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268A -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268A
KR20090056268A KR1020070123341A KR20070123341A KR20090056268A KR 20090056268 A KR20090056268 A KR 20090056268A KR 1020070123341 A KR1020070123341 A KR 1020070123341A KR 20070123341 A KR20070123341 A KR 20070123341A KR 20090056268 A KR20090056268 A KR 2009005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ye
active ingredient
group
topical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용
김제학
신혜경
한은옥
오성문
Original Assignee
에이큐팜 주식회사
오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팜 주식회사, 오성문 filed Critical 에이큐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6268A/ko
Publication of KR2009005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6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투여 부위에 대한 자극이 적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산레보세티리진를 함유한 활성 성분과, D-소르비톨, 글리세린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등장화제를 포함한다.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안정성, 자극, 염산레보세티리진, 등장화제

Description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DOSAGE}
본 발명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투여 부위에 대한 자극이 작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항 히스타민제는 경구용과 국소용의 2가지 유형으로 사용되고 있다.
경구용 항 히스타민제의 제 1세대 약물 (예를 들어, 클로로페닐라민,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트리폴리딘, 클레마스틴 또는 트리페넨아민)은 진정작용과 항콜린 효능으로 알레르기 및 코점막 충혈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나 중추신경억제로 인한 졸림, 부교감신경억제로 인한 입 마름, 배뇨곤란, 시야장애 또는 소화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제 2세대 약물 (예를 들어, 아크리바스틴, 아스테미졸, 염산아제라스틴, 세트리진, 에바스틴, 펙소페나딘, 로라타딘, 테르페나딘 또는 올로파타딘)은 제 1 세대 약물에 비해 상기 부작용이 작고 약물의 작용 시간이 길면서도 선택적인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위 제 1 세대 및 제 2 세대 약물의 상당수가 경구용뿐만 아니라 국소용으로도 제제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국소용으로 제제화된 제 1 세대 약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눈 알레르시 치료를 위한 에메다스틴 디푸마레이트 및 레보카바스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있다[Ophthalmic Drug Facts 1999, Facts and Comparisons, St. Louis, MO, pp. 59-80]. 또한, 국소용으로 제제화된 제 2 세대 약물의 예로는, 비만세포 안정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올로파타딘, 크로몰린 나트륨, 아스테미졸 및 푸마르산 케토티펜이 있다.
그러나, 이들 제 1 세대 및 제 2 세대 약물은 부작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예를 들어, 아스테미졸과 케토티펜의 경우 식욕 증가가 관찰되고, 염산 아제라스틴의 경우 58%의 환자가 쓴맛을 느끼고 비강에 분무하는 경우 5%가 작열감을 느끼며 3.5%가 입맛의 변화를 호소하였다. 또한, 레보카바스틴의 경우에도 비강점막의 자극감이 보고된 바 있다. 더구나, 국소용으로 제제화된 이들 제 1 세대 및 제 2 세대 약물을 점안제 등으로 사용하면, 대체로 안자극성이 강하고[醫藥品 硏究, 何先 등, 19, 821(1988)], 알레르기성 치료 효과가 그리 높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들 약물 자체가 항원으로 되어 약물 알레르기에 의한 염증을 야기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해 보다 높은 치료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작고 투여 부위, 예를 들어, 눈에 대한 자극이 작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이 계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한편, 항 히스타민제의 제 3세대 약물에는 펙소페나딘, 염산레보세티리진 또는 데스로라티딘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염산레보세티리진은 높은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체내 흡수가 빨라 치료 효과가 빠르고 지속적이며, 졸음 등의 부작용이 작은 장점이 있다. 또한, 염산레보세티리진은 NF-κB의 활성을 막아 알레르기성 질환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인 염증 반응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염산레보세티리진은 아직까지 경구용 정제 또는 시럽제의 경구용 제제로만 제제화되어 있어 그 적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눈 또는 귀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국소용 제제로는 전혀 제제화된 바가 없어, 이러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포함하여 부작용이 작고 우수한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투여 부위에 대한 자극이 작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함유한 활성 성분과, D-소르비톨, 글리세린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등장화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염산레보세티리진을 최초로 국소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고, 이로서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빠르고 우수할 뿐 아니라 부작용이 작고 안정성이 높으며 투여 부위에 대한 자극이 작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함유한 활성 성분과, D-소르비톨, 글리세린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등장화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포함함에 따라,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빠르고 우수할 뿐 아니라, 졸음 등의 부작용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이러한 염산레보세티리진을 소정의 등장화제와 혼합하여 국소 투여용으로 제제화한 결과, 상기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포함한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이 투여되는 투여 부위(예를 들어, 눈 또는 귀)에 대한 자극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수하고 빠른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작고 투여 부위에 대한 자극 또한 작으며 안정성이 높아서, 눈, 귀 또는 코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종래의 국소 투여 제제(예를 들어, 제 1 세대 또는 제 2 세대 약물을 포함한 국소 투여 제제)의 문제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활성 성분으로 포함된 염산레보세티리진은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005~1.0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1.0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우수하고 빠른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등장화제는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1~3.0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1.5 w/v%의 농도로 포함 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염산레보세티리진 및 이를 포함한 약학 조성물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상기 약학 조성물이 국소 투여되는 부위에 대한 자극을 줄이면서도, 눈 또는 귀 등에 국소 투여되기에 적절한 약학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산일수소나트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의 완충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완충제는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01~0.5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화벤잘코늄의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부제는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01~0.03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약학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예를 들어, 에데트산나트륨과 같은 안정화제나,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과 같은 pH 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이 이들 부형제를 소정의 농도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 약학 조성물이 눈 또는 귀 등에 국소 투여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학 조성물은 눈,코 또는 귀 등에 사용되는 액제, 겔제 또는 연고제; 비강 분무제 또는 미스트; 폐용 정량식 흡입제; 또는 피부용 액제, 겔제 또는 크림제; 등의 다양한 형태의 국소 투여용 제제로 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도 눈 또는 귀에 발생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 알레르기성 점안제 또는 항 알레르기성 점비제,점이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약학 조성물이 항 알레르기성 점안제 또는 항 알레르기성 점비제,점이제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안과용 또는 이비인후과용으로 적절한 pH 4.5~8.0로 조절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5.0~7.5로 조절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사용해 눈 또는 귀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학 조성물이 항 알레르기성 점안제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은 눈물액에 대해 등장성이 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약학 조성물의 삼투압은 약 280~320 밀리오스몰로 조절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눈에 잘 흡수되도록 하여 눈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효과적이고 빠르게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성 성분이 염산레보세티리진 외에 다른 항 히스타민제 또는 항 염증제를 더 함유하여, 상기 약학 조성물이 복합 제제화될 수도 있다. 이로서, 2 가지 이상의 활성 성분이 상승 작용을 일으켜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보다 우수한 치료 또는 예방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알레르기성 질환에 수반되는 염증 반응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더 포함될 수 있는 항 히스타민제의 예로는, 푸마르산 케토티펜, 에메다스틴, 마피나스틴, 에피나스틴, 레보카바스틴, 로라티딘, 데스로라티딘, 올로파타딘, 케토티펜, 염산아제라스틴, 세티리진 및 펙소페나딘 등이 있고, 항 염증제의 예로는,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플루메토오론, 하이드로코르티손, 리멕솔론 및 로테프레드놀 등이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항 히스타민제, 항 염증제 또는 충혈 완화제 등이 상기 염산레보세티리진과 함께 포함되어 상기 약학 조성물이 복합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산레보세티리진과 함께 함유되는 항 히스타민제 또는 항 염증 제 등은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0005~0.5 w/v%, 바람직하게는 0.01~0.1 w/v%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보다 우수한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포함하여 부작용이 적고 매우 우수한 항 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투여 부위에 대한 자극이 매우 작다.
따라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눈 또는 귀,코의 알레르기성 질환 등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점안제 또는 점비제, 점이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다음에 기재된 방법으로 혼합, 용해하여 실시예 1-3의 국소 투여용 점안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멸균 정제수 80ml에 염화벤잘코늄 및 농글리세린(염화나트륨, D-소르비톨액)을 순서대로 넣어 녹이고, 염산레보세티리진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어서, 0.5N 수산화나트륨을 천천히 투입하여 pH를 5.5-6.5으로 조절하고 멸균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맞춘 후 여과하였다.
[표 1]
내용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주성분 염산레보세티리진 0.25g 0.25g 0.25g 0.25g 0.25g 0.25g 0.10g 0.10g 0.10g 0.10g
염산아제라스틴 - - - - - - - - 0.01g -
푸마르산 케토티펜 0.025g
보존제 염화벤잘코늄 0.01g 0.01g 0.01g 0.01g 0.01g 0.01g 0.01g 0.01g 0.01g 0.01g
완충제 인산일수소나트륨 - - - 0.60g 0.60g 0.60g 0.60g 0.60g 0.60g 0.60g
인산이수소나트륨 - - - 0.27g 0.27g 0.27g 0.27g 0.27g 0.27g 0.27g
등장화제 농글리세린 2.8g - - 2.0g - - 2.0g - 0.7g 2.0g
염화나트륨 - 0.85g - - 0.62g - - - - -
D-소르비톨액 - - 6.5g - - 5.0g - 5.0g 3.0g -
안정화제 에데트산나트륨 - - - - - - - - 0.1g -
pH조절제 NaOH/HCl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제 멸균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pH 5.89 5.87 5.94 6.91 6.84 6.82 6.83 6.83 6.74 6.85
삼투압(mOsm/kg) 308 297 288 303 299 301 302 288 297 299
실시예4 -6
멸균 정제수 80ml에 염화벤잘코늄,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농글리세린(염화나트륨, D-소르비톨액)을 순서대로 넣어 녹이고, 염산레보세티리진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어서, 0.5N 수산화나트륨을 천천히 투입하여 pH를 6.2-7.2로 조절하고 멸균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맞춘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7-8
멸균 정제수 80ml에 염화벤잘코늄,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농글리세린(D-소르비톨액)을 순서대로 넣어 녹이고, 염산레보세티리진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어서, 0.5N 수산화나트륨을 천천히 투입하여 pH를 6.2-7.2으로 조절하고 멸균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맞춘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9-10
멸균 정제수 80ml에 염화벤잘코늄,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농글리세린(D-소르비톨액)을 순서대로 넣어 녹이고, 염산레보세티리진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어서, 이 혼합액에 염산아젤라스틴 또는 푸마르산 케토티펜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킨 후, 0.5N 수산화나트륨을 천천히 투입하여 pH를6.2-7.2으로 조절하고 멸균 정제수를 넣어 100mL로 맞추고 여과하였다.
[실험예 1] 안정성 시험
[표 2] 가속시험
시험구분 가속시험 보관조건 40℃/75% RH 시험기간 14일
시험항목 검체 성상 pH 삼투압 총유연물질(%) 함량(%)
초기 보관후 초기 보관후 초기 보관후 초기 보관후
실시예1 변화없음 5.89 5.85 308 313 0.51 0.22 100.08 99.02
실시예2 변화없음 5.87 5.84 297 301 0.54 0.39 100.11 99.09
실시예3 변화없음 5.94 5.98 288 289 0.27 0.28 99.93 98.91
실시예4 변화없음 6.91 6.85 303 308 0.57 0.47 99.76 99.56
실시예5 변화없음 8.84 6.87 299 305 0.54 0.42 99.81 98.51
실시예6 변화없음 6.82 6.88 301 306 0.66 0.68 99.65 99.80
실시예7 변화없음 6.83 6.85 302 307 0.39 0.43 99.57 98.90
실시예8 변화없음 6.83 6.91 288 295 0.57 0.42 99.28 98.43
실시예9 변화없음 6.74 6.86 297 303 0.43 0.46 99.67 99.44
실시예10 변화없음 6.85 6.90 299 304 0.55 0.59 99.67 97.70
[표 3] 가혹시험
시험구분 가혹시험 보관조건 55℃/75% RH 시험기간 14일
시험항목 검체 성상 pH 삼투압 총유연물질(%) 함량(%)
초기 보관후 초기 보관후 초기 보관후 초기 보관후
실시예1 변화없음 5.89 5.87 308 315 0.51 0.32 100.08 98.14
실시예2 변화없음 5.87 5.82 297 303 0.54 0.35 100.11 98.07
실시예3 변화없음 5.94 5.97 288 295 0.27 0.53 99.93 97.73
실시예4 변화없음 6.91 6.90 303 310 0.57 0.33 99.76 97.81
실시예5 변화없음 8.84 9.70 299 306 0.54 0.28 99.81 97.42
실시예6 변화없음 6.82 6.91 301 307 0.66 0.34 99.65 99.69
실시예7 변화없음 6.83 6.95 302 306 0.39 0.48 99.57 98.69
실시예8 변화없음 6.83 6.88 288 296 0.57 0.34 99.28 97.61
실시예9 변화없음 6.74 6.81 297 304 0.63 0.59 99.67 98.72
실시예10 변화없음 6.85 6.90 299 302 0.55 0.60 99.67 96.17
상기 표 2 및 3을 참조하면, 가속 및 가혹 조건에서 14일 동안 시험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10의 국소 투여용 점안액은 성상, pH, 삼투압, 총 유연물질 및 함량의 측면에서 뛰어난 안정성을 나타냄이 확인된다.
[실험예 2] 눈 깜박임 반응에 의한 안 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의 국소 투여용 점안액, 시판되고 있는 푸마르산 케토티펜 0.05% 점안액(비교예1) 및 염산아제라스틴 0.05% 점안액(비교예2)에 대해, 눈의 깜박거림 반응법 [새로운 안과 다나까 등, 2,1127(1985)]에 의한 안자극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2주간 이상 검역, 순화된 수컷의 뉴질랜드 백색 토끼 (체중 2.2kg~2.6kg)를 사용하였다. 1군을 5마리로 하고, 한쪽 눈에 생리식염수 를, 다른 쪽 눈에는 상기 실시예 1, 4, 7, 비교예1 및 2의 점안액을 각각 40ul씩 30분 간격으로 좌우 눈에 5회씩 점안하고, 점안 후 2분간 눈의 깜박임 회수를 계수화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 얻어진 눈 깜박임 회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토끼 눈 깜빡임 수 측정
생리식염수 실시예1 실시예4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No.1 2 2 6 7 5 5 6 5 8 7 12 11
No.2 3 3 6 5 5 6 7 6 7 6 10 9
No.3 5 2 6 6 4 9 5 5 7 8 9 10
No.4 3 4 8 8 5 7 7 5 5 6 10 9
No.5 3 3 5 6 6 5 8 6 8 7 9 10
합계 16 14 31 32 25 32 35 27 35 34 50 49
좌우 합계 30 63 57 60 69 99
회수비 1 2.1 1.9 2.0 2.3 3.3
회수비 = 실시예(비교예)의 깜박임 수/생리 식염수의 깜박임 수
생리 식염수를 점안한 후 눈의 깜박거림 횟수를 1로 했을 때 상기 실시예 1, 4, 7, 비교예1 및 2의 점안액을 점안한 피검 눈의 깜박거림 회수비를 상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4 및 7의 점안액은 시판 중인 비교예 1 및 2의 점안액에 비해 활성 성분의 농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작은 깜박거림 회수비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낮은 안자극성을 나타냄이 확인된다.
[실험예 3] 사람 눈에 대한 자극시험
상기 실시예 7의 점안액 및 생리 식염수(비교예)로 10인의 건강한 성인 남성의 한쪽 눈에 약 40㎕을 점적한 후, 1분 경과 후에 눈에 대한 자극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자극성 정도의 평가 기준은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5] 자극성 정도의 평가 기준
표기 자극성 정도 등급
- +1 +2~3 +4 자극성 없음, 불쾌한 느낌 없음 약간의 자극을 느낌 자극을 느낌 강한 자극을 느낌 0 1 2~3 4
상기의 측정 기준으로 측정된 눈에 대한 자극성 정도 및 표 5에 기준에 따라 통계 처리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통계처리 결과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7의 점안제는 비교적 높은 농도로 활성 성분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눈에 대해 생리 식염수와 유사한 정도의 낮은 자극성을 나타냄이 확인된다.
상기 표 2, 3, 4 및 6의 실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10의 국소 투여용 점안제는 뛰어난 안정성과 함께, 시판 중인 국소 투여용 점안제와 비교하여, 투여 부위, 즉, 눈에 대한 낮은 자극을 나타냄이 확인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0의 국소 투여용 조성물은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해 우수하고도 빠른 치료 또는 예방 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부작용 또한 작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염산레보세티리진을 함유한 활성 성분과,
    D-소르비톨, 글리세린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등장화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산레보세티리진은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005~1.0 w/v%의 농도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는 전체 약학 조성물에 대해 0.1~3.0 w/v%의 농도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산일수소나트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의 완충제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염화벤잘코늄, 클로로부탄올,세트리미드,클로로
    헥시딘, 및 치메로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방부제를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pH 4.5~8.0로 조절된 약학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 알레르기성 점안제, 항 알레르기성 점이제, 또는 항 알레르기성 점비제인 약학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이 푸마르산 케토티펜, 에메다스틴, 에피나스틴, 레보카바스틴, 로라타딘, 데스로라타딘, 올로파타딘, 케토티펜, 염산아제라스틴, 세티리진 및 펙소페나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 히스타민제를 더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플루메토오론, 하이드로코르티손, 리멕솔론 및 로테프레드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 염증제를 더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70123341A 2007-11-30 2007-11-30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KR20090056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41A KR20090056268A (ko) 2007-11-30 2007-11-30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341A KR20090056268A (ko) 2007-11-30 2007-11-30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268A true KR20090056268A (ko) 2009-06-03

Family

ID=4098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341A KR20090056268A (ko) 2007-11-30 2007-11-30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6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13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태준제약 세티리진 및 토코페솔란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13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태준제약 세티리진 및 토코페솔란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0045B2 (ja) 感冒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
US7875271B2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xanthan gum and glucose
US10792288B2 (en) Preservative free brimonidine and timolol solutions
JP4980226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0020736A (ko) 아포모르핀의 비내 전달
JP2001187728A (ja) 眼科用組成物
JPH0269413A (ja) アレルギー性鼻炎の治療方法
US20200246336A1 (en) Dry eye treatments
DE69824730T2 (de) Zusammensetzungen, kits und verfahren zur hemmung von zerebralen neurovasculären störungen und muskulärem kopfschmerzen
Georgitis et al. Ipratropium bromide nasal spray in non‐allergic rhinitis: efficacy, nasal cytological response and patient evaluation on quality of life
KR100776577B1 (ko) 점안제
JP2002212107A (ja) 局所適用組成物
US20160089375A1 (en) Topical ocular analgesic agents
JP5041761B2 (ja) 眼粘膜適用製剤
JP2003073303A (ja) 眼局所用液剤の清涼化作用の持続方法
KR20090056268A (ko)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KR20230170963A (ko) 근시 치료용 방법과 약학 조성물
Stübner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an Oral Formulation of Cetirizine and Prolonged-release Pseudoephedrine versus Xylometazolin Nasal Spray in Nasal Congestion
SK7832000A3 (en) New use of local anaesthetics against vascular headaches
JP7117438B1 (ja) アレルギー性結膜炎治療剤
JP2019094300A (ja) 点眼剤組成物
JP5080745B2 (ja) フマル酸ケトチフェンを含有する局所粘膜適用医薬組成物
CN102264344A (zh) 递送有效浓度的活性剂至眼睛后段的局部眼用溶液组合物
WO2003086465A1 (fr) Medicament pour la chirurgie correctrice de la myopie
JP2006509773A (ja) 持続性アレルギー性鼻炎の治療のためのレボセチリジン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