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631B1 -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631B1
KR100693631B1 KR1020050081449A KR20050081449A KR100693631B1 KR 100693631 B1 KR100693631 B1 KR 100693631B1 KR 1020050081449 A KR1020050081449 A KR 1020050081449A KR 20050081449 A KR20050081449 A KR 20050081449A KR 100693631 B1 KR100693631 B1 KR 10069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gripper
assembly
oper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373A (ko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6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공정 수행중 차량의 전방 시트를 차량의 일측에서 동시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틸팅 유니트(10); 일단부는 조립 암(7)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틸팅 유니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틸팅 실린더(15); 상기 틸팅 유니트(10)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작 로드(20); 상기 동작 로드(2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 상기 동작 로드(20)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에 연속하여 설치되되 좌우 기울기가 변화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전석 시트 그립퍼(70)로 구성된다.
차량, 전방 시트, 조립

Description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A front seat assembling apparatus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사용한 차량 전방 시트의 차량 내부로의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운전석 시트 그립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틸팅 유니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차량 전방 시트가 차량 내부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틸팅 유니트 20 : 동작 로드
30 : 조수석 시트 그립퍼 70 : 운전석 시트 그립퍼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조립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전방 시트의 조립 공정 수행시 차량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시트를 동시에 일측에서 투입하여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 시트 또는 후방 시트 조립 공정 수행시 시트를 차량의 조립 위치로 이동시킨 후 조립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시트의 이동은 로보트에 의한 완전 자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공압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등의 방법이 있다.
차량의 후방 시트는 좌우 시트가 일체화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투입한 후 조립을 수행하지만, 차량의 전방 시트는 좌우 시트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별도로 투입한 후 고정 작업을 해야 했기 때문에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조립 공정 라인의 양측에 시트 투입 장치가 설치되어야 했다.
시트 투입 장치의 설치 댓수의 증가는 차량의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공정 수행중 차량의 전방 시트를 차량의 일측에서 동시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조립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장의 천정 부위에 설치된 이동 레일(1)을 롤러(2)의 회전에 따라 주행하며 차량 조립에 필요한 부품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하는 조립 장치에 있어서, 조립 암(7)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 그립퍼의 전후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유니트(10); 일단부는 조립 암(7)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틸팅 유니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틸팅 실린더(15); 상기 틸팅 유니트(10)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작 로드(20); 상기 동작 로드(2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 상기 동작 로드(20)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에 연속하여 설치되되 좌우 기울기가 변화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전석 시트 그립퍼(7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조수석 시트 그립퍼(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 동작하는 각도 조정 실린더(32), 'ㄱ'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정 실린더(32)의 단부와 링크(34)에 의해 연결되는 시트 고정암(38), 상기 시트 고정암(38)과 링크(34) 연결 부위에 돌출 설치되는 걸림단(37),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걸림단(37)과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동작 로드(20)는 일단은 상기 동작 로드(20)에 설치되고 타단은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 동작하는 시트 각도 조정 실린더(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좌우 전방 시트를 동시에 설치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한다.
차량의 전방 좌우에 설치되는 시트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와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에 각각 고정된 후, 차량의 우측 방향에서 차량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
즉,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차량의 내부에 투입되어 설치된다.
우선, 롤러(2)의 구동에 의해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시트 조립 기구 본체(3)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롤러(2)의 구동은 정지된다. 시트 조립 기구 본체(3)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 회전축(4)과 승하강 실린더(6)의 동작에 의해 조립 암(7)이 차량의 내부로 시트를 투입하여 시트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립 암(7)의 단부에는 틸팅 유니트(10), 동작 로드(20) 등이 설치되어 있고, 동작 로드(20)에는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와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이 설치되어 있어 시트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시트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와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에 의해 차량의 조립에 사용되는 시트를 고정한 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각각의 그립퍼(30, 7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와 조수석 시트 그립퍼(30)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 암(7)에 설치되어 있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를 시트에 근접시킨 후, 각도 조정 실린더(32)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각도 조정 실린더(32)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동작시키면 각도 조정 실린더(32)의 피스톤 단부에 링크(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ㄱ' 형태의 시트 고정암(38)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에서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로 회전하여 조립에 사용되는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준비 자세를 갖추도록 한다.
이때 시트 고정암(38)과 링크(34) 연결 부위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걸림단(37)이 시트 고정암(38)과 연동하면서, 리미트 스위치(40)의 일측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40)를 동작시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리미트 스위치(40)의 동작에 의한 신호가 출력되면 시트 고정암(38)이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회전하여 차량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준비 자세를 갖추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작되어 있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의 시트 고정암(38)의 사이에 차량 시트가 위치되도록 조립 암(7)을 동작시킨 후 각도 조정 실린더(32)를 제어하여 시트 고정암(38)에 의해 차량 시트가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차량의 우측 방향에서 차량 내부로 투입시켜 시트 고정 작업을 하도록 한다.
시트를 차량 내부로 투입할 때, 차량의 운전석 전방으로는 플로어 콘솔이 장 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에 수평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운전석 시트는 운전석에 설치될 수 없으므로, 차량 시트를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석 설치 시트의 좌우 기울기를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운전석 시트 그립퍼(7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의 좌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그립퍼 회전축(54)에 의해 동작 로드(2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은 동작 로드(20)에 설치되고 타단은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 각도 실린더(50)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면 운전석 시트 그립퍼(70)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전석 시트 그립퍼(70)는 그립퍼 회전축(54)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내부로 시트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운전석 시트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울인 상태에서 차 내부로 투입된 후,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시트 각도 실린더(50)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운전석 시트 그립퍼(70)가 정상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시트 양측을 모두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운전석 시트를 설치할 때 운전석 시트의 전후 각도는 차종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차종의 변화에 따라 운전석 시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틸팅 실린더(15)의 길이 제어에 의해 틸팅 유니트(10)를 회전시켜 운전석 시트의 전후 기울기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틸팅 유니트(10)는 조립 암(7)의 단부에 회전축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틸팅 유니트(10)의 일측과 조립 암(7)의 일측으로는 틸팅 실린더(15)의 양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어 틸팅 실린더(15)에 공급되는 유압의 제어에 의해 틸팅 실린더(15)의 길이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틸팅 유니트(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어 차량 시트의 전후 기울기가 변화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공정 수행중 차량의 전방 시트를 차량의 일측에서 동시에 투입할 수 있어 차량 조립 라인의 양측에 시트 조립용 기구를 설치하지 않게 되어 차량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 조립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장의 천정 부위에 설치된 이동 레일(1)을 롤러(2)의 회전에 따라 주행하며 차량 조립에 필요한 부품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하는 조립 장치에 있어서,
    조립 암(7)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 그립퍼의 전후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유니트(10);
    일단부는 조립 암(7)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틸팅 유니트(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틸팅 실린더(15);
    상기 틸팅 유니트(10)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작 로드(20);
    상기 동작 로드(2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
    상기 동작 로드(20)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 그립퍼(30)에 연속하여 설치되되 좌우 기울기가 변화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전석 시트 그립퍼(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시트 그립퍼(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 동작하는 각도 조정 실린더(32), 'ㄱ'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정 실린더(32)의 단부와 링크(34)에 의해 연결되는 시트 고정암(38), 상기 시트 고정암(38)과 링크(34) 연결 부위에 돌출 설치되는 걸림단(37), 조수석 시트 그립퍼 (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걸림단(37)과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로드(20)는 일단은 상기 동작 로드(20)에 설치되고 타단은 운전석 시트 그립퍼(70)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 동작하는 시트 각도 조정 실린더(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KR1020050081449A 2005-09-01 2005-09-01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KR10069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449A KR100693631B1 (ko) 2005-09-01 2005-09-01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449A KR100693631B1 (ko) 2005-09-01 2005-09-01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373A KR20070025373A (ko) 2007-03-08
KR100693631B1 true KR100693631B1 (ko) 2007-03-14

Family

ID=3809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449A KR100693631B1 (ko) 2005-09-01 2005-09-01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57B1 (ko) * 2007-11-16 2010-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CN102814637B (zh) * 2012-08-31 2015-05-27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后座椅安装吊运机械手
KR102144377B1 (ko) * 2014-01-17 2020-08-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 단열박스 설치 장치의 레일투입 장치
CN113696208A (zh) * 2021-08-30 2021-11-26 上海兰凯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安装用机械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373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718B1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KR100837928B1 (ko) 나사체결 작업용 지그 장치
KR100693631B1 (ko)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JP4878766B2 (ja) 作業車のブーム旋回自動停止装置
JP416372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210170925A1 (en) Active seat suspension systems including systems with non-backdrivable actuators
CA2627553C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soft member
US6550863B2 (en) Vehicle seat having an inclination-adjustable seat cushion
KR20130029413A (ko)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특히 높이 조절 장치
US81177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door glass on vehicle door
JP2013529759A (ja) 円錐摩擦リングギヤ
US20090174244A1 (en) Seat height and til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JPH03220031A (ja) 乗物のシート姿勢調整装置
KR20210100818A (ko) 자동차의 시트용 사이드 볼스터 조절 장치, 사이드 볼스터 조절 시스템 및 사이드 볼스터 조절 방법
KR20210074063A (ko)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KR100282865B1 (ko) 차량의 후드 스테이
JPH0710494A (ja) 産業車両のための操作装置
JPS62279110A (ja) 車高切換え装置
JP2568474Y2 (ja) 車両用シートの電動移動装置
JPH07180741A (ja) スプリング圧縮組付装置
JP2023008477A (ja) 操舵装置
JP2006130642A (ja) フローティング・ロック装置
KR200452241Y1 (ko) 자동차용 전동 룸미러 장치
CN116733334A (zh) 车门开闭辅助装置
KR200211052Y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