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098A -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098A
KR20090056098A KR1020070123090A KR20070123090A KR20090056098A KR 20090056098 A KR20090056098 A KR 20090056098A KR 1020070123090 A KR1020070123090 A KR 1020070123090A KR 20070123090 A KR20070123090 A KR 20070123090A KR 20090056098 A KR20090056098 A KR 2009005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extract
base solution
parts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039B1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102007012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른차는 꿀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액과, 상기 베이스 용액에 포함되는 생마늘 또는 찜 마늘과, 상기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알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마늘 고유의 역겨운 냄새가 제거되어 기호식품으로서 상시 음용 할 수 있다.
마늘차, 마늘,꿀

Description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garlic tea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늘을 차로서 상시 복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우리 식 생활에서 넓게 이용되는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그 효능에 대하여는 부분적으로 밖에 알려지지 않았다.
주로 식 생활에서의 양념으로 사용되는 마늘의 껍질을 제거한 생 마늘 100g 에 대한 주성분은 아래와 같다. 이 마늘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써 에너지 138kcal, 수분 60.0g, 단백질 8.4g, 지질 0.1g, 당질 28.7g, 섬유 0.9g, 회분 1.6g 무기질로써 칼슘 15mg, 인 200mg, 철분 1.0mg, 나트륨 6mg 비타민으로써 비타민 B1 0.21mg, 비타민 B2 0.11mg, 나아신 0.9mg, 비타민C 19mg, 비타민E 0.4mg를 포함한다.
상기 성분에 따른 마늘의 알려진 효능은 신진대사 촉진 기능으로, 피로회복, 강장효과, 간장 기능 강화 등의 효능이 있고, 이상 대사의 개선 기능으로 당뇨병, 신경통, 위궤양, 항암작용, 간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 촉진, 신경 안정작용, 기생충 구제, 및 바이러스 감염예방 등으로 감기 등에 효능이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동양의학에서의 체질상에 따라 개인의 차가 있으며, 우리가 통상 음식물에 첨가되는 양념으로써의 양으로는 미미하다. 그러나 많은 양의 생 마늘을 취식하기는 마늘의 특유한 엮겨운 냄새에 의해 어려운 일이다. 이는 마늘의 세포막 사이에 존재하는 아리인과 아리네이스라는 효소가 있는데 취식 과정에서 이 세포막이 파괴되고 아리인이 분해되면서 아리신이 되기 때문에 역겨운 냄새가 나고, 또한 빈 속에 생 마늘을 많이 먹으면 위장 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한편 이러한 마늘의 특이 성질 중에 하나는 상기의 역겨운 냄새를 유발하는 효소는 60℃ 이상의 온도에서는 제 기능을 발휘 하지 못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 로 음식점 등에서 불판 위에 마늘을 구워서 먹으면 생 마늘에 비하여 먹기가 좋고, 또 많은 양을 먹을 수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 냄새 효소는 산에 의해서도 파괴되므로 우리가 식 생활에서 마늘 장아찌를 만들어 먹기 용이하게 재가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한 반찬으로 취식하기 때문에 큰 효과를 얻기에는 부족하다.
한편 이러한 마늘에 대한 연구로서는 육종과 재배생리 연구 등의 품종개량 및 마늘의 저장성 향상과 건조기술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마늘 차 등이 일부 생산되어 나오고 있으나, 기호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므로 집중적인 제품개발 및 투자가 절실한 실정이다.
마늘 가공품의 종래기술로서 한국특허공개 제2000-20203호에는 마늘 착즙액의 추출 및 그 착즙액을 이용한 마늘분말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 1999-37890호에는 마늘분말에 계피분말을 섞어서 만든 마늘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경우 마늘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것으로서, 마늘의 고유의 향으로 인하여 복용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 10-0319046호에는 마늘차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제조방법은 마늘을 구워 수분의 함량을 3 내지 4%로 하고, 160 내지 200 매쉬의 입도를 가지며, 계피분말을 마늘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25 중량부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등록 특허 제 0572047호에는 티백형 마늘차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분말상의 마늘은 물과의 혼합이 어렵다. 특히 티백형 마늘차의 경우 마늘성분이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마늘 고유의 양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늘 고유의 냄새를 억제하고, 마늘 고유 성분의 파괴를 억제할 수 있으며, 차로서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늘차는
꿀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액과, 상게 베이스 용액에 포함되는 생마늘 또는 찜 마늘과, 상기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알콜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용액에 식초가 포함될 수 있으며, 녹차추출액, 둥굴레추출액, 칡즙, 홍삼추출액, 대추추출액, 레몬추출액, 포도 추출액, 구기자 추출액, 옥수수추출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 중 선택된 하나 이 상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늘차의 제조방법은
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8 내지 10 중량부, 식초 0.1 내지 0.4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제조하는 베이스 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베이스 용액에 생마늘 또는 찜마늘을 분쇄하여 혼합하는 마늘 혼합단계와,
마늘이 혼합된 베이스 용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 후 상기 베이스 용액에 식초가 포함될 수 있으며, 녹차추출액, 둥굴레추출액, 칡즙, 홍삼추출액, 대추추출액, 레몬추출액, 포도 추출액, 구기자 추출액, 옥수수추출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 중 선택된 하나을 혼합하는 추출액 혼합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은 냄새로 인하여 섭취가 어려운 마늘을 기호식품인 차로 제조함으로써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마늘을 차로서 상품화 시킴으로써 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늘 차는 꿀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액에 섞어 발효시킴으로써 마늘 고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물에 희석 시 쉽게 용해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마늘차는 희석을 위한 물과의 배합율에 따라 음료로서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음식물의 섭취와 관계업이 먹을 수 있는 것으로, 꿀과 알콜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액과, 상기 베이스 용액에 분쇄되어 혼합되는 마늘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용액은 꿀을 기준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 알콜을 0.1 내지 0.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꿀은 한봉 또는 양봉에 의해 얻어진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상기 알콜은 마늘차를 물과 희석 시 베이스 용액인 꿀이 물이 잘 풀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알콜이 0.1중량부 이하인 경우 꿀이 물에 잘 풀리는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고, 0.3중량부를 넘는 경우 알콜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술에 약한 음용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용액에는 식초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식초는 0.1 내지 0.4 중량부를 포함시켜 마늘 고유의 냄새를 희석시키고, 상큼한 맛을 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초는 감, 사과 또는 현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 식초는 시판되고 있는 식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용액에는 녹차추출액, 둥굴레추출액, 칡즙, 홍삼추출액, 대추추출액, 레몬추출액, 포도 추출액, 구가자 농축액, 옥수수농축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 중 선택된 하나 이 상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액과 둥굴레 추출액은 건조된 녹차 또는 둥굴레 1kg에 물 2 리터를 혼합한 후 이를 물이 0.5리터가 되도록 열 추출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추출액, 대추추출액, 구기자 농축액, 옥수수농축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들은 각각의 재료 1Kg에 물 2리터를 혼합한 후 0.3 내지 0.5리터가 되도록 가열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레몬, 포도는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고 이를 레몬추출액과 포도 추출액으로 사용한다.
상술한 추출액들중 적어도 하나는 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 이내의 범위에서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액이 10 중량부를 넘는 경우 마늘 차의 점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 5 중량부 이하로 첨가한 경우, 마늘차 속 에 녹아 있는 추출액 고유의 향 즉, 칡즙이나 녹차, 둥굴레, 홍삼, 레몬의 고유향을 음미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마늘의 혼합량은 꿀 100 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60중량부이다. 상기 마늘은 생 마늘 또는 찜 마늘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마늘은 분쇄하여 250 매쉬의 입도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찜 마늘은 스팀을 이용하여 생마늘을 찌게 되는데, 120℃의 스팀을 이용하여 10분 내지 15분 찐다. 상기와 같이 생 마늘 또는 찜 마늘은 분쇄 시 즙이 발생된다. 이 즙은 베이스 용액과 같이 혼합하는데, 꿀에 혼합되는 마늘의 함량인 30 내지 60중량부에 즙의 무게도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마늘을 생마늘 또는 찜 마늘에 한정되지 않고, 꿀과 혼합되어 숙성될 수 있으면 어느 형태든 가능하다. 예컨대, 삶거나 건조된 분말상의 마늘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늘차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 제조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늘차 제조방법(10)은 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1 내지 0.3 중량부, 식초 0.1 내지 0.4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제조하는 베이스 용액 제조단계(11)와, 생 마늘 또는 찜 마늘을 분쇄하는 마늘 분쇄단계(12)와, 마늘 분쇄단계에 의해 분쇄된 마늘과 베이스 용액을 혼합하는 마늘 혼합단계(1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찜마늘은 상술 바와 같이 스팀을 이용하여 찜마늘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찜마늘은 상기 추출액 즉, 녹차추출액, 둥굴레추출액, 칡즙, 홍 삼추출액, 대추추출액, 레몬추출액, 포도 추출액, 구가자 농축액, 옥수수농축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 중 선택된 하나에 껍질을 벗긴 마늘을 담근 후 8시간 숙성시킨 후 이를 스팀을 이용하여 10 분 내지 15분 찐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용액과 마늘이 혼합된 혼합물을 50 내지 60℃로 유지하면서 5 내지 10분 가열하는 혼합하는 가열단계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용액과 마늘의 혼합이 완료되면, 상온에서 15 내지 30일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숙성단계에 있어서, 숙성기간은 상기 15 내지 30일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정되지 않고 숙성기간이 길수록 좋다. 다만 15일 이하로 할 경우 마늘 고유의 냄새가 남아 있는 경향이 있었으며, 30일 이상 숙성하는 경우 제조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늘차는 기호식품으로 상시 음용할 수 있으며, 마늘을 이용한 기호식품으로써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은 하기 설험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여 질 것이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 혼합물을 상온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2>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2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3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3>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2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4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4>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3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5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5>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2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6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6>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3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3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실시예 7>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0.1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만들과 이에 찜마늘 4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그리고 베이스 용액과 마늘의 혼합물에 녹차추출액, 둥굴레추출액, 칡즙, 홍삼추출액, 대추추출액, 레몬추출액, 포도 추출액, 구기자 추출액, 옥수수추출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 중 선택된 하나의 추출액을 베이스 용액 기준 100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혼합하였다.
<비교예 1>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를 가지는 베이스용액에 찜마늘 4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비교예 2>
토종꿀 기준 100 중량부를 가지는 베이스용액에 찜마늘 7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20일간 숙성시켰다.
< 관능평가 >
상기 각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늘차를 무작위로 추출한 50인 패널 대상으로 5점 평점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기호도 평가
구분 후미 색상 종합기호도 비고
실험 1 3.8 3.1 4.50 4.8 4.05
실험 2 4.4 3.7 4.3 4.6 4.25
실험 3 4.1 3.2 4.0 4.8 4.03
실험 4 4.5 3.9 4.5 4.4 4.33
실험 5 4.9 4.1 4.8 4.9 4.68
실험 6 4.8 4.5 4.9 4.9 4.78
실험 7 4.1 3.3 4.3 4.7 4.10
비교예 1 3.9 3.0 4.0 4.8 3.93
비교예 2 4.0 3.1 3.1 4.6 3.70
* 1. 아주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아주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늘차는 마늘의 여러가지 우수한 효과를 알면서도 그 특유한 냄새 때문에 일정량 이상을 먹기가 곤란한 점을 개선하여 기호 식품인 차로 제조함으로써 마늘성분의 섭취가 용이하고,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물의 혼합비율을 높여 음료로서 음용가능하며 음료로서 상품화 가능하다.
도 1은 마늘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Claims (4)

  1. 꿀을 포함하는 베이스 용액과, 상기 베이스 용액에 포함되는 생마늘 또는 찜 마늘과, 상기 베이스 용액에 혼합되는 알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용액에 식초가 포함될 수 있으며, 녹차추출액, 둥굴레추출액, 칡즙, 홍삼추출액, 대추추출액, 레몬추출액, 포도 추출액, 구기자 추출액, 옥수수추출액, 계피추출액, 보리추출액 중 선택된 하나의 추출액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
  3. 꿀 100 중량부에 대해 알콜 8 내지 10 중량부, 식초 0.1 내지 0.4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제조하는 베이스 용액 제조단계와,
    상기 베이스 용액에 생마늘 또는 찜마늘을 분쇄하여 혼합하는 마늘 혼합단계와,
    마늘이 혼합된 베이스 용액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혼합단계는 베이스 용액과 생마늘 또는 찜마늘을 혼합한 혼합액을 60℃를 유지하면서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의 제조방법.
KR1020070123090A 2007-11-29 2007-11-29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KR10094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090A KR100947039B1 (ko) 2007-11-29 2007-11-29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090A KR100947039B1 (ko) 2007-11-29 2007-11-29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098A true KR20090056098A (ko) 2009-06-03
KR100947039B1 KR100947039B1 (ko) 2010-03-15

Family

ID=4098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090A KR100947039B1 (ko) 2007-11-29 2007-11-29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4718A1 (en) * 2009-11-18 2011-05-25 Young-Sam Jang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3609783A (zh) * 2013-11-22 2014-03-05 丽江格林斯通食品有限公司 滇橄榄复方茶及其制备方法
CN103800413A (zh) * 2014-03-13 2014-05-21 吉林农业大学 一种复方黑参粉及其制备工艺
KR20210044970A (ko) * 2019-10-16 2021-04-26 농업회사법인 반디농부주식회사 마늘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07B1 (ko) * 2007-03-14 2009-04-24 권태국 기능성 발효 버블음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4718A1 (en) * 2009-11-18 2011-05-25 Young-Sam Jang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3609783A (zh) * 2013-11-22 2014-03-05 丽江格林斯通食品有限公司 滇橄榄复方茶及其制备方法
CN103800413A (zh) * 2014-03-13 2014-05-21 吉林农业大学 一种复方黑参粉及其制备工艺
KR20210044970A (ko) * 2019-10-16 2021-04-26 농업회사법인 반디농부주식회사 마늘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39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62199A (ja) 甘酒の製造方法
KR100947039B1 (ko)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KR102138475B1 (ko) 수정과 시럽의 제조방법
KR100815198B1 (ko) 순무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2329A (ko) 2단계 발효에 의한 울금현미식초 제조방법
KR101836377B1 (ko) 아로니아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670817B1 (ko) 항산화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오색발효분말 가공품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색발효분말 가공품
KR101853848B1 (ko) 참외 주박 소금 제조방법 및 그 참외 주박 소금
KR101420283B1 (ko) 소스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8391B1 (ko) 감귤농축액을 포함하는 감귤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0746A (ko) 생홍고추를 이용한 토마토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150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고추장
KR101789183B1 (ko) 갯방풍이 첨가된 국수의 제조방법
KR101527552B1 (ko) C3g 성분 함유 감주 제조방법
KR101541107B1 (ko) 참외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 참외조청
KR102284193B1 (ko) 천연재료를 함유한 누룽지스낵의 제조 방법
KR101380211B1 (ko) 개똥쑥이 함유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058570A (ko) 흑마늘 약밥과 그 제조방법
KR101662147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CN105901444B (zh) 一种青梅保健饮料及其制造方法
KR101735666B1 (ko) 동충하초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CN107189899A (zh) 一种黄秋葵果酒及其制备方法
KR101619974B1 (ko) 백화고를 이용한 발효음료의 제조 방법
KR20180005072A (ko) 매실-감식초의 제조방법
KR101251983B1 (ko) 식품 첨가용 마늘 농축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