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773A -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773A
KR20090050773A KR1020070117388A KR20070117388A KR20090050773A KR 20090050773 A KR20090050773 A KR 20090050773A KR 1020070117388 A KR1020070117388 A KR 1020070117388A KR 20070117388 A KR20070117388 A KR 20070117388A KR 20090050773 A KR20090050773 A KR 2009005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horizontal
horizontal fram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157B1 (ko
Inventor
윤지원
조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1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화물창의 절연패널(Insulation panel:이하, IP패널이라 한다)중 하중이 일반 패널보다 크고 부착 작업공정이 난해한 경사 IP패널을 용이하게 화물창에 부착하기 위한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의 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수평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수평이동부; 상기 베이스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수직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수직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에 의해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수직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연동하여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평프레임과, 상기 이동수평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에 의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 수평이동부 및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 단부에 결합되되 구동원에 의해 그리퍼를 측면방향(z-x평면상)으로 틸팅구도하도록 결합된 측면틸팅부와 상기 측면틸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y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직선운동부와 상기 측면틸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회전시키는 로테이팅부와 상기 로테이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정면방향(z-y평면상)으로 틸팅구도하도록 결합된 정면틸팅부로 구성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는 화물창 벽면 코너에 코너IP를 부착함에 있어서 그리퍼의 교체없이 부착작업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족장위의 좁은 공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코너 IP 부착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에 연장부를 형성시켜 중량의 코너 IP부착시 리프트 장치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프레임등의 일부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코너 IP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강성을 보강하여 작업의 안전사고 및 리프트 장치의 파손을 방지를 예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화물창, 단열패널, 리프트 장치

Description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lift device for corner insulation panel bonding device of LNGC}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화물창의 절연패널(Insulation panel:이하, IP패널이라 한다)중 하중이 일반 패널보다 크고 부착 작업공정이 난해한 경사 IP패널을 용이하게 화물창에 부착하기 위한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의 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 생산지역에서 대양을 건너 소비지까지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경우, 그 수송비용, 수송시간 등의 운송효율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한다. 그러나, 한번에 많은 양의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해 기체상태로 운반하지 아니하고 액체상태로 운반하게 된다. 따라서, 천연가스 저장탱크 내의 온도는 천연가스의 비등점인 -161°C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탱크 내부를 극저온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선 저장탱크 와 선체사이에 단열재(Insulation Pannel:이하IP라 한다.)를 위치시켜야 하는데, 상기 단열재로 폴리 우레탄 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선박의 화물창에 코너 IP(Corner Insulation Pannel)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창의 각각의 벽면의 코너에 IP를 부착해 나가는 공정이 필요한데 상기 화물창(1)의 벽면에는 IP(2)부착을 위한 스터드 볼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IP(2)에는 상기 스터드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IP(2)를 상기 화물창(1)의 벽면에 부착할 시 화물창(1)의 스터드 볼트와 IP(2)의 홀을 맞추어서 부착하여야 한다.
그런데 화물창(1)의 벽면의 코너는 족장(3)의 모서리에서 IP부착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밖에 없다. 또한 화물창(1)의 코너 벽면에 부착되는 코너 IP는 플랫(flat)IP보다 무게가 배이상 무겁기 때문에 부착작업 환경이 매우 까다롭다.(코너 IP : 300kg, 플랫(flat)IP : 150kg)
화물창 벽면 코너에의 코너 IP부착작업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소적 제약과 코너 IP의 중량으로 인하여 어려운 점이 많아서 코너 IP부착을 위한 장비들을 사용해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의 장비들은 코너 IP의 중량에 비해 강성이 약하여 작업시 변형이 많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스터드와 코너IP의 홀을 맞추는데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무거운 코너IP로 인하여 장비들이 들려서 작업자의 안전을 해칠 수 있는 위험이 항시 존재하고 장비의 파손도 문제될 뿐만 아니라 각 화물창 벽면의 코너의 방향성이 전부 상이 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각 화물창 벽면의 코너작업마다 IP가 취부되는 그리퍼(Gripper)의 방향을 바꾸어 그리퍼(Gripper)를 탈.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착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량이 무거운 코너IP를 부착하기 위하여 강성이 보강되고 장비의 들림이 방지되며 그리퍼(Gripper)의 교체없이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화물창 코너에 대응하여 코너IP를 부착할 수 있는 코너IP전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수평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x축방향으로 연 장되는 연장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수평이동부; 상기 베이스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수직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수직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에 의해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수직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연동하여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평프레임과, 상기 이동수평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에 의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 수평이동부 및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 단부에 결합되되 구동원에 의해 그리퍼를 측면방향(z-x평면상)으로 틸팅구도하도록 결합된 측면틸팅부와 상기 측면틸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y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직선운동부와 상기 측면틸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회전시키는 로테이팅부와 상기 로테이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정면방향(z-y평면상)으로 틸팅구도하도록 결합된 정면틸팅부로 구성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이동부의 연장 수직프레임의 상부에는 고정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도르래에는 연동 와이어가 감기되 상기 연동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수직 이동부의 베이스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동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이동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수평프레임이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연동하여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볼 스크류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수평프레임에는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는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는 화물창 벽면 코너에 코너IP를 부착함에 있어서 그리퍼의 교체없이 부착작업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족장위의 좁은 공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코너 IP 부착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에 연장부를 형성시켜 중량의 코너 IP부착시 리프트 장치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프레임등의 일부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코너 IP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강성을 보강하여 작업의 안전사고 및 리프트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의 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수직이동부 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틸팅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는 크게 제 1수평이동부(100)와 수직이동부(200)와 제 2수평이동부(300)및 틸팅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수평이동부(100)는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 수평프레임(120)은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작업으로 잡아당겨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시킨다. 일 실시예는 상기 연장 수평프레임(120)이 추가되어 코어IP부착시 일 실시예의 바퀴 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이동부(200)는 상기 베이스 수평프레임(110)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수직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수직프레임(210)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유압식 구동원(도 2의 A)에 의해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직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수평이동부(300)는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과 수직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과 연동하여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평프레임(310)과, 상기 이동수평프레임(310)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도 2의 S,M)에 의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이동수평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
도 2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평이동부(300)의 이동수평프레임(310)은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과 수직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에 롤러결합하여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상기 이동수평프레임(310)은 상기 베이스 수직프레임(210)과 연동 와이어(W)로 연결되어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이동부(200)의 연장 수직프레임(220)의 상부에는 고정도르래(221)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도르래(221)에는 연동 와이어(W)가 감기는데 상기 연동 와이어(W)의 일단은 베이스 수직프레임(210)의 수평바(211)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동 와이어(W)의 타단은 상기 이동수평프레임(3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220)이 z축방향으로 상향이동하면 상기 이동수평프레임(310)도 이에 따라 z축방향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평이동부(300)의 연장 이동수평프레임(320)은 구동원(도2의 S,M)을 통해 상기 이동수평프레임(310)에서 슬라이딩 되어 x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320)의 구동원(도 2의 S,M)은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320)의 중앙부에 결합된 볼 스크류(S)와 상기 이동수평프레임(310)상에 설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S)를 회전시키도 록 상기 볼 스크류(S)와 결합된 모터구동부(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구동부(M)를 통해 상기 볼 스크류(S)를 회전시키면 도 3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x축방향)으로 상기 볼 스크류(S)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320)도 화살표 방향(x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틸팅부(400)는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320) 단부에 결합되되 모터방식의 구동원에 의해 그리퍼(G)를 측면방향(z-x평면상)으로 틸팅구동하도록 결합된 측면틸팅부(410)와 상기 측면틸팅부(4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y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직선운동부(430)와 상기 측면틸팅부(4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G)를 회전시키는 로테이팅부(440)와 상기 로테이팅부(44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G)를 정면방향(z-y평면상)으로 틸팅구동하도록 결합된 정면틸팅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틸팅부(410)는 모터와 기어로 구비된 모터구동방식의 구동원에 의하여 측면방향(z-x평면상)으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그리퍼(G)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물창의 벽면 코너의 각도에 맞추어 작업자는 용이하게 코너 IP를 부착시 킬 수 있다.
도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틸팅부(410)의 하부는 상기 직선운동부(430)상에 y축방향으로 직선 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LM가이드등의 직선이송장치에, 상기 측면틸팅부(410)의 하부가 탑재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y축방향으로 자유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틸팅부(410)의 상부에는 모터에 의해 그리퍼(G)를 회전시키 는 로테이팅부(440)가 마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로테이팅부(440)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그리퍼(G)의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화물창 벽면의 코너에 그리퍼(G)의 교체없이 코너IP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팅부(440)의 상부에는 상기 정면틸팅부(420)가 모터에 의해 정면방향(z-y평면상)으로 틸팅구도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서 화물창 벽면 코너 주위의 좁은 족장에서 보다 정교하게 코너IP부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선박의 화물창에 코너 IP(Corner Insulation Pannel)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의 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수직이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틸팅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수평이동부 110 : 베이스 수평프레임
120 : 연장 수평프레임 200 : 수직이동부
210 : 베이스 수직프레임 220 : 연장 수직프레임
300 : 제 2수평이동부 310 :이동수평프레임
320 : 연장 이동수평프레임 400 : 틸팅부
410 ; 측면틸팅부 420 : 정면틸팅부
430 : 직선운동부 440 : 로테이팅부

Claims (3)

  1. 저면에 다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수평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수평이동부;
    상기 베이스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수직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수직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에 의해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수직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연동하여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평프레임과, 상기 이동수평프레임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원에 의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 수평이동부 및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 단부에 결합되되 구동원에 의해 그리퍼를 측면방향(z-x평면상)으로 틸팅구동하도록 결합된 측면틸팅부와 상기 측면틸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y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된 직선운동부와 상기 측면틸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회전시키는 로테이팅부와 상기 로테이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리퍼를 정면방향(z-y평면상)으로 틸팅구동하도록 결합된 정면틸팅부로 구성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의 연장 수직프레임의 상부에는 고정도르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도르래에는 연동 와이어가 감기되 상기 연동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수직 이동부의 베이스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동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이동 수평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수평프레임이 상기 연장 수직프레임과 연동하여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볼 스크류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수평프레임에는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장 이동수평프레임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물창 코너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KR1020070117388A 2007-11-16 2007-11-16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KR10093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88A KR100938157B1 (ko) 2007-11-16 2007-11-16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88A KR100938157B1 (ko) 2007-11-16 2007-11-16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773A true KR20090050773A (ko) 2009-05-20
KR100938157B1 KR100938157B1 (ko) 2010-01-21

Family

ID=4085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388A KR100938157B1 (ko) 2007-11-16 2007-11-16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15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28B1 (ko) * 2013-04-25 2014-09-17 김재만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작업 장치
KR20150086029A (ko) * 2014-01-17 2015-07-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 단열박스 설치 장치의 레일투입 장치
KR20160083701A (ko) * 2015-01-02 2016-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리프트 디바이스
CN106410671A (zh) * 2016-10-31 2017-02-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辅助更换管型母线支撑瓷瓶的装置
KR20210043346A (ko) 2019-10-11 2021-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리프팅 장치
KR20210044547A (ko) 2019-10-15 2021-04-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리프팅 장치
KR20210046315A (ko) 2019-10-18 2021-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210046455A (ko) 2019-10-18 2021-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210047569A (ko) 2019-10-22 2021-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 내의 단열재 리프팅 장치
KR20210050826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관절 암을 가지는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210050825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웨이트 밸런서와 결합되는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959B1 (ko) * 2011-12-14 2013-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KR101757193B1 (ko) * 2016-07-25 2017-07-26 김기영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101824131B1 (ko) 2016-11-09 2018-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설치 장치
KR101857087B1 (ko) 2018-01-05 2018-06-20 이정환 Lng 연료탱크 패널 클램핑 및 이송장치
KR101995158B1 (ko) 2018-02-13 2019-07-01 이정환 Lng 연료탱크 패널 조립용 수동 이송장치
KR102110154B1 (ko) * 2018-09-12 2020-05-13 김대영 에어컨 실외기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890A (ja) * 1995-02-10 1996-08-27 Central Motor Co Ltd 運搬台車
KR100512777B1 (ko) * 2002-06-12 2005-09-07 태화정공 주식회사 하역이 용이한 대차
KR20040026750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의 용강샘플 채취장치
KR100693631B1 (ko) * 2005-09-01 2007-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28B1 (ko) * 2013-04-25 2014-09-17 김재만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단열작업 장치
KR20150086029A (ko) * 2014-01-17 2015-07-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 단열박스 설치 장치의 레일투입 장치
KR20160083701A (ko) * 2015-01-02 2016-07-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리프트 디바이스
CN106410671A (zh) * 2016-10-31 2017-02-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辅助更换管型母线支撑瓷瓶的装置
KR20210043346A (ko) 2019-10-11 2021-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리프팅 장치
KR20210044547A (ko) 2019-10-15 2021-04-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리프팅 장치
KR20210046315A (ko) 2019-10-18 2021-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210046455A (ko) 2019-10-18 2021-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단열재 부착을 위한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210047569A (ko) 2019-10-22 2021-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 내의 단열재 리프팅 장치
KR20210050826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관절 암을 가지는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210050825A (ko) 2019-10-29 2021-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웨이트 밸런서와 결합되는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157B1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157B1 (ko)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CN103328317B (zh) 移动设备和在移动设备之间的对接方法
CN110065529A (zh) 一种多层可自动取料的料车
EP1830016B1 (en) Scaffold and method of constructing ins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6185699B (zh) 一种简易托架
KR101125045B1 (ko) 이동항구의 선적 및 하역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TW513376B (en) A loading/unloading method, a crane rotating apparatus, and a hoisting apparatus
CN108340338A (zh) 工件支撑装置及工位器具
KR20180042940A (ko)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KR100898274B1 (ko) 선박용 대차장치
CN104754891A (zh) 可悬挂式重物安装电气柜
KR100929923B1 (ko) 선박의 화물창 단열패널부착을 위한 에어 리프트 장치
CN106364537B (zh) 一种科考船用可调式水下机器人托架
CN212669013U (zh) 吊装设备
CN208103856U (zh) 一种预埋件仓储物流平台
CN110194241B (zh) 一种分段组件的安装装置及方法
KR20210050825A (ko) 웨이트 밸런서와 결합되는 다자유도 리프팅 장치
KR20160115123A (ko) 진공흡착부와 고자유도 관절을 구비한 하역장비
KR20080056823A (ko) 자동화장비 탈부착용 장치
KR20110008117U (ko) 저전고 포크리프트
CN109533597B (zh) 一种工器具专用周转箱
KR20130000306U (ko) 이동식 작업대
KR102334835B1 (ko) 벌브 플레이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벌브 플레이트 시공 방법
KR20150019900A (ko) 대형 패널 곡직 작업용 보조 기구
CN217780147U (zh) 一种物流运输装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