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14B1 -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 Google Patents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14B1
KR101868414B1 KR1020170018834A KR20170018834A KR101868414B1 KR 101868414 B1 KR101868414 B1 KR 101868414B1 KR 1020170018834 A KR1020170018834 A KR 1020170018834A KR 20170018834 A KR20170018834 A KR 20170018834A KR 101868414 B1 KR101868414 B1 KR 10186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astic body
shaft rod
rod
cushion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주)선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선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1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철탑에 가설된 가공 선로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원활한 배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공 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Structure of Damper Device of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철탑에 가설된 가공 선로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원활한 배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성된 전력을 변전소 등으로 배전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압 배전선로의 건설에 있어 철탑의 기초시설인 고정베이스 장치는 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에 전체 철탑공사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철탑의 고정베이스 장치는 일반 토목분야의 기초시설과는 달리 인발력(Uplift)에 의해 기초의 형태와 규모가 좌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 압축력을 기준으로 하는 일반 구조물의 고정베이스 장치와는 다소 그 설계방식이 상이하다.
이러한 철탑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지형 등을 고려하여 4각 철탑, 방형 철탑, 문형 철탑, 우두형 철탑, 회전형 철탑, MC 철탑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배전선로의 전압은 매우 높은 고압의 전기를 보내야 하므로 철탑에 구비되는 현수 애자는 도 2의 예시적인 사진에서와 같이 다수의 현수 애자를 구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 운용되고 있는 배전선로의 전압은 발전전압의 대용량화 및 배전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하여 154kV 급은 물론 345kV까지 높아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765kV 건설공사가 착수되는 등 점차 그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안정된 배전 상태 유지를 위해서는 다수 개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배전선(특고압 케이블) 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고, 외력에 의한 회동시에도 배전선 간의 허용 간격 이내로의 인접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풍력에 의한 배전선의 횡방향 이동시 9-10개나 되는 현수 애자가 받는 횡력을 최소화시켜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전선에 의해 이러한 다수의 현수 애자가 파손되는 것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철탑에 설비되는 배전선, 즉 선로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완충하기 위해 다수의 스페이서 부재들이 개시되었지만, 구조적으로 너무 복잡하고 실효성이 떨어져 유명무실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강한 풍력에 의한 배전선의 간섭 또는 합선을 방지하고, 배전선을 고정하고 있는 현수 애자의 파손 등은 지금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9791호(2009.01.14.) '배송전선로용 완충식 진동방지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36284호(2010.01.04.) '배송전용 특고압 케이블의 지지댐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배전철탑에 가설된 가공 선로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원활한 배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전을 위해 다수개의 애자를 갖는 배전철탑의 배전선(L1,L2) 사이를 링크아암(10)으로 링크시켜 강풍에 의한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링크아암(10)의 일단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일정반경의 상부상부로드끼움구멍(20)이 형성된 형태로 삽입홈(30)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0)의 개방된 하부에는 일정반경의 하부로드끼움구멍(22)을 갖는 지지편(40)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30)에는 축로드(50)가 완충재(60)로 감싸져 일체화된 축로드-완충재 조립체가 삽입되는데, 상기 축로드-완충재 조립체는 성형틀에 축로드(50)를 배치한 상태에서 완충재(60)를 주입하여 축로드(50)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일체화시키는 인서트 성형방식으로 제조되며;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는 각각 상기 완충재(60)의 상단과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게 성형되고; 상기 축로드(5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가 끼워져 완충재(60)와 함께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와 제2코일형 탄성체(72)는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각 하단에는 제1,2고정링(R1,R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고정링(R1,R2)과 대응되는 위치의 완충재(60) 외표면에는 제1,2통공(62a,62b)이 되고; 제1,2통공(62a,62b)에는 고정구(F)가 끼워져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하단을 링크아암(10)에 고정하며;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에는 치형을 형성하되, 상기 치형이 축로드(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ㄱ' 혹은 'ㄴ' 형상으로 절곡된 제1지지구(80) 및 제2지지구(82)가 상기 치형과 맞물린 상태로 끼워지게 하여 축로드(50)와 제1지지구(80) 및 제2지지구(8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아암(1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힌지편(90a)이 돌출되며; 상기 제1,2지지구(80,82)의 각 외측면에는 판상의 고정브라켓(BR)이 나사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BR)의 외표면에는 지지힌지편(90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링크힌지편(90a)과 지지힌지편(90b)에는 동일 형상의 배전선고정구(92)가 힌지 고정되고; 상기 배전선고정구(92)는 'ㄷ' 형상으로 개방부(OPEN)를 갖도록 형성되어 배전선(L1,L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방된 양단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고정봉(9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봉(94)에는 상기 배전선(L1,L2)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밀착구(96)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철탑에 가설된 가공 선로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원활한 배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탑의 다양한 예를 보인 예시도 이다.
도 2는 고압 배전용 철탑에 다수 개 구비된 현수 애자의 설치 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의 사용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는 링크아암(1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는 고전압의 배전을 위해 다수개의 애자, 즉 현수 애자를 갖는 배전철탑의 배전선(L1,L2) 사이를 링크시켜 강풍에 의한 진동을 흡수 완충하여 배전선(L1,L2)의 간섭 또는 합선을 방지하고, 배전선(L1,L2)을 고정하고 있는 현수 애자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링크아암(10)은 배전선(L1,L2) 사이에 배치되어 두 개의 배전선(L1,L2)을 링크시킴으로써 강풍에 의해 발생되는 배전선(L1,L2)의 횡방향 요동, 즉 길이방향 출렁거림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아암(100)은 두 개의 배전선(L1,L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며, 일단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일정반경의 상부상부로드끼움구멍(20)이 형성된 형태로 삽입홈(30)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0)의 개방된 하부는 일정반경의 하부로드끼움구멍(22)을 갖는 지지편(40)이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홈(30)에는 축로드(50)가 완충재(60)로 감싸져 일체화된 축로드-완충재 조립체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축로드-완충재 조립체는 성형틀에 축로드(50)를 배치한 상태에서 완충재(60)를 주입하여 축로드(50)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일체화시키는 인서트 성형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재(60)는 아세탈 혹은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아세탈 혹은 폴리카보네이트가 열가소성 수지류로서 압축변형성이 적고 상온에서 팽창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와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통해 원하는 댐핑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는 각각 상기 완충재(60)의 상단과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게 성형되어야 하며, 상기 축로드(5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가 끼워져 완충재(60)와 함께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와 제2코일형 탄성체(72)는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여 축로드(50)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항상 탄성에 의한 회전토크를 제로(zero) 베이스로 만들어 축로드(50)의 댐핑 기능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축로드(50)이 길이 일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3-4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각 나사산에는 제1,2고정와셔(56,58)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를 상기 축로드(50)에 각각 끼운 다음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를 축로드(50)에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축로드-완충재 조립체 성형시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가 흘러 내리지 않고 위치 고정시킬 수 있어 성형성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된다.
더욱이, 축로드-완충재 조립체 성형시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각 하단에 형성되는 제1,2고정링(R1,R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2통공(62a,62b)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금형을 설계하여 성형 후 제1,2통공(62a,62b)을 통해 고정구(F)를 끼워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하단을 링크아암(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축로드-완충재 조립체 성형시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각 상단은 각각 상기 축로드(50)상에 걸림 고정되도록 축로드(50)에 끼움홈(도시생략)을 형성하고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각 상단을 절곡하여 끼워 고정함으로써 축로드(50)의 움직임에 따라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가 탄성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링크아암(10)의 일단 외면에는 상기 제1,2통공(62a,62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2끼움공(10a,10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끼움공(10a,10b)을 통해 각각 고정구(F)가 링크아암(10)에 나사체결되면서 고정구(F)의 단부는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각 하단에 형성된 제1,2고정링(R1,R2)에 각각 끼워지게 하여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이 축로드(50)와 링크아암(10)에 대해 상대적인 탄성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에는 치형을 형성하되, 상기 치형이 축로드(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ㄱ' 혹은 'ㄴ' 형상으로 절곡된 제1지지구(80) 및 제2지지구(82)가 상기 치형과 맞물린 상태로 끼워지게 하여 축로드(50)와 제1지지구(80) 및 제2지지구(8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는 치형이 아닌 각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2지지구(80,82)의 대응 삽입 부분도 대응되는 각형으로 구성하면 더욱 더 안정적인 일체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아암(1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힌지편(90a)이 돌출되고, 상기 제1,2지지구(80,82)의 각 외측면에는 이들을 연결고정하는 판상의 고정브라켓(BR)이 나사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BR)의 외표면에는 상기 링크힌지편(90a)과 대향되게 지지힌지편(90b)이 돌출되어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링크힌지편(90a)과 지지힌지편(90b)에는 동일 형상의 배전선고정구(92)가 힌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배전선고정구(92)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전선(L1,L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개방된 양단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고정봉(9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봉(94)에는 밀착구(96)가 끼워진다. 특히, 상기 고정봉(94)의 둘레에는 와셔형태의 걸림플랜지(T)가 나사체결되어 있어 고정봉(94)을 배전선고정구(92)의 하단에 끼운 후 'ㄷ'형 개방부(OPEN)로 노출되었을 때 걸림플랜지(T)를 나사체결하고, 그런 다음 밀착구(96)를 끼운 후 배전선고정구(92)의 상단에 고정봉(94)을 나사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밀착구(96)가 걸림플랜지(T)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상대적으로 확경된 밀착구(96)의 하측이 배전선(L1,L2)을 배전선고정구(92)의 개방부(OPEN)에서 배전선고정구(92)의 몸체 쪽으로 밀어 밀착하게 되므로 배전선(L1,L2)을 안정적으로 탄성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밀착구(96)는 탄성재, 바람직하게는 고무 혹은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종단면이 사다리꼴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링크아암(10)을 배전선(L1,L2) 사이에 배치하고, 각 배전선고정구(92)에 배전선(L1,L2)을 고정하게 되면 두 개의 배전선(L1,L2)은 적정 간격을 유지한 채 탄성완충되게 된다.
즉, 강풍에 의해 배전선(L1,L2)이 심하게 흔들릴 경우 1차적으로 링크힌지(90a)와 지지힌지편(90b)에서 회전유동하면서 완충하게 된다.
이어, 제1,2지지구(80,82)의 회전유동에 따라 축로드(50)도 함께 회전유동되는데 이때 축로드(50)는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과 극심한 마찰을 일으키게 되어 축로드(50)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특히, 제1코일형 탄성체(70)과 제2코일형 탄성체(72)는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축로드(50)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항상 상호 엇갈린 쪽은 탄성조임과 풀림이 일어나므로 자연스럽게 두 개의 배전선(L1,L2)을 항상 평행하게 유지시키려는 방향으로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더구나, 제1코일형 탄성체(70)과 제2코일형 탄성체(72)는 링크아암(10)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상이하게 움직이는 제1,2지지구(80,82)에 대해 서로의 운동을 상쇄하려는 쪽으로 탄성유동하여 2차적인 주된 탄성완충 기능을 수행하므로 배전선(L1,L2)은 큰 폭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단시간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완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링크아암(10)과 제1,2지지구(80,82)와 배전선고정구(92) 및 고정봉(94)과 고정브라켓(BR)은 전기절연성을 가지면서 내구성이 높은 합성수지조성물로 성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합성수지조성물은 아크릴수지 80중량%와 메틸펜텐 폴리머수지 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규산소다 8중량부, 옥시카르본산염 2.5중량부,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 1.5중량부,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 3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4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부, 세피오라이트 3중량부, 멜라민시아노네이트 2.5중량부,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2.5중량부, 마이카(Mica) 1.5중량부를 첨가하여 50-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에서, 혼합물을 상기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이유는 유동성을 높이면서 균일한 분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때 상기 아크릴수지는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되며, 메틸펜텐 폴리머수지는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좋아 도포하기 용이하며 특히 융점이 235℃로서 매우 높고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 우수하고 내열안정성 및 전기적 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겔화를 유도하여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열안정성 및 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옥시카르본산염은 재료의 수분 함유량을 줄여 공극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은 방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기능 외에 무기계 분말들의 점도 조절 및 배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수지에 내열성 및 절연성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기중현탁피복법(Wurster Method)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더 첨가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은 양이온 촉매를 이용해 산화에틸렌을 중합한 폴리에테르의 일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직물과 종이 등에 사용하여 피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프로필렌글리콜은 흡습성이 있으나 휘발성은 없어 열과 빛에 안정하므로 수지를 녹여 물에 혼합하는 용매로 이용되며, 표면에서 곰팡이 번식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는 투명성을 강화시키면서 성형 조직 내부에서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세피오라이트는 둥그런 관모양의 변종인 미어샤움(meerschaum)으로 불리우며 수지 조성물의 분산안정성과 균일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멜라민시아노네이트는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첨가되며,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는 유기화타이타네이트 구조를 갖는 커플링제로서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간의 계면 접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과 내열성 모두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마이카는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0.1-0.2㎛ 크기로 분쇄된 후 체질된 것을 사용하며 경질 특성으로 인해 표면 경도 및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10: 링크아암 20: 상부로드끼움구멍
22: 하부로드끼움구멍 30: 삽입홈
40: 지지편 50: 축로드
60: 완충재 70: 제1코일형 탄성체
72: 제2코일형 탄성체 80: 제1지지구
82: 제2지지구

Claims (1)

  1. 배전을 위해 다수개의 애자를 갖는 배전철탑의 배전선(L1,L2) 사이를 링크아암(10)으로 링크시켜 강풍에 의한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링크아암(10)의 일단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일정반경의 상부상부로드끼움구멍(20)이 형성된 형태로 삽입홈(30)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0)의 개방된 하부에는 일정반경의 하부로드끼움구멍(22)을 갖는 지지편(40)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30)에는 축로드(50)가 완충재(60)로 감싸져 일체화된 축로드-완충재 조립체가 삽입되는데, 상기 축로드-완충재 조립체는 성형틀에 축로드(50)를 배치한 상태에서 완충재(60)를 주입하여 축로드(50)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일체화시키는 인서트 성형방식으로 제조되며;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는 각각 상기 완충재(60)의 상단과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게 성형되고; 상기 축로드(5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가 끼워져 완충재(60)와 함께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와 제2코일형 탄성체(72)는 나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각 하단에는 제1,2고정링(R1,R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고정링(R1,R2)과 대응되는 위치의 완충재(60) 외표면에는 제1,2통공(62a,62b)이 되고; 제1,2통공(62a,62b)에는 고정구(F)가 끼워져 제1코일형 탄성체(70) 및 제2코일형 탄성체(72)의 하단을 링크아암(10)에 고정하며; 상기 축로드(50)의 상단부(52)와 하단부(54)에는 치형을 형성하되, 상기 치형이 축로드(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ㄱ' 혹은 'ㄴ' 형상으로 절곡된 제1지지구(80) 및 제2지지구(82)가 상기 치형과 맞물린 상태로 끼워지게 하여 축로드(50)와 제1지지구(80) 및 제2지지구(8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아암(1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힌지편(90a)이 돌출되며; 상기 제1,2지지구(80,82)의 각 외측면에는 판상의 고정브라켓(BR)이 나사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BR)의 외표면에는 지지힌지편(90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링크힌지편(90a)과 지지힌지편(90b)에는 동일 형상의 배전선고정구(92)가 힌지 고정되고; 상기 배전선고정구(92)는 'ㄷ' 형상으로 개방부(OPEN)를 갖도록 형성되어 배전선(L1,L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방된 양단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고정봉(9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봉(94)에는 상기 배전선(L1,L2)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밀착구(96)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KR1020170018834A 2017-02-10 2017-02-10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KR10186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34A KR101868414B1 (ko) 2017-02-10 2017-02-10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34A KR101868414B1 (ko) 2017-02-10 2017-02-10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414B1 true KR101868414B1 (ko) 2018-06-20

Family

ID=6276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834A KR101868414B1 (ko) 2017-02-10 2017-02-10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4606A (zh) * 2021-05-13 2021-06-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湛江供电局 一种基于粘滞阻尼器的输电塔风致振动控制方法及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426A (ja) * 1995-03-16 1996-10-01 Ngk Insulators Ltd 電線用相間スペーサ
JP2794399B2 (ja) * 1995-04-24 1998-09-03 中国電力株式会社 営巣防止装置及び営巣防止装置におけるテグスの張設構造
KR100879791B1 (ko) 2008-10-24 2009-01-29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송전선로용 완충식 진동방지장치
KR20090058414A (ko) * 2007-12-04 2009-06-09 (주)영종합기술단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0936284B1 (ko) 2009-08-19 2010-01-13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케이블의 지지댐퍼
KR101399044B1 (ko) * 2014-03-12 2014-05-27 (주)도현전력기술단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426A (ja) * 1995-03-16 1996-10-01 Ngk Insulators Ltd 電線用相間スペーサ
JP2794399B2 (ja) * 1995-04-24 1998-09-03 中国電力株式会社 営巣防止装置及び営巣防止装置におけるテグスの張設構造
KR20090058414A (ko) * 2007-12-04 2009-06-09 (주)영종합기술단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0879791B1 (ko) 2008-10-24 2009-01-29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송전선로용 완충식 진동방지장치
KR100936284B1 (ko) 2009-08-19 2010-01-13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케이블의 지지댐퍼
KR101399044B1 (ko) * 2014-03-12 2014-05-27 (주)도현전력기술단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4606A (zh) * 2021-05-13 2021-06-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湛江供电局 一种基于粘滞阻尼器的输电塔风致振动控制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704B1 (ko) 가공 배전철탑의 댐퍼 장치 구조
KR100503024B1 (ko)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1868414B1 (ko) 가공 송배전철탑 선로의 댐퍼 장치구조
US9948080B2 (en) Cable spacer clamp arm liner
KR101799855B1 (ko) 배전계통의 운용 관리 시스템
CA2892978A1 (en) Vibration-limiting module and device, structural segment for a structural installation, and wind turbine having a vibration-limiting module
KR101943371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US3260789A (en) Bundled conductor spacer damper
US3539139A (en) Appliance for linear bodies
KR20050002773A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1799446B1 (ko) 가공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구조
AU2018407116A1 (en) Cable protection device and wind generator set
KR101751992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RU18417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ключ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и посадки и гнездования птиц на траверсах опор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CN111130040A (zh) 一种用于控制导线整体舞动的复合间隔环-章动阻尼器
US3806627A (en) Spacer-damper for bundle conductors
KR101881941B1 (ko)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0936807B1 (ko) 진동을 완화하는 송배전 전선용 상간 스페이스
KR101955304B1 (ko) 철탑의 배전선로 장치
US4167646A (en) Vibration damper
KR101955312B1 (ko) 초고압 송전선로의 스페이서 댐퍼장치
CN207064158U (zh) 电缆隔环及风力发电机组
JP2013099003A (ja) 挟持用工具及び防護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CN202503249U (zh) 一种用于高压输电领域的三线型阻尼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