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652Y1 -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652Y1
KR200339652Y1 KR20-2003-0033019U KR20030033019U KR200339652Y1 KR 200339652 Y1 KR200339652 Y1 KR 200339652Y1 KR 20030033019 U KR20030033019 U KR 20030033019U KR 200339652 Y1 KR200339652 Y1 KR 200339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ransmission line
transmission lines
transmiss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홍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송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송홍준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3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Wind Mo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송전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간의 상, 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상기 송전선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송전선간의 상, 하 간격을 유지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관과,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날개판들로 구성하여 상기 송전선들의 상, 하 간격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서 바람등 기후의 영향으로 누전이나 합성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a power cable space}
본 고안은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탑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간의 상, 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송전탑의 사이사이에는 다수개의 송전선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 하로 심하게 흔들려 서로 부딧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유발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 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상호간의 상, 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송전탑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간의 상, 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기후의 영향으로 상기 송전선들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송전선 상호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송전탑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간의 상, 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는 상기 송전선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송전선간의 상, 하 간격을 유지하는 봉체와, 상기 봉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관과, 상기 절연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날개판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송전탑 2a,2b: 송전선
4a,4b:클램프 10: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12: 봉체 14: 절연관
16: 날개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개념을 살펴보면 상기 상간 스페이스(10)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1a, 1b)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며 연결 설치된 다수개의 송전선(2a, 2b, 2c)들 사이사이에 일정간격을 두며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송전선(2a, 2b, 2c)들이 상, 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서 바람등의 영향으로 송전선(2a, 2b, 2c)들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를 말한다.
즉,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상세구성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하나의 실시 예를 들어서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송전선(2a, 2b)들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클램프(4a, 4b)에 체결되는 봉체(12)와, 상기 봉체(12)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절연기능을 수행하는 절연관(14)과, 상기 절연관(14)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며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판(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봉체(12)는 언급한 바와 같이 송전선(2a, 2b)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4a, 4b)에 양 단부가 체결 고정됨으로서 상기 송전선(2a, 2b)들이 상, 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송전선(2a, 2b)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봉체(12)는 화이버글라스(Fiber Grass)재질과 수지재인 에폭시 재질을 7;3 혹은 6;4정도로 혼합하여 인발 성형공정을 거쳐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성형된 봉체(12)의 길이는 약 6~10m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송전탑(1a, 1b)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송전선(2a, 2b)의 상, 하간격이 통상 6~10m정도의 폭을 가지며 설치됨에 따라 설치시 상기 봉체(12)를 송전선(2a, 2b)사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절연관(14)은 상기 봉체(12)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절연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절연관(14)의 재질은 절연기능이 우수한 실리콘의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관(14)은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봉체(12)에 부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인발 성형공정을 거친 봉체(12)를 별도의 사출금형(도면에 미 도시 함)에 투입한 후, 상기 봉체(12)의 외경에 액상의 실리콘을 주입하여 성형하는 사출성형방법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날개판(16)은 크기가 서로 다른 두개의 날개판(16)이 상기 절연관(14)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며 끼워져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날개판(16)은 절연기능 및 본 고안인 상간 스페이스(10)의 누설거리를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날개판(16)의 재질은 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혹은 에틸렌-프로필렌 디엔계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dinemonomer)인 EPDM으로 사출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의 작용을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봉체(12)와, 상기 봉체(12)에 부착되는 절연관(14) 및 다수개의 날개판(16)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스(10)를 송전선(2a, 2b)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상기 송전선(2a, 2b)에 클램프(4a, 4b)를 각각 설치한 후, 상기 클램프(4a, 4b)에 상기 봉체(12)의 양 단부를 체결함으로서 간편히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송전선(2a, 2b)의 사이에 본 고안인 상간 스페이스(10)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송전선(2a, 2b)은 기후의 영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상기 스페이스(10)에 의해 송전선(2a, 2b)은 항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됨으로서 송전선(2a, 2b)간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 합선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상간 스페이스를 설치함으로서 송전선간의 상, 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바람이나 기후의 영향으로 상기 송전선들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송전선간의 접촉으로 인한 누전이나 합선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송전탑(1a, 1b)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송전선(2a, 2b)간의 상, 하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10)는 상기 송전선(2a, 2b)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4a, 4b)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송전선(2a, 2b)간의 상, 하 간격을 유지하는 봉체(12)와, 상기 봉체(12)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관(14)과, 상기 절연관(14)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날개판(16)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12)는 화이버글라스와 에폭시수지를 혼합하여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20-2003-0033019U 2003-10-22 2003-10-22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200339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19U KR200339652Y1 (ko) 2003-10-22 2003-10-22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19U KR200339652Y1 (ko) 2003-10-22 2003-10-22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652Y1 true KR200339652Y1 (ko) 2004-01-24

Family

ID=4942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019U KR200339652Y1 (ko) 2003-10-22 2003-10-22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6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20B1 (ko) *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20B1 (ko) * 2005-02-07 2005-09-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0519934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WO2011026310A1 (en) Composite insulated tower for grid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936807B1 (ko)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200339652Y1 (ko) 송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200433441Y1 (ko)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784984B1 (ko)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 장치
KR100672749B1 (ko) 바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는 송전철탑의 상간 스페이스구조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0868742B1 (ko)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CN206515365U (zh) 变压器绝缘套管监测设备
CN107732665A (zh) 一种安装稳定便于调节长度的避雷针
KR20020002757A (ko) 배선용 인장 클램프
KR10051396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스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815122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20110031029A (ko) 6도체 볼트리스 스페이서댐퍼
KR102634673B1 (ko) 피뢰 기능을 갖는 가공 배전선 고정 장치
CN2836293Y (zh) 释放型阻尼间隔棒
CN212571323U (zh) 一种广播电视无线电通讯天线用的防雷装置
CN220357290U (zh) 一种光缆配线盒结构
CN217984066U (zh) 一种x波段雷达专用接闪杆
KR20190045536A (ko) 인하선 횡진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