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880A -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880A
KR20090052880A KR1020097005419A KR20097005419A KR20090052880A KR 20090052880 A KR20090052880 A KR 20090052880A KR 1020097005419 A KR1020097005419 A KR 1020097005419A KR 20097005419 A KR20097005419 A KR 20097005419A KR 20090052880 A KR20090052880 A KR 2009005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network
dual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815B1 (ko
Inventor
쉬선 양
원타오 징
치 양
컨중 딩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5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가 제1 제어모듈과 제2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듀얼 스탠바이 시스템에 처하고, 통화 상태에 처한 제2 휴대용 단말기와 통화 상태에 처하고 단말기 A가 단말기 C의 호출을 접수시, (a) 단말기 A는 단말기 C가 발송한 호출 청구를 수신하고,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함을 판단하면 단말기 A가 단말기 C의 호출을 선택하여 받으면 단말기 B는 호출 유지 상태에 진입되고; (b) 단말기 A는 호출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호출 유지 업무를 시동하고 단말기 C와 통화 접속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단말기 C와 통화 접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시 현재 시스템에서 오는 단말기 호출과 다른 시스템에서 오는 단말기 호출을 동시에 접수함에 있어서 현재 통화를 끊을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A METHOD FOR REALIZING DUAL-STANDBY CALL OF DUAL-MOD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특히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TD-SCDMA(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하 TD라 약칭 함)는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3G네트워크로서 2006년에 곧 운영이 시작된다. 그러나 건설초기에 적용범위가 전면적이지 못한 문제에 대면하게 되고 또한 이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되면 TD네트워크 사용자를 개척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게 되고, 따라서 TD네트워크가 중국 나아가서 전세계에서의 발전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기타 네트워크에 의해서 TD네트워크를 보충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TD네트워크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3G네트워크의 우월한 성능을 사용할 수 있고, TD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기타 네트워크의 서비에 의하여 사용자의 통상 통신을 보장할 수 있다. 이미 성숙된 GSM네트워크는 이상의 조건을 만족 시킬수 있고, TD/GSM 듀얼 모드 듀얼 스탠바이식 휴대용 단말기 설비를 채용하면 TD+GSM 네트워크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기존 TD 휴대용 단말기 설비는 2010~2025MHz에서 운영되고, GSM 듀얼 밴드 휴대용 단말기는 900MHz 와 1800MHz 두개 주파수에서 운영되므로 TD/GSM 듀얼 모드 휴대폰은 각자의 주파수 영역에서 운영될 수 있다. GSM은 1800MHz 주파수에서 운영되고 또 두 가지 네트워크의 작동 무선 주파수 차이는 200MHz이므로 호출에 영향주지 않는다.
TD/GSM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는 정상적으로 오픈된 후 단독 대기, GSM네트워크 단독 대기 및 TD 와 GSM 두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스탠바이(이하 듀얼 스탠바이라 칭 함) 등 세가지 대기 상태가 있다. TD 또는 GSM 네트워크에서 단독 대기시, TD/GSM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는 통상 의미에서의 TD휴대폰 또는 GSM휴대폰에 대응된다. 본 기술분야에서 듀얼 모드 단말기는 공지된 기술이지만 휴대용 단말기가 TD 와 GSM 두 가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오는 단말기 호출을 동시에 받을 때 듀얼 스탠바이하면서 호출을 처리하는 방식에 관한 고안은 제안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기타 듀얼 모드 단말기도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바 새로운 호출을 직접 표시할 수만 있고, 만일 새로운 호출을 받게 되면 기존 통화가 끊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가 동시에 대기할 때 현재 통화를 끊지 않고도 현재 시스템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이나 다른 시스템 단말기의 호출을 동시에 받을수 있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여 듀얼 스탠바이 호출을 실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가 제1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1 제어모듈과 제2 네트워크 제식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에 사용되는 제2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A가 듀얼 스탠바이 시스템에 처하고, 통화 상태에 처한 제2 휴대용 단말기와 일 네트워크 제식을 사용하여 통화 상태에 처하고 상기 단말기 A가 제3 휴대용 단말기 C의 호출을 접수시,
(a) 단말기 A는 단말기 C가 발송한 호출 청구를 수신하고,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에서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함을 판단하면 단말기 A가 단말기 C의 호출을 선택하여 받으면 단말기 B는 호출 유지 상태에 진입되고;
(b) 단말기 A는 호출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호출 유지 업무를 시동하고 단말기 C와 통화 접속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단말기 C와 통화 접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을 제공한다.
진일보로, 상기 절차 (a) 중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직접 <<사용자 비지>>로 단말기 C의 전화를 끊고,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함을 판단하면 단말기 A는 단말기 C와 호출을 선택적으로 <<사용자 비지>>로 끊거나 혹은 직접 끊고 단말기 A는 단말기 B와 통화 상태를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절차 (b)후에 단말기 A가 호출 유지하는 중, 단말기 A는 사용자가 발신한 통화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원함을 판단하면 현재 통화를 중지(Suspend)하고,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모드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활성화하기 전 통화를 중지하고,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원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전환할 수 없음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절차 (b)후에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중단 버튼을 누르면 현재 통화를 종결하고, 이때 기타 호출이 호출 유지 상태에 처하면 활성화하여 통화 상태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는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제식은 TD-SCDMA이고, 제1 제어모듈은 TD제어모듈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제식은 GSM이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은 GSM제어모듈인 것을 특징이로 한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가 제1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1 제어모듈과 제2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2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A가 듀얼 스탠바이 시스템에 처하고, 통화 상태에 처한 제2 휴대용 단말기와 일 네트워크 제식을 사용하여 통화 상태에 처하고 상기 단말기 A가 제3 휴대용 단말기 C의 호출을 발송시,
(A) 단말기 A의 사용자는 단말기 C와 통화를 발송하고, 단말기 A가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함을 판단하면 현재 통화를 중지하고;
(B) 단말기 A는 발송한 호출이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호출 유지 업무를 개시하여 단말기C와 통화 접속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로 전환하고 새로운 호출을 개시하는것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을 제공한다.
진일보로, 상기 절차 (A) 중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에러를 제시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절차 (B) 후에 단말기 A가 호출 유지하는 중, 단말기 A는 사용자가 발신한 통화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원함을 판단하면 현재 통화를 중지하고,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모드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활성화 하기전 통화를 중지하고,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대기를 지원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전환 할수 없음을 제시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중단 버튼을 누르면 현재 통화를 종결하고, 이때 기타 호출이 호출 유지 상태에 처하면 이를 활성화하여 통화 상태로 되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일보로,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는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제식은 TD-SCDMA이고, 제1 제어모듈은 TD제어모듈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제식은 GSM이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은 GSM제어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네트워크 파라미트를 개변시키지 않고, 본 방법의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를 채용하면 설비 전환과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부가 업무를 채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간섭없는 호출을 실현하고, 또한 듀얼 모드 단말기의 호출 대기와 호출 유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새로운 전화가 접속될 때 현재 통화를 끊을 필요도 없다. 그리고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는 TD와 GSM 두가지 시스템 대기를 채용하여 호출을 발송할때, 그 작동 주파수가 1800MHz GSM에서 운영여도 200MHz라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신호 간섭이 없고, 호출 질량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는 사용자가 듀얼 모드 단말기의 한가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호출을 통상적으로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호출을 통상적으로 할 수 있게 하여 듀얼 모드 휴대폰의 두 가지 시스템의 듀얼 스탠바이를 실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운영 환경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중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중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가 듀얼 스탠바이 시 호출 접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중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가 듀얼 스탠바이 시 새로운 호출 발송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부하여 본 발명을 진일보로 자세히 설명여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기타 목적, 특징과 이점이 더욱 명확히 이해 될것이고, 여기에서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 중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환경이다. 영역 1은 GSM네트워크만 적용된 서비스 영역이고, 영역 2는 TD네트워크만 적용된 서비스 영역이다. 본 실시예는 주로 영역 3에 관한 경우이다. 즉 휴대용 단말기가 TD네트워크와 GSM네트워크에서 운영될 때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이다.
기존 TD와 GSM네트워크의 운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TD와 GSM네트워크는 각기 부가 업무인 호출 대기와 호출 유지 기능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호출 대기와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호출 처리에 처할 때 제3방의 호출 청구를 수신하면 현재 호출을 중지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시스템의 무선 주파수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새로운 호출 업무를 접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출 중 다른 시스템의 새로운 호출 업무를 자주적으로 발송할 수 있다. 만일 두 가지 시스템의 네트워크가 모두 상기 부가 업무를 지원하면, 두 가지 시스템 통화과정에서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다.
호출 대기는 사용자가 통화 과정에서 제3방 호출을 접수시 수신 시스템이 새로온 전화를 제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사용자는 받거나, 거절하거나 혹은 호출을 무시하면서 진행중인 통화를 끊지 않을수 있다. 상대방은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하는 음성 제시를 들은 후 호출 대기 기능을 개시하지 않으면 일반 전화과정과 같게 된다.
호출 유지는 사용자가 통화 과정에서 현재 통화를
Figure 112009015793514-PCT00001
할 수도 있고, 제3방을 호출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전화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두 개 통화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 중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하드웨어 시스템 개략도이다.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는 GSM과 TD 두개 제어모듈로 구성되고, GSM모듈은 시스템의 마스터 제어기로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보이스 설비, FLASH, 모터등 통용 설비 관리를 책임진다. 음성 입출력 모듈(MIC와 스피커)는 한개 스위치로 제어하고, 호출시 수요에 따라 제어권을 GSM모듈 혹은 TD모듈에 넘겨준다.
TD모듈이 시스템의 마스터 제어기인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도 이하 절차에 적용된다.
상기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가 TD네트워크와 GSM네트워크가 동시에 적용되는 영역에 처하고 GSM과 TD네트워크가 부가 업무인 호출 대기와 호출 유지 기능을 제공할때 본 문은 TD/GSM듀얼 모드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상태에서 GSM통화 중 TD호출을 조작하는 절차를 설명했고, TD통화 중 GSM호출을 조작하는 절차는 이와 같다.
본 실시예는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 제2 휴대용 단말기 B, 제3 휴대용 단말기 C에 관한 것으로서 그중 상기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는 듀얼 스탠바이 상태에 처하고, 상기 단말기 B와 단말기 C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이거나 혹은 보편적인 단일 시스템 휴대용 단말기이고, 본 실시예중 단말기 A, B, C는 모두 호출 대기와 호출 유지 기능을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3을 참조하면,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 이시 호출 접수 방법은 아래와 같은 절차를 포함한다.
절차 301,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는 듀얼 스탠바이 모드에 처하고, 일 시스템(예를 들면 GSM)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B와 통화 상태에 처한다.
휴대용 단말기 A는 발신자 혹은 수신자이다. 휴대용 단말기 A가 휴대용 단말기 B와 호출을 개시할 때 휴대용 단말기 A는 현재 시스템 상태에 근거하여 MIC와 스피커의 제어권을 GSM의 제어모듈(만일 MIC와 스피커의 제어권이 GSM모듈 측에 있다면 필요 없음)에 넘겨주고, 통화 개시 후 표시부에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표기와 통화 정보(예를 들면 이번 통화 시간 등)를 표시한다. 절차 302, 휴대용 단말기 A는 제3방 휴대용 단말기 C가 발송한 호출 청구를 수신한다.
절차 303, 단말기 A는 현재 통화하는 시스템(예를 들면 GSM)가 호출 유지 업무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원하지 않으면 단말기 A는 직접 <<사용자 비지>>로 단말기 C의 전화를 끊고, 지원하지 않으면 다음 절차를 집행한다.
수신자의 전화가 통화시, 발신자는 비지 톤(busy tone)을 듣게 되다. 이전 이 소리는 긴급한<<뚜뚜뚜>>였지만, 지금은 일반적으로 <<지금 하신 전화는 통화 중 입니다. 잠시후 다시 걸어 주십시오.>>하는 제시 음성이고 여기에서 <<사용자 비지>> 혹은 <<사용자가 비지 중>>( subscriber busy)이라 약칭 한다.
절차 304, 단말기 A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받을지 여부를 판단하고, 받으면 다음 절차를 집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단말기 C의 전화를 <<사용자 비지>>방식으로 끊거나 혹은 직접 끊게 되면 단말기 A는 단말기 B와 통화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만일 현재 통화하는 시스템이 호출 유지를 지원하면 휴대용 단말기 A표시부 에 제시가 표시되고, 또는 진동 톤 혹은 제시음으로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비지>>방식으로 끊거나 혹은 직접 끊게 되면, 단말기 A에는 구별이 없고, 단지 호출측 C가 다른 시스템 제시음을 듣게 될 뿐이다. <<사용자 비지>>방식으로 끊게 되면 C는 제시음을 듣게 되고, A의 현재 상태가 통화중이라는 것을 알게되고, 직접 끊게 되면 정상적인 <<뚜~뚜>>하는 소리이다.
절차 305, 사용자가 접속 버튼을 누르면 휴대용 단말기 A는 단말기 B의 호출을 중지하고, 단말기 B는 호출 유지 상태로 바뀌게 된다.
절차 306, 휴대용 단말기 A는 단말기 C가 호출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현재 시스템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즉 GSM이면, GSM호출 유지 업무를 시동하고, 단말기 C와 통화를 개시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TD이면, MIC와 스피커의 제어권을 TD모듈의 제어기에 전환하고 TD에서 새 통화를 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 A가 단말기 B의 호출을중지할때, 단말기 B는 유지 중이라는 음성 제시를 듣게 된다.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중단 버튼을 누르면 현재 단말기 C와의 통화를 종결하고, 만일 단말기 B 아직도 호출 유지 상태에 처하면, 그 상태를 활성화하여 통화 상태로 바꾼다.
단말기 A와 단말기 B가 통화를 진행할 때, 단말기 A는 새로운 전화를 받을 수 있고, 또한 새로운 호출을 발신할 수도 있다. 위의 설명은 새로운 전화를 받는 처리 절차였고, 아래의 설명은 새로운 호출 발신 절차(도 4를 참조)이고 또한 아래와 같은 절차를 포함한다.
절차 401,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가 듀얼 스탠바이 시스템에 처하 고, 한가지 시스템(예하면 GSM)을 사용하여 단말기 B와 통화 상태에 처한다.
절차 402,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제3방 단말기 C와 통화를 발송한다.
절차 403, 단말기 A는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원하지 않으면 에러를 제시하고 단말기 B와 통화하는 상태로 돌아오고, 지원하면 단말기 B와 통화를
Figure 112009015793514-PCT00002
하고 다음 절차를 집행한다.
절차 404, 단말기 A 발송하는 호출이 현재 통화하는 시스템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호출 유지 업무를 개시하고 단말기 C와 통화를 개시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MIC와 스피커의 제어권을 전환하고 새로운 호출을 개시한다.
단말기 A가 호출 유지를 진행하는 중, MMI(Man Machine Interface,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단말기 B와 단말기 C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 B와의 통화로부터 단말기 C로 전환 하려면(사용자가 예정한 전환 버튼을 눌러서 단말기 A에 전환 명령을 발신), 단말기 A는 우선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원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전환할 수 없다고 제시하고, 지원하면 단말기 B와 통화를
Figure 112009015793514-PCT00003
하고, MIC와 스피커의 제어권을 전환하고, 그전에 중지한 단말기 C와의 통화를 활성화한다.
만일 단말기 B혹은 C가 중지될때 전화를 끊게 되면, 단말기 A는 단방면 통화에 처하게 된다.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중단 버튼을 누르면, 현재 통화를 종결하고, 만일 이때 기타 호출이 호출 유지 상태에 처하면, 그 상태를 활성화하여 통화 상태로 바꾼다.
모든 통화를 끊은 후, 휴대용 단말기는 MIC와 스피커의 제어권을 현재 마스터 제어기에 반환한다.
상기 방법 중, 모든 판단은 호출 중 자동적으로 진행되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에 이미지로 다른 네트워크를 제시하는 외에 기타는 단일 모드 휴대폰의 조작과 같다.
GSM과 TD가 듀얼 스탠바이시, 량자의 무선 주파수에서 시그날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영향도 매우 작다. 그러므로 본 방법을 채납하면 듀얼 스탠바이시 듀얼 모드 통화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구비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 및 기술 사상에 따라, 동등 개변, 교체, 예를 들면 GSM/CDMA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PHS/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등 기존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 모두 적용되고 또한 이 모든 개변,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종속 청구항의 보호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현재 네트워크 파라미트를 개변시키지 않고, 본 방법의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를 채용하면 설비 전환과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채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간섭없는 호출을 실현하고,
또한 듀얼 모드 단말기의 호출 대기와 호출 유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새로운 전화가 접속될 때 현재 통화를 끊을 필요도 없다. 그리고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는 TD와 GSM 두 가지 시스템 대기를 채용하여 호출을 발송할 때, 그 작 동 주파수가 1800MHz GSM에서 운영하여도 200MHz라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신호 간섭이 없고, 호출 질량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는 사용자가 듀얼 모드 단말기의 한가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호출을 통상적으로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호출을 통상적으로 할 수 있게 하여 듀얼 모드 휴대폰의 두 가지 모드의 듀얼 스탠바이를 실현하였다.

Claims (10)

  1.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가 제1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1 제어모듈과 제2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2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A가 듀얼 스탠바이 제식에 처하고, 일 네트워크 제식을 사용하여 제2 휴대용 단말기B와 통화 상태에 처하고, 이때 상기 단말기 A가 제3 휴대용 단말기 C의 호출을 접수시:
    (a) 단말기 A는 단말기 C가 발송한 호출 청구를 수신하고, 만약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지함을 판단하고, 단말기 A가 단말기 C의 호출을 선택하여 받으면 단말기 A는 단말기B의 호출을 걸어놓고 단말기 B는 호출 유지 상태에 진입되고;
    (b) 단말기 A는 단말기C 호출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현재 네트워크 제식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호출 유지 업무를 시동하고 단말기 C와 통화 접속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단말기 C와 통화 접속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 (a) 중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지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직접 <<사용자 지금 분망>>로 단말기 C의 전화를 끊고, 만약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대기업무를 지지함을 판단하고 단말기 A는 단말기 C의 호출을 선택적으로 <<사용자 지금 분망>>로 끊거나 혹은 직접 끊으면, 단말기 A는 단말기 B와 통화 상태를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 (b)후에 단말기 A가 호출 유지하는 과정중, 단말기 A는 사용자가 발신한 통화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지함을 판단하면 현재 통화를 걸어놓고,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그전에 걸어논 통화를 활성화하고, 만약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지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전환할 수 없음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중단 버튼을 누르면 현재 통화를 종결하고, 이때 아직도 기타 호출이 호출 유지 상태에 처하여 있으면 그를 활성화하여 통화 상태로 되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는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제식은 TD-SCDMA이고, 제1 제어모듈은 TD제어모듈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제식은 GSM이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은 GSM제어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6.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가 제1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1 제어모듈과 제2 네트워크 제식에 사용되는 제2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A가 듀얼 스탠바이 제식에 처하고, 제2 휴대용 단말기B와 일 네트워크 제식을 사용하여 통화 상태에 처하고 ,이때 상기 단말기 A가 제3 휴대용 단말기 C의 호출을 발송은,
    (A) 단말기 A의 사용자는 단말기 C와 통화를 발기하고, 단말기 A가 만약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지함을 판단하면 현재 통화를 걸어놓고;
    (B) 단말기 A는 발기한 호출이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호출 유지 업무를 개시하여 단말기C와 통화 접속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새로운 호출을 개시하는 절차를 집행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 (A) 중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 업무를 지지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에러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 (B) 후에 단말기 A가 호출 유지하는 과정중, 단말기 A는 사용자가 발신한 통화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만약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유지를 지지함을 판단하면 현재 통화를 걸어놓고, 단말기 A 중 음성 입출력 모듈의 제어권을 상응한 네트워크 제식의 제어모듈에 전환하고, 그전에 걸어논 통화를 활성화하고, 만약 현재 통화하는 네트워크 제식이 호출 대기를 지지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전환할 수 없음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단말기 A의 사용자가 중단 버튼을 누르면 현재 통화를 종결하고, 만약 이때 아직도 기타 호출이 호출 유지 상태에 처하여 있으면 이를 활성화하여 통화 상태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A는 TD/GSM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제식은 TD-SCDMA이고, 제1 제어모듈은 TD제어모듈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제식은 GSM이고, 상기 제2 제어모듈은 GSM제어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KR1020097005419A 2006-08-25 2006-08-25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KR101035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6/002195 WO2008028320A1 (fr) 2006-08-25 2006-08-25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appel double attente d'un terminal mobile double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880A true KR20090052880A (ko) 2009-05-26
KR101035815B1 KR101035815B1 (ko) 2011-05-20

Family

ID=3915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419A KR101035815B1 (ko) 2006-08-25 2006-08-25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35815B1 (ko)
CN (1) CN101361379B (ko)
HK (1) HK1119008A1 (ko)
WO (1) WO20080283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1854A (zh) * 2012-08-07 2014-02-12 联芯科技有限公司 双卡双待单通手机及其电话呼入方法
KR101521309B1 (ko) * 2010-09-07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2970A (zh) * 2009-05-04 2009-10-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模终端及其实现自动呼叫保持的方法
CN101888381B (zh) * 2010-06-29 2013-07-03 北京邮电大学 一种跨网络、跨运营商的实现终端切换的通信系统和方法
CN103582182B (zh) * 2012-08-10 2018-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模双待移动终端及其双通实现方法
CN103781051B (zh) * 2012-10-17 2017-1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卡多待的实现方法及装置
CN103916986B (zh) * 2013-01-06 2018-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模多待终端及其多模多待方法
CN104869245A (zh) * 2013-03-29 2015-08-2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通话的方法及一种通话的移动终端
US9667781B2 (en) * 2013-04-21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to convey a local call hold state to a recipient device
WO2015039284A1 (zh) * 2013-09-17 2015-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相关设备
CN109561407B (zh) * 2017-09-27 2021-09-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通话处理方法及通话终端
CN111835919B (zh) * 2019-04-15 2022-03-18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宽带集群终端的业务处理方法、装置及宽带集群终端
CN110493022B (zh) * 2019-08-26 2021-05-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三方会话的建立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746B1 (ko) * 2002-01-07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삼자 통화 서비스를 이용한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JP2004289421A (ja) * 2003-03-20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装置
KR100616568B1 (ko) * 2004-08-18 2006-08-29 엘지노텔 주식회사 호대기 부가서비스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20060063560A1 (en) * 2004-09-21 2006-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mode phone using GPS power-saving assist for operating in cellular and WiFi networks
KR100677362B1 (ko) * 2004-10-0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삼자 통화 중 호 처리 방법
KR100698861B1 (ko) * 2005-04-29 2007-03-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듀얼 모드 시스템 및 듀얼 모드 무선 단말
CN1753535A (zh) * 2005-11-10 2006-03-29 国家数字交换系统工程技术研究中心技术产品产业化推广基地 Phs与gsm或phs与cdma的双模双待机手机及其组合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309B1 (ko) * 2010-09-07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581854A (zh) * 2012-08-07 2014-02-12 联芯科技有限公司 双卡双待单通手机及其电话呼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1379B (zh) 2011-12-21
CN101361379A (zh) 2009-02-04
KR101035815B1 (ko) 2011-05-20
HK1119008A1 (en) 2009-02-20
WO2008028320A1 (fr)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15B1 (ko) 듀얼 모드 휴대용 단말기 듀얼 스탠바이 호출 실현 방법
US20030078071A1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with land line interface and switching mode
US80506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CN102104667B (zh) 手机及其挂机的方法
WO2013071706A1 (zh) 双模终端的来电处理方法及双模终端
CN101340670A (zh) 一种处理语音与数据并发的方法和多模移动终端
KR20100133927A (ko) 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위한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2387258A (zh) 一种包括lte网络模式的双模式双待机移动终端
CN101340727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多路通话控制方法和系统
US762730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coming-call filtering
WO2012152084A1 (zh) 通讯监听方法、装置及其系统
US960276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 calls 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CN101316294A (zh) 基于码分多址网络的移动终端通话状态管理方法及装置
CN100490479C (zh) 可视移动被叫终端的振铃控制方法
CN110839047B (zh) 一种双系统终端实现多模业务通信的方法和装置
JP3328220B2 (ja) 複合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CN106713646B (zh) 一种基于嵌入式设备的应急语音通话装置与通话方法
JPH0831744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切替通知方式
JP2000286932A (ja) 移動端末
JP3480686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RU256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стороннего вызова
JP2872159B2 (ja) 移動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制御方法
JP2001128240A (ja) 複合移動端末の通信方法及びその通信システム
JP2002101439A (ja) カー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カー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構内交換機
JP2004023482A (ja) 移動体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