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059A -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059A
KR20090059059A KR1020080122631A KR20080122631A KR20090059059A KR 20090059059 A KR20090059059 A KR 20090059059A KR 1020080122631 A KR1020080122631 A KR 1020080122631A KR 20080122631 A KR20080122631 A KR 20080122631A KR 20090059059 A KR20090059059 A KR 2009005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arbon atoms
monomer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이치카와
가츠아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144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38069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Abstract

제 1 발명군에 있어서는,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1
(식 (D) 중,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제 2 발명군에 있어서는,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α-1), 식 (α-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 및 식 (α-Ⅳ)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α-2)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 (α-3) 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2
A1, A3, A5 및 A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A2 는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 A4 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A6 은 방향족 탄화수소기, A8 및 A9 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G 는 알킬렌기 또는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COMPOSITION, COPOLYMER OBTAINED BY THE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OPTICAL FILM}
본 발명은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 전역의 입사광에 대하여, 균일한 위상차 특성을 부여하는 위상차판을, 적층이 아니라 단층으로 형성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37222호에는,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정 (正) 의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폴리머와,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부 (負) 의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단층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위상차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제공개 제00/26705호에는, 정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비스페놀 모노머와 부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하기 [F] 또는 [G] 로 나타내는 모노머와 포스겐을 반응시켜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공중합체를 막형성하고 추가로 연신하여 얻어진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3
본 발명의 과제는,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그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는 데 바람직한 조성물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 열가소성 수지를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제 1 발명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4
(식 (D) 중,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광중합한 후 추가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광학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합물 (D) 가, 식 (D-1) ∼ 식 (D-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5
(식 (D-1) ∼ 식 (D-3) 중, Y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글리시딜옥시기를 나타낸다. p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R17 및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6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7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8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09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 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0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1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 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식 (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비닐카르바졸,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 (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포린,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아크릴로일-4-메톡시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Ⅳ) 및 식 (Ⅴ)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2
(식 (Ⅳ) 중,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1 및 Z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s 는 1 또는 2 의 정수, t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v1 및 w1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3
(식 (Ⅴ) 중,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 내고, X3 및 X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3 및 Z4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v2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4
(식 (Ⅵ) 중,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5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v3 및 w3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w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w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 은 각각 상이 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식 (Ⅵ-1) 로 나타내는 모노머인 상기 광학 필름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5
(식 (Ⅵ-1) 중, R13, R14, X5, X6, v3 및 w3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투과광의 파장 ν㎚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Re (ν) 가, 하기 식을 충족시키는 상기 광학 필름이다.
Re (450) < Re (550) < Re (65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6
(식 (D) 중,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함유하는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7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8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19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0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1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2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식 (Ⅳ) 및 식 (Ⅴ)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3
(식 (Ⅳ) 중,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 고, X1 및 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1 및 Z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s 는 1 또는 2 의 정수, t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v1 및 w1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4
(식 (Ⅴ) 중,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3 및 X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3 및 Z4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v2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5
(식 (Ⅵ) 중,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5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v3 및 w3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w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w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 은 각각 상이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광중합 개시제 (3) 을 함유하는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용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용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광중합한 후 추가로 연신하는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평활한 면에 캐스트하고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막형성화시키는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고,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 2 발명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α-1), 식 (α-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 및 식 (α-Ⅳ)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α-2)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 (α-3) 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6
(식 (α-Ⅰ) 중, A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G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그 폴리알킬렌옥시기에 있어서의 알킬렌기는 탄소수 2 ∼ 6 이고, 알킬렌옥시 단위의 반복 수는 2 ∼ 6 이다. 그 알킬렌기, 그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렌기, 그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의 메틸 렌기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7
(식 (α-Ⅱ) 중, A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4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8
(식 (α-Ⅲ) 중, A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6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5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29
(식 (α-Ⅳ) 중, A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8 및 A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8 및 A9 가 연결된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이어도 된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의 수소 원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식 (α-Ⅰ-1) ∼ 식 (α-Ⅰ-3)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조성물이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0
(식 (α-Ⅰ-1) ∼ 식 (α-Ⅰ-3) 중, A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렌기의 메틸렌기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0 의 정수를 나타낸다. A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 소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글리시딜옥시기를 나타내고, l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 k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식 (α-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비닐카르바졸,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식 (α-Ⅳ)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모르포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상기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중합체 (α-1) 이,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투과광의 파장 ν㎚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Re (ν) 가, 하기 식을 충족시키는 상기 광학 필름이다.
Re (450) < Re (550) < Re (650)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평활한 면에 캐스트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막형성화시키는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사용이다.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에 의하면,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는,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아도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고,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에 의하면,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는,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아도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먼저, 제 1 발명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학 필름」이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필름으로서, 광학적 기능을 갖는 필름을 말한다. 광학적 기능이란, 굴절, 복굴절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함유하는 조성물 (이하 「조성물 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1
식 (D) 중,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그 방향족성을 갖는 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5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이소프로필리덴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로는, 에틸렌옥시기, 트리메틸렌옥시기, 테트라메틸렌옥시기, 헥사메틸렌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방향족성을 갖는 기의 구체예로는, 페닐기, 벤질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릴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피라지닐기, 피라졸릴기, 피리디닐기 또는 티아졸릴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은, 복수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가 연결기를 통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1 가의 원자단이어도 된다. 연결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시클로헥실리덴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등의 탄소수 1 ∼ 6 정도의 탄화수소기, 단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카르보닐기 혹은 -CO2-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가 단결합으로 결합된 예로는 비페닐기를 들 수 있고, 복수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가 이소프로필리덴기로 결합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 등이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2
방향족성을 갖는 기에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또는 옥틸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아세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수산기, 글리시딜옥시기 혹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화합물 (D) 로서, 상이한 복수의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화합물 (D) 로는, 특히 식 (D-1) ∼ 식 (D-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3
식 (D-1) ∼ 식 (D-3) 중, Y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 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글리시딜옥시기를 나타낸다. p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R17 및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합물 (D) 의 구체예로는, 벤질아크릴레이트 또는 벤질메타크릴레이트 (D-1-1) 외에, 식 (D-2-1) 또는 식 (D-3-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4
화합물 (D)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페놀 화합물을 사용하고, 그 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R18-(Y)m-OH 를 얻고, 추가로 R18-(Y)m-OH 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예를 들어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할로 겐화 벤젠 화합물을 사용하고, 그 화합물에 알킬렌디올을 반응시켜 R18-(Y)m-OH 를 얻고, 추가로 R18-(Y)m-OH 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된 벤질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크릴레이트 (D-1-1) 은, 와코 순약 공업 (주), 메르크사 또는 알드리치사 등으로부터 시판되고 있고, 식 (D-2) 및 식 (D-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로부터 NK 에스테르 A-LEN-10 [식 (D-2-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NK 에스테르 A-CMP-1E [식 (D-3-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화합물 (D) 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화합물 (D) 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예를 들어 10 ∼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80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형분」이란,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한 모든 성분을 의미한다.
조성물 1 이,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Ⅰ) ∼ 모노머 (Ⅲ)」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5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의 구체예로는, 페닐기, 벤질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릴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피라지닐기, 피라졸릴기, 피리디닐기 또는 티아졸릴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에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또는 옥틸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아세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수산기, 글리시딜옥시기 혹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가 연결기를 통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1 가의 기이어도 된다. 연결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시클로헥실리덴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등의 탄소수 1 ∼ 6 정도의 탄화수소기, 산소 원자, 황 원자, 카르보닐기 혹은 -CO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가 단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모노머 (Ⅰ) 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단결합으로 결합된 예로는 비페닐기를 들 수 있고,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이소프로필리덴기로 결합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6
모노머 (Ⅰ) 로는, 예를 들어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또는 p-에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예를 들어 히드록시스티렌, t-부톡시스티렌, 비닐벤조산, 비닐벤질아세테이트, o-클로로스티렌 또는 p-클로로스티렌 등의, 벤젠 고리에 수산기,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 등이 결합된 치환 스티렌, 예를 들어 4-비닐비페닐 또는 4-히드록시-4'-비닐비페닐 등의 비닐비페닐계 화합물, 비닐나프탈렌 또는 비닐안트라센 등의 축합 고리 및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 N-비닐프탈이미드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복소환기 및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는 모노머 (Ⅰ) 로는, N-비닐카르바졸 또는 N-비닐인돌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Ⅰ) 로는, 특히 N-비닐카르바졸,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모노머 (Ⅰ)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1 ∼ 20 몰%, 바람직하게는 2 ∼ 15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10 몰%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7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모노머 (Ⅱ) 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Ⅱ)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아미드의 총칭을 말한다) 외에,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예를 들어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포린 등의 N,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Ⅱ) 로는, 특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포린,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모노머 (Ⅱ) 는, 예를 들어, 와코 순약 공업 (주), 토쿄 화성 공업 (주), 시그마·알드리치 재팬 (주) 등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모노머 (Ⅱ) 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모노머 (Ⅱ) 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5 ∼ 95 몰%, 바람직하게는 10 ∼ 7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60 몰%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8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고리형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라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이소보르닐기, 트리시클로데카닐기 또는 아다만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에는,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또는 옥틸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아세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글리시딜옥시기 혹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모노머 (Ⅲ) 으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Ⅲ)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안트라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1-아크릴로일-4-메톡시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Ⅲ) 으로는, 특히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아크릴로일-4-메톡시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모노머 (Ⅲ)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1 ∼ 95 몰%, 바람직하게는 5 ∼ 9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80 몰%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모노머 (1) 을 구성하는 모노머 (Ⅰ) ∼ 모노머 (Ⅲ) 중, 2 종 이상의 상이 한 모노머를 조합해도 된다. 특히 모노머 (Ⅰ) 과 모노머 (Ⅱ), 또는 모노머 (Ⅰ) 과 모노머 (Ⅲ) 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1) 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5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70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조성물 1 이, 추가로 모노머 (Ⅰ) ∼ 모노머 (Ⅲ)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10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55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균일한 막이 얻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조성물 1 이, 추가로 식 (Ⅳ) 및 식 (Ⅴ) 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Ⅳ)」 및 「모노머 (Ⅴ)」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39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1 및 Z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s 는 1 또는 2 의 정수, t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v1 및 w1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0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3 및 X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3 및 Z4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v2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모노머 (Ⅳ) 및 모노머 (Ⅴ) 에 대해, 예를 들어, 식 (Ⅳ-1) 및 식 (Ⅴ-1) 로 나타내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1
식 (Ⅳ-1) 및 식 (Ⅴ-1) 중, R9 ∼ R12, s, t, v2 및 w2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모노머 (Ⅳ) 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식 (Ⅳ-2) ∼ 식 (Ⅳ-4)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예시된다. 식 (Ⅳ-4) 로 나타내는 모노머는, DCP (상품명,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로서 시판되고 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2
식 (Ⅳ-2) 및 식 (Ⅳ-3) 중, v1 및 w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모노머 (Ⅳ) 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원자단의 수산기를 직접 (메트)아크릴산으로 아실화시켜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지환식 탄화수소를 갖는 원자단의 수산기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얻어진 말단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아실화시켜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식 (Ⅳ-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아크릴산에 카프로락톤을 반응시키고, 말단 카르복실산과 지환식 알코올 (트리시클로데칸디알코올) 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또한 식 (Ⅳ-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지환식 알코올 (트리시 클로데칸디알코올) 에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다.
모노머 (Ⅳ) 로는, 또한 식 (Ⅳ-5)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3
식 (Ⅳ-5) 중, R9, R10, v1 및 w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그 외에는, 예를 들어 식 (Ⅳ-6) 또는 식 (Ⅳ-7)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4
식 (Ⅳ-7) 중, v1 및 w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 (Ⅳ-6)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는, 지환식 탄화수소에 결합된 수산기를 직접 아크릴산으로 아실화시켜 얻어진다.
식 (Ⅳ-7) 로 나타내는 모노머는, 지환식 탄화수소기에 결합된 수산기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얻어진 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으로 아실화시켜 얻어진다.
모노머 (Ⅴ) 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식 (Ⅴ-2)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예시된다. 식 (Ⅴ-2) 로 나타내는 모노머는, A-CHD-4E (상품명,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로서 시판되고 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5
모노머 (Ⅳ) 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5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70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모노머 (Ⅴ) 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 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5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70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조성물 1 이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6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5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v3 및 w3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w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w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 은 각각 상이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모노머 (Ⅵ) 으로는, 특히 식 (Ⅵ-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7
식 (Ⅵ-1) 중, R13, R14, X5, X6, v3 및 w3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모노머 (Ⅵ) 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식 (VI-2)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예시된다. 식 (VI-2) 로 나타내는 모노머는, A-BPEF (상품명,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로서 시판되고 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8
모노머 (Ⅵ) 은, 비스페놀플루오렌의 수산기를 직접 (메트)아크릴산으로 아실화시켜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비스페놀플루오렌의 수산기에 에틸렌옥사이드 등을 반응시켜 얻어진 말단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아실화시켜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모노머 (Ⅵ) 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 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5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8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70 중량%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조성물 1 이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과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이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무수) 말레산, 말레산 (하프)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산 유도체류, 에틸렌, 탄소수 3 ∼ 20 의 α-올레핀 화합물, 탄소수 5 ∼ 20 의 고리형 올레핀, 비닐 화합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3 ∼ 20 의 α-올레핀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과 같은 탄소 원자수 3 ∼ 20 의 직쇄상 α-올레핀이나,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3-메틸-1-부텐과 같은 탄소 원자수 4 ∼ 20 의 분기상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및 탄소수 3 ∼ 20 의 α-올레핀 화합물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및 1-부텐이,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필름상으로 성형하였을 때의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고리형 올레핀이란, 탄소 고리 내에 중 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비시클로[2,2,1]헵토-2-엔이나, 6-알킬비시클로[2,2,1]헵토-2-엔, 5,6-디알킬비시클로[2,2,1]헵토-2-엔, 1-알킬비시클로[2,2,1]헵토-2-엔, 7-알킬비시클로[2,2,1]헵토-2-엔과 같은,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도입된 노르보르넨 유도체,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이라고도 불리는 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알킬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9-디알킬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등의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의 8 위치 및/또는 9 위치에 탄소수 3 이상의 알킬기가 도입된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유도체, 분자 내에 1 개 또는 복수 개의 할로겐이 도입된 노르보르넨의 유도체, 8 위치 및/또는 9 위치에 할로겐이 도입된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비닐 화합물로는,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및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5 ∼ 20 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비닐 화합물이란,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데카닐기, 노르보르네닐기, 아다만틸기 등의 탄소수 3 ∼ 12 정도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및 비닐기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 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은, 1 종류이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함유량은, 조성물 1 에 함유되는 고형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조성물 1 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여 얻는다.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는 공정은, 광중합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광중합은, 막형성화시킨 후 연신하기 전에 실시해도 되고, 막형성화시킨 후 연신하면서 실시해도 되고,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한 후에 실시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조성물 1 을 막형성화시키고 광중합한 후 추가로 연신하여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1 은, 화합물 (D) 와,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3), 모노머 (Ⅰ) ∼ 모노머 (Ⅲ)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모노머 (Ⅰ) ∼ 모노머 (Ⅲ)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 모노머 (Ⅵ) 및 모노머 (Ⅴ)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모노머 (Ⅵ),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중합 금지제, 광 증감제, 유기 용제, 레벨링제 또는 가소제를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광중합 개시제 (3) 으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벤질케탈류, α-히드록시케톤류, α-아미노케톤류, 요오드늄염 또는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르가큐어 (Irgacure) 907,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369 (이상, 모두 치바·재팬 (주) 제조), 세이쿠올 BZ, 세이쿠올 Z, 세이쿠올 BEE (이상, 모두 세이코 화학 (주) 제조), 카야큐어 (kayacure) BP100 (닛폰 화약 (주) 제조), 카야큐어 UVI-6992 (다우사 제조), 아데카옵토머 SP-152 또는 아데카옵토머 SP-170 (이상, 모두 (주) ADEK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 (3) 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노머를 중합시킬 수 있다.
조성물 1 은,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및 화합물 (D) 의 중합을 제어하고,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합 금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금지제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또는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하이드로퀴논류, 부틸카테콜 등의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카테콜류, 피로갈롤류,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 라디칼 등의 라디칼 보 충제, 티오페놀류, β-나프틸아민류 혹은 β-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을 중합시킬 수 있다.
조성물 1 은, 광중합 개시제의 반응을 고감도화시키기 위해 광 증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광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크산톤 또는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류, 안트라센 또는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안트라센류, 페노티아진 혹은 루브렌을 들 수 있다.
광 증감제의 사용량으로는,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중량부 ∼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감도로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을 중합시킬 수 있다.
조성물 1 은, 레벨링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토오레 실리콘 DC3PA, 동일 SH7PA, 동일 DC11PA, 동일 SH21PA, 동일 SH28PA, 동일 29SHPA, 동일 SH30PA,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 (토오레 실리콘 (주) 제조), KP321, KP322,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 (신에츠 실리콘 제조), TSF400, TSF401, TSF410, TSF4300, TSF4440, TSF4445, TSF-4446, TSF4452, TSF4460 (GE 토시바 실리콘 (주) 제조), 플루오리너트 (상품명) FC430, 동일 FC431 (스미토모 3M (주) 제조), 메가파크 (상품명) F142D, 동일 F171, 동일 F172, 동일 F173, 동일 F177, 동일 F183, 동일 R30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에프톱 (상품명) EF301, 동일 EF303, 동일 EF351, 동일 EF352 (신아키타 화성 (주) 제조), 서프론 (상품명) S381, 동일 S382, 동일 SC101, 동일 SC105 (아사히 글라스 (주) 제조), E5844 ((주) 다이킨 파인 케미컬 연구소 제조), BM-1000, BM-1100 (모두 상품명 : BM Chemie 사 제조), 메가파크 (상품명) R08, 동일 BL20, 동일 F475, 동일 F477 또는 동일 F443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 (막) 을 평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막형성화의 제조 과정에서,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어하거나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가교 밀도를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화합물 (D), 필요에 따라 함유되는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광중합 개시제 (3) 및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 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부 ∼ 1.5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노머를 중합시킬 수 있다.
조성물 1 에는, 가소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가소제로는, 인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글리콜산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인산에스테르의 예에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TCP),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부틸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프탈산에스테르 또는 시트르산에스테르가 대 표적이다. 상기 프탈산에스테르의 예에는, 디메틸프탈레이트 (DMP), 디에틸프탈레이트 (DEP), 디부틸프탈레이트 (DBP), 디옥틸프탈레이트 (DOP), 디페닐프탈레이트 (DPP) 또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DEHP) 가 포함된다. 상기 시트르산에스테르의 예에는, O-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OACTE), O-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OACTB),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또는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이 예시된다.
그 밖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올레산부틸, 리시놀산메틸아세틸, 세바크산디부틸, 다양한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가 예시된다.
글리콜산에스테르로는, 트리아세틴, 트리부틸린,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또는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세테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프로피오네이트, 소르비톨트리아세테이트트리프로피오네이트, 이노시톨펜타아세테이트 또는 소르비탄테트라부틸레이트 등도 좋은 예로서 들 수 있다.
가소제로는, 그 중에서도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틴,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소르비톨트리아세테이트트리프로피오네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소르비톨트리아세테이트트리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필름 특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되면 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 1 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0.1 ∼ 30 중량% 정도이다.
가소제의 구체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4445호에 기재된 (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6704호에 기재된 글리세롤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63560호에 기재된 디글리세롤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2574호에 기재된 시트르산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0946호에 기재된 치환 페닐인산에스테르류로서 알려져 있다.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에테르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톤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또는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류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아니솔, 페네톨 또는 메틸아니솔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류로는,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또는 메시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케톤류로는, 예를 들어 아세톤, 2-부타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4-메틸-2-펜타논, 시클로펜타논 또는 시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류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류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포름산아밀,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이소부틸, 프로피온산부틸, 부티르산이소프로필,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부틸, 알킬에스테르류,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옥시아세트산메틸, 옥시아세트산에틸, 옥시아세트산부틸, 메톡시아세트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에틸, 메톡시아세트산부틸, 에톡시아세트산메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3-옥시프로피온산메틸, 3-옥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옥시프 로피온산메틸, 2-옥시프로피온산에틸, 2-옥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옥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2-옥소부탄산메틸, 2-옥소부탄산에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또는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류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용제로는,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 또는 디메틸술포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 1 을 제조할 때의 유기 용제의 양은, 화합물 (D) 및 모노머 (Ⅰ) ∼ 모노머 (Ⅵ) 의 합계 농도가 통상적으로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 로 조제되는 양이다.
모노머 (Ⅰ) ∼ 모노머 (Ⅲ)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의 공중합 형식으로는, 랜덤 형식 또는 블록 형식 등을 들 수 있는데, 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가 각각 도메인을 형성하지 않을 정도로 블록 형식이 소량이면,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투명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조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모노머 (Ⅰ) ∼ 모노머 (Ⅲ) 을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통상적으로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 농도의 용액을 조제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용액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20 ∼ 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40 ∼ 90℃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80℃ 정도로 가열하면서 1 ∼ 24 시간 정도 교반하여,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노머나 중합 개시제를 중합 중에 첨가하거나,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후 첨가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기체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질소 대신에 이러한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분위기하, 바람직하게는 가압하에서 제조하면 된다.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또는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 라우릴퍼옥사이드,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또는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또는 과산화수소 등 무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와 환원제를 병용한 레독스계 개시 제 등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 n-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 메틸에틸케톤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통상적으로 조성물 1 을 막형성화 (필름화) 시키고, 얻어진 막 형상물을 추가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막형성 공정과 연신 공정 사이에서 광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막 형상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평활한 면에 캐스트하고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용제 캐스트법, 조성물을 용융 압출기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용융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용제 캐스트법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그대로 막형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광중합 방법으로는, 조성물 1 에 자외광 (UV) 을 조사하여 조성물 1 을 광중합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자외광의 발생원으로는, 형광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저압, 고압,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태양광선 등이 예시된다. 자외광의 조사 강도는, 시종 일정한 강도로도 실시해도 되고, 경화 도중에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경화 후의 물성을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연신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텐터법에 의한 연신법, 롤 사이 연신에 의한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은, 1 축 연신이어도 2 축 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종 (縱) 연신이어도 횡 (橫) 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특히 생산성의 관점에서 2 축 연신 및 횡 1 축 연신이 바람직하고, 특히 횡 1 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 450㎚ 의 리타데이션 [Re (450)] 과 파장 550㎚ 의 리타데이션 [Re (550)] 의 비 ([Re (450)] / [Re (550)]) 는 파장 분산 계수 α 로 정의되고,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광학 필름의 파장 분산 계수 α 가 1.00 미만인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통상적으로 파장 분산 계수 α 가 1.00 미만이다.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 ν㎚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Re (ν) 는, 통상적으로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등, 300 ∼ 700㎚ 가시 영역 전반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분산을 나타내므로,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λ/2 판 또는 λ/4 판 등의 위상차판이나, 시야각 향상 필름 등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광학 필름이 λ/4 판이면, 그것을 직선 편광판과 조합하여 넓은 파장역의 원 편광판으로 할 수 있고, 또한 λ/2 판이면, 그것을 직선 편광판과 조합하여 넓은 파장역의 편광 회전 소자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액정 표시 장치, 음극선관 (CRT), 터치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램프 등에 있어서 의 반사 방지 필터, 나아가서는 액정 프로젝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이와 같이 상기의 광학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중의 「% 」 및 「부」 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 및 중량부이다.
(파장 분산 특성)
합성한 수지로부터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막 형상물을 제조하였다. 그 막 형상물을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오토 그래프 ((주) 토요 정기 제작소 제조, 스트로그래프 T) 에 의해 연신하여,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광학 필름의 막두께는 두께계 (센다이 니콘 (주) 제조) 로 측정하고,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파장 분산 특성을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학 이방성)
연신에 의해 중합체 주사슬을 1 축 배향시켰을 때에, 그 배향 방향과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상이한 (예를 들어 직교하는 경우 등) 광학 이방성을 갖는 경우, 부의 복굴절성을 갖고 있다. 한편, 배향 방향과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일치하거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예를 들어 배향 방향과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의 차이가 10 도 이내인 경우 등) 경우, 정의 복굴절성을 갖고 있다.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은 자동 복굴절계로부터 구해진다.
(실시예 1)
식 (D-2-1) 로 나타내는 화합물 (A-LEN-10,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화합물 (D)] 15 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25 부,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1 부, 광중합 개시제 (3) (2-Methyl-1-4-(methylthio)pheny-2-morpholino-propan-1-one, 이르가큐어 907, 치바·재팬 (주) 제조) 0.2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 부, 메가파크 (상품명) F475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0.6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액체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3 회 실시한 후, 추가로 온도 조절 오토 그래프 연신기를 사용하여 1.8 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을,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파장 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46㎛,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49
의 광학 특성이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0
(실시예 2)
A-LEN-10 [화합물 (D)] 15 부를 식 (D-1-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D)] 17 부로 변경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25 부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49㎛,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1
의 광학 특성이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2
(실시예 3)
A-LEN-10 [화합물 (D)] 15 부를 A-LEN-10 [화합물 (D)] 19 부로 변경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25 부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45㎛,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3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4)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1 부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모노머 (Ⅱ)] 24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52㎛,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4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5)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500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430 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7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중합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 티로니트릴) 2.23 부를 첨가하고, 70℃ 에서 교반하여,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 70 부에,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D)] 17 부,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1 부, 광중합 개시제 (3) (2-Methyl-1-4-(methylthio)pheny-2-morpholino-propan-1-one, 이르가큐어 907, 치바·재팬 (주) 제조) 1.0 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 (토오레 실리콘 (주) 제조) 0.50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액체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 100℃ 에서 30 분 건조시키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한 후, 추가로 온도 조절 오토 그래프 연신기를 사용하여 1.8 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을,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파장 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69㎛,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5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6)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D)] 17 부를 A-LEN-10 [화합물 (D)] 19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72㎛,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6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7)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D)] 17 부를, A-LEN-10 [화합물 (D)] 15 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72㎛, 정의 복굴절성이고,
Re (550) = 140㎚, Re (450) / Re (550) = 0.89, Re (500) / Re (550) = 0.95, Re (600) / Re (550) = 1.05, Re (650) / Re (550) = 1.10, Re (750) / Re (550) = 1.17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8)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1 부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모노머 (Ⅱ)] 24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59㎛,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7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9)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400 부,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193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103 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7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중합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46 부를 첨가한 후,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여, 중합체를 함유하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 100 부에, A-LEN-10 [화합물 (D)] 25 부, 광중합 개시제 (3) (2-Methyl-1-4-(methylthio)pheny-2-morpholino-propan-1-one, 이르가큐어 907, 치바·재팬 (주) 제조) 1.0 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 (토오레 실리콘 (주) 제조) 0.0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액체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고, 100℃ 에서 30 분 건조시키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한 후, 온도 조절 오토 그래프 연신기를 사용하여 1.8 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을,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 (주) 제 조) 를 사용하여 파장 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62㎛,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8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10)
A-LEN-10 [화합물 (D)] 를,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D)]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59㎛,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59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11)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193 부를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Ⅰ)] 97 부,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모노머 (Ⅱ)] 147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68㎛, 정의 복굴절성이고,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12)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500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430 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7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중합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3 부를 첨가하고, 70℃ 에서 교반하여 얻어진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 7.0 부에, 식 (Ⅳ-4) 로 나타내는 모노머 (DCP,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모노머 (Ⅳ)] 1.2 부, A-LEN-10 [화합물 (D)] 3.8 부, 광중합 개시제 (3) (이르가큐어 184, 치바·재팬 (주) 제조) 0.1 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 (토오레 실리콘 (주) 제조) 0.0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 100℃ 에서 30 분 건조시키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한 후, 추가로 온도 조절 오토 그래프 연신기를 사용하여 1.8 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을,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파장 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광학 필름 은 필름 두께 : 69㎛,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1
의 광학 특성이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2
(실시예 13)
DCP [모노머 (Ⅳ)] 1.2 부를, 식 (Ⅴ-2) 로 나타내는 모노머 (A-CHD-4E,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모노머 (Ⅴ)] 1.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62㎛, 정의 복굴절성이고,
Re (550) = 98㎚, Re (450) / Re (550) = 0.88, Re (500) / Re (550) = 0.94, Re (600) / Re (550) = 1.05, Re (650) / Re (550) = 1.08, Re (750) / Re (550) = 1.11 의 광학 특성이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3
(실시예 14)
A-CHD-4E [모노머 (Ⅴ)] 4 부, A-LEN-10 [화합물 (D)] 16 부, 광중합 개시제 (3) (이르가큐어 184, 치바·재팬 (주) 제조) 0.2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 부, 메가파크 (상품명) F475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0.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32㎛,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4
의 광학 특성이었다.
(실시예 15)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Ⅲ)] 500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430 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7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중합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3 부를 첨가하고, 70℃ 에서 교반하여,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 7.0 부에, 식 (VI-2) 로 나타내는 모노머 [모노머 (Ⅵ)] (A-BPEF,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제조) 0.3 부, A-LEN-10 [화합물 (D)] 4.7 부, 광중합 개시제 (3) (이르가큐어 184, 치바·재팬 (주) 제조) 0.1 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 (토오레 실리콘 (주) 제조) 0.0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 100℃ 에서 30 분 건조시키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한 후, 추가로 온도 조절 오토 그래프 연신기를 사용하여 1.8 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을,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파장 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79㎛,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5
의 광학 특성이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6
(실시예 16)
A-BPEF [모노머 (Ⅵ)] 1 부, A-LEN-10 [화합물 (D)] 19 부, 광중합 개시제 (3) (이르가큐어 184, 치바·재팬 (주) 제조) 0.2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 부, 메가파크 (상품명) F475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0.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41㎛,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7
의 광학 특성이었다.
이하, 제 2 발명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학 필름」이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필름으로서, 광학적 기능을 갖는 필름을 말한다. 광학적 기능이란, 굴절, 복굴절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이하 「조성물 2」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은,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α-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α-Ⅱ)」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α-1) 을 함유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8
모노머 (α-Ⅰ) 에 있어서의 A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모노머 (α-Ⅰ) 에 있어서의 A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그 방향족성을 갖는 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5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모노머 (α-Ⅰ) 에 있어서의 G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그 폴리알킬렌옥시기에 있어서의 알킬렌기는 탄소수 2 ∼ 6 이며, 알킬렌옥시 단위의 반복 수는 2 ∼ 6 이다. 그 알킬렌기, 그 알 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렌기, 그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의 메틸렌기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이소프로필리덴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로는, 에틸렌옥시기, 트리메틸렌옥시기, 테트라메틸렌옥시기, 헥사메틸렌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옥시기로는, 폴리에틸렌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방향족성을 갖는 기의 구체예로는, 페닐기, 벤질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릴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피라지닐기, 피라졸릴기, 피리디닐기 또는 티아졸릴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은, 복수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가 연결기를 통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1 가의 원자단이어도 된다. 연결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시클로헥실리덴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등의 탄소수 1 ∼ 6 정도의 탄화수소기, 단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카르보닐기 혹은 -CO2-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가 단결합으로 결합된 예로는 비페닐기를 들 수 있고, 복수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가 이소프로필리덴기로 결합된 식 (α-Ⅴ) 로 나타내는 기 등이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69
방향족성을 갖는 기에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또는 옥틸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아세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수산기, 글리시딜옥시기 혹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모노머 (α-Ⅰ) 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α-Ⅰ) 로는, 특히 식 (α-Ⅰ-1) ∼ 식 (α-Ⅰ-3)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0
식 (α-Ⅰ-1) 중, A1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A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글리시딜옥시기를 나타낸다. k 는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k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 는 각각 상이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1
식 (α-Ⅰ-2) 중, A1, A 및 k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렌기의 메틸렌기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n 은 1 ∼ 20 의 정수를 나타낸다. l 은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l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 는 각각 상이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2
식 (α-Ⅰ-3) 중, A1, A, G1, n, l 및 k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모노머 (α-Ⅰ) 의 구체예로는, 벤질아크릴레이트 또는 벤질메타크릴레이트 (α-Ⅰ-1-1) 외에, 식 (α-Ⅰ-2-1) 또는 식 (α-Ⅰ-3-1)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3
모노머 (α-Ⅰ)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페놀 화합물을 사용하고, 그 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A2-G-OH 를 얻고, 추가로 A2-G-OH 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예를 들어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할로겐화 벤젠 화합물을 사용하고, 그 화합물에 알킬렌디올을 반응시켜 A2-G-OH 를 얻고, 추가로 A2-G-OH 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된 벤질아크릴레이트 및 벤질메타크릴레이트 (α-Ⅰ-1-1) 은, 와코 순약 공업, 메르크사 또는 알드리치사 등으로부터 시판되고 있고, 식 (α-Ⅰ-2) 및 식 (α-Ⅰ-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 로부터 NK 에스테르 A-LEN-10 [식 (α-Ⅰ-2-1) 로 나타내는 모노머] 및 NK 에스테르 A-CMP-1E [식 (α-Ⅰ-3-1) 로 나타내는 모노머] 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중합체 (α-1) 을 구성하는 모든 반복 단위 100 몰% 에 대하여,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으로는, 후술하는 모노머 (α-Ⅱ)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가 함유되어 있으면,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80 ∼ 99 몰%, 바람직하게는 85 ∼ 98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97 몰% 이다.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이 80 ∼ 99 몰% 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4
모노머 (α-Ⅱ) 에 있어서의 A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모노머 (α-Ⅱ) 에 있어서의 A4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알킬기를 나타낸다.
모노머 (α-Ⅱ) 의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되고, 특히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모노머 (α-Ⅱ) 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중합체 (α-1) 을 구성하는 모든 반복 단위 100 몰% 에 대하여, 모노머 (α -Ⅱ)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으로는, 전술하는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가 함유되어 있으면,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예를 들어 1 ∼ 95 몰%, 바람직하게는 5 ∼ 9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80 몰% 이다. 모노머 (α-Ⅱ)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이 1 ∼ 95 몰% 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 사용되는 중합체 (α-1) 에는, 2 종 이상의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종 이상의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조합으로는, 특히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모노머 (α-Ⅱ)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α-1) 이 1 종의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 사용되는 중합체 (α-1) 에는,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모노머 (α-Ⅱ)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이외에도, 모노머 (α-Ⅰ) 및/또는 모노머 (α-Ⅱ) 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이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탄소수 3 ∼ 20 의 α-올레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3 ∼ 20 의 α-올레핀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 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또는 1-에이코센과 같은 탄소수 3 ∼ 20 의 직쇄상 α-올레핀이나,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또는 3-메틸-1-부텐과 같은 탄소수 4 ∼ 20 의 분기상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 및 탄소수 3 ∼ 20 의 α-올레핀 화합물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1-부텐이,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필름상으로 성형하였을 때의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2 종류 이상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α-1) 에 있어서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량으로는, 예를 들어 5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이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가 50 몰% 이하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중합체 (α-1) 의 공중합 형식으로는, 랜덤 형식 또는 블록 형식 등을 들 수 있는데, 중합체 (α-1) 을 구성하는 반복 단위가 각각 도메인을 형성하지 않을 정도로 블록 형식이 소량이면,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투명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중합체 (α-1) 의 조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들 모노머를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통상적으로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 농도의 용액을 조제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용액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20 ∼ 100℃ 정 도, 바람직하게는 40 ∼ 90℃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80℃ 정도로 가열하면서 1 ∼ 24 시간 정도 교반하여, 중합체 (α-1) 을 함유하는 용액을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노머나 중합 개시제를 중합 중에 첨가하거나,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후 첨가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중합체 (α-1) 에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기체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질소 대신에 이러한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 분위기하, 바람직하게는 가압하에서 제조하면 된다.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 n-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 메틸에틸케톤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α-1) 의 조제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또는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 라우릴퍼옥사이드,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 네이트, ter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또는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또는 과산화수소 등 무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와 환원제를 병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합체 (α-1) 과, 식 (α-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α-Ⅲ)」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및 식 (α-Ⅳ) 로 나타내는 모노머 (이하 「모노머 (α-Ⅳ)」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α-2) 를 함유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5
모노머 (α-Ⅲ) 에 있어서의 A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모노머 (α-Ⅲ) 에 있어서의 A6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5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예로는, 페닐기, 벤질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릴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피롤릴기, 푸라닐기, 피라지닐기, 피라졸릴기, 피리디닐기 또는 티아졸릴기 등 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에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또는 옥틸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아세틸기 등과 같은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수산기, 글리시딜옥시기 혹은 카르복실기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가 연결기를 통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1 가의 기이어도 된다. 연결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시클로헥실리덴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 등의 탄소수 1 ∼ 6 정도의 탄화수소기, 산소 원자, 황 원자, 카르보닐기 혹은 -CO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가 단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단결합으로 결합된 예로는 비페닐기를 들 수 있고, 복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이소프로필리덴기로 결합된 식 (α-Ⅴ) 로 나타내는 기 등이 예시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6
모노머 (α-Ⅲ) 으로는, 예를 들어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 렌, 2,4-디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또는 p-에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예를 들어 히드록시스티렌, t-부톡시스티렌, 비닐벤조산, 비닐벤질아세테이트, o-클로로스티렌 또는 p-클로로스티렌 등의, 벤젠 고리에 수산기,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 등이 결합된 치환 스티렌, 예를 들어 4-비닐비페닐 또는 4-히드록시-4'-비닐비페닐 등의 비닐비페닐계 화합물, 비닐나프탈렌 또는 비닐안트라센 등의 축합 고리 및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 N-비닐프탈이미드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복소환기 및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α-Ⅲ) 으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는 모노머 (α-Ⅲ) 으로는, N-비닐카르바졸 또는 N-비닐인돌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α-Ⅲ) 으로는, 특히 N-비닐카르바졸,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α-Ⅲ) 의 함유량은, 중합체 (α-1) 과 모노머 (α-2) 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예를 들어 10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8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80 중량% 이다. 모노머 (α-Ⅲ) 의 함유량이 10 ∼ 90 중량% 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7
모노머 (α-Ⅳ) 에 있어서의 A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모노머 (α-Ⅳ) 에 있어서의 A8 및 A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또는 n-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8 및 A9 를 부틸렌기 또는 헥실렌기 등으로 연결한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이어도 된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의 수소 원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모노머 (α-Ⅳ) 로서, 상이한 복수의 모노머를 병용해도 된다.
모노머 (α-Ⅳ)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외에,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예를 들어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포린 등의 N,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모노머 (α-Ⅳ) 로는, 특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 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또는 아크릴로일모르포린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α-Ⅳ) 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모노머 (α-Ⅳ) 의 함유량은, 중합체 (α-1) 과 모노머 (α-2) 의 합계량을 100 중량% 로 한 경우, 예를 들어 10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8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80 중량% 이다. 모노머 (α-Ⅳ) 의 함유량이 10 ∼ 90 중량% 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 (α-3) 으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벤질케탈류, α-히드록시케톤류, α-아미노케톤류, 요오드늄염 또는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르가큐어 (Irgacure) 907,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250, 이르가큐어 369 (이상, 모두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세이쿠올 BZ, 세이쿠올 Z, 세이쿠올 BEE (이상, 모두 세이코 화학사 제조), 카야큐어 (kayacure) BP100 (닛폰 화약사 제조), 카야큐어 UVI-6992 (다우사 제조), 아데카옵토머 SP-152 또는 아데카옵토머 SP-170 (이상, 모두 아사히 전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 (α-3) 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α-2)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노머 (α-2) 를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는,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은, 1 종류이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중합체 (α-1) 과 모노머 (α-2) 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로 한 경우, 함유되지 않아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0.005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 3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 영역에서 보다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는, 모노머 (α-2) 의 중합을 제어하고, 얻어지는 광학 필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합 금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금지제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또는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하이드로퀴논류, 부틸카테콜 등의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카테콜류, 피로갈롤류,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 라디칼 등의 라디칼 보충제, 티오페놀류, β-나프틸아민류 혹은 β-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조성물 2 를 구성하는 모노머 (α-2)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노머 (α-2) 를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는, 모노머 (α-2) 의 중합을 고감도화시키기 위해 광 증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광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크산톤 또는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류, 안트라센 또는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안트라센류, 페노티아진 혹은 루브렌을 들 수 있다.
광 증감제의 사용량으로는, 모노머 (α-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중량부 ∼ 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감도화로 모노머 (α-2) 를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는, 레벨링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토오레 실리콘 DC3PA, 동일 SH7PA, 동일 DC11PA, 동일 SH21PA, 동일 SH28PA, 동일 29SHPA, 동일 SH30PA,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 (토오레 실리콘 (주) 제조), KP321, KP322,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 (신에츠 실리콘 제조), TSF400, TSF401, TSF410, TSF4300, TSF4440, TSF4445, TSF-4446, TSF4452, TSF4460 (GE 토시바 실리콘 (주) 제조), 플루오리너트 (상품명) FC430, 동일 FC431 (스미토모 3M (주) 제조), 메가파크 (상품명) F142D, 동일 F171, 동일 F172, 동일 F173, 동일 F177, 동일 F183, 동일 R30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에프톱 (상품명) EF301, 동일 EF303, 동일 EF351, 동일 EF352 (신아키타 화 성 (주) 제조), 서프론 (상품명) S381, 동일 S382, 동일 SC101, 동일 SC105 (아사히 글라스 (주) 제조), E5844 ((주) 다이킨 파인 케미컬 제품 연구소 제조), BM-1000, BM-1100 (모두 상품명 : BM Chemie 사 제조), 메가파크 (상품명) R08, 동일 BL20, 동일 F475, 동일 F477 또는 동일 F443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 (막) 을 평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막화의 제조 과정에서,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어하거나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필름의 가교 밀도를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의 구체적인 수치는, 통상적으로 중합체 (α-1), 모노머 (α-2), 광중합 개시제 (α-3), 필요에 따라 함유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중량부 ∼ 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 1.5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노머 (α-2) 를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에는, 가소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가소제로는, 인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글리콜산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인산에스테르의 예에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TPP),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TCP),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부틸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프탈산에스테르 또는 시트르산에스테르가 대표적이다. 상기 프탈산에스테르의 예에는, 디메틸프탈레이트 (DMP), 디에틸프 탈레이트 (DEP), 디부틸프탈레이트 (DBP), 디옥틸프탈레이트 (DOP), 디페닐프탈레이트 (DPP) 또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DEHP) 가 포함된다. 상기 시트르산에스테르의 예에는, O-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OACTE) 및 O-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OACTB),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또는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이 예시된다.
그 밖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올레산부틸, 리시놀산메틸아세틸, 세바크산디부틸 또는 다양한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가 예시된다.
글리콜산에스테르로는, 트리아세틴, 트리부틸린,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또는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세테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프로피오네이트, 소르비톨트리아세테이트트리프로피오네이트, 이노시톨펜타아세테이트 또는 소르비탄테트라부틸레이트 등도 좋은 예로서 들 수 있다.
가소제로는, 특히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틴,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소르비톨트리아세테이트트리프 로피오네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아세테이트, 소르비톨헥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소르비톨트리아세테이트트리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필름 특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되면 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 2 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0.1 ∼ 30 중량% 정도이다.
가소제의 구체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4445호에 기재된 (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6704호에 기재된 글리세롤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63560호에 기재된 디글리세롤에스테르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2574호에 기재된 시트르산에스테르류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0946호에 기재된 치환 페닐인산에스테르류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조성물 2 를 광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조성물 2 는, 모노머 (α-Ⅰ)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모노머 (α-Ⅱ)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α-1), 모노머 (α-Ⅲ) 및 모노머 (α-Ⅳ)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α-2)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 (α-3) 을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광중합성 화합물, 광 증감제, 레벨링제, 가소제 및 유기 용제를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의 유기 용제의 양은, 중합체 (α-1), 모노머 (α-2) 의 합계 농도를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 로 조제되는 양이다.
유기 용제로는, 상기 중합체 (α-1) 의 제조 방법에 사용된 유기 용제와 동일한 용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통상적으로 이렇게 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얻어진 막 형상물을 광중합 후에, 추가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조성물의 막형성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조성물을 평활한 면에 캐스트하고 용제를 증류 제거하는 용제 캐스트법,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제를 제거하고, 얻어진 공중합체를 용융 압출기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용융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용제 캐스트법은 조성물을 그대로 막형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광중합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자외광 (UV) 이 사용된다. 자외광의 발생원으로는, 형광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저압, 고압,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태양광선 등이 예시된다. 자외광의 조사 강도는, 시종 일정한 강도로도 실시해도 되고, 경화 도중에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경화 후의 물성을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얻어진 막 형상물을 연신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텐터법에 의한 연신법, 롤 사이 연신에 의한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은, 1 축 연신이어도 2 축 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종연신이어도 횡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특히 생산성의 관점에서 2 축 연신 및 횡 1 축 연신이 바람직하고, 특히 횡 1 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 450㎚ 의 리타데이션 [Re (450)] 과 파장 550㎚ 의 리타데이션 [Re (550)] 의 비 ([Re (450)] / [Re (550)]) 는 파장 분산 계수 α 로 정의되고, 광학 필름이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광학 필름의 파장 분산 계수 α 가 1.00 미만인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통상적으로 파장 분산 계수 α 가 1.00 미만이다.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 ν㎚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Re (ν) 는, 통상적으로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등, 300 ∼ 700㎚ 가시 영역 전반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분산을 나타내므로, 넓은 파장역에서 일정한 편광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λ/2 판 또는 λ/4 판 등의 위상차판이나 시야각 향상 필름 등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광학 필름이 λ/4 판이면, 그것을 직선 편광판과 조합하여 넓은 파장역의 원 편광판으로 할 수 있고, 또한 λ/2 판이면, 그것을 직선 편광판과 조합하여 넓은 파장역의 편광 회전 소자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액정 표시 장치, 음극선관 (CRT), 터치 패널,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램프 등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필터, 나아가서는 액정 프로젝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이와 같이 상기의 광학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 일정한 편광 변환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중의 「% 」 및 「부」 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중량% 및 중량부이다.
(파장 분산 특성)
합성한 수지로부터 용제 캐스트법에 의해 막 형상물을 제조하였다. 그 막 형상물을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오토 그래프 ((주) 토요 정기 제작소 제조, 스트로그래프 T) 에 의해 연신하여,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광학 필름의 막두께는 두께계 (센다이 니콘 (주) 제조) 로 측정하고,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파장 분산 특성을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학 이방성)
연신에 의해 중합체 주사슬을 1 축 배향시켰을 때에, 그 배향 방향과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상이한 (예를 들어 직교하는 경우 등) 광학 이방성을 갖는 경우, 부의 복굴절성을 갖고 있다. 한편, 배향 방향과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일치하거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예를 들어 배향 방향과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의 차이가 10 도 이내인 경우 등) 경우, 정의 복굴절성을 갖고 있다.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은 자동 복굴절계로부터 구해진다.
(실시예 α-1)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조에, 식 (α-Ⅰ-2-1) 로 나타내는 모노머 (신나카무라 화학 제조, 상품명 A-LEN-10) [모노머 (α-Ⅰ)] 242 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α-Ⅱ)] 60 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60 부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그 후, 7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얻어진 용액에 중합 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74 부를 첨가하고, 70℃ 에서 7 시간 교반하여, 중합체 (α-1) 을 함유하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 100 부에,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α-Ⅲ)] 1 부 (α-2), 광중합 개시제 (α-3) (2-Methyl-1-4-(methylthio)pheny-2-morpholino-propan-1-one, 이르가큐어 907,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1.0 부, 메가파크 (상품명) F475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를 혼합 용해시킨 후, 얻어진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이형 필름 상에 300㎛ 갭의 어플리케이터로 도포, 100℃ 에서 30 분 건조시키고, UV 조사 (컨베이어형 UV 노광 장치 : 고압 수은 램프 : 1 회의 조사당 200mJ/㎠ : 365㎚) 를 1 회 실시하여,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막 형상물로서 얻었다. 계속해서 그 막 형상물을 온도 조절 오토 그래프 연신기를 사용하여 1.8 배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을, 450㎚ 내지 750㎚ 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 자동 복굴절계 (KOBRA-WR, 오지 계측 기기사 제조) 를 사용하여 파장 분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58㎛,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8
의 광학 특성이었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79
(실시예 α-2)
N-비닐카르바졸 [모노머 (α-Ⅲ)] 1 부를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모노머 (α-Ⅳ)] 24 부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α-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그 광학 필름은 필름 두께 : 52㎛, 정의 복굴절성이고,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0
의 광학 특성이었다.

Claims (35)

  1.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1
    (식 (D) 중,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광중합한 후 추가로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 (D) 가, 식 (D-1) ∼ 식 (D-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인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2
    (식 (D-1) ∼ 식 (D-3) 중, Y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1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글리시딜옥시기를 나타낸다. p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R17 및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3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4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5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6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 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7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8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 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6. 제 4 항에 있어서,
    식 (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비닐카르바졸,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광학 필름.
  7. 제 4 항에 있어서,
    식 (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포린,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광학 필름.
  8. 제 4 항에 있어서,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아크릴로일-4-메톡시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광학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Ⅳ) 및 식 (Ⅴ)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89
    (식 (Ⅳ) 중,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1 및 Z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s 는 1 또는 2 의 정수, t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v1 및 w1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0
    (식 (Ⅴ) 중,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3 및 X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3 및 Z4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v2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1
    (식 (Ⅵ) 중,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5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v3 및 w3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w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w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 은 각각 상이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식 (Ⅵ-1) 로 나타내는 모노머인 광학 필름.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2
    (식 (Ⅵ-1) 중, R13, R14, X5, X6, v3 및 w3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투과광의 파장 ν㎚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Re (ν) 가, 하기 식을 충족시키는 광학 필름.
    Re (450) < Re (550) < Re (650)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
  14. 식 (D)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3
    (식 (D) 중, R1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8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Y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그 알킬렌기 및 그 알킬렌옥시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 은 1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4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5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6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식 (Ⅰ) ∼ 식 (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1) 을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7
    (식 (Ⅰ)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8
    (식 (Ⅱ)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R4 및 R5 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는 수산 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6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2 ∼ 6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099
    (식 (Ⅲ) 중, R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8 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5 ∼ 20 원자 고리의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알킬기, 그 알콕시기, 그 아릴기 및 그 아르알킬기는 수산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식 (Ⅳ) 및 식 (Ⅴ)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0
    (식 (Ⅳ) 중, R9 및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1 및 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1 및 Z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s 는 1 또는 2 의 정수, t 는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v1 및 w1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1
    (식 (Ⅴ) 중,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 내고, X3 및 X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Z3 및 Z4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v2 및 w2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식 (Ⅵ)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2
    (식 (Ⅵ) 중,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X5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수산기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글리시딜옥시기, 니트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v3 및 w3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6 의 정수를 나타내고, w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w 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 은 각각 상이한 종류의 기이어도 된다)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추가로 광중합 개시제 (3) 을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조성물.
  20.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광중합한 후 추가로 연신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평활한 면에 캐스트하고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막형성화시키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3.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α-1), 식 (α-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 및 식 (α-Ⅳ) 로 나타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 (α-2)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 (α-3) 을 함유하는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3
    (식 (α-Ⅰ) 중, A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2 는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성을 갖는 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원자단을 나타낸다. G 는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탄소수 2 ∼ 6 의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그 폴리알킬렌옥시기에 있어서의 알킬렌기는 탄소수 2 ∼ 6 이고, 알킬렌옥시 단위의 반복 수는 2 ∼ 6 이다. 그 알킬렌기, 그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렌기, 그 알킬렌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옥시기의 메틸렌기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4
    (식 (α-Ⅱ) 중, A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4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5
    (식 (α-Ⅲ) 중, A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6 은 5 ∼ 20 원자 고리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는, 수산기,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탄소수 5 ∼ 12 의 아릴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글리시딜옥시기, 탄소수 2 ∼ 4 의 아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가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6
    (식 (α-Ⅳ) 중, A7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8 및 A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8 및 A9 가 연결된 탄소수 4 ∼ 6 의 알킬렌기이어도 된다.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의 수소 원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기 및 그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식 (α-Ⅰ-1) ∼ 식 (α-Ⅰ-3) 으로 나타 내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조성물.
    Figure 112008083762457-PAT00107
    (식 (α-Ⅰ-1) ∼ 식 (α-Ⅰ-3) 중, A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그 알킬렌기의 수소 원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또는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알킬렌기의 메틸렌기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0 의 정수를 나타낸다. A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수산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글리시딜옥시기를 나타내고, l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 k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 머인 조성물.
  26.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식 (α-Ⅲ) 으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비닐카르바졸, 비닐나프탈렌 및 비닐안트라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조성물.
  27.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식 (α-Ⅳ) 로 나타내는 모노머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로일모르포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인 조성물.
  28.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중합체 (α-1) 이, 식 (α-Ⅰ)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및 식 (α-Ⅱ) 로 나타내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조성물.
  29.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광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30. 제 29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31. 제 30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투과광의 파장 ν㎚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Re (ν) 가, 하기 식을 충족시키는 광학 필름.
    Re (450) < Re (550) < Re (650)
  32.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막형성화시키고, 추가로 연신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평활한 면에 캐스트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막형성화시키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34.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사용.
  35. 제 30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
KR1020080122631A 2007-12-05 2008-12-04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90059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4424A JP2009138069A (ja) 2007-12-05 2007-12-05 組成物、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共重合体および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07-314424 2007-12-05
JP2007314422 2007-12-05
JPJP-P-2007-314423 2007-12-05
JP2007314423 2007-12-05
JPJP-P-2007-314422 2007-12-05
JPJP-P-2008-056056 2008-03-06
JP2008056056 2008-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059A true KR20090059059A (ko) 2009-06-10

Family

ID=4098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31A KR20090059059A (ko) 2007-12-05 2008-12-04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59059A (ko)
TW (1) TW2009327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5A1 (ko) * 2013-08-19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 파장 분산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37577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 파장 분산성 광학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115A1 (ko) * 2013-08-19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 파장 분산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37577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 파장 분산성 광학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2766A (en) 200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393B2 (ja) 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0116528A (ja) 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611213B (zh) 立體顯示系統、立體顯示系統用眼鏡及立體顯示系統用顯示裝置
KR101932769B1 (ko) 염 및 착색 경화성 조성물
JP6788331B2 (ja)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KR20220057503A (ko) 패턴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4681452B2 (ja) セルロース誘導体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
JP2010116529A (ja) 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50115724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10131112A (ko) 광학 필름
JP2010031163A (ja) 化合物、該化合物を含む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734978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5266801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1452090A (zh) 组合物、由该组合物得到的共聚物和光学膜以及该光学膜的制造方法
JP5566701B2 (ja) 位相差フィルム
CN112368143B (zh) 层叠体
KR20160019902A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20093096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화합물
KR20090059059A (ko) 조성물,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그리고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9102500A (ja) 組成物、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共重合体および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227829A (ja) 組成物、該組成物を含む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59343A (ja) 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5194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90029651A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97682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該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