24)는 상기 정착 포인트들(18 및 19) 사이의 최대 거리 위치에 위치하며, 이와 같은 힘 반전 포인트는 제 1 정착 포인트(18)와 기하학적 회전 축(D)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25)과 이동 경로(21)의 교차에 대응한다.
상기 하우징 부분들(12 및 13)의 상대적 이동은 힘 반전 포인트(24)가 도달될 때까지 수동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가 선회된 후, 상기 이동은 상기 스프링(17)의 장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지속된다.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기구(10) 또는 하부 셸(12)의 관점에서 제공되며, 여기서, 상부 셸(13)과 상기 셸에 연결된 제 2 베이스부(16)는 화살표(22) 방향으로 90° 선회되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 전화기(11)는 도 2에서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게 된다.
도 6은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부(16)가 생략된 기구(10) 또는 도 5에 도시된 하부 셸(12)의 관점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양쪽 하우징 부분들이 힘 반전 포인트(24)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를 향해 수동으로 선회되며, 또한, 스프링 장력(F)으로 인해, 도 4와 비교하여 상기 정착 포인트(19)의 변화된 위치에 의해 도시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 정지부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이동 경로(21)를 따라 독립적으로 선회된 나머지 잔여 이동을 갖는, 안정된 제 2 단부 위치를 기재하고 있다.
상술된 설명들로부터 유사하게 상기 이동 전화기(11)를 화살표(23) 방향으로 폐쇄시키는 것이 명백해진다.
위의 설명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또한, 유익한 실시예에서 왜 상기 스프힝(10)이 상기 어플라이언스 부분들(12 및 13)의 안정된 단부 위치에서 예비 응력을 받는지에 대한 이유이다. 이로 인해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상기 2개의 하우징 부분들(12 및 13)에서 요구되는 스프링 장력이 먼저 수동으로 수행되는 회전 부분에 의해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긴 회전 경로 또는 견고한 스프링 및 사용상 용이성 감소가 초래된다.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는 의도된 목적의 기능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21)상에 어떠한 소망의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목적이 서로 관련된 상기 어플라이언스 부분들(12 및 13)의 최대 이동을 2개의 동일한 성분 내에 제공할 경우, 상기 수동 작동되는 운동 성분은 연속 독립 운동 성분과 같게 된다. 사용자에 있어서, 상기 어플라이언스의 개방 및 폐쇄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도 없다. 일예로서, 90°의 이동 경로는 45°의 수동 운동 이후 힘 반전 포인트에 도달되며, 나머지 45°는 독립적으로 커버된다.
만약 편리를 이유로 소망의 목표가 상기 어플라이언스의 신속한 개방 및 폐쇄에 있다면, 다시 말해서, 상기 목표가 사용자에게 오직 하나의 개방 펄스만을 제공한다면,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는 서로에 대한 어플라이언스 부분들(12 및 13)의 안정된 단부 위치에 비교적 근접하게 이동되어야만 하며, 상기 위치는 이동 전화기(11)에 대한 폐쇄 위치에 대응한다.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가 이동될 때까지 오직 짧은 수동 운동만이 수행되야만 한다; 나머지 개방 운동은 제공된 스프링 장력에 의해서만 완료된다. 반대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상기 수동 작업된 운동의 운동 성분이 상기 폐쇄 운동에 대해 대응하여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방법은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위해 개방된다.
도 7은, 도 4와 유사한, 폐쇄 위치에 있는 이동 전화기의 하부 셸(12) 또는 제 1 베이스부(15)에 대한 도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또한, 상기 스프링(17)은 예비 응력하에 있으며, 만약 상기 제 1 정착 포인트(18)가 고정 포인트로서 규정된다면, 가이드(20)에 형성된 회전 정지부로서의 정착 포인트(19)가 허용하는 한, 원형 이동 경로(21)를 따라 스프링력 방향(F)으로 상기 제 2 정착 포인트(19)를 잡아당긴다. 따라서, 개방을 위한 상기 운동 방향은 화살표(23) 방향이다.
그러나,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가 상기 정착 포인트(19)의 이동 경로를 따라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라 어플라이언스 부분들(12 및 13)에 대한 양쪽 단부 위치는 직선 라인(25)의 동일 측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개방 운동은 스프링 장력에 의해 완전히 자동적으로 화살표(23) 방향으로 발생한다.
상기 개방 위치는, 도 7과 비교하여, 제 2 정착 포인트(19)의 변화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어플라이언스의 폐쇄는 스프링 장력의 생성에 따라 운동 방향(22)으로 수동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는 이와 같은 특수한 개방 위치에서 오직 하나의 안정된 단부 위치만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어플라이언스의 기계적 체결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유용하고 또한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한 진보적 원리의 설명에 이어, 구불구불한 타입의 스프링 형상의 장력 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 진보적 원리로서 또한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라면 명백하다.
만약 도 6에 명료성을 위해 연속적으로 도시하지 않고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거울 축(26)에서 스프링(17)을 반영하고, 또한 상기 정착 포인트(18)를 다시 고정 포인트로서 규정하고 또한 상기 정착 포인트(19)를 이동 경로(21)를 따라 가이드(20) 내로 이동시킨다면,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가 도달할 때까지 추가의 스프링력이 압축 예비 응력하에서 상기 스프링(17)에 제공된 결과로서, 상기 정착 포인트(18)에 대한 상기 정착 포인트(19)의 단부 위치들 사이의 거리는 감소된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상기 운동은 스프링(17)의 압축 하중이 해제됨에 따라 독립적으로 다시 한번 완료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유사하게도 압축 스프링을 구비한다.
서로에 대한 공통의 회전 축(D, d) 주위를 이동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베이스부(15 및 16)을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11) 또는 휴대용 디지 탈 보조물과 같은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10)는 제 1 및 제 2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2개의 위치들 사이의 베이스부들(15 및 16)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7)에 의해 제공되며 또한 수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부분적이고 자동적으로 선회되며, 상기 스프링(17)은 한 단부상에서 상기 제 1 베이스부(15)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상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16)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17)은 상기 정착 포인트들(18 및 19) 사이의 공간에서 자유 경간(spa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예비 응력하에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단부 위치에 위치하며, 이동 경로 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기구에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15)는 상기 다른 베이스부(16)의 회전 정지부(19)가 서로에 대해 오직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21)를 가지며, 상기 회전 정지부(19)는 적합하게도 상기 스프링(17)을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반드시 C-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구불구불한 타입의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타출 가공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회전 축(D, d)은 원형 아크 내에 위치하며, 그의 중심은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이며, 그의 반경은 상기 제 2 베이스부(16)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9)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및 청구항 7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인장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회전 축(D, d)은 원형 아크 외부에 위치하며, 그의 중심은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이며, 그의 반경은 상기 제 2 베이스부(16)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9)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및 청구항 9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예비 응력으로서 압축 하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스프링(17)은 헬리컬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이동 경로는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며 또한 서로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수동 작업된 운동을 힘 반전 포인트(24)까지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를 선회시킨 후에 상대 운동이 상기 스프링 장력의 해제와 관계없이 완료되며,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는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를 통해 형 성되는 직선 라인(25)의 교차점 및 회전 축(d)에 대응하며, 또한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이동 경로는 약 90°의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며, 상기 2개의 단부 위치들은 각각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와 상기 회전 축(d)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25)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양쪽 단부 위치는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와 상기 회전 축(d)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25)의 동일 측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에서, 상기 자유 경간(freely-spanned) 스프링(17)은 상기 정착 포인트들(18 및 19) 사이로 안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5)
- 이동 전화기(11), 또는 휴대용 디지탈 보조물과 같은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10)로서,서로에 대한 공통의 회전 축(D, d) 주위를 이동하도록 장착되며, 또한 제 1 및 제 2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베이스부(15 및 16)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위치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7)에 의해 제공되며 또한 수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부분적이고 자동적으로 선회되며, 상기 스프링(17)은 한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부(15)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16)에 고정되며,금속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타출 가공된 오직 하나의 스프링(1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은 예비 응력하에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단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경로 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15)는 상기 다른 베이스부(16)의 회전 정지부(19)가 서로에 대해 오직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21)를 가지며, 상기 회전 정지부(19)는 적합하게도 상기 스프링(17)을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은 반드시 C-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은 구불구불한 타입의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D, d)은 원형 아크 내에 위치하며, 상기 원형 아크의 중심은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이며, 그의 반경은 상기 제 2 베이스부(16)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9)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은 인장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D, d)은 원형 아크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형 아크의 중심은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이며, 그의 반경은 상기 제 2 베이스부(16)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9)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2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은 예비 응력으로서 압축 하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은 헬리컬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며 또한 서로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의 수동 작업된 운동을 힘 반전 포인트(24)까지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를 선회시킨 후에 상대 운동이 상기 스프링 장력의 해제와 관계없이 완료되며, 상기 힘 반전 포인트(24)는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를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25)의 교차점 및 회전 축(d)에 대응하며, 또한 부분 원형 경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약 90°의 부분 원형 경로에 대응하며, 상기 2개의 단부 위치들은 각각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와 상기 회전 축(d)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25)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단부 위치는 상기 제 1 베이스부(15)상의 스프링(17)의 정착 포인트(18)와 상기 회전 축(d)을 통해 형성되는 직선 라인(25)의 동일 측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들(15 및 16)은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경간 스프링(17)은 상기 정착 포인트들(18 및 19) 사이로 안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6042077.2 | 2006-09-05 | ||
DE102006042077A DE102006042077B4 (de) | 2006-09-05 | 2006-09-05 | Mechanismus zum Öffnen bzw. Schließen eines Gerät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285A true KR20090060285A (ko) | 2009-06-11 |
Family
ID=3873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4567A KR20090060285A (ko) | 2006-09-05 | 2007-08-27 |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188079A1 (ko) |
EP (1) | EP2060095A1 (ko) |
JP (1) | JP2010503364A (ko) |
KR (1) | KR20090060285A (ko) |
CN (1) | CN101361351A (ko) |
BR (1) | BRPI0710557A2 (ko) |
CA (1) | CA2648531A1 (ko) |
DE (1) | DE102006042077B4 (ko) |
WO (1) | WO20080284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0351A (ko) * | 2007-12-27 | 2009-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JP4659059B2 (ja) * | 2008-04-11 | 2011-03-30 |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 相対移動付勢装置並びに相対移動付勢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CN111294427B (zh) * | 2018-12-10 | 2021-07-2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85517A (en) * | 1993-12-07 | 1996-01-16 | Gray; Robert R. | Portable wireless telephone having swivel chassis |
JP3322021B2 (ja) * | 1994-08-22 | 2002-09-0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情報機器 |
GB2337790B (en) * | 1998-05-29 | 2002-12-31 | Nokia Mobile Phones Ltd | Hinge mechanism |
EP1385319B1 (en) * | 2002-07-22 | 2011-09-28 | Motorola Mobility, Inc. |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
FR2846177B1 (fr) * | 2002-10-21 | 2005-09-09 | Sagem | Appareil electronique portable |
US6856792B2 (en) * | 2002-12-30 | 2005-02-15 | Motorola, Inc. |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
CN100418337C (zh) * | 2003-05-06 | 2008-09-10 | 三星电子株式会社 | 具有改进的输入数据能力的便携式通信装置 |
EP1661257A1 (en) | 2003-08-25 | 2006-05-31 | M2SYS Co., Ltd. |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JP3708945B2 (ja) * | 2003-09-12 | 2005-10-19 | オムロン株式会社 |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
KR100566276B1 (ko) * | 2003-10-17 | 2006-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
FR2866501B1 (fr) * | 2004-02-16 | 2006-05-05 | Sagem | Terminal portable multifonction a elements de boitier pivotants equilibres a 90 degres |
TWM259413U (en) * | 2004-06-04 | 2005-03-11 | Fih Co Ltd | Mobile phone having a keyboard convenient for inputting |
DE102004031409A1 (de) * | 2004-06-29 | 2006-02-09 | Siemens Ag | Kommunikationsendgerät |
US7082028B2 (en) * | 2004-07-08 | 2006-07-25 | Swivel It, Inc. | Rotatable compu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DE102004059236A1 (de) | 2004-12-08 | 2006-06-14 | Lumberg Connect Gmbh & Co. Kg | Gerät mit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Geräteteilen wie Mobiltelefon mit einer Unterschale und einer Oberschale |
JP4384059B2 (ja) * | 2005-01-31 | 2009-12-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折畳み式携帯電話 |
KR100709808B1 (ko) | 2005-03-31 | 2007-04-23 | 주식회사 팬택 |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US7684822B2 (en) * | 2005-11-07 | 2010-03-2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thereof |
US7084345B1 (en) * | 2005-11-09 | 2006-08-01 | Kinpo Electronics, Inc. | Slide cover unit |
KR100800677B1 (ko) * | 2006-09-07 | 2008-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
JP4484859B2 (ja) * | 2006-10-19 | 2010-06-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スライド式携帯機器 |
JP4888289B2 (ja) * | 2007-09-06 | 2012-02-29 | 富士通株式会社 | 連結装置および電子機器 |
US8014844B2 (en) * | 2008-11-05 | 2011-09-06 |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 Electromagnetic sli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
JP5212226B2 (ja) * | 2009-03-31 | 2013-06-19 |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子機器 |
-
2006
- 2006-09-05 DE DE102006042077A patent/DE102006042077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8-27 KR KR1020097004567A patent/KR2009006028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8-27 JP JP2009529512A patent/JP2010503364A/ja active Pending
- 2007-08-27 CA CA002648531A patent/CA264853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8-27 US US12/281,696 patent/US2009018807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8-27 BR BRPI0710557-6A patent/BRPI0710557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8-27 WO PCT/DE2007/001523 patent/WO200802845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8-27 CN CNA2007800014695A patent/CN101361351A/zh active Pending
- 2007-08-27 EP EP07817448A patent/EP2060095A1/de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188079A1 (en) | 2009-07-30 |
CA2648531A1 (en) | 2008-03-13 |
BRPI0710557A2 (pt) | 2011-08-16 |
EP2060095A1 (de) | 2009-05-20 |
DE102006042077A1 (de) | 2008-04-03 |
JP2010503364A (ja) | 2010-01-28 |
CN101361351A (zh) | 2009-02-04 |
DE102006042077B4 (de) | 2008-06-12 |
WO2008028456A1 (de) | 2008-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04709B2 (en) | Movable holder | |
KR100681893B1 (ko)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 |
US7278184B2 (en) | Slide hinge for small-sized information terminal | |
US7639477B2 (en) | Display device | |
KR100988680B1 (ko) | 회전규제기능 부착 2축 힌지 장치 | |
US20070251058A1 (en) | Hinge with damper | |
US20120180395A1 (en) |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 |
RU2456423C2 (ru) |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бельной фурнитуры | |
US20090015731A1 (en) | Monit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 |
US20100043174A1 (en) | Hinge construction | |
CN101480023A (zh) | 具有纤细外形的折叠式移动电话 | |
WO2008100035A1 (en) | Fre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 |
US8088983B2 (en) | Fallboard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EP1431671B1 (en) | A door hinge | |
US7079874B2 (en) | Transformer hinge design | |
KR20090060285A (ko) | 어플라이언스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기구 | |
JP2014526626A (ja) | 家具ヒンジの可動取り付けプレート | |
KR20040020885A (ko) |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 |
JP2008258995A (ja) | スライド機構 | |
JP3747194B2 (ja) | 開き窓の煽り止め装置 | |
KR100811224B1 (ko) |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 |
KR10086639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 |
CN218150426U (zh) | 外置式阻尼铰链 | |
JP2005349026A (ja) | 開閉アーム式クレーンゲーム機 | |
CN111379490B (zh) | 门体的开闭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