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048A -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048A
KR20090052048A KR1020070118561A KR20070118561A KR20090052048A KR 20090052048 A KR20090052048 A KR 20090052048A KR 1020070118561 A KR1020070118561 A KR 1020070118561A KR 20070118561 A KR20070118561 A KR 20070118561A KR 20090052048 A KR20090052048 A KR 2009005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dge portion
housing
fluid
u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2048A/ko
Publication of KR2009005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가 가류 접착되는 케이스에 마운트 브라켓이 압입 설치되고,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충돌시 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고, 방청 수준이 향상되어 엔진룸의 미관을 개선하며, 추가적인 방청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를 제공한다.
유체, 봉입, 엔진, 마운트, 케이스, 마운트 브라켓, 하우징, 컬링, 방청

Description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HYDRAULIC ENGINE MOUN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컬링 구조를 개선한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서는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한 중심 위치의 주기적 변화,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 운동 부분의 관성력, 커넥팅 로드가 크랭크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 변화 등에 의해서 상당한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엔진은 섀시 프레임 또는 바디에 지지되어 있으나, 엔진의 진동이 섀시 프레임이나 바디에 저감되어 전해지도록 그 장착부에는 인슐레이터를 이용한 엔진 마운트를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인슐레이터 만으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폭 넓게 나타나는 엔진의 복합 진동을 동시에 적절히 흡수해 주기에는 미흡한 결점이 있었고,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슐레이터 보다 댐핑 능력이 탁월한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예의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과 체결되는 센터볼트(2)를 중앙에 인입한 코어(4)가 구비되고, 그 코어(4)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유체실(6)이 형성되는 인슐레이터(1)가 가류 접착되며, 그 인슐레이터(1)의 외주면에는 케이스(3)가 가류 접착되고, 인슐레이터(1)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변위 제어를 위한 하우징(5)이 케이스(3)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된다.
여기서, 하우징(5)은 이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되게 컬링되며, 케이스(3)는 이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하우징(5)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상측 방향으로 컬링되고(도면에서의 "A" 부분), 후 공정으로서 마운트 브라켓(미도시)은 케이스(3)의 외주면에 압입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예의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상기에서와 같이 케이스(3)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그 컬링 부분에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는 등 방청에 불리하고, 엔진룸의 미관이 불량하며, 상기 컬링 부분을 방청 처리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마운트 브라켓(미도시)이 케이스(3)에 별도로서 압입 설치되므로 축방향의 대하중 입력시 케이스(3)가 마운트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엔진 마운트를 생산하기 위해 하우징(5)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을 컬링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가 필요하게 되므로, 생산 설비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예의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가 인슐레이터(1)에 가류 접착되고, 하우징(5)이 코어(4)에 결합되면서 이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3)의 상단부 쪽으로 절곡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2 예의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하우징(5)을 케이스(3)에 강제 고정하지 않으므로, 하우징(5)이 흔들리거나 운반 또는 충돌시 하우징(5)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3 예의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도 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의 외주면에 케이스(3)가 가류 접착되고, 하우징(5)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3)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며, 케이스(3)의 외측에 위치하는 마운트 브라켓(7)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3)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과 하우징(5)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상측 방향으로 컬링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도면에서의 "C" 부분 참조).
여기서, 하우징(5)은 이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되게 컬링되며, 케이스(3)는 이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되게 컬링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제3 예의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상기에서와 같이 마운트 브라켓(7)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그 컬링 부분에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는 등 방청에 불리하고, 엔진룸의 미관이 불량하며, 상기 컬링 부분을 별도의 방청 처리를 해야 한다는 문제점 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마운트 브라켓(7)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컬링됨에 따라 축방향의 대하중 입력시 케이스(3)가 마운트 브라켓(7)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케이스(3)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 및 하우징(5)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을 컬링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가 필요하게 되므로, 생산 설비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슐레이터가 가류 접착되는 케이스에 마운트 브라켓이 압입 설치되고,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컬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시 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고, 방청 수준이 향상되어 엔진룸의 미관을 개선하며, 추가적인 방청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는, 엔진과 체결되는 센터볼트가 중앙에 인입되는 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유체실이 형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구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에는 케이스가 가류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차체와 연결되는 마운트 브라켓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쪽으로 압입 설치되며, 상기 인슐레이터를 내장시키는 하우징이 상기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컬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 가장자리 부분 에 외측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은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 플랜지와 겹쳐지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서로 겹쳐진 제1 및 제2 플랜지부를 하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컬링되는 컬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는 이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의하면, 두께가 가장 얇은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아래쪽으로 컬링된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달리 컬링 부분의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별도의 방청 처리가 필요 없게 되며, 컬링 작업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고, 이로 인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과 함께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충돌 하중에 의해 축방향 대하중이 입력되더라도 케이스가 마운트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의 외주면으로 마운트 브라켓이 먼저 압입 설치되고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측 방향으로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케이스의 상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방청 처리가 필요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1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엔진과 체결되는 센터볼트(11)를 중앙에 인입한 코어(13)가 구비되고, 그 코어(13)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유체실(15)이 형성되는 인슐레이터(17)가 가류 접착된다.
상기 인슐레이터(17)의 외주면에는 케이스(19)가 가류 접착되며, 인슐레이터(17)의 유체실(15) 하부에는 플런저 유닛(21)이 구성되고, 그 플런저 유닛(21)의 하부에는 오리피스 플레이트(23) 및 다이어프램(25)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구조의 유체감쇠유닛(27)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100)에서 상기 케이스(19)의 외주면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마운트 브라켓(31)이 압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31)과 케이스(19)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인슐레이터(17)를 내장시키는 하우징(41)이 연결 설치되는 바, 이 하우징(41)은 인슐레이터(17)의 전후, 상하, 좌우의 변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41)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은 케이스(19)와 마운트 브라켓(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컬링(curl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에서의 "B" 부분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9)는 그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외측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43)가 형성되며, 상기 마운트 브라켓(31)은 그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제1 플랜지부(43)와 서로 겹쳐지는 제2 플랜지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41)은 하단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한 서로 겹쳐진 제1 및 제2 플랜지부(43, 45)를 하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컬링되는 컬링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컬링부(47)는 이의 단부가 제1 및 제2 플랜지부(43, 45)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 플랜지부(45)의 하측에 위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1)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상기한 컬링부(47)의 컬링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우징(41)의 두께를 t1, 케이스(19)의 두께를 t2, 마운트 브라켓(31)의 두께를 t3 라고 할 때, 이들 각각의 두께는 t1 < t2 < t3(예를 들어 2.0t < 2.3t < 3.0t)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100)에 의하면, 케이 스(19)가 인슐레이터(17)의 외주면에 가류 접착된 상태에서, 그 케이스(19)의 외주면으로 마운트 브라켓(31)이 압입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41)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19) 및 마운트 브라켓(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게 장착되는데, 하우징(41)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은 케이스(19) 및 마운트 브라켓(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측 방향으로 컬링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100)에 의하면, 하우징(41)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19) 및 마운트 브라켓(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아래쪽으로 말아 감긴 컬링부(47)를 구비함에 따라, 종래와 달리 컬링부(47)의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별도의 방청 처리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41)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19) 및 마운트 브라켓(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과 함께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충돌 하중에 의해 축방향 대하중이 입력되더라도 케이스(19)가 마운트 브라켓(3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9)의 외주면으로 마운트 브라켓(31)이 먼저 압입 설치되고 하우징(41)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19) 및 마운트 브라켓(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측 방향으로 컬링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으며, 케이스(19)의 상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별도의 방청 처리가 필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청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컬링부(47)를 별도로 표면 처리 가공하거나 덧칠을 해야 하는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가장 얇은 하우징(41)으로서 컬링부(47)를 형성함에 따라 컬링 작업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며, 충돌 하중에 의해 케이스(19)가 마운트 브라켓(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Claims (4)

  1. 엔진과 체결되는 센터볼트가 중앙에 인입되는 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유체실이 형성되는 인슐레이터가 구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에는 케이스가 가류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차체와 연결되는 마운트 브라켓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쪽으로 압입 설치되며, 상기 인슐레이터를 내장시키는 하우징이 상기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케이스 및 마운트 브라켓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하방으로 컬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외측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은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 플랜지와 겹쳐지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서로 겹쳐진 제1 및 제2 플랜지부를 하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컬링되는 컬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는 이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 플랜지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KR1020070118561A 2007-11-20 2007-11-20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KR20090052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61A KR20090052048A (ko) 2007-11-20 2007-11-20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61A KR20090052048A (ko) 2007-11-20 2007-11-20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48A true KR20090052048A (ko) 2009-05-25

Family

ID=4085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61A KR20090052048A (ko) 2007-11-20 2007-11-20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20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872A (zh) * 2017-05-04 2017-09-26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总成的悬置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872A (zh) * 2017-05-04 2017-09-26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总成的悬置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5257B2 (ja) 防振装置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JP6393200B2 (ja) 防振装置および緩衝装置
WO2015068730A1 (ja) マウント装置
CN109424680A (zh) 防振构造
KR20090052048A (ko)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JP2560949B2 (ja) 防振装置の振動体取付構造
KR100513226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JP6393443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振装置
JP4978843B2 (ja) 液体封入式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H11230251A (ja) サスペンションの制振装置
KR100361281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JPH07280034A (ja) 防振装置
KR100770766B1 (ko) 공기 감쇠식 엔진 마운트
JP4543318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1251486B1 (ko) 유체봉입형 엔진 마운트
JP2003322197A (ja) 防振装置
KR10048280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20070025654A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구조
US10816012B2 (en) Mounting assembly of electric pump
JP2010174958A (ja) マス部材の取付構造
JPS6315613Y2 (ko)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01251492B1 (ko) 유체봉입형 엔진 마운트
JPH05248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