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414A -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 Google Patents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414A
KR20090058414A KR1020070125174A KR20070125174A KR20090058414A KR 20090058414 A KR20090058414 A KR 20090058414A KR 1020070125174 A KR1020070125174 A KR 1020070125174A KR 20070125174 A KR20070125174 A KR 20070125174A KR 20090058414 A KR20090058414 A KR 2009005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ransmission line
power transmission
coupl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807B1 (ko
Inventor
이봉영
Original Assignee
(주)영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영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12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8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4Chains; Multiple ch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철탑이나 송전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배·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도 배·송전선이 상하방향으로 진동 시에 송배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가변시켜 배·송전선의 상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는 배전철탑 또는 송전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 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송전선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송전선의 상하 진동를 완화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관과; 상기 봉체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송전선과 상기 봉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봉체에 연결되고 상기 송전선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파지부와 함께 송전선을 파지하는 제 2파지부를 포함하는 클램프와;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면 및 하면이 원호형상의 파형을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봉체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상부봉체와, 상기 상부봉체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봉체의 외경보다 더 적은 외경을 가지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수직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핀이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수직바 및 상기 지지바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핀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와 상기 상부봉체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하부봉체와, 상기 수직바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수직바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1스프링과, 상기 지지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봉체의 수용부의 바닥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2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의하면 바람이나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송전선의 상하간격을 일정 정도 가변시켜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이 송전선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진동을 완화하여 스페이스에 고정된 송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스페이스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스, 송배전, 송전선, 진동, 송전탑

Description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Power cable space absorbing the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철탑이나 송전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배·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도 배·송전선이 상하방향으로 진동 시에 배·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가변시켜 배·송전선의 상하 진동을 완화할 수 있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전철탑 및 송전탑의 사이사이에는 다수개의 송전선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 서로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유발 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 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송전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송전선 상호 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바람 등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송전선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송전선 및 스페이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는 송전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 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송전선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송전선의 상하 진동를 완화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관과; 상기 봉체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송전선과 상기 봉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봉체에 연결되고 상기 송전선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파지부와 함께 송전선을 파지하는 제 2파지부를 포함하는 클램프와;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면 및 하면이 원호형상의 파형을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봉체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상부봉체와, 상기 상부봉체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봉체의 외경보다 더 적은 외경을 가지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수직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핀이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수직바 및 상기 지지바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핀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와 상기 상부봉체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하부봉체와, 상기 수직바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수직바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1스프링과, 상기 지지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봉체의 수용부의 바닥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2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의 제1 파지부는 상기 봉체의 단부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이 형성된 제1 결합판과, 상기 제1 결합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전선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결합판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전선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부의 끝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및 제2 파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송전선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3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판과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판의 볼트 결합공에 대응하는 볼트 체결공이 마련된 제2 결합판과, 상기 제2 결합판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파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2 접촉부와 함께 상기 송전선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4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접촉부에는 상기 송전선과의 접촉면에 절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는 상기 볼트 결합공과 볼트 체결공에 볼팅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볼팅부재에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의하면, 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송전선 간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이나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이나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송전선의 상하간격을 일정 정도 가변시켜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이 송전선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진동을 완화하여 스페이스에 고정된 송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스페이스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서 봉체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일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는 송전탑(1)에 연결 설치된 다수개의 송전선(2)들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며 수직으로 설치되어 송전선(2)들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바람 등의 영향으로 송전선(2)들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를 말한다.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의 상세 구성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는 상부 및 하부 송전선(2a)(2b)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에 위치한 상/하 클램프(20)와, 상/하 클램프(20)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양 단부가 클램프(20)에 각각 체결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봉체(40)와, 봉체(40)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절연기능을 수행하는 절연관(80)과, 절연관(8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판(90)으로 구성된다.
클램프(20)는 송전탑(1)을 통해 연장되는 상부 송전선(2a)과 하부 송전선(2b)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봉체(4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송전선(2)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파지부(21)와, 제1 파지부(21)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제1 파지부(21)와 함께 송전선(2)을 파지하는 제2 파지부(30)를 구비한다.
제1 파지부(21)는 봉체(4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봉체(40)가 인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 봉체 결합공(23)과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24)이 형성된 제1 결합판(22)과, 제1 결합판(22)의 일측에 형성되며 송전선(2)의 외주면에 대응 하는 반원 형상의 파지홈(26) 및 제 2파지부(30)와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27)를 포함하는 제1 접촉부(25)와, 제1 결합판(22)의 타측에 형성되며 제1 접촉부(25)와 마찬가지로 송전선(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의 파지홈(26)이 형성된 제2 접촉부(28)로 이루어진다.
제2 파지부(30)는 제1 접촉부(25)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및 제2 파지부(21,30)의 결합시 제1 파지부(21)와 함께 송전선(2)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제1 접촉부(25)와 함께 송전선(2)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며 단부에 제1 힌지결합부(27)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32)가 마련된 제3 접촉부(31)와, 제3 접촉부(31)에 연결되며 제1 결합판(22)과 결합되고, 제1 결합판(22)의 볼트 결합공(24)에 대응하는 볼트 체결공(34) 및 봉체 결합공(23)에 대응되는 봉체 체결공(35)이 마련된 제2 결합판(33)과, 제2 결합판(33)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파지부(21,30)의 결합시 제2 접촉부(28)와 함께 송전선(2)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4 접촉부(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4 접촉부(25,28,31,36)에는 송전선(2)과 접촉하는 부분에 절연부재(37)가 마련되어 있어서 송전선(2)의 피복이 파손되었을 때에도 이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며, 제1, 제2 파지부(21,30)는 제1, 제2 결합판(22,33)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24)과 볼트 체결공(34)에 볼팅부재(38)를 나사결합 함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진다.
클램프(20)는 봉체(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데, 봉체(40)의 상부에 결합된 클램프(20)는 상부 송전선(2a)을 파지하고, 하부에 결합된 클램 프(20)는 하부 송전선(2b)을 파지하며, 각 클램프(2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클램프(20)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두 개의 송전선(2)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나, 클램프(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송전선(2)만을 파지하여 상·하부 송전선(2a,2b) 간의 간격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봉체(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전선(2)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20)에 양 단부가 체결 고정됨으로써 송전선(2)들이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송전선(2)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봉체(40)의 양 단부에 고정된 송전선(2)이 상하로 진동할 경우 그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스페이스에 적용되는 봉체(40)는 상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기능을 갖는 봉체(4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상부봉체(41)와, 상부봉체(41)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봉체(41)의 외경보다 더 적은 외경을 가지는 수직바(43)와, 수직바(43)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직바(43)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지지바(45)와, 상기 수직바(43) 및 상기 지지바(45)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75)가 형성된 하부봉체(71)와, 수직바(43)의 외주면을 감싸며 지지바(45)의 상단에 지지되어 수직바(43)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1스프링(61)과, 지지바(45)의 하단과 하부봉체(71)의 수용부(75)의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바(43)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2스프링(65)으로 구성된다.
상부봉체(41)의 상단에는 상부 송전선(2a)을 파지하는 클램프(20)가 결합되 고, 하부봉체(71)의 하단에는 하부 송전선(2b)을 파지하는 클램프(20)가 결합된다.
상부봉체(41)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바(43)는 하부봉체(71)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수용부(75)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부봉체(41)와 하부봉체(71)의 간격을 가변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1프링(61)의 상단은 하부봉체(71)의 내측면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지바(45)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봉체(41)나 하부봉체(71)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 1 및 제 2스프링(61)(65)의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의 수용부(75)에 수직바(43)는 정지된 상태로 있는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스프링(61)(65)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이 상부봉체(41)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상부봉체(41)는 하부봉체(71)에 대하여 하강하게 되고, 힘이 하부봉체(7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하부봉체(71)는 상부봉체(41)에 대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바(71)의 외주면에는 상부봉체(41)가 하부봉체(7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핀(47)이 돌출되어 수직하게 형성되고, 수용부(75)가 형성된 하부봉체의 내주면에는 회전방지핀(47)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핀(47)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방지홈(77)이 형성되어 지지바(45)의 상하 슬라이딩이동은 허용하되 자전은 방지한다.
상하부의 송전선(2)의 간격이 특정 거리로 강제되는 경우 송전선(2)의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클램프(20)나 봉체(40)에 그대로 작용되어 클램프나 봉체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그 힘이 송전선(2)에 반작용으로 가해지는 경우 송전선(2)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스(10)는 봉체(40)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의 송전선(2)이 바람 등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상부 봉체(41)와 하부 봉체(71)의 간격을 가변시켜 제 1 및 제 2스프링(61)(65)이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송전선(2)이나 스페이스(10)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봉체(41)의 상단부와 하부봉체(71)의 하단부에는 클램프(20)의 봉체 결합공(23) 및 봉체 체결공(35)에 삽입되어 너트(13)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봉체(40)는 화이버글라스 재질과 수지재인 에폭시 재질을 7;3 혹은 6;4정도로 혼합하여 인발 성형공정을 거쳐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연관(80)은 상부봉체(41) 및 하부봉체(71)의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어 절연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절연관(80)의 재질은 절연기능이 우수한 실리콘의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관(80)은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봉체(4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인발 성형공정을 거친 봉체(40)를 별도의 사출금형에 투입한 후, 봉체(40)의 외경에 액상의 실리콘을 주입하여 성형하는 사출성형방법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날개판(90)은 절연관(80)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며 끼워져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각 날개판(90)은 절연관(8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날개판(90)의 상면과 하면은 원호형상의 파형을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된다. 날개판(90)이 주름지게 형성됨으로써 절연기능 및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의 누설거리가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날개판(90)의 재질은 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혹은 에틸렌-프로필렌 디엔계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dinemonomer)인 EPDM으로 사출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의 설치방법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클램프(20)를 상부와 하부 송전선(2a,2b)을 파지하도록 설치한다. 제1 파지부(21)를 송전선(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시키고 송전선(2)이 각각의 파지홈(26)에 안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제1, 제2 힌지결합부(27,3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2 파지부(30)를 회동시켜 제1, 제2 파지부(21,30)가 송전선(2)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송전선(2)이 파지되면 볼트 결합공(24) 및 볼트 체결공(34)을 나사결합하여 클램프(2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부 및 하부 송전선(2a,2b)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클램프(20)를 장작할 수 있다.
클램프(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여기에 봉체(40)를 결합시킨다. 봉체(40) 및 날개판(90)은 지상에서 조립된 상태로 설치지점까지 운반되므로 클램프(20)에 형성된 봉체 결합공(23)과 봉체 체결공(35)을 봉체(40)의 클램프결합부(12)가 관통하도록 위치시키고 나사산에 너트(13)가 나사결합됨으로써 봉체(40)와 클램프(20) 사이의 체결이 완성된다. 상부와 하부 클램프(20)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봉체(4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전선(2)의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를 설치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송전선이 봉체(40)의 상하길이만큼 상하간 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바람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송전선(2)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상부봉체(41)나 하부봉체(81)가 상하로 이동하여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스프링이 진동을 흡수하여 송전선이나 스페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는 일 실시예로 상술한 송전탑 외에도 배전철탑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선들 사이에서 전선들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서 봉체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일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클램프 40: 봉체
41: 상부봉체 43: 수직바
45: 지지바 47: 회전방지핀
61: 제 1스프링 65: 제 2스프링
71: 하부봉체 75: 수용부
77: 회전방지홈

Claims (2)

  1. 배전철탑 또는 송전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 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송전선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송전선 간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송전선의 상하 진동를 완화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관과;
    상기 봉체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송전선과 상기 봉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봉체에 연결되고 상기 송전선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파지부와 함께 송전선을 파지하는 제 2파지부를 포함하는 클램프와;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면 및 하면이 원호형상의 파형을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날개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봉체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상부봉체와, 상기 상부봉체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봉체의 외경보다 더 적은 외경을 가지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수직바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핀이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수직바 및 상기 지지바를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핀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상 단부와 상기 상부봉체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하부봉체와, 상기 수직바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지지바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수직바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1스프링과, 상기 지지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봉체의 수용부의 바닥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 2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제1 파지부는 상기 봉체의 단부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이 형성된 제1 결합판과, 상기 제1 결합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전선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결합판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전선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부의 끝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및 제2 파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송전선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3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판과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판의 볼트 결합공에 대응하는 볼트 체결공이 마련된 제2 결합판과, 상기 제2 결합판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파지부의 결합시 상기 제2 접촉부와 함께 상기 송전선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4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접촉부에는 상기 송전선과의 접촉면에 절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는 상기 볼트 결합공과 볼트 체결공에 볼팅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볼팅부재에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20070125174A 2007-12-04 2007-12-04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09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74A KR100936807B1 (ko) 2007-12-04 2007-12-04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174A KR100936807B1 (ko) 2007-12-04 2007-12-04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414A true KR20090058414A (ko) 2009-06-09
KR100936807B1 KR100936807B1 (ko) 2010-01-14

Family

ID=4098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174A KR100936807B1 (ko) 2007-12-04 2007-12-04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8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4122A (zh) * 2012-05-23 2012-09-19 武陟县电业总公司 一种电缆支杆
CN105406427A (zh) * 2015-11-12 2016-03-16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加强型减震电力柱
CN106786297A (zh) * 2017-02-21 2017-05-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相间间隔棒防振防舞弹簧阻尼装置
KR101868414B1 (ko) * 2017-02-10 2018-06-20 (주)선주엔지니어링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CN113507080A (zh) * 2021-07-16 2021-10-1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贵阳局 一种重锤式阻尼防舞间隔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506B1 (ko) 2003-11-21 2006-06-28 한전기공주식회사 송전선 진동/처짐 방지장치
KR100514720B1 (ko)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200433441Y1 (ko) 2006-09-29 2006-12-08 (주)신호엔지니어링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0718195B1 (ko) 2006-10-31 2007-05-15 김대우 송전선용 진동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4122A (zh) * 2012-05-23 2012-09-19 武陟县电业总公司 一种电缆支杆
CN105406427A (zh) * 2015-11-12 2016-03-16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加强型减震电力柱
KR101868414B1 (ko) * 2017-02-10 2018-06-20 (주)선주엔지니어링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CN106786297A (zh) * 2017-02-21 2017-05-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相间间隔棒防振防舞弹簧阻尼装置
CN106786297B (zh) * 2017-02-21 2019-01-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相间间隔棒防振防舞弹簧阻尼装置
CN113507080A (zh) * 2021-07-16 2021-10-1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贵阳局 一种重锤式阻尼防舞间隔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807B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0936807B1 (ko)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CN107706871B (zh) 架空配电线路
JP5285708B2 (ja) 風力発電装置
US20150171610A1 (en) Spacer Device
KR101746372B1 (ko)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KR100783808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1885223B1 (ko)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CN104242198A (zh) 电连接器
KR200433441Y1 (ko)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1119672B1 (ko) 6도체 볼트리스 스페이서댐퍼
KR200443451Y1 (ko) 애자용 전력케이블 고정장치
KR100868742B1 (ko)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CN212588053U (zh) 一种音叉式防振锤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2222707B1 (ko) 초고압 가공 송전 선로 탈선 방지용 고정장치
CN210111563U (zh) 一种万向轮式旋转可调电缆夹具
CN204424843U (zh) 一种防止防震锤跑位装置
KR200339652Y1 (ko)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WO2017027464A1 (en) Motion control device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s
CN101931198A (zh) 预绞、回转线夹间隔棒式防舞器
CN219458624U (zh) 一种电缆挂钩安装结构
CN111030022A (zh) 一种导线防震锤防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