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280A -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280A
KR20090052280A KR1020080114657A KR20080114657A KR20090052280A KR 20090052280 A KR20090052280 A KR 20090052280A KR 1020080114657 A KR1020080114657 A KR 1020080114657A KR 20080114657 A KR20080114657 A KR 20080114657A KR 20090052280 A KR20090052280 A KR 2009005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needle bar
heads
head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939B1 (ko
Inventor
사토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05B69/32Vibration-minimis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05B55/16Needle-bar drives with provision for disengaging individual nee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과제> 상하 및 수평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저감기구를 구비한 다두식 미싱의 제공.
<해결 수단>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밸런스를 고정적으로 부착하고, 이 밸런스를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구동에 수반하여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逆位相)으로 회전시킨다.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밸런스를 구동하면, 바늘대가 상하운동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바늘대의 상하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지워져 상하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임의로 조합된 서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밸런스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바늘대의 수평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조합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마다 상쇄하여,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MULTI-HEAD SEW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HEAD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미싱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늘대를 구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미싱 본체로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의 진동저감기구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축(上軸)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운동하는 바늘대를 구비한 미싱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바늘대의 상하방향(연직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바늘대의 상하운동과 대략 역위상(逆位相)으로 동작하는 회전식 편심(偏心)추를 설치해 두고, 이 회전식 편심추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바늘대의 상하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지우도록 한 진동저감기구가 알려져 있다. 종래 알려진 진동저감기구에 있어서는 그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상축의 축상에 상기 회전식 편심추를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식 편심추가 상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은 바늘대의 상하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는 저감할 수 있지만, 바늘대의 상하방향(연직방향)과 직교하 는 좌우방향(수평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는 저감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래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예를 들면 하기(下記)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미싱의 진동저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진동저감장치에서는 상축과는 별개로 설치한 소정 축상에 상기 회전식 편심추와는 별개의 추(밸런스)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축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밸런스에 전달하는 변환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변환기구를 통하여 상축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소정 축상에 배치된 밸런스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바늘대를 구동하기 위한 상축의 회전방향(회전식 편심추의 회전방향)과 밸런스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이 되기 때문에, 바늘대의 상하방향에 발생하는 진동뿐만이 아니라, 바늘대의 좌우방향(수평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도 저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7-328269호 공보
그런데, 미싱헤드를 복수 구비하는 다두식 미싱에 대해서도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기술을 적용하는 것으로,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미싱 본체로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대를 상하운동시키는 상축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밸런스를 회전시키도록 한 상기 진동저감기구에는 상축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변환하여 밸런스에 전달하는 변환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다두식 미싱에 구비되는 복수의 미싱헤드의 하나 하나에는 이미 바느질을 위한 여러가지 기계요소(예를 들면, 바늘대, 천칭, 옷감 누름, 바늘대 케이스 등)가 복잡하게 구성·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싱헤드에 대해서 또한 상기한 변환기구를 포함한 진동저감기구를 추가하게 되면, 미싱헤드의 구조가 더욱 복잡한 것이 될 뿐만 아니라, 미싱헤드를 대형화해야 하는 등의 폐해가 발생한다. 또, 다두식 미싱의 코스트도 증대하게 되어, 매우 사정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싱헤드의 구조가 보다 복잡하게 되지 않고, 또 미싱헤드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또한 다두식 미싱의 코스트를 증대시키는 것도 없이, 복수의 미싱헤드에 있어서 생길 수 있는 상하 및 좌우(수평)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진동저감기구를 구비한 다두식 미싱 및 그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다두식 미싱은 바느질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하운동되는 바늘대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미싱헤드로서, 상기 각 미싱헤드는 상기 미싱헤드마다 독립하여 설치된 바늘대 구동원과, 상기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와, 상기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회전하는 밸런스를 구비하는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와,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 중 임의로 조합된 서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밸런스를 고정적으로 부착해 두고, 이 밸런스를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구동에 수반하여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회전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하면,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구동하는 밸런스에 의해서, 바늘대가 상하운동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바늘대의 상하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지워지기 때문에, 각 미싱헤드에 있어서 바늘대의 상하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 중 임의로 조합된 서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각각 밸런스를 역회전시키도록 했다. 이것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역방향으로 밸런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바늘대 구동원과는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밸런스가 회전하는 것에 의 해 발생하는 바늘대의 수평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쌍을 이루는 1조(組)의 미싱헤드마다 지울 수 있다. 즉, 복수의 미싱헤드를 구비한 다두식 미싱 본체에 있어서, 바늘대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은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다두식 미싱은 바느질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하운동되는 바늘대와, 바늘대를 구동하는 바늘대 구동원과, 상기 바늘대 구동원에 의한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와, 상기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회전하는 밸런스로 이루어지는 미싱헤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바느질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 중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서로 쌍을 이루도록 임의로 조합하며, 이 조합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의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조합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의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만으로, 밸런스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바늘대의 수평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마다 지우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장치의 발명으로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법의 발명으로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 또는 DSP 등의 프 로세서의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미싱헤드에 설치한 밸런스를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바늘대가 상하운동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바늘대의 상하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지움과 동시에, 쌍을 이루도록 조합된 각 미싱헤드에 있어서 밸런스를 서로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밸런스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바늘대의 수평방향으로의 관성력을 쌍의 미싱헤드마다 지우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역방향으로 밸런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바늘대 구동원과는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싱헤드를 복잡화, 대형화하는 일 없고, 또 다두식 미싱의 코스트를 증대시키는 것 없이, 미싱 본체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라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두식 미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 1은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가 긴 미싱 테이블, 2는 미싱 테이블(1)의 위쪽에 배치되는 미싱의 상부 프레임이다. 미싱의 상부 프레임(2)에는 상부 프레임(2)의 길이방향(좌우방향)에 따라서 복 수(도시한 예에서는 6개)의 미싱헤드(H)가 등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각 미싱헤드(H)의 아래쪽에는 가마(3)를 지지한 가마 토대(4)가 각 미싱헤드(H)에 대응하여, 미싱 테이블(1)과 대략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각 가마 토대(4)에는 1개의 공통의 구동 샤프트(5)가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샤프트(5)의 일단은 가마 구동용의 하나의 구동모터(6)(복수의 가마(3)에 공통의 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동모터(6)를 구동하면 구동 샤프트(5)가 회전구동되고, 구동 샤프트(5)가 회전구동되는 것에 수반하여, 각 미싱헤드(H)에 대응하여 설치된 개개의 가마(3)가 모두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는 1개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있는 바늘대 케이스(8)를 제거한 암(7)의 개략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에는 1개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의 바늘대 구동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미싱헤드(H)는 상부 프레임(2)에 고정된 암(7)과, 이 암(7)의 전면에 좌우방향(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8)로 구성되어 있다. 암(7)은 해당 미싱헤드(H)를 구성하는 미싱 바느질을 위한 여러가지 기계요소(예를 들면, 바늘대, 천칭, 옷감 누름, 바늘대 케이스 등)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바늘대 케이스(8)에는 복수의 바늘대(9)가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예를 들면, 도 1에는 9개의 바늘대가 설치되어 있다), 암(7)에는 바늘대 케이스(8)에 설치된 복수의 바늘대(9) 중 선택된 바늘대(9)만을 상하운동하기 위한 바늘대 구동모터(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대 구동모터(10)의 모터축(11)에는 소정 형상·중량의 밸런스(12)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구동레버(13)가 고정되어 있다. 즉, 구동레버(13)는 밸런스(12)를 겸하고 있고, 이러한 밸런스(12)를 겸하는 구동레버(13)는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지우기 위해서, 모터축(11)의 축심으로부터 편심한 것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중량배분된 편심상·편심질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구동에 따라,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상위치로부터 하위치 및 하위치로부터 상위치로 향하여 밸런스(12)가 회전하도록 구동레버(13), 연결 암(14), 바늘대 구동부재(16) 등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현재위치를 고려·조정하여, 밸런스(12)를 겸하는 구동레버(13)를 모터축(11)에 배치(고정)하고 있다.
구동레버(13)의 선단부에는 연결 암(14)의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있고, 그 반대측의 연결 암(14)의 타단은 기초 바늘대(15)에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바늘대 구동부재(16)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 바늘대 구동부재(16)에는 바늘대(9)에 설치된 바늘대 잡이(18)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바늘대 구동모터(10)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바늘대(9)를 상하로 왕복구동할 수 있다. 즉, 바늘대 구동모터(10)의 구동에 의해서 구동레버(13)가 회전하면, 구동레버(13)의 회전이 연결 암(14)에 의해 바늘대 구동부재(16)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되어(즉, 구동레버(13)와 연결 암(14)으로 크랭크기구를 구성한다), 바늘대 구동부재(16)가 기초 바늘대(15)에 따 라서 상하운동한다. 이 때에, 바늘대 케이스(8)에 포함되는 복수의 바늘대(9) 가운데, 바늘대 케이스(8)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바늘대 구동부재(16)의 걸어맞춤 오목부(17)에 바늘대 잡이(18)가 걸어맞춤하고 있는 바늘대(9)만이 바늘대 구동부재(16)의 상하운동에 수반하여 상하로 왕복구동되게 된다.
이 때, 바늘대(9)를 상하운동하는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구동에 수반하여 밸런스(12)는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맞추어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상위치로부터 하위치 및 하위치로부터 상위치로 향하도록 회전한다. 즉, 밸런스(12)는 바늘대(9)가 위에서 아래로 동작하는데 맞추어 하위치로부터 상위치로 향하도록 회전하고, 반대로 바늘대(9)가 아래에서 위로 동작하는데 맞추어 상위치로부터 하위치로 향하도록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서, 바늘대(9)의 왕복 운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가진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을 원인으로 하는 진동을 지우게 된다. 또한, 구동레버(13)와 밸런스(12)는 일체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을 별개로 구성하고, 그들을 조합하여 모터축(11)에 고정한 것으로서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다두식 미싱에서는 개개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결국은 바늘대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밸런스(12)를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지우도록 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개개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 밸런스(1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결국은 바늘대(9)의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이것을 저감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 그래 서, 본 발명에서는, 각 미싱헤드(H)에 있어서의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방향을 쌍을 이루도록 설정된 인접하는 미싱헤드(H)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회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밸런스(12)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지우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미싱헤드(H)의 운전제어에 대해서, 도 4 ~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축(11)이 Y방향(전후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은 좌우방향이다.
도 4는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의 복수의 각 미싱헤드에 대한 운전제어를 실시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이다.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의 각 미싱헤드(H1 ~ Hn)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의 제어는 도시를 생략한 CPU(중앙처리 유니트), ROM, RA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컴퓨터(100)에는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통신버스 등)(1A)를 통하여, 복수의 미싱헤드(H1 ~ Hn) 각각에 있어서의 각 기구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및 콘트롤러(D)(이하에서는, 이것을 헤드별 드라이버라고 부른다)가 각 미싱헤드(H1 ~ Hn)마다 접속되어 있다. 1개의 헤드별 드라이버(D)는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대응하는 1개의 미싱헤드(H1 ~ Hn)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바늘대 구동모터(10)나, 각 미싱헤드(H1 ~ Hn) 각각에 포함되는 미싱 바느질을 위한 여러가지 다른 기계요소(예를 들면, 천칭, 옷감 누름, 바늘대 케이스 등)를 개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해당 미싱헤드에 있어서의 바느질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가 실행하는 제어처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스텝 S1은 다두식 미싱을 제어하는 근원이 되는 공지의 바느질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2는 이 다두식 미싱을 구성하는 복수의 미싱헤드(H1 ~ Hn) 중에서 가동 대상으로 하는 미싱헤드를 특정한다(혹은, 휴지(休止) 대상으로 하는 미싱헤드로 하여도 좋다). 스텝 S3은 상기 특정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가 다두식 미싱을 구성하는 모든 미싱헤드(H1 ~ Hn)인지, 그렇지 않으면 다두식 미싱을 구성하는 복수의 미싱헤드(H1 ~ Hn) 중 일부의 미싱헤드인지를 판정한다.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가 이 다두식 미싱이 가지는 모든 미싱헤드(H1 ~ Hn)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의 모두), 인접하는 미싱헤드를 조합하여 서로 쌍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이 쌍을 이루도록 설정된 모든 미싱헤드의 조에 대해 상기 바느질 데이터에 근거하는 구동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4). 이것에 따라, 각 헤드별 드라이버(D)는 바느질 데이터에 근거한 바느질동작을 각각 실행하게 된다.
한편,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가 일부의 미싱헤드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스텝 S3의 일부), 휴지 대상의 미싱헤드를 제외한 일부의 미싱헤드(결국은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조합하여 서로 쌍을 이루도록 설정하고, 이 쌍을 이루도록 설정된 미싱헤드의 조에 대해서만 상기 바느질 데이터에 근거하는 구동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5). 물론, 이 경우에는 휴지 대상의 미싱헤드에 대해 구동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것에 따라,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의 각 헤드별 드라이버(D)는 바느질 데이터에 근거한 바느질동작을 각각 실행한다. 즉, 복수의 미싱헤드(H) 중 일부의 미싱헤 드(H)만을 가동시키고, 나머지의 미싱헤드의 가동을 휴지해 둔다고 한 것 같은 사용법을 하는 경우가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는 많이 있다. 이러한 사용법을 행하는 경우에는 가동하고 있는 미싱헤드(H)로 좌우방향의 관성력이 지워지도록 휴지 대상의 미싱헤드(H)를 제외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H)에 대해서만 쌍을 이루도록 조합 설정을 실시함과 동시에, 이 쌍을 이루도록 설정된 미싱헤드(H)의 조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H)의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구동제어하여, 바느질 데이터에 근거하는 바느질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에 의한 제어의 근원으로 행해지는 가동 대상이 되는 미싱헤드에 있어서의 각 구동레버(13)의 동작의 형태를 개략도로 도 6에 나타낸다. 이 도 6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H1 ~ H4)의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미싱헤드(H1 ~ H4)를 가동 대상으로 하고, 또 미싱헤드(H1, H2)와 미싱헤드(H3, H4)가 각각 조합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홀수두의 미싱헤드(H1, H3)에 있어서는 바늘대 구동모터(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우회전)시키는 한편으로, 좌측에서 짝수두의 미싱헤드(H2, H4)에 있어서는 바늘대 구동모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좌회전)시키도록 각 미싱헤드(H1 ~ H4) 각각의 바늘대 구동모터(10)를 개별적으로 회전구동시키면서 바느질동작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에 의한 상기 제어처리(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서, 헤드별 드라이버(D)(도 4 참조)는 각 미싱헤드(H1 ~ H4)에 설치되어 있는 바늘대 구동모터(10)를 회전구동한다. 이 때, 하나 하나의 미싱헤드(H1 ~ H4)에 주목해 보면, 밸런스(12)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이 각 미싱헤드(H1 ~ H4)마다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것을 인접하는 미싱헤드(H1, H2)와 미싱헤드(H3, H4)를 각각 쌍을 이루는 1조의 미싱헤드로서 주목하면, 각각의 조에 있어서 한쪽의 미싱헤드(H1(H3))의 밸런스(12)의 회전방향과, 쌍을 이루는 다른 한쪽의 미싱헤드(H2(H4))의 밸런스(12)의 회전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1조의 미싱헤드(H1, H2)와 미싱헤드(H3, H4)에 있어서는 밸런스(12)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좌우방향으로의 관성력이 항상 서로 지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관성력이 지워진다면, 관성력을 원인으로 하는 좌우방향의 진동도 지워진다고 하는 것이다. 즉, 1조의 미싱헤드(H1, H2)와 미싱헤드(H3, H4)에서는 각각, 좌우방향의 진동이 지워져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는 그와 같이 바늘대 구동모터(10)를 회전구동한다).
상술한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는 종래와는 다른 구성의 진동저감기구로서 소정 형상의 밸런스(12)를 모터축(11)에 고정해 두는 것으로, 이 밸런스(12)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러한 구성의 진동저감기구에 의하면, 개개의 미싱헤드(H)에 발생할 수 있는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의 억제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의 억제에 대해서도 각 미싱헤드(H)에 포함되는 미싱 바느질을 위한 여러가지 다른 기계요소(예를 들면, 천칭, 옷감 누름, 바늘대 케이스 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바늘대 구동모터(10)는 바늘대(9)를 상하운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하여도 동작하는 것이지만, 바늘대(9)를 상하운동하는 경우에는 특히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방향은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미싱헤드(H)에서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밸런스(1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바늘대 구동모터(10)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것만으로 좋고, 이러한 제어는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100)에 의한 상기한 제어처리(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다두식 미싱에서는 밸런스(12)에 의해서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의한 진동이 지워짐과 동시에, 인접하는 미싱헤드(H)의 바늘대 구동모터(10)(및 그것에 연결된 밸런스(12))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밸런스(12)의 회전구동에 의한 진동이 지워지도록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평방향의 진동을 해소하기 위한 전용의 밸런스와, 이것을 역회전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일부러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가 증가하여 미싱헤드(H)의 구조가 복잡하게 될 일이 없고, 또 미싱헤드(H)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 또한, 미싱헤드(H)의 코스트의 증대, 그에 따르는 다두식 미싱의 코스트를 증대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제어에 의해 미싱 본체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싱헤드(H)를 조합하여 쌍을 이루는 1조의 미싱헤드(H)의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에 인접한 2대의 미싱헤드(H)를 조합한 것을 예로 나타냈지만, 조합 방법은 인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미싱헤 드(H)를 조합할 때에는 가동 대상이 된 인접하고 있지 않는 미싱헤드(H)를 적당하게 조합하여 쌍의 미싱헤드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1대 건너 마다 배치되어 있는 미싱헤드(H)를 조합하도록 하여도 좋고, 몇 대의 미싱헤드(H)를 모아 그룹 단위로 조합을 실시하는 것으로 복수의 미싱헤드(H)를 모아 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H)의 설정을 실시하는 경우, 그 설정은 어떠한 조합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홀수두의 미싱헤드(H)를 구비한 다두식 미싱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경우, 복수의 미싱헤드(H) 중 하나에 대해서는 수평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상쇄되지 않게 지워지지는 않지만, 그것에 있어서도 그 이외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의 관성력이 1조마다 상쇄되어 지워지기 때문에, 미싱 전체적으로의 수평방향의 진동은 큰 폭으로 저감되게 되므로, 본 발명은 매우 유효하다. 특히, 미싱헤드(H)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예를 들면 20두 이상), 상쇄되는 수평방향으로의 관성력이 크기 때문에, 단 1개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의 수평방향의 관성력이 지워지지 않다고 하여도, 그것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늘대 구동모터(10)의 모터축(11)이 미싱의 전후의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된 미싱헤드(H)를 다수 가지는 다두식 미싱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모터축(11)이 미싱의 좌우의 방향(횡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된 미싱헤드(H)를 다수 가지는 다두식 미싱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모터축(11)이 미싱의 좌우의 방향을 지향 하도록 배치된 다두식 미싱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모터축(11)을 미싱의 전후의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한 다두식 미싱의 경우와 동일한 진동저감기구로서, 소정 형상의 밸런스(12)를 모터축(11)에 고정해 두고 이 밸런스(1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바늘대(9)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결국은 바늘대의 상하방향의 진동에 대해 지우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 미싱헤드(H)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지만,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H)로 그 진동이 상쇄되기 때문에, 전후방향의 진동도 억제된다. 따라서, 모터축(11)이 미싱의 좌우의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된 미싱헤드(H)를 다수 가지는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두식 미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1개의 미싱헤드에 있어서 전면의 바늘대 케이스를 제거한 암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바늘대 구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두식 미싱에 있어서의 미싱헤드에 대한 운전제어를 실시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5는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처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의 근원으로 행해지는 구동레버의 동작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미싱 테이블, 2 … 상부 프레임, 3 … 가마, 4 … 가마 토대, 5 … 구동 샤프트, 6 … 구동 모터, 7 … 암, 8 … 바늘대 케이스, 9 … 바늘대, 10 … 바늘대 구동 모터, 11 … 모터축, 12 … 밸런스, 13 … 구동레버, 14 … 연결 암, 15 … 기초 바늘대, 16 … 바늘대 구동부재, 17 … 걸어맞춤 오목부, 18 … 바늘대 잡이, H(H1 ~ Hn) … 미싱헤드, D … 헤드별 드라이버, 100 … 마이크로컴퓨터(제어장치), 1A … 통신버스

Claims (5)

  1. 바느질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하운동되는 바늘대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미싱헤드로서, 상기 각 미싱헤드는,
    상기 미싱헤드마다 독립하여 설치된 바늘대 구동원과,
    상기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와,
    상기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逆位相)으로 회전하는 밸런스를 구비하는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와,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 중 임의로 조합된 서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다두식 미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는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2대의 미싱헤드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 미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는 복수의 미싱헤드 중 임의의 가동시키지 않는 휴지(休止) 대상의 미싱헤드를 제외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만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식 미싱.
  4.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다두식 미싱은 바느질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하운동되는 바늘대와, 바늘대를 구동하는 바늘대 구동원과, 상기 바늘대 구동원에 의한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와, 상기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회전하는 밸런스로 이루어지는 미싱헤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바느질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 중 임의의 가동시키지 않는 휴지 대상의 미싱헤드를 제외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서로 쌍을 이루도록 임의로 조합하고, 이 조합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의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
  5.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다두식 미싱은 바느질동작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하운동되는 바늘대와, 바늘대를 구동하는 바늘대 구동원과, 상기 바늘대 구 동원에 의한 회전구동을 바늘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와, 상기 크랭크기구의 회전입력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서, 바늘대의 상하운동에 대해서 대략 역위상으로 회전하는 밸런스로 이루어지는 미싱헤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바느질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미싱헤드 중 임의의 가동시키지 않는 휴지 대상의 미싱헤드를 제외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한 가동 대상의 미싱헤드를 서로 쌍을 이루도록 임의로 조합하고, 이 조합된 쌍을 이루는 미싱헤드 사이에 있어서 각 미싱헤드의 바늘대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다두식 미싱의 프로그램.
KR1020080114657A 2007-11-20 2008-11-18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 KR101079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0532A JP2009125126A (ja) 2007-11-20 2007-11-20 多頭式ミシン及び多頭式ミシンの運転制御方法
JPJP-P-2007-300532 200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280A true KR20090052280A (ko) 2009-05-25
KR101079939B1 KR101079939B1 (ko) 2011-11-04

Family

ID=4058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657A KR101079939B1 (ko) 2007-11-20 2008-11-18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96251B2 (ko)
JP (1) JP2009125126A (ko)
KR (1) KR101079939B1 (ko)
CN (1) CN101440557A (ko)
DE (1) DE10200805801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5972B1 (en) * 2006-02-06 2013-12-18 ABB Research Ltd. Press line system and method
CN102828360A (zh) * 2012-08-27 2012-12-19 吴江市中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缝纫机的针杆曲柄
CN103361899B (zh) * 2013-07-12 2014-05-21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缝纫机的多针杆模块
TWI489095B (zh) * 2013-07-17 2015-06-21 Wistron Corp 力反饋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和使用方法
US9394639B2 (en) 2014-10-16 2016-07-19 Handi Quilter, Inc. Motorized thread tensioner for a sewing machine
US9809912B2 (en) * 2014-10-16 2017-11-07 Handi Quilter, Inc. Vibration reduction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US8997669B1 (en) 2014-10-16 2015-04-07 Handi Quilter, Inc. Thread tensioner for a sewing machine
TWI580837B (zh) * 2016-05-09 2017-05-01 He Xiang-Xian A shock transmission device and a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hockproof transmission device
CN106811879A (zh) * 2016-12-26 2017-06-09 义乌市特轩贸易有限公司 一种动平衡式绣花机机头
CN106811880A (zh) * 2016-12-26 2017-06-09 义乌市特轩贸易有限公司 一种超高速绣花机机头
CN106854798B (zh) * 2016-12-28 2020-03-24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减振装置
CN106757844B (zh) * 2016-12-28 2020-01-31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减振结构
CN106637729B (zh) * 2016-12-28 2020-02-07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用于降低缝纫机振动的机构
CN108978058B (zh) * 2018-09-06 2021-05-07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切机
CN110565283B (zh) * 2019-09-16 2021-06-29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
CN110804809B (zh) * 2019-11-11 2021-09-1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及刺料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9037A (en) * 1971-12-22 1973-07-31 Cash J Machine Co Dual head for a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4515096A (en) * 1982-08-13 1985-05-07 Spencer Wright Industries, Inc. Tufting machines
DE3700210C2 (de) * 1986-01-09 1996-02-29 Tokai Ind Sewing Machine Mehrkopf-Stickmaschine
US5287819A (en) * 1992-12-16 1994-02-22 Card-Monroe Corp. High speed dynamically balanced tufting machine
JPH07328269A (ja) 1994-06-08 1995-12-19 Brother Ind Ltd ミシンの振動低減装置
US5839382A (en) * 1994-09-15 1998-11-24 Tice Engineering And Sales, Inc. Electronically geared sewing machine
US5915317A (en) * 1997-12-22 1999-06-29 Thrash; Patrick J. Automated gantry-type stitching system
KR20030075737A (ko) * 2002-03-20 2003-09-26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다두 자수기의 헤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4420704B2 (ja) 2003-12-22 2010-02-24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頭式ミシン
JP4826329B2 (ja) 2006-05-02 2011-11-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78249B2 (en) * 2007-03-26 2009-08-25 Tuftco Corporation Tufting machine head sh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0557A (zh) 2009-05-27
DE102008058012A1 (de) 2009-06-04
US20090126610A1 (en) 2009-05-21
US8096251B2 (en) 2012-01-17
KR101079939B1 (ko) 2011-11-04
DE102008058012B4 (de) 2012-11-15
JP2009125126A (ja)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939B1 (ko) 다두식 미싱 및 다두식 미싱의 운전제어방법
JP4981012B2 (ja)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筬振り装置
JP2005218872A (ja) 刺繍機
US4883006A (en) Automatic sewing machine
US10407811B2 (en) Sewing machine
JP7119965B2 (ja) 縫製システム
JP2006247044A (ja) ミシンの布送り調節機構
JP3452302B2 (ja) リンク部材の揺動機構
KR101944450B1 (ko) 경편기
JP2000271364A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JP2001212386A (ja) 針揺動機能を有するミシン
CN101225584B (zh) 用于驱动绣花机的绣花架的设备
JP2008104786A (ja) 多針式キルティングマシンにおける針駆動装置
JP2008279184A (ja) ミシンの刺繍枠装置
JP5845683B2 (ja) ミシン
JP2017148180A (ja) ミシン
JP2008220668A (ja) 刺繍枠の支持機構
US378915A (en) Quilting machine
JP2000355868A (ja)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RU22762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атериала
KR101840236B1 (ko) 옷감 누름 부재 구동 장치
KR20010050396A (ko) 다두 미싱
CN1576431A (zh) 缝纫机
JP5008227B2 (ja) ミシン
JP2002020963A (ja) 刺繍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