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975A - 스위치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975A
KR20090057975A KR1020097004532A KR20097004532A KR20090057975A KR 20090057975 A KR20090057975 A KR 20090057975A KR 1020097004532 A KR1020097004532 A KR 1020097004532A KR 20097004532 A KR20097004532 A KR 20097004532A KR 20090057975 A KR20090057975 A KR 20090057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breaker
lever
cam
mo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772B1 (ko
Inventor
고지 사노
히로츠구 고바야시
스스무 고즈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8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차단기의 단로(斷路)위치에서 접지개폐기가 투입상태에 있을 때, 차단기를 접속위치 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인터락 기능을 구비한 스위치기어를 얻는다. 차단기(11)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ES 조작주축(22)을 회전시켜 접지개폐기(ES)를 투입하는 동작에 의해, ES 조작주축(22)에 고착(固着)한 ES 인터락 캠(37)이 회전하고, 이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ES 인터락 레버(36)가 회전 구동되어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이 가압되어 이동하며, 그 선단부가 인출장치의 이동축(25)에 형성된 돌기부(31)와 걸어맞춰져 이동축(25)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스위치기어{SWITCHGEAR}
본 발명은 인출(引出)형의 차단기를 내장하는 스위치기어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단기와 접지개폐기(接地開閉器)와의 인터락(interlock)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기어의 인터락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인출형 단로기(斷路器, disconnector)와 접지개폐기를 구비한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메인회로기기와 도어와의 인터락기구를 설치하고, 차단기실 내부가 무충전(無充電)일 때에만 도어가 열리는 구조로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차단기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단로위치에 있을 때에 한하여 도어가 열리고, 이 상태일 때만, 접지개폐기의 구동샤프트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접지스위치 인터락판을 열어 조작핸들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접지개폐기가 개폐할 수 있다. 또,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고 접지개폐기가 닫힌 경우에는 차단기 이동샤프트의 전면에 있는 차단기 인터락판이 닫혀 핸들조작을 저지하여 차단기를 접속위치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2-135919호 공보(제2페이지, 도 2 - 도 16)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의 스위치기어에 있어서의 인터락 구조는 도어의 개폐와 차단기의 접속위치 및 단로위치의 인터락기구, 또, 차단기와 접지개폐기의 인터락기구가 샤프트, 링크, 연결판, 고정판(lock plate), 핀 등의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작 및 조립조정에 시간과 노력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조작핸들이 빠져 분실되는 등, 조작자의 오조작에 의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차단기의 단로위치에서의 차단기와 접지개폐기와의 인터락 기능을 구비하고, 또, 조작핸들이 빠져 분실되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스위치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기어는 금속제 하우징(housing)의 내부에 이동축을 회동(回動)시키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인출장치와, 인출장치에 탑재되어 메인회로에 접속된 접속위치와 메인회로로부터 떨어진 단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차단기와, 하우징의 전면 측으로부터 조작주축(操作主軸)을 회동시켜 개폐조작하는 접지개폐기(이하, 'ES'라고 함)를 구비한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조작주축을 ES의 투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주축에 고착(固着)된 ES 인터락 캠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연동하여 ES 인터락 레버가 구동되며, 이 구동에 의해 인출장치에 설치된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의 일단이 가압되고, 타단이 인출장치의 이동축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이동축의 회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스위치기어에 의하면,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조작주축을 ES의 투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ES 인터락 캠, ES 인터락 레버,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이 연동하여 동작하고,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의 선단이 인출장치의 이동축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이동축의 회동이 저지되므로,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고 ES가 투입되고 있으면, 차단기의 접속위치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고 하는 차단기와 접지개폐기와의 인터락 기능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b)에 대응하여,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 단면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로부터 본 인출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로서, 차단기가 접속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로부터 본 인출장치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로서,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로부터 본 단면도로서, ES가 개방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로부터 본 단면도로서, ES가 투입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스위치기어의 주요부 평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D-D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E-E단면도로서, 셔터가 닫혔을 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7의 E-E단면도로서, 셔터가 열렸을 때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도 7의 링크판과 ES 인터록 레버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ES 인터락 레버의 상세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 단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b)에 대응하여,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의해 스위치기어의 전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금속폐쇄(閉鎖)형의 스위치기어(1)는 전체가 금속제의 하우징(2)으로 덮여 있고, 전면(前面) 측은 도 1의 (a)와 같이, 상단 도어(3), 중단 도어(4), 하단 도어(5)가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내부는 복수의 콤파트먼트(compartment)로 구획되어 있고, 상단 도어(3)의 내측은 제어실(6), 중단 도어(4)의 내측은 차단기실(7), 하단 도어(5)의 내측의 차단기실(7) 하부로부터 하우징(2)의 이면 측에 걸쳐 케이블실(8), 또, 차단기실(7)의 배면 측의 위쪽은 메인모선실(母線室)(9)로 되어 있다.
제어실(6)에는 제어기기(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차단기실(7)에는 차단기의 인출장치(10)에 탑재된 인출형의 차단기(11)가 수납되고, 전면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단기실(7)의 후벽에는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내부에 차단기(11)와 접리(接離)하는 단로부를 내장한 모선 측 부싱(bushing)(12) 및 동일하게 구성된 케이블 측 부싱(13)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차단기(11) 이면으로 돌출된 접속단자(14)와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모선실(9)에는 3상(相)의 메인모선(15)이 지지 애자(insulator)(16)에 지지되어 수납되고, 분기(分岐)모선(17)에 의해서 모선 측 부싱(12)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실(8)에는 케이블(18)이 수납되고, 접속도체(19)에 의해서 케이블 측 부싱(13)에 접속되어 있으며, 접속도체(19)의 도중에는 변류기(20)가 관통설치되어 있다. 또, 접지개폐기(ES)(21)가 배치되어 있고, 일단 측이 케이블 측 부싱(13)에 접속되어 있다. ES(21)는 ES 조작주축(22)에 의해 하우징(2)의 전면 측으로부터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단기(11)는 상시(常時)에는 도 1에 나타낸 접속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접속상태를 유지하고, 외부기기로 연장되는 케이블(18)이나 메인모선(15)이 구성하는 고압전기회로로서의 메인회로에 접속되어 차단기로서 동작한다.
한편, 예를 들면, 보수·점검시 등에는 작업자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난 접속위치로부터 전면 측으로 인출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로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양(兩) 부싱(12,13)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ES(21)의 투입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하우징(2)의 내부 구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의 배치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차단기(11)의 인출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로부터 본 인출장치(10)의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차단기(11)가 접속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4는 차단기(11)가 단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출장치(10)는 차단기(11)가 탑재되는 대차(臺車, truck)(23)와, 대차(23)를 주행시키는 레일을 구비하며 하우징(2) 측에 장착된 가이드 프레임(24)과, 대차(23)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수나사가 형성된 이동축(25)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축(25)은 일단 측이 하우징(2)의 전면 측에 축지지되어 있고, 타단 측은 대차(23) 측에 고정된 암나사(26)와 나사 맞춤 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중앙부에 있는 차단기 조작구(操作口)(27)로부터 차단기 조작핸들(28)을 삽입하여 화살표와 같이 회전시키면, 대차(23)가 전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단기(11)는 대차(23)에 일체적으로 탑재되어 있으므로, 차단기(11)의 이면 측으로 돌출된 접속단자(14)가 양 부싱(12,13)으로부터 이탈하여 차단기(11)를 단로시킬 수 있다. 차단기 조작핸들(28)을 더욱 회전시켜 대차(23)를 전면 측까지 완전하게 이동시키면, 도 4와 같이 되고, 이것이 단로위치이다.
차단기(11)가 단로위치에 유지된 상태가 되면, ES(2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이 인터락에 대해서는 본원 발명과 직접 관계가 없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 다.) ES(21)의 조작은 하우징(2) 전면의 ES 조작구(29)로부터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S 조작핸들(30)을 삽입하고, ES 조작주축(22)을 회동시켜 실시한다. ES 조작주축(22)의 회동구동력은 레버와 링크를 통하여 ES(21)에 전달되고, 그 블레이드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시킨다. 도 2에서는 ES(21)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발명의 주요부인 차단기(11)와 ES(21)와의 인터락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B-B로부터 본 단면도로서, ES의 개방시를 나타내고, 도 6은 마찬가지로 도 4의 B-B로부터 본 단면도로서, ES의 투입시를 나타낸다.
도 3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축(25)의 선단 근방에는 돌기부(31)가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31)는 이동축(25)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한편, 대차(23) 측에는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U자 모양의 절개부(32a)가 있고, 이 절개부(32a)가 대차(23) 측의 부착판에 설치된 가이드핀(33)의 홈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진다. 타단(도에서 우측)은 대차(23)의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세공(細孔)(23a)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스프링(34)(도 3 참조)에 의해 상시에는 도에서 우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이동축(25)을 회전시켜도 그 선단 측의 돌기부(31)와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 선단과는 간섭하지 않는다.
대차(23)가 도 4와 같이 단로위치에 있을 때, 대차(23)의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의 위치에 대응시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 측의 부착부에 설치된 지지축(35)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ES 인터락 레버(36)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ES 인터락 레버(36)에 대응시켜, ES 조작주축(22)의 대응 위치에 ES 인터락 캠(37)을 고착(固着)하고 있다.
ES(21)가 「열림」일 때는 ES 인터락 캠(37)은, 도 5 에 나타내는 방향에 있고, 이 때, ES 인터락 레버(36)는 자중에 의해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캠(37)에 기대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ES 조작주축(22)을 투입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ES 인터락 캠(37)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ES 인터락 레버(36)가 밀어 올려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구동에 의해, ES 인터락 레버(36)의 선단부에 설치된 가압부에서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이 가압되어 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선단부가 이동축(25)의 돌기부(31)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다. 투입이 완료되면, 도 6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인터락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차단기(11)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ES(21)의 투입동작에 연동하여 ES 인터락 캠(37)이 회전하여 ES 인터락 레버(36)가 밀어 올려져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이 좌측방향으로 가압되고, 그 선단부가 이동축(25)의 돌기부(31)와 간섭하는 것에 의해 이동축(25)의 회전이 저지된다.
즉, 차단기(11)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ES(21)가 투입되어 있으면, 차단기(11)의 접속위치 측으로의 이동동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ES의 조작주축을 ES의 투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주축에 고착된 ES 인터락 캠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연동하여 ES 인터락 레버가 구동되며, 이 구동에 의해 인출장치에 설치된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의 일단이 가압되고, 타단이 인출장치의 이동축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이동축의 회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고, ES가 투입되고 있으면, 실수로 차단기를 접속위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안전이 유지된다고 하는 차단기와 접지개폐기와의 인터락 기능을 간단한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7은 실시형태 2에 의한 스위치기어의 주요부 평면 단면도로서, 실시형태 1의 도 3 또는 도 4에서의 전면 오른쪽 모서리부의 확대도이고, 인출장치(10)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ES 조작주축(22)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7의 C-C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7의 E-E단면도이다. 스위치기어 전체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도 1과 동등한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인출장치, ES 조작기구 및 양자의 인터락도 실시형태 1과 동등하며,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발명은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이하에 설명하는 인터락 기능을 더 부가한 것이다.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S 조작주축(22)에 ES 조작핸들(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2)의 전면의 벽면에 ES 조작구(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ES 조작구(29)가 형성된 하우징 벽면의 바로 뒤에 ES 조작 구(29)를 개폐하는 셔터(38)를 설치하고, 이 셔터(38)의 개폐와 차단기의 이동과의 사이에 인터락을 설치한 것이다.
셔터(38)의 전면 측에는 수동조작하는 손잡이(knob)(39)가 설치되고, 이면 측에는 연결핀(40)이 돌출되어 있다. 또, 셔터(38)는 복귀 스프링(41)에 의해서 통상 상태에서는 ES 조작구(29)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셔터(38)의 개폐동작을 후방의 ES 인터락 레버(36) 측에 전달하기 위한 링크로드(42)가 하우징(2)에 축지지되고 있다. 링크로드(42)의 일단의 걸어맞춤부(42a)는 U자 모양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에 셔터(38)의 연결핀(4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져 있다. 또, 링크로드(42)의 타단의 걸어맞춤부(42b)도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걸어맞춤부(42b)는 링크판(43)에 설치된 연결핀(44)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진다. 링크판(43)은 장공(長孔)부(43a)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우징(2) 측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판(43)의 이면 측에는 비스듬하게 경사시킨 경사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ES 조작주축(22)에는 ES 인터락 캠(37)이 설치되고, 그에 대응하는 하우징 측에는 ES 인터락 레버(36)가 설치되어 있다. ES 인터락 레버(36)는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과 동등하지만, 추가로, 상기 경사부(43b)와 슬라이드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핀(45)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링크판(43)과 ES 인터락 레버(36)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은 셔터(38)를 개방하는 동작의 도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 도 12에 근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셔터(38)가 「닫음」 상태에서는, 셔터(38)는 도 8의 상태에 있고, 링크로드(42) 및 링크판(43)은 도 10의 상태이다. ES 조작핸들을 삽입하기 위해서 셔터(38)를 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ES 조작구(29)를 열면, 연결핀(40)도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링크축(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축(4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판(43)이 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링크판(43)의 경사부(43b)에 의해서 ES 인터락 레버(36)의 걸어맞춤 핀(45)이 아래쪽으로 눌러지게 되고, ES 인터록 레버(36)는 지지축(35)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이후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이 좌측방향으로 가압되고, 그 선단부가 이동축(25)의 선단 측에 형성된 돌기부(31)에 걸어맞춰져 이동축(25)의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일련의 동작은 ES 조작주축(22)에 설치된 ES 인터락 캠(37)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 있다. 즉, ES(21)의 「열림」「닫힘」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기(11)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ES 조작구(29)의 셔터(38)를 열면, 그 동작이 링크로드(42), 링크판(43), ES 인터락 레버(36),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에 전달되어 이동축(25)의 회전이 저지되고, 차단기(11)를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ES 조작핸들(30)을 ES 조작구(29)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이동축(25)을 회전시킬 수 없다.
도 13은 ES 인터락 레버(36)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와 같이, 레버 본체(36a)에 대해 가압부인 가압조정부(36b)와 캠 걸어맞춤부인 캠 걸어맞춤 조정부(36c)를 별도의 부재로 하여 볼트로 체결하고 있다.
ES 인터락 캠(37)이나, ES 인터락 레버(36),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32), 이동축(25) 등은 각각 개별의 구조물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인터락기구를 양호하게 작동시키려면, 조립시에 그러한 상호관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어 조정작업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ES 인터락 레버(36)를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립시에 ES 인터락 레버(36)의 가압부 및 캠 걸어맞춤부와 상대 측과의 걸어맞춤 관계를 정밀도 좋게 조정할 수 있다.
또, ES(21)가 「닫음」 측에 있을 때의 ES 인터락 레버(36)의 ES 인터락 캠(37)과의 걸어맞춤부(도 13의 (b) 중에 파선(波線)으로 나타내는 부분)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ES 인터락 캠(37)의 걸어맞춤부도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걸림 상태에서는 양자는 면접촉이 되어 확실하고 안정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ES 인터락 레버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스위치기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 실시형태 1의 경우는 걸어맞춤 핀(45)은 불필요하다.
또, 조정은 번거롭게 되지만, 가압조정부(36b)와 캠 걸어맞춤 조정부(36c)를 별도의 부재로 하지 않고 일체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발명에 의하면, ES의 조작주축의 조작핸들을 삽입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ES 조작구에 개폐 가능한 셔터를 설치하고,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셔터를 열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링크 기구를 통하여 ES 인터락 레버와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을 구동하고, 그 선단부를 이동축의 돌기부에 걸어 맞추어, 이동축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시형태 1의 효과에 더하여 차단기가 단로위치에 있을 때, 셔터를 열면, 차단기가 접속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단기의 단로위치에서, ES를 열림으로부터 닫음으로 이행한 후, ES 조작핸들이 빠져 분실되었을 경우라도 차단기의 접속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핸들이 빠져 분실되었기 때문에 접속위치로의 이동중이나 접속위치에서 ES를 닫음 조작하는 것 같은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ES 인터락 레버는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ES 인터락 캠에 걸어 맞추는 캠 걸어맞춤부를 레버 본체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레버 본체 부재에 대해서 가압부와 캠 걸어맞춤부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볼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ES 인터락 레버의 가압부 및 캠 걸어맞춤부와 상대 측과의 걸어맞춤 관계를 정밀도 좋게 조정할 수 있어 조립조정이 간단하게 된다.
더욱이 또한, ES 인터락 레버와 ES 인터락 캠과의 걸어맞춤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걸림 상태에서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걸림 상태에서는 양자는 확실하고 안정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인터락기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출형의 차단기를 내장하는 스위치기어에 이용 가능 하고, 특히, 차단기와 접지개폐기와의 인터락구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금속제 하우징(housing)의 내부에 이동축을 회동(回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인출(引出)장치와, 이 인출장치에 탑재되어 메인회로에 접속된 접속위치와 상기 메인회로로부터 떨어진 단로(斷路)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차단기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조작주축(操作主軸)을 회동시켜 개폐조작하는 접지개폐기(이하, 'ES'라고 함)을 구비한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가 상기 단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작주축을 상기 ES의 투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주축에 고착(固着)된 ES 인터락(interlock) 캠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연동하여 ES 인터락 레버가 구동되며, 이 구동에 의해 상기 인출장치에 설치된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의 일단이 가압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장치의 상기 이동축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상기 이동축의 회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주축의 조작핸들을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ES 조작구에 개폐 가능한 셔터를 설치하고, 상기 차단기가 상기 단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셔터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기 ES 인터락 레버가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상기 인출장치에 설치된 상기 인출장 치 인터락 프레임의 일단이 가압되며, 타단이 상기 인출장치의 상기 이동축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상기 이동축의 회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ES 인터락 레버는 상기 인출장치 인터락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ES 인터락 캠에 걸어 맞추는 캠 걸어맞춤부를 레버 본체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레버 본체 부재에 대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캠 걸어맞춤부와의 부착위치를 조정 가능하도록 볼트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ES 인터락 레버와 상기 ES 인터락 캠과의 걸어맞춤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걸림 상태에서 면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KR1020097004532A 2007-01-19 2007-04-17 스위치기어 KR101064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0306 2007-01-19
JPJP-P-2007-010306 2007-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975A true KR20090057975A (ko) 2009-06-08
KR101064772B1 KR101064772B1 (ko) 2011-09-14

Family

ID=3963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532A KR101064772B1 (ko) 2007-01-19 2007-04-17 스위치기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98741B2 (ko)
KR (1) KR101064772B1 (ko)
CN (1) CN101536279B (ko)
MY (1) MY151848A (ko)
WO (1) WO20080877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97U (ko) * 2018-01-29 2019-08-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4412B (zh) * 2010-06-01 2011-04-20 武汉长兴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开关柜机械联锁套件
KR101633567B1 (ko) 2011-12-08 2016-06-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기어
WO2014010110A1 (ja) * 2012-07-13 2014-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CN103280727B (zh) * 2013-06-14 2015-11-18 苏州达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底盘车
KR101570101B1 (ko) 2014-01-28 2015-1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장치
KR101658541B1 (ko) 2014-11-28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640712B1 (ko) 2015-04-20 2016-07-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
CN105244793B (zh) * 2015-11-14 2017-09-19 金炉电气有限公司 抽屉推进联锁机构
CN110492373B (zh) * 2019-09-27 2024-01-26 清远市新能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电动和手动操作的分合闸抽屉
KR102507648B1 (ko) * 2020-11-19 2023-03-08 엘에스일렉트릭(주)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1209U (ko) * 1979-03-28 1980-10-08
JPS58128518U (ja) * 1982-02-25 1983-08-31 株式会社明電舎 負荷開閉器のロツク装置
JPS5913003U (ja) * 1982-07-12 1984-01-26 富士電機株式会社 配電盤の接地開閉装置
JPS59129325U (ja) * 1983-02-17 1984-08-30 富士電機株式会社 配電盤の接地開閉器の操作装置
JPH0231843Y2 (ko) * 1984-10-16 1990-08-29
JPH1146410A (ja) * 1997-07-28 1999-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設備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4074038B2 (ja) * 1999-11-10 2008-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の挿入/引出し装置
JP4387577B2 (ja) * 2000-10-27 2009-12-16 泰斗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KR100386630B1 (ko) 2000-11-07 2003-06-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접지스위치 인터록장치
CN2478268Y (zh) * 2000-12-08 2002-02-20 上海宝菱电气控制设备有限公司 电气高压开关柜安全闭锁装置
KR100394025B1 (ko) 2000-12-18 2003-08-06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접지스위치 인터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97U (ko) * 2018-01-29 2019-08-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98741B2 (ja) 2011-06-08
WO2008087746A1 (ja) 2008-07-24
CN101536279A (zh) 2009-09-16
CN101536279B (zh) 2012-06-20
KR101064772B1 (ko) 2011-09-14
MY151848A (en) 2014-07-14
JPWO2008087746A1 (ja)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772B1 (ko) 스위치기어
US20200373101A1 (en)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462666B1 (en) Motor control center and subunit therefor
JP2730890B2 (ja) 主および補助回路を有する電気的遮断器の引入れおよび引出し機構
US8283585B2 (en) Electric switchgear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576952B1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US6388868B1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requiring an electrical cabinet to be closed before connection of the equipment therein
US20100236905A1 (en) Electric switchgear
RU2741065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каф с выдвижным модулем
CN104471806A (zh) 开关装置
WO2018055829A1 (ja) スイッチギヤ
EP3427356B1 (en) Racking interlocking system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EP2826116B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CN110224328A (zh) 一种组合电器
CN111192776A (zh) 隔离开关与断路器的机械联锁装置
WO2014095905A1 (en) Draw out switching device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EP2639902A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CN209929836U (zh) 抽出式开关柜的联锁机构及抽出式开关柜
CN217061820U (zh) 隔离开关与断路器的联锁机构及开关柜
KR200212728Y1 (ko) 진공차단기/어싱스위치의 인터로크장치
CN219017483U (zh) 一种上隔离下断路器的联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