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656A -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656A
KR20090057656A KR1020070124330A KR20070124330A KR20090057656A KR 20090057656 A KR20090057656 A KR 20090057656A KR 1020070124330 A KR1020070124330 A KR 1020070124330A KR 20070124330 A KR20070124330 A KR 20070124330A KR 20090057656 A KR20090057656 A KR 20090057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semiconductor device
deposition
etch
etch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867B1 (ko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2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8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을 위해 산화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산화막 이중 증착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산화막에 대해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실시하고, 에치백 공정이 실시된 산화막에 대해 부가 증착(add deposition)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산화막 및 금속층을 증착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공정에서 산화막이 이중으로 증착되었을 경우, 선택적인 에치백 및 부가 증착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후 CMP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에치백으로 인한 균일성(uniformity) 저하를 개선하였으며, 이로 인해 본원 발명에서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CMP 공정 전 단계에서 산화막이 이중으로 증착되는 경우에도 스크랩 현상을 방지하여 수율(yield) 감소 없이 칩(chip) 양산이 가능하다.
스페이서, 에치백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IDEWALL SPACER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화막이 이중으로 증착된 배선 구조에서 에치백(etch-back)으로 인한 균일성 저하를 개선하는데 적합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반도체 칩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진 공정, 식각 공정, 증착 공정 등 수 많은 공정들이 필요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사진 공정은 칩 내에 패턴들이 디자인대로 구현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디자인대로 사진 공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웨이퍼 표면의 평탄화가 필수적인데, 이 평탄화는 이전의 리플로우(reflow), 증착 및 에치백(etch-back) 공정을 거치면서 달성할 수 있었으나,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패턴 최소 선폭이 감소함에 따라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이하 CMP라 함) 공정이 도입되게 되었다.
CMP 공정은 기존의 리플로우, 증착 및 에치백 등의 공정과 비교하여 평탄화 특성이 우수하므로, 거의 대부분의 디바이스 메이커(device maker)에서 현재 적용되고 있다.
CMP 공정은 장비뿐만 아니라 패드(pad), 슬러리(slurry)와 같은 소모성 요소가 공정 특성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연마율(removal rate)를 결정짓는 슬러리는 특정 화학액에 연마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상태이다. 화학액이 웨이퍼 표면 물질은 화학적으로 반응시키고, 분산되어 있는 연마입자가 웨이퍼 표면의 반응 물질을 결함 없이 제거함으로써 평탄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50nm 정도의 크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CMP 공정의 전 단계 공정으로는, 산화막 증착 및 금속층 증착 공정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막 증착 및 금속층 증착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으로서 실리콘 기판에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막(1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0)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 물질,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을 매립하고 화학적기계적연마(CMP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으로 절연 물질을 연마하여 셀로우 트렌치(Shallow Trench Isolation : 이하 STI라 함)형 소자 분리막(12)을 형성한다.
소자 분리막(1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전면에 절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2)을 약 100Å 정도 증착하고, 그 위에 게이트 도전막,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약 3000Å 정도 증착한다. 여기서, 게이트 도전막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이외에, 실리콘게르마늄(SiGe), 코발트(Co), 텅스텐(W), 티타늄(Ti), 니켈(Ni), 탄탈륨(Ta), 티타늄 질화막(TiN), 탄탈륨 질화막(TaN), 텅스텐 질화막(WN)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의 복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진 공정을 진행하여 게이트 도전막에 게이트 영역을 정의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됨)을 형성하고, 이 패턴에 의해 드러난 게이트 도전막을 건식 식각, 예를 들어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하여 게이트 전극(16)을 형성하며, 그 아래의 절연막 또한 건식 식각하여 게이트 절연막(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에슁(ashing) 공정으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다.
그 다음 게이트 전극(16)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 이온주입 공정(예를 들어, n형 도펀트를 저농도로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LDD 영역(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10) 전면에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SiN)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을 증착하고 이를 건식 식각, 예를 들어 반응성 이온 식각(RIE)하여 게이트 전극(16) 측벽에 스페이서(18)를 형성한다.
그 다음 스페이서(18) 및 게이트 전극(16)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 이온주입 공정(예를 들어, n형 도펀트를 고농도로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소스/드레인 영역(도시 생략)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16), 소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구조물 전면에 식각 정지막으로서, 실리콘 질화막(SiN)을 300Å∼500Å 두께로 얇게 형성한다.
이후, 식각 정지막 상부에 층간 절연막(PMD)(20)(22)으로서, 갭필 특성이 우수한 O3-TEOS 산화막, BPSG 절연막, HDP CVD 산화막 등의 절연막을 약 7000Å 이상 두껍게 증착하여 도 1a와 같은 배선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산화막 증착 공정 중 공정 오류(trouble or recipe miss)로 인해 도 1b의 도면부호 24에 예시한 바와 같은 산화막 이중 증착(oxide double deposition)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막 이중 증착 현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바로 CMP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프로세싱 타임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어 식각 프로파일(etch profile) 및 균일성(uniformity)이 나빠져, 결국 수율 감소에 의해 스크랩(scrap) 처리가 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산화막 및 금속층을 증착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공정에서 산화막이 이중으로 증착되었을 경우 웨이퍼 리워크 시퀀스(rework sequence)를 통해 스크랩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을 위해 산화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산화막 이중 증착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산화막에 대해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에치백 공정이 실시된 산화막에 대해 부가 증착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CMP 공정 전단계에서 산화막이 이 중으로 증착되는 경우에도 스크랩 현상을 방지하여 수율 감소 없이 칩 양산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으로서 실리콘 기판에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막(10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00)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 물질,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을 매립하고 화학적기계적연마(CMP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으로 절연 물질을 연마하여 셀로우 트렌치(STI : Shallow Trench Isolation)형 소자 분리막(102)을 형성한다.
소자 분리막(10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절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2)을 약 100Å 정도 증착하고, 그 위에 게이트 도전막,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도프트 폴리실리콘을 약 3000Å 정도 증착한다. 여기서, 게이트 도전막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이외에, 실리콘게르마늄(SiGe), 코발트(Co), 텅스텐(W), 티타늄(Ti), 니켈(Ni), 탄탈륨(Ta), 티타늄 질화막(TiN), 탄탈륨 질화막(TaN), 텅스텐 질화막(WN)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의 복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진 공정을 진행하여 게이트 도전막에 게이트 영역을 정의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됨)을 형성하고, 이 패턴에 의해 드러난 게이트 도전막을 건식 식각, 예를 들어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하여 게이트 전극(106)을 형성하며, 그 아래의 절연막 또한 건식 식각하여 게이트 절연막(104)을 형성한다. 그리고 에슁(ashing) 공정으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다.
그 다음 게이트 전극(106)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 이온주입 공정(예를 들어, n형 도펀트를 저농도로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LDD 영역(미도시됨)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SiN)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을 증착하고 이를 건식 식각, 예를 들어 반응성 이온 식각(RIE)하여 게이트 전극(106) 측벽에 스페이서(108)를 형성한다.
그 다음 스페이서(108) 및 게이트 전극(106)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 이온주입 공정(예를 들어, n형 도펀트를 고농도로 이온 주입)을 실시하여 소스/드레인 영역(도시 생략)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106), 소스/드레인 영역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구조물 전면에 식각 정지막으로서, 실리콘 질화막(SiN)을 300Å∼500Å 두께로 얇게 형성한다.
이후, 식각 정지막 상부에 층간 절연막(PMD)(110)(112)으로서, 갭필 특성이 우수한 O3-TEOS 산화막, BPSG 절연막, HDP CVD 산화막 등의 절연막을 약 7000Å 이상 두껍게 증착하여 도 2a와 같은 배선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산화막 증착 공정 중 공정 오류(trouble or recipe miss)로 인해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2의 산화물질(114)이 증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의 산화물질(114)이 증착되는 것을 산화막 이중 증착(oxide double deposition) 현상이라 명명한다.
이후,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12)에 대해 에치백(etch-back)을 실시하는데, 이때의 에치백은, 예를 들면 상기 층간 절연막(112) 두께의 10∼20%,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간 절연막(112) 두께의 15%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의 산화물질(114)이 증착된 웨이퍼의 두께 측정을 통해 에치 타겟(etch target)을 설정한 후, 상기 에치 타겟으로 설정된 시간(층간 절연막(112) 두께의 약 15%까지 에치백을 하기 위한 시간)에 따라 층간 절연막(112) 및 제 2의 산화물질(114)에 대한 에치백을 실시한다.
이렇게 에치백을 실시하면, 층간 절연막(112) 주위로 리세스(recess) 및 균일성 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2c의 도면부호 112'는 이와 같은 에치백 실시 후의 층간 절연막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후, 도 2d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증착(add deposition) 공정을 통해 상기 리세스 및 균일성 저하 현상이 발생된 층간 절연막(112') 상부면에 부가 증착막(116)을 형성함으로써, 에치백으로 인한 균일성 저하를 개선한다. 만일, 이 러한 부가 증착막 없이 바로 CMP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2c와 같은 프로파일이 유지된 상태로 후속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수율 저하의 심각한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통상적인 CMP 공정을 진행하여 평탄화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도 2e에 예시한 바와 같은 배선 구조를 최종적으로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산화막 및 금속층을 증착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공정에서 산화막이 이중으로 증착되었을 경우 선택적인 에치백 및 부가 증착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후 CMP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에치백으로 인한 균일성 저하를 개선토록 구현한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2 : 소자 분리막
104 : 게이트 절연막 106 : 게이트 전극
108 : 스페이서 110, 112 : 층간 절연막
114 : 산화물질 116 : 부가 증착막

Claims (7)

  1.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을 위해 산화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산화막 이중 증착 현상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산화막에 대해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과,
    상기 에치백 공정이 실시된 산화막에 대해 부가 증착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연마 공정 전 단계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백 공정은, 상기 산화막 두께의 10%∼20%까지 실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백 공정은,
    상기 산화막 이중 증착 현상이 발생된 웨이퍼의 두께 측정을 통해 에치 타겟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치 타겟으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산화막에 대한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 타겟으로 설정된 시간은, 상기 산화막 두께의 15%까지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증착 공정은, 상기 에치백 공정으로 인한 상기 산화막의 리세스 및 균일성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KR1020070124330A 2007-12-03 2007-12-03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KR10094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30A KR100945867B1 (ko) 2007-12-03 2007-12-03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30A KR100945867B1 (ko) 2007-12-03 2007-12-03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56A true KR20090057656A (ko) 2009-06-08
KR100945867B1 KR100945867B1 (ko) 2010-03-08

Family

ID=4098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30A KR100945867B1 (ko) 2007-12-03 2007-12-03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8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992B2 (ja) * 1995-11-10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59196A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평탄화 방법
KR20000027825A (ko) * 1998-10-29 2000-05-15 김영환 반도체 장치의 평탄화 방법
US6140240A (en) 1999-01-07 2000-10-31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eliminating CMP induced microscratc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867B1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5050B2 (en) Methods for fabricating memory devices using sacrificial layers
US6316329B1 (en) Forming a trench mask comprising a DLC and ASH protecting layer
US7977234B2 (en) Fabric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TWI557809B (zh) 包含接觸結構與形成於接觸蝕刻停止層之側壁上之保護層的半導體設備以及製造半導體裝置的方法
US9966309B2 (en) Contact plug without seam hol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TW201907568A (zh) 自我對準接點(五)
US692418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post gate stack planarization
TW201731098A (zh) 半導體元件結構及其形成方法
US9059394B2 (en) Self-aligned lower bottom electrode
US7981762B2 (en) Method of forming pre-metal dielectric layer of semiconductor device
US8703612B2 (en) Process for forming contact plugs
US6258697B1 (en) Method of etching contacts with reduced oxide stress
TWI700799B (zh) 導電結構、包含導電結構之佈局結構以及導電結構之製作方法
US6236091B1 (en) Method of forming a local interconnect with improved etch selectivity of silicon dioxide/silicide
US6261914B1 (en) Process for improving local uniformity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using a self-aligned polish rate enhancement layer
KR100945867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TW201428889A (zh) 形成具有接觸插栓的半導體結構的方法
JP4966116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945870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 방법
KR100390838B1 (ko) 반도체 소자의 랜딩 플러그 콘택 형성방법
KR10083201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577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3181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745075B1 (ko) 반도체 장치의 랜딩플러그 콘택 형성 방법
KR20030085999A (ko)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에스램 메모리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